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022B1 -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 Google Patents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022B1
KR101423022B1 KR1020140010957A KR20140010957A KR101423022B1 KR 101423022 B1 KR101423022 B1 KR 101423022B1 KR 1020140010957 A KR1020140010957 A KR 1020140010957A KR 20140010957 A KR20140010957 A KR 20140010957A KR 101423022 B1 KR101423022 B1 KR 10142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ressure
button
ai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열
Original Assignee
유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열 filed Critical 유형열
Priority to KR102014001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원형, 사각형 구조의 챔버를 육각형 구조로 개량하여 챔버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챔버의 내측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내부에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 때 공기 입자가 엠보싱에 충돌하여 챔버 내부의 열과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였다. 또한, 챔버의 용접부위를 절곡하여 챔버의 상하 접합 면적을 넓혀 챔버 내부의 압력에 대해 견고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된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된 상부 몸체와 상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된 하부 몸체를 하나로 합쳐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절곡된 부분을 용접으로 접합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챔버 내부에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 때 공기 분자의 충돌을 유발시켜 열과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와 압력 상승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엠보싱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STRUCTURE OF CHAMBER FOR HIGH-PRESSURE STEAM STERILIZATION APPARATUS FOR MEDICAL}
본 발명은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각종 의료용 기기(기구), 고무제품(Rubbers), 의류(수술복, 가운 등), 직물, 액체, 포장 및 비포장 제품 등의 피멸균 대상물을 고온고압에서 멸균 및 건조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료용 기구는 무균처리를 해서 보관 사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약품을 사용하거나 고온의 증기를 이용해서 멸균시키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인체에 직접 사용되지 않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약품을 사용하여 멸균을 할 수 있지만, 인체에 사용되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대부분이 고온고압의 증기를 이용해서 멸균처리를 하고 있다.
통상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는 병원 등에서 행해지는 수술이나 환자의 치료를 위한 각종 의료용 기기와 수술복, 가운 등의 의류를 고압증기로 멸균 및 소독하여 무균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주로 고온고압의 증기를 사용하여 멸균처리를 하고 있다.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는 각종 의료용 기기와 수술복, 가운 등의 의류(이하, 피멸균 대상물이라 함)를 넣기 위한 멸균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와,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증류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과, 상기 챔버 내의 대기압과 습증기를 낮추어 주는 진공펌프와, 상기 챔버로 증류수 및 수증기를 차단 및 공급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는 상기 챔버의 멸균실에 상기 피멸균 대상물을 넣은 후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증류수를 상기 멸균실로 공급한 후 상기 히터를 가동하여 고온고압의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피멸균 대상물을 멸균시키게 된다.
그리고, 멸균 공정이 끝난 후 챔버 내부의 증류수를 배출시킨 후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건조과정에서 히터를 작동시키면 챔버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챔버 내벽에 이슬맺힘(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대부분 원통이나 사각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챔버 내부에 결로가 생기게 되면 천장이나 바닥에 결로가 그대로 맺혀 있기 때문에 챔버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맞대어 붙인 후 접촉부위를 용접하여 형성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대해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내부에 온도와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열과 압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이 없어 멸균 및 건조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챔버를 진공시키면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저수조로 다시 회수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세균 등이 번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소독 및 멸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멸균 대상물에 2차 감염의 우려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02325호(등록일자: 2009.06.04.)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비해 새로운 구조와 기능을 갖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원형 또는 사각형의 챔버 구조를 육각형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챔버 내부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챔버 내측에 엠보싱(embossing)을 형성하여 챔버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하로 접합되는 챔버(Chamber)의 용접부위를 절곡하여 접합 면적을 넓힘으로써, 챔버 내부의 압력에 대해 견고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챔버의 내부에 살균 히터와 건조 히터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각종 의료용 기기(기구), 고무제품(Rubbers), 의류(수술복, 가운 등), 직물, 액체, 포장 및 비포장 제품 등의 피멸균 대상물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멸균 및 건조할 수 있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각종 의료용 기기(기구), 고무제품(Rubbers), 의류(수술복, 가운 등), 직물, 액체, 포장 및 비포장 제품 등의 피멸균 대상물을 그 종류에 따라 동작 싸이클을 선택하고, 선택한 동작 싸이클의 공정 순서와 설정값에 의해 자동으로 멸균 및 건조할 수 있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멸균용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공급받아 피멸균 대상물을 고온고압에서 멸균 및 건조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진공 압력을 형성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된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된 상부 몸체와 상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된 하부 몸체를 하나로 합쳐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절곡된 부분을 용접으로 접합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챔버 내부에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 때 공기 분자의 충돌을 유발시켜 열과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와 압력 상승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엠보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는, 상기 몸체의 내부 천장에 배치된 건조 히터와, 상기 건조 히터의 하부에 배치된 건조 히터 커버와, 상기 몸체의 내부 바닥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증류수 저장홈과, 상기 증류수 저장홈의 내부에 배치된 살균 