KR101423662B1 -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662B1
KR101423662B1 KR1020130081434A KR20130081434A KR101423662B1 KR 101423662 B1 KR101423662 B1 KR 101423662B1 KR 1020130081434 A KR1020130081434 A KR 1020130081434A KR 20130081434 A KR20130081434 A KR 20130081434A KR 101423662 B1 KR101423662 B1 KR 10142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punch
metal
module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만
Original Assignee
(주)유닉스지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닉스지퍼 filed Critical (주)유닉스지퍼
Priority to KR102013008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메탈지퍼 제조장치가 지퍼티스 성형시, 지퍼티스의 상면 헤드부 성형은 양호하게 제작되었으나, 하면 헤드부의 성형의 경우에 헤드부분이 성형이 잘 안되고 옆으로 퍼져서 지퍼티스 테두리 둘레가 벌어져서 파스너에 의해 자주 걸리는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지퍼티스가 지퍼테이프에 코킹될 때, 지퍼테이프상에서 지퍼티스 빠짐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지퍼테이프 어느 위치에 지퍼티스 빠짐이 발생되었는지 알 수가 없고, 후공정(도금, 연마)시에 감지할 수가 전혀 없어 완성품 출하시, 크레임에 걸려 다시 완성품을 반품받아 재출하해야하는 이중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체(100), 지퍼티스 금형모듈(200), 지퍼테이프 공급모듈(300), 메탈지퍼 코킹모듈(400), 지퍼티스 센서모듈(500), 사선형 가이드레일부(600), PLC 제어모듈(700)로 구성됨으로서, 메탈지퍼 전체공정을 자동화시켜 메탈지퍼 제조시간을 기존에 비해 70% 단축시킬 수 있고,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메탈지퍼를 피딩롤러를 통해 텐션을 주면서 이송시키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를 구름접촉하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80% 향상된 양질의 메탈지퍼를 제조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의 구동을 오프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킬 수 있어, 현재 공정에서 바로 지퍼티스 결함을 보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후공정(도금, 연마)시 발생되는 에러와 결함을 사전에 점검해 줄 수가 있어, 완성품에 관한 크레임사고를 기존에 비해 70%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THE APPARATUS OF SMART AUTOMATIC A METAL ZIPPER}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 메탈지퍼 및 단방향 메탈지퍼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메탈지퍼를 피딩롤러를 통해 텐션을 주면서 이송시키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를 구름접촉하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퍼(zipper)는 치가 치합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조각을 헝겊테이프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서로 맞물려지는 치가 부착된 헝겊테이프 두 줄을 쇠고리에 달린 손잡이로 밀고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이런 지퍼는 주로 지갑, 점퍼(옷), 가방 등에 널리 쓰임은 물론, 우리들의 실생활에서 그 사용 범위가 매우 다양하여 유용하게 사용되는 제품이다.
지퍼 중 메탈지퍼(Metal Zipper)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의 지퍼로서 이빨이 금속재료로 되어 있어 다른 지퍼에 비해 강도가 월등해 사용 범위가 넓다. 특히 고급자켓, 가죽코트등 고급 의류에도 잘 어울린다.
메탈 지퍼의 종류로는 알루미늄,단동,안티크브라스,니켈,옥시드 칼라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여러가지로 응용해 사용되고 있다.
금속지퍼는 강도가 크고, 열에 강하기 때문에 변형이나 뒤틀림이 적으며, 도금을 통해 다양한 칼라를 입힐 수가 있다.
금속지퍼의 재질은 황동, 니켈, 합금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지퍼는 다음과 같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즉, 원형단면을 갖는 기다란 와이어가 다수의 롤러에 의해 Y형 단면으로 압연된 후, 압연된 와이어는 절단펀치와 상호작용절단다이에 의해 소정 두께의 얇은 요소블랭크로 절단되고, 그 후 각 요소블랭크의 커플링헤드에 형성펀치와 상호작용형성다이에 의해 돌기가 형성되어 각각의 요소블랭크를 지퍼요소로서 완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지퍼요소는 각 요소의 전후방 부착다리를 코킹펀치에 의해 테이프의 양측에 코킹함에 의해 지퍼테이프에 소정의 피치로 연속적으로 장착된다.
하지만, 종래 메탈지퍼 제조장치는 지퍼티스 성형시, 지퍼티스의 상면 헤드 부 성형은 양호하게 제작되었으나, 하면 헤드부의 성형의 경우에 헤드부분이 성형이 잘 안되고 옆으로 퍼져서 지퍼티스 테두리 둘레가 벌어져서 파스너에 의해 자주 걸리는 불량이 발생하였다.
그 이유는 프레스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강한 압력을 하부금형에서 직접 전달받기 때문에, 이때 발생되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따른 에어가 하부금형에서 빠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에어가 하부금형 헤드홀상에 차게 되어, 지퍼티스의 헤드형상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벌어지는 불량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메탈지퍼 제조장치는 지퍼티스가 지퍼테이프에 코킹될 때, 지퍼테이프상에서 지퍼티스 빠짐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3000rpm이상으로 빠른 속도로 가동되면서, 지퍼테이프 어느 위치에 지퍼티스 빠짐이 발생되었는지 알 수가 없고, 후공정(도금, 연마)시에 감지할 수가 전혀 없 어, 완성품 출하시, 크레임에 걸려 다시 완성품을 반품받아 재출하해야하는 이중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746호(2005년02월23일)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형성시킬 수 있고, 메탈지퍼를 피딩롤러를 통해 텐션을 주면서 이송시키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를 구름접촉하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본체(100)와,
본체의 후면 일측에 위치되어, 메탈지퍼의 지퍼티스용 금형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프레스의 강한 힘으로 지퍼티스를 형성시킨 후,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이송시키는 지퍼티스 금형모듈(200)과,
지퍼티스 금형모듈과 90°방향에 위치되고, 지퍼테이프수납박스로부터 지퍼테이프를 공급받아 탄력성을 유지시키면서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지퍼테이프 공급모듈(300)과,
지퍼테이프 공급모듈로부터 이송된 지퍼테이프를 전달받아 수직상단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지퍼티스 금형모듈로부터 형성된 지퍼티스를 지퍼테이프상에 설정된 기준피치로 코킹시켜 연속적으로 장착해서 메탈지퍼를 형성시키는 메탈지퍼 코킹모듈(400)과,
메탈지퍼 코킹모듈로부터 형성된 메탈지퍼를 피딩롤러를 통해 텐션을 주면서 이송시키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를 구름접촉하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지퍼티스 센서모듈(500)과,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과한 메탈지퍼를 텐션을 유지하면서 사선형 가이드레일을 따라 메탈지퍼저장박스로 이송시키는 사선형 가이드레일부(600)와,
지퍼티스 금형모듈, 지퍼테이프 공급모듈, 메탈지퍼 코킹모듈, 지퍼티스 센서모듈, 사선형 가이드레일부, 전원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해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의 구동을 오프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PLC 제어모듈(7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탈지퍼 전체공정을 자동화시켜 메탈지퍼 제조시간을 기존에 비해 70% 단축시킬 수 있고,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부를 통해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80% 향상된 양질의 메탈지퍼를 제조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의 구동을 오프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킬 수 있어, 현재 공정에서 바로 지퍼티스 결함을 보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후공정(도금, 연마)시 발생되는 에러와 결함을 사전에 점검해 줄 수가 있어, 완성품에 관한 크레임사고를 기존에 비해 70%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금형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금형모듈 중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금형모듈 중 지퍼티스 하부금형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상부금형과 지퍼티스 하부금형을 통해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드로잉, 커팅을 거쳐 지퍼티스의 하단 헤드상에 음각의 지퍼치구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형성시켜 완성형 지퍼티스를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퍼테이프 공급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코킹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LC 제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코킹모듈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는 양방향 메탈지퍼 및 단방향 메탈지퍼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100), 지퍼티스 금형모듈(200), 지퍼테이프 공급모듈(300), 메탈지퍼 코킹모듈(400), 지퍼티스 센서모듈(500), 사선형 가이드레일부(600), PLC 제어모듈(7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에 와이어퓨딩롤러, 체인퓨딩롤러, 메인구동모터, 타이밍벨트, 캠이 형성되며, 지퍼티스 금형모듈, 지퍼테이프 공급모듈, 메탈지퍼 코킹모듈, 지퍼티스 센서모듈, 사선형 가이드레일부의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본체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후면 일측에 금형소재가 유입되어 지퍼티스를 형성시키는 지퍼티스 금형모듈이 구성되고, 본체의 우측면 일측인 지퍼티스 금형모듈과 90°방향에 지퍼테이프 공급모듈이 구성되며, 본체의 정면상에 메탈지퍼 코킹모듈이 구성되고, 본체의 정면 좌측 상단 일측에 지퍼티스 센서모듈과 사선형 가이드레일부가 구성되며, 본체 내부 일측공간에 PLC 제어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 일측 공간에 메인구동모터가 구성되고, 메인구동모터일측에 타이밍벨트가 연결되어 캠을 상하왕복운동시킨다.