히터와, 상기 증류수 저장홈의 상부에 바닥면과 일치되게 배치된 살균 히터 커버와, 상기 몸체의 양쪽 내측벽에 설치된 트레이 설치대와, 상기 트레이 설치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챔버는, 상기 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일 측에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힌지 설치대가 형성되고, 타 측에 도어를 개폐하는 잠금기구 설치대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중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중간 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후방을 밀폐시켜 배치되며, 중간에 볼록 형성부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후면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에는, 상기 챔버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배기구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 프레임에는, 상기 증류수 저장홈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 공급 및 배수구와,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 및 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에어 배기구와, 상기 건조 히터를 연결하는 건조 히터 연결구와, 상기 살균 히터를 연결하는 살균 히터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챔버(chamber)를 육각형 구조로 개량함으로써, 챔버 내부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chamber)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공기 입자의 충돌에 의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챔버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과 열을 분산시킬 수 있고, 건조(dry) 공정에서 건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멸균 처리시 멸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멸균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챔버(chamber)의 용접부위를 절곡하여 챔버의 상하 접합 면적을 넓힘으로써, 챔버 내부의 압력에 대해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건조(DRY) 공정에서도 잔류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비해 새로운 기능과 구조를 가지며, 각종 의료용 기기(기구), 고무제품(Rubbers), 의류(수술복, 가운 등), 직물, 액체, 포장 및 비포장 제품 등의 피멸균 대상물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멸균 및 건조할 수 있고, 피멸균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동작 싸이클(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멸균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자연 친화적인 멸균 및 소독 처리를 통해 보건 및 의료분야에 크게 기여하며, 각종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우측 및 후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측 및 후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어를 제거한 챔버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어를 제거한 챔버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컨트롤 패널의 구성도이고,
도 7은 우측 덮개를 제거한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어, 우측 덮개, 상부 덮개를 제거한 우측면도이고,
도 9는 후면 덮개를 제거한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어, 우측 덮개, 좌측 덮개, 후면 덮개, 상부 덮개를 모두 제거한 좌측면도이고,
도 11은 챔버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챔버의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챔버의 후방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챔버의 내부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는 챔버의 하부 모습을 내려다 본 도면이고,
도 16은 챔버의 절곡 접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실시 예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우측 및 후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측 및 후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어를 제거한 챔버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어를 제거한 챔버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컨트롤 패널의 구성도이고, 도 7은 우측 덮개를 제거한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어, 우측 덮개, 상부 덮개를 제거한 우측면도이고, 도 9는 후면 덮개를 제거한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어, 우측 덮개, 좌측 덮개, 후면 덮개, 상부 덮개를 모두 제거한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챔버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챔버의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챔버의 후방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챔버의 내부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는 챔버의 하부 모습을 내려다 본 도면이고, 도 16은 챔버의 절곡 접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각종 의료용 기기(기구), 고무제품(Rubbers), 의류(수술복, 가운 등), 직물, 액체, 포장 및 비포장 제품 등의 피멸균 대상물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멸균 및 건조할 수 있고, 피멸균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멸균 싸이클(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멸균 및 건조 처리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는 도 1 내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DOOR; 100), 저수조(140), 진공펌프(150),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160), 전원단자대(170), 잠금기구(180),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200), 챔버(chamber; 300), 건조 히터(dry heater; 340), 살균 히터(sterilization heater; 350), 트레이(360), 안전잠금장치(400), 도어 락(door lock) 장치(500),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S2),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S4),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S5),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S6), 수동 밸브(S7), 안전 솔레노이드 밸브(safe solenoid valve)(S8), 에어 필터(air filter; A/F), 압력센서(P/S), 온도센서(T/S)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는 상부 덮개(101), 우측 덮개(102), 좌측 덮개(103), 후면 덮개(104), 하부 덮개(105)가 프레임(107)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덮개(105)의 하부에 복수의 받침대(10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덮개(101)에는 컨트롤 패널 설치대(1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 패널 설치대(120)의 전면에 컨트롤 패널(2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의 전면에는 도어(door)(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10)를 열면 내측에 육각형 구조의 챔버(chamber; 3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300)는 내부의 트레이에 각종 의료용 기기(기구), 고무제품(Rubbers), 의류(수술복, 가운 등), 직물, 액체, 포장 및 비포장 제품 등의 피멸균 대상물을 넣고 고온고압 상태에서 멸균 및 건조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DOOR)(110)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록킹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 장치(500)는 상기 챔버(300)의 일측 전방에 배치된 록킹 부재(180)와 결합하여 상기 도어(11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500)는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록(LOCK)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록킹 