여기서, 캠은 상하왕복운동의 힘으로 드로잉펀치, 커팅펀치, 지퍼티스 함마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지퍼티스 센서모듈(500)로 이송되는 메탈지퍼에 텐션을 주면서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 체인퓨딩롤러가 지퍼티스 센서모듈의 내부공간 일측에 형성되고, 지퍼티스 금형모듈로 공급되는 금속소재에 텐션을 주면서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퓨딩롤러가 지퍼티스 금형모듈 내부공간 일측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금형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퍼티스 금형모듈(200)은 본체의 후면 일측에 위치되어, 메탈지퍼의 지퍼티스용 금형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캠의 강한 힘으로 지퍼티스를 형성시킨 후,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퍼티스 상부금형(210), 지퍼티스 하부금형(220)으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상부금형(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퍼티스 상부금형(210)은 상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펀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지퍼티스 하부금형쪽으로 캠의 힘을 전달시켜 금형소재에 드로잉, 커팅을 거쳐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상에 양각의 지퍼치구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다이(211), 펀치플레이트(212), 드로잉펀치프레임(213), 커팅펀치프레임(214)으로 구성된다.
[ 상부다이 ]
상기 상부다이(21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펀치플레이트와 펀치백킹플레이트를 상단면에서 지지하면서, 하부다이와 수직선상에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모서리 둘레 일측에 상하왕복운동을 하는 캠의 강한 압력을 스프링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한번 프레스하고, 복귀시키는 결합홀이 복수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다이는 듀랄미늄 소재를 채택하여 중량을 줄이고, 캠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펀치플레이트]
상기 펀치플레이트(212)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다이 상단에 위치되고, 윗단에 놓여지는 펀치플레이트를 밑단에서 지지하며, 표면상에 드로잉펀치프레임, 커팅펀치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1:1 정위치에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 커팅펀치프레임삽입구(212b)가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는 직사각형상의 삽입구로 이루어져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1),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2), 제3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3), 제4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4), 제5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5), 제6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1)는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2)는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3)는 제3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4)는 제4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5)는 제5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6 드로잉펀치프레임삽입구(212a-6)는 제6 드로잉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팅펀치프레임삽입구(212b)는 제7 드로잉펀치프레임과 커팅펀치프레임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커팅펀치프레임은 직사각형상의 삽입구로 이루어져 지퍼티스 테두리 둘레와, 다리 둘레를 지지하는 지지틀을 커팅펀치를 통해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드로잉펀치프레임]
상기 드로잉펀치프레임(213)은 펀치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헤드부를 정면상에서 봤을 때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와, 중앙에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가 형성되어 상하왕복운동하는 캠의 강한 압력을 띠 모양의 금형소재 상부 표면에 전달시켜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를 통해 금형소재 상부 표면에 지퍼티스의 상면 헤드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213a),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213b), 제3 드로잉펀치프레임(213c), 제4 드로잉펀치프레임(213d), 제5 드로잉펀치프레임(213e), 제6 드로잉펀치프레임(213f), 제7 드로잉펀치프레임(213g)이 구성된다.
상기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213a)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1차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드로잉 펀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드로잉 펀치(213a-1)는 직경 φ3.5±0.1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213b)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2차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드로잉 펀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2 드로잉 펀치(213b-1)는 직경 φ3.7±0.1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드로잉펀치프레임(213c)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3차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드로잉 펀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3 드로잉 펀치(213c-1)는 직경 φ3.9±0.1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드로잉펀치프레임(213d)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4차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4 드로잉 펀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4 드로잉 펀치(213d-1)는 직경 φ4.3±0.1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5 드로잉펀치프레임(213e)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5차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5 드로잉 펀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5드로잉 펀치(213e-1)는 직경 φ4.5±0.1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6 드로잉펀치프레임(213f)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6차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6 드로잉 펀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6드로잉 펀치(213f-1)는 직경 φ4.7±0.1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7 드로잉펀치프레임(213g)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7차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7 드로잉 펀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7 드로잉 펀치(213g-1)는 직경 φ4.9±0.1mm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1 드로잉펀치프레임의 제1 드로잉 펀치와, 제2 드로잉펀치프레임의 제2 드로잉 펀치와, 제3 드로잉펀치프레임의 제3 드로잉 펀치와, 제4 드로잉펀치프레임의 제4 드로잉 펀치와, 제5 드로잉펀치프레임의 제6 드로잉 펀치와, 제6 드로잉펀치프레임의 제6 드로잉 펀치를 통해 1차로 직경 φ3.5±0.1mm로 외각 반경이 형성되고, 2차로 직경 φ3.7±0.1mm로 외각 반경이 형성되며, 3차로 직경 φ3.9±0.1mm로 외각 반경이 형성되고, 4차로 직경 φ4.3±0.1mm로 외각 반경이 형성되며, 5차로 직경 φ4.5±0.1mm로 외각반경이 형성되고, 6차로 직경 φ4.7±0.1mm로 외각반경이 형성되며, 7차로 직경 φ4.9±0.1mm로 외각반경이 형성된다.
여기서, 직경 φ3.5±0.1mm, φ3.7±0.1mm, φ3.9±0.1mm, φ4.3±0.1mm, φ4.5±0.1mm, φ4.7±0.1mm, φ4.9±0.1mm는 하나의 일예로 지퍼티스의 외각반경을 나타내며, 메탈지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수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 커팅펀치프레임 ]
상기 커팅펀치프레임(214)은 펀치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하왕복운동하는 캠의 강한 압력을 금형소재의 지퍼티스 지지틀에 전달시켜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절단함으로서 지퍼티스를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커팅펀치(214a), 제7 드로잉펀치프레임(213g)가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하부금형(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퍼티스 하부금형(220)은 하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금형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지퍼티스 상부금형과 접촉되면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드로잉, 커팅을 거쳐 지퍼티스의 하단 헤드상에 음각의 지퍼치구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다이(221), 다이플레이트(222),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224), 완성형 지퍼티스 이송프레임(225)으로 구성된다.
[ 하부다이 ]
상기 하부다이(221)는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이플레이트를 바닥면에서 지지하고, 내부에 스프링고정세트를 포함하면서 상부다이와 수직선상에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 다이플레이트 ]
상기 다이플레이트(222)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다이 상단에 위치되고, 상하왕복운동하는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 커팅펀치가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위치한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 커팅펀치삽입기준홀에 삽입되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 커팅펀치삽입기준홀(222b)로 구성된다.
상기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은 제1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1), 제2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2), 제3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3), 제4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4), 제5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5), 제6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1)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1차로 형성시키는 제1 드로잉펀치 낙하위치를 안내하는 제1 드로잉펀치 삽입지지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기준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2)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2차로 형성시키는 제2 드로잉펀치 낙하위치를 안내하는 제2 드로잉펀치 삽입지지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기준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3)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3차로 형성시키는 제3 드로잉펀치 낙하위치를 안내하는 제3 드로잉펀치 삽입지지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기준역할을 한다.
상기 제4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4)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4차로 형성시키는 제4 드로잉펀치 낙하위치를 안내하는 제4 드로잉펀치 삽입지지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기준역할을 한다.
상기 제5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5)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5차로 형성시키는 제5 드로잉펀치 낙하위치를 안내하는 제5 드로잉펀치 삽입지지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기준역할을 한다.
상기 제6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222a-6)은 양각으로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의 구성요소인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 반경과, 상단 헤드부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 반경을 6차로 형성시키는 제6 드로잉펀치 낙하위치를 안내하는 제6드로잉펀치 삽입지지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기준역할을 한다.
상기 커팅펀치삽입기준홀(222b)은 커팅펀치 낙하위치를 안내하는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이 삽입되도록 기준역할을 한다.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
상기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은 다이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프레임과 동일선상에 1:1로 위치되면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가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a), 제2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b), 제3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c), 제4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d), 제5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e), 제6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f)이 구성된다.
상기 제1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a)은 제1 드로잉펀치가 제1 드로잉펀치 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b)은 제2 드로잉펀치가 제2 드로잉펀치 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c)은 제3 드로잉펀치가 제3 드로잉펀치 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d)은 제4 드로잉펀치가 제4 드로잉펀치 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e)은 제5 드로잉펀치가 제5 드로잉펀치 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6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f)은 제6 드로잉펀치가 제6 드로잉펀치 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은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부(223g)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부(223g)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프레임과 동일선상에 1:1로 위치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1), 제2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2), 제3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3), 제4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4), 제5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5), 제6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1)은 제1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제1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1차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2)은 제2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제2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2차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3)은 제3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제3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3차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4)은 제4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제4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4차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5)은 제5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제5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5차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6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6)은 제6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제6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6차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 ]
상기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224)은 다이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커팅펀치프레임과 동일선상에 1:1로 위치되면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커팅펀치가 커팅펀치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블럭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의 커팅펀치삽입기준홀 일측에 제7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7)이 구성된다.
상기 제7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223g-7)은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제7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7차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일측에 커팅펀치를 통해 커팅되고 남은 금속 부스러기를 진공으로 흡입해서 저장탱크로 저장시키는 진공흡입펌프(8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완성형 지퍼티스 이송프레임]
상기 완성형 지퍼티스 이송프레임(225)은 커팅펀치프레임과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을 통해 완성된 지퍼티스를 동일선상에 위치한 수평방향의 지퍼티스 푸쉬펀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직방향의 이송레일구조로 형성되어, 완성된 지퍼티스를 지퍼티스 푸쉬펀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상부금형과 지퍼티스 하부금형을 통해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드로잉, 커팅을 거쳐 지퍼티스의 하단 헤드상에 음각의 지퍼치구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형성시켜 완성형 지퍼티스를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다.