부재(180)에 잠금 및 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어(110)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유성 감속 기어드 모터(planetary reduction gear mot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성 감속 기어드 모터는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 중 한쪽 기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상기 록킹 장치(500)는 상기 챔버(300)의 전면 우측에 설치된 록킹 부재(180)에 잠금 및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 패널(200)의 도어 개폐버튼(214)을 누르게 되면 상기 록킹 장치(500)의 모터(510)를 작동하여 상기 도어(110)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잠금장치(400)는 상기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의 전방 내부에 배치되며,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따라 스토퍼 핀(430)을 전진시켜 상기 록킹 장치(500)의 록 기어를 고정함으로써, 동작 중에 상기 록 기어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도선을 촘촘하게 원통형으로 말아 만든 기구로서, 솔레노이드에 전기를 흘려 자기장을 만들어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는 내부에 상기 스토퍼 핀(430)을 설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 핀(430)이 전진 및 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핀(430)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따라 전진하여 상기 록킹 장치(500)의 록 기어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컨트롤 패널(200)의 시작버튼(204)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는 진공 공정 중에 진공압력이 설정값(예를 들어, 50mmHg)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온(ON)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건조 공정의 시작시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180)는 도 10, 도 11,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기의 전방 일측에 배치된 몸체(181)와, 상기 몸체(181)의 정면 중앙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록킹 구멍(182)과, 상기 록킹 구멍(182)이 관통되도록 상기 몸체(181)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 형성한 록킹 핀 삽입구(183)와, 상기 록킹 핀 삽입구(183)에 삽입된 록킹 핀(184)과, 상기 몸체(181)의 배면과 상기 록킹 구멍(182) 사이를 관통 형성한 스토퍼 핀 삽입구(185)를 포함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의 후면에는 급수밸브(131), 배수밸브(132), 배기구(13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31)에는 수도꼭지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연결하여 수돗물을 상기 저수조(140)에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는 상기 저수조(140)의 물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131)를 통해 상기 저수조(140)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132)는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S2)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300)의 물 공급 및 배수구(333)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배수밸브(132)는 상기 저수조(14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수밸브(132)는 상기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S4)와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S2)를 통해 상기 저수조(14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133)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구(133)는 상기 진공펌프(150)를 통해 상기 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챔버(300)의 에어 배기구(332)에 연결된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를 통해 상기 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의 내부에는 저수조(140), 진공펌프(150),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160), 전원단자대(170), 안전잠금장치(400),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S2),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S4),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S5),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S6), 수동 밸브(S7), 안전 솔레노이드 밸브(safe solenoid valve)(S8), 에어 필터(air filter; A/F), 압력센서(P/S), 온도센서(T/S)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40)은 상기 급수밸브(131)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수도꼭지로부터 수돗물을 직접 공급받아 멸균용 증류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조(140)와 상기 급수밸브(131) 사이에는 상기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S6)와 상기 수동 밸브(S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40)의 내부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높이에 따라 물에 뜨서 움직이는 부력체(143)와, 상기 부력체(143)의 움직임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연결대(1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40)는 상기 부력체(143)에 의해 내부의 물 높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저수조(140)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140)는 수동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구(141)가 상기 저수조(1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 주입구(141)를 개폐하는 물 주입구 마개(144)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40)는 상기 급수밸브(131)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수도꼭지로부터 수돗물을 직접 공급받아 멸균용 증류수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물 주입구(141)를 통해 수동으로 물을 공급하여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150)는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를 통해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상기 챔버(300) 내부를 설정된 진공압력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챔버(300) 내부는 상기 진공펌프(150)에 의해 대기압과 습증기가 감소되어 진공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160)는 스위칭 회로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전원단자대(170)를 통해 전원이 필요한 곳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잠금장치(400)는 상기 컨트롤 패널(200)의 시작버튼(204)을 누르면 솔레노이드가 온(ON)되면서 스토퍼 핀을 전진시켜 상기 도어 락(door lock) 장치(500)의 도어 락(LOCK) 기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장치의 동작 중에 도어(DOOR)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는 상기 챔버(300)의 진공 배기구(305)와 상기 진공 펌프(15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펌프(150)에 의해 상기 챔버(30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밸브(S1)는 진공(Vaccum) 공정에서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이 설정값(예를 들어, 0700mmHg)이 될 때까지만 온(ON)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밸브(S1)는 건조(Dry) 공정에서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이 소정의 범위(예를 들어, 0700mmHg)를 가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는 전자 코일의 전자력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밸브를 개폐시키는 전자 밸브를 말한다.