즉, 금속소재 이송, 1차 드로잉, 2차 드로잉, 3차 드로잉, 4차 드로잉, 5차 드로잉, 6차 드로잉, 7차 드로잉+커팅의 과정을 거쳐 지퍼티스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퍼테이프 공급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퍼테이프 공급모듈(300)은 지퍼티스 금형모듈과 90°방향에 위치되고, 지퍼테이프수납박스로부터 지퍼테이프를 공급받아 텐션을 유지시키면서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퍼테이프수납박스(310), 가이드롤러(320)로 구성된다.
상기 지퍼테이프수납박스(310)는 지퍼테이프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320)는 5개~10개의 회전롤러로 이루어져 지퍼테이프를 상단방향 또는 하단방향에서 텐션을 주면서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코킹모듈(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탈지퍼 코킹모듈(400)은 지퍼테이프 공급모듈로부터 이송된 지퍼테이프를 전달받아 수직상단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지퍼티스 금형모듈로부터 형성된 지퍼티스를 지퍼테이프상에 설정된 기준피치로 코킹시켜 연속적으로 장착해서 메탈지퍼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퍼테이프 정위치설정부(410), 지퍼티스 함마부(420), 지퍼티스 탄성스프링(430), 지퍼티스 푸쉬펀치(440)로 구성되고, 이는 PLC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지퍼테이프 정위치설정부(410)는 지퍼테이프 공급모듈로부터 이송된 지퍼테이프를 지퍼티스를 집게로 쥐고 있는 지퍼티스 푸쉬펀치 상에 순차적으로 정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퍼티스 함마부(420)는 본체의 캠으로부터 상하 왕복운동을 전달받아 지퍼티스 탄성스프링에 양방향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퍼티스 탄성스프링(430)은 지퍼티스 함바부와 지퍼티스 푸쉬펀치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퍼티스 푸쉬펀치로 양방향 힘을 전달시킨 후,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지퍼티스 함마부로 양방항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퍼티스 푸쉬펀치(440)는 완성형 지퍼티스 이송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완성형 지퍼티스에 양방향 힘을 가해 지퍼테이프 상에 코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코킹은 지퍼티스의 다리부에 좌우 양방향 힘을 가해 지퍼 테이프상에 협지 압박하고 체결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퍼티스 센서모듈(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퍼티스 센서모듈(500)은 메탈지퍼 코킹모듈로부터 형성된 메탈지퍼를 피딩롤러를 통해 텐션을 주면서 이송시키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를 구름접촉하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딩롤러구동모터(510), 피딩롤러(520), 구름접촉롤러부(530), 사선형탄성스프링(540), 센서감지레버(550), 움직임감지형근접센서(560)로 구성된다.
상기 피딩롤러구동모터(510)는 피딩롤러에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딩롤러(520)는 피딩롤러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메탈지퍼를 피딩시켜 사선형 가이드레일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름접촉롤러부(530)는 피딩롤러에 감겨지면서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지퍼티스 상단 표면에 구름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져서 지퍼티스결함이 있으면 일측에 연결된 탄성스프링쪽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선형탄성스프링(540)은 구름접촉롤러부 일측과 센서감지레버 사이에 사선형으로 연결되어, 구름접촉롤러부로부터 지퍼티스결함에 따른 당기는 탄성력을 전달받으면, 당기는 탄성력을 상단 끝단에 연결된 센서감지레버로 전달시켜 센서감지레버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감지레버(550)는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단 일측이 탄성스프링 선단 일측과 연결되고, 선단 일측이 동작감지센서의 중앙부위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탄성스프링으로부터 상하로 구동시키는 힘을 전달받아 동작감지센서의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동되어 지퍼티스결함을 인식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움직임감지형근접센서(560)는 센서감지레버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센서감지레버가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동되어 움직임이 감지되면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키도록 PLC 제어모듈로 전원차단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선형 가이드레일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사선형 가이드레일부(600)는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과한 메탈지퍼를 텐션을 유지하면서 사선형 가이드레일을 따라 메탈지퍼저장박스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PLC 제어모듈(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PLC 제어모듈(700)은 지퍼티스 금형모듈, 지퍼테이프 공급모듈, 메탈지퍼 코킹모듈, 지퍼티스 센서모듈, 사선형 가이드레일부, 전원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해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의 구동을 오프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구동모터구동모드(710), 와이어퓨딩롤러구동모드(720), 체인퓨딩롤러구동모드(73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구동모터구동모드(710)는 메인구동모터를 구동시켜 타이밍벨트를 통해 캠을 상하왕복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퓨딩롤러구동모드(720)는 지퍼티스 금형모듈로 공급되는 금속소재에 텐션을 주면서 당겨줘서 지퍼티스 금형모듈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인퓨딩롤러구동모드(730)는 지퍼티스 센서모듈(500)로 이송되는 메탈지퍼에 텐션을 주면서 당겨줘서 회전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제어모듈(700)은 메인구동모터구동모드, 와이어퓨딩롤러구동모드, 체인퓨딩롤러구동모드를 구동시킨 후, 지퍼티스 금형모듈, 지퍼테이프 공급모듈, 메탈지퍼 코킹모듈, 지퍼티스 센서모듈, 사선형 가이드레일부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PLC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전원부가 구동되어 각 기기로 전원을 공급시킨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LC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지퍼티스 금형모듈이 구동되어, 메탈지퍼의 지퍼티스용 금형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캠의 강한 힘으로 지퍼티스를 형성시킨 후,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PLC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지퍼테이프 공급모듈이 구동되어, 지퍼테이프수납박스로부터 지퍼테이프를 공급받아 텐션을 유지시키면서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PLC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메탈지퍼 코킹모듈이 구동되어, 지퍼테이프 공급모듈로부터 이송된 지퍼테이프를 전달받아 수직상단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지퍼티스 금형모듈로부터 형성된 지퍼티스를 지퍼테이프상에 설정된 기준피치로 코킹시켜 연속적으로 장착해서 메탈지퍼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PLC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지퍼티스 센서모듈이 구동되어, 메탈지퍼 코킹모듈로부터 형성된 메탈지퍼를 피딩롤러를 통해 텐션을 주면서 이송시키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를 구름접촉하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PLC 제어모듈에서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해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의 구동을 오프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킨다.
이때, 지퍼티스가 빠진 메탈지퍼를 현장에서 바로 절취하고, 은박지 매듭을 붙여서 정상의 이웃하는 메탈지퍼와 연결시킨 후, 전원부를 온시켜 다시 구동시킨다.
끝으로,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해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선형 가이드레일부를 통해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과한 메탈지퍼를 텐션을 유지하면서 사선형 가이드레일을 따라 메탈지퍼저장박스로 이송시킨다.
1 :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100 : 본체 200 : 지퍼티스 금형모듈
300 : 지퍼테이프 공급모듈 400 : 메탈지퍼 코킹모듈
500 : 지퍼티스 센서모듈 600 : 사선형 가이드레일부
700 : PLC 제어모듈

Claims (7)

  1.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에 와이어퓨딩롤러, 체인퓨딩롤러, 메인구동모터, 타이밍벨트, 캠이 형성되며, 지퍼티스 금형모듈, 지퍼테이프 공급모듈, 메탈지퍼 코킹모듈, 지퍼티스 센서모듈, 사선형 가이드레일부의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본체(100)와,
    본체의 후면 일측에 위치되어, 메탈지퍼의 지퍼티스용 금형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캠의 강한 힘으로 지퍼티스를 형성시킨 후,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이송시키는 지퍼티스 금형모듈(200)과,
    지퍼티스 금형모듈과 90°방향에 위치되고, 지퍼테이프수납박스로부터 지퍼테이프를 공급받아 텐션을 유지시키면서 메탈지퍼 코킹모듈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지퍼테이프 공급모듈(300)과,
    지퍼테이프 공급모듈로부터 이송된 지퍼테이프를 전달받아 수직상단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지퍼티스 금형모듈로부터 형성된 지퍼티스를 지퍼테이프상에 설정된 기준피치로 코킹시켜 연속적으로 장착해서 메탈지퍼를 형성시키는 메탈지퍼 코킹모듈(400)과,
    메탈지퍼 코킹모듈로부터 형성된 메탈지퍼를 피딩롤러를 통해 텐션을 주면서 이송시키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를 구름접촉하면서,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지퍼티스 센서모듈(500)과,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과한 메탈지퍼를 텐션을 유지하면서 사선형 가이드레일을 따라 메탈지퍼저장박스로 이송시키는 사선형 가이드레일부(600)와,
    지퍼티스 금형모듈, 지퍼테이프 공급모듈, 메탈지퍼 코킹모듈, 지퍼티스 센서모듈, 사선형 가이드레일부, 전원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지퍼티스 센서모듈을 통해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진 지퍼티스결함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의 구동을 오프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PLC 제어모듈(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티스 금형모듈(200)은
    상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펀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지퍼티스 하부금형쪽으로 캠의 힘을 전달시켜 금형소재에 드로잉, 커팅을 거쳐 지퍼티스의 상단 헤드부상에 양각의 지퍼치구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형성시키는 지퍼티스 상부금형(210)과,