계속해서, 상기 스팀 배출 솔레이노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S2)는 배출(vent) 공정에서 온(ON)되어 상기 챔버(300)의 물 공급 및 배수구(333)를 통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스팀(증류수)을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이 0 kPa가 되면 오프(OFF)된다. 또한,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2)는 자동 세척할 때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세척물을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는 상기 챔버(300)의 에어 배기구(332)를 통해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3)는 상기 도어(110)가 닫혔을 경우(LOCK)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300) 내부에 증류수가 공급되고 사이클(Cycle)이 선택된 후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오프(OFF)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한다. 또한,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3)는 건조(Dry) 공정이 완료된 후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을 제거하고, 전 공정 완료 후 또는 대기 모드에서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는 멸균(Sterilization) 공정 중에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이 설정값 이상 발생할 경우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S4)는 상기 저수조(14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챔버(300) 내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S4)는 상기 챔버(300) 내부가 진공이 된 후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에 설정된 수위량 만큼 물(증류수)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S4)는 상기 살균 히터(350)의 히팅(heating) 시간 또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설정 온도가 될 때까지 온(ON)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챔버(300) 내부에 설정된 수위량 만큼 물(증류수)을 계속 공급하고, 상기 살균 히터(350)의 히팅(heating) 시간 또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설정 온도가 되면 오프(OFF)되어 물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S5)는 건조(Dry) 공정이 완료된 후 셋업(SETUP)에서 설정한 시간동안 또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이 설정값이 될 때까지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로 에어(Air)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S5)는 셋업(SETUP)에서 설정한 시간이 되거나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오프(OFF)된다.
상기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S6)는 상기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할 때와 자동 세척할 때 온(ON)되어 수도꼭지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상기 저수조(140)에 수돗물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수조(140)에 채워진 수위가 최고점에 도달하면 레벨 센서 신호(High)에 의해 상기 2방향 밸브(S6)는 오프(OFF)된다.
상기 수동 밸브(S7)는 상기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S6)와 상기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의 후측에 설치된 급수밸브(131) 사이에 배치되며, 수동으로 밸브를 열어서 상기 저수조(140)에 수위 최고 설정값까지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밸브(131)에는 수도꼭지에 연결된 급수호스가 연결된다.
상기 안전 솔레노이드 밸브(safe solenoid valve)(S8)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할 때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을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밸브(S3)를 통해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필터(air filter; A/F)는 건조 공정 중 진공해제 모드에서 외부의 에어(Air)를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밸브(S5)를 통해 상기 챔버(30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 필터(A/F)는 전 공정 완료 후 또는 에러(ERROR) 알람시 또는 정지(STOP)으로 진공해제 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압력센서(P/S)는 상기 챔버(300)의 압력센서 설치구(304)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을 실시간 검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온도센서(T/S)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200)은 상기 피멸균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동작 싸이클을 선택하고, 선택한 동작 싸이클의 멸균압력, 멸균온도, 멸균시간, 건조시간과 챔버의 물 수위를 표시화면(201)을 통해 나타내며, 상기 동작 싸이클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200)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화면(201), 전원버튼(202), 정지버튼(203), 시작버튼(204), 시간선택버튼(205), 시간조정버튼(206), 시간조정버튼(207),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 랩트(WRAPPED) 버튼(209), 글러브(GLOVE) 버튼(210), 리퀴드(LIQUID) 버튼(211), 테스트(TEST) 버튼(212), 리-드라이(RE-DRY) 버튼(213), 도어 개폐(DOOR OPEN & CLOSE