    하단면에 위치되어 복열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금형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지퍼티스 상부금형과 접촉되면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드로잉, 커팅을 거쳐 지퍼티스의 하단 헤드상에 음각의 지퍼치구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형성시키는 지퍼티스 하부금형(2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티스 상부금형(210)은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펀치플레이트와 펀치백킹플레이트를 상단면에서 지지하면서, 하부다이와 수직선상에서 결합시키는 상부다이(211)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다이 상단에 위치되고, 윗단에 놓여지는 펀치플레이트를 밑단에서 지지하며, 표면상에 드로잉펀치프레임, 커팅펀치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1:1 정위치에 삽입시켜 지지하는 펀치플레이트(212)와,
    펀치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헤드부를 정면상에서 봤을 때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와, 중앙에 타원형상의 지퍼치구형성부가 형성되어 상하왕복운동하는 캠의 강한 압력을 띠 모양의 금형소재 상부 표면에 전달시켜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를 통해 금형소재 상부 표면에 지퍼티스의 상면 헤드부를 형성시키는 드로잉펀치프레임(213)과,
    펀치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상하왕복운동하는 캠의 강한 압력을 금형소재의 지퍼티스 지지틀에 전달시켜 반원모자 형상의 테두리형성부와, 지퍼티스 다리를 절단함으로서 지퍼티스를 완성시키는 커팅펀치프레임(2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티스 하부금형(220)은
    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이플레이트를 바닥면에서 지지하고, 내부에 스프링고정세트를 포함하면서 상부다이와 수직선상에서 결합시키는 하부다이(221)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다이 상단에 위치되고, 상하왕복운동하는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 커팅펀치가 수직방향으로 정위치에 위치한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 커팅펀치삽입기준홀에 삽입되도록 안내시키는 다이플레이트(222)와,
    다이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프레임과 동일선상에 1:1로 위치되면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가 드로잉펀치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과,
    다이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고, 커팅펀치프레임과 동일선상에 1:1로 위치되면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커팅펀치가 커팅펀치삽입기준홀에 정위치되도록 삽입지지하는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224)과,
    커팅펀치프레임과 커팅펀치삽입지지프레임을 통해 완성된 지퍼티스를 동일선상에 위치한 수평방향의 지퍼티스 푸쉬펀치로 이송시키는 완성형 지퍼티스 이송프레임(2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펀치삽입지지프레임(223)은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프레임과 동일선상에 1:1로 위치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져 금형소재 하부 표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캠의 강한 압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지퍼티스 상부금형의 드로잉펀치로 인해 발생되는 고압의 에어(Air)를 좌우분할 틈 공간으로 빠지도록 유도시켜 금형소재 하부 표면에 깔끔한 지퍼티스의 하면 헤드부를 형성시키는 지퍼티스 하면헤드부용 분할금형부(223g)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지퍼 코킹모듈(400)은
    지퍼테이프 공급모듈로부터 이송된 지퍼테이프를 지퍼티스를 집게로 쥐고 있는 지퍼티스 푸쉬펀치 상에 순차적으로 정위치시키는 지퍼테이프 정위치설정부(410)와,
    본체의 캠으로부터 상하 왕복운동을 전달받아 지퍼티스 탄성스프링에 양방향 힘을 전달시키는 지퍼티스 함마부(420)와,
    지퍼티스 함바부와 지퍼티스 푸쉬펀치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퍼티스 푸쉬펀치로 양방향 힘을 전달시킨 후,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지퍼티스 함마부로 양방항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기하는 지퍼티스 탄성스프링(430)과,
    완성형 지퍼티스 이송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완성형 지퍼티스에 양방향 힘을 가해 지퍼테이프 상에 코킹시키는 지퍼티스 푸쉬펀치(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티스 센서모듈(500)은
    피딩롤러에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피딩롤러구동모터(510)와,
    피딩롤러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메탈지퍼를 피딩시켜 사선형 가이드레일부로 이송시키는 피딩롤러(520)와,
    피딩롤러에 감겨지면서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지퍼티스 상단 표면에 구름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지퍼테이프상에 지퍼티스가 빠져서 지퍼티스결함이 있으면 일측에 연결된 탄성스프링쪽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전달시키는 구름접촉롤러부(530)와,
    구름접촉롤러부 일측과 센서감지레버 사이에 사선형으로 연결되어, 구름접촉롤러부로부터 지퍼티스결함에 따른 당기는 탄성력을 전달받으면, 당기는 탄성력을 상단 끝단에 연결된 센서감지레버로 전달시켜 센서감지레버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사선형탄성스프링(540)과,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단 일측이 탄성스프링 선단 일측과 연결되고, 선단 일측이 동작감지센서의 중앙부위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탄성스프링으로부터 상하로 구동시키는 힘을 전달받아 동작감지센서의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동되어 지퍼티스결함을 인식시켜주는 센서감지레버(550)와,
    센서감지레버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센서감지레버가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동되어 움직임이 감지되면 각 기기의 구동을 순간 오프시키도록 PLC 제어모듈로 전원차단신호를 보내는 움직임감지형근접센서(5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KR1020130081434A 2013-07-11 2013-07-11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KR10142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34A KR101423662B1 (ko) 2013-07-11 2013-07-11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34A KR101423662B1 (ko) 2013-07-11 2013-07-11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662B1 true KR101423662B1 (ko) 2014-07-25

Family

ID=5174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434A KR101423662B1 (ko) 2013-07-11 2013-07-11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6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85B1 (ko) * 2015-03-13 2016-08-05 (주)유닉스지퍼 지퍼티스카운터센서·갭간격자동조절을 통한 스마트 갭지퍼형성장치
CN107684201A (zh) * 2016-12-23 2018-02-13 安徽均益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式拉链合链装置
CN113786040A (zh) * 2021-10-22 2021-12-14 东莞市金美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拉链颗粒牙制链机
CN116278018A (zh) * 2023-02-02 2023-06-23 江苏盛业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拉链贴胶冲孔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875B1 (en) * 1994-08-24 1997-06-19 Yoshida Kogyo Kk Slide fastener elem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KR19980072352A (ko) * 1997-03-04 1998-11-05 조성대 엘레멘트 사출성형 부착기의 테이프 조절 공급장치
KR200208580Y1 (ko) 2000-05-30 2001-01-15 신문균 지퍼 피딩장치
KR200289217Y1 (ko) 2002-06-19 2002-09-16 김영식 지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875B1 (en) * 1994-08-24 1997-06-19 Yoshida Kogyo Kk Slide fastener elem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KR19980072352A (ko) * 1997-03-04 1998-11-05 조성대 엘레멘트 사출성형 부착기의 테이프 조절 공급장치
KR200208580Y1 (ko) 2000-05-30 2001-01-15 신문균 지퍼 피딩장치
KR200289217Y1 (ko) 2002-06-19 2002-09-16 김영식 지퍼 제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85B1 (ko) * 2015-03-13 2016-08-05 (주)유닉스지퍼 지퍼티스카운터센서·갭간격자동조절을 통한 스마트 갭지퍼형성장치
CN107684201A (zh) * 2016-12-23 2018-02-13 安徽均益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式拉链合链装置
CN107684201B (zh) * 2016-12-23 2024-02-20 安徽均益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式拉链合链装置
CN113786040A (zh) * 2021-10-22 2021-12-14 东莞市金美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拉链颗粒牙制链机
CN113786040B (zh) * 2021-10-22 2023-09-01 东莞市金美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拉链颗粒牙制链机
CN116278018A (zh) * 2023-02-02 2023-06-23 江苏盛业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拉链贴胶冲孔设备
CN116278018B (zh) * 2023-02-02 2023-10-20 江苏盛业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拉链贴胶冲孔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662B1 (ko) 메탈지퍼 스마트 자동제조장치
JP7220819B2 (ja) 電線回動装置、端子両端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電線の製造方法
WO2014177036A1 (zh) 一种开卷落料成形方法
US6540126B2 (en) Clamping band manufactur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amping band
CN107370007B (zh) 通用型汽车负极电瓶栓自动组装及在线检测设备
EP1518474A1 (en) Slide fastener manufacturing apparatus
JP7220815B2 (ja) 端子圧着装置、端子圧着電線製造装置、及び、端処理電線の製造方法
CN106862411A (zh) 一种导板检测分离、翻面、预料裁断装置
US201501073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a stamped part
CN106903225A (zh) 一种超精密冲压级进模具自动检测系统
CN211414124U (zh) 一种基于立体视觉的热轧标签自动焊挂系统
US477329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ner for magnetic disk
CN109068815B (zh) 拉链制造装置以及拉链的制造方法
EP040906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s
KR100204098B1 (ko) 리이드 프레임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US2221740A (en) Manufacture of slide fastener elements
EP28571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embossed cover elements for packaging
US2444706A (en) Slide fastener machine
US20070266753A1 (en) Gutter Cover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7523050A (ja) 打抜きプレスラインへのブランク積載
CN109008090B (zh) 拉链链牙列成形装置
TW201725339A (zh) 滾珠用金屬紮線帶製法
CN105922557A (zh) 一种双尾止拉链机
CN215152351U (zh) 一种纸箱自动穿扣装置
KR102163649B1 (ko) 에어백용 스티커라벨의 자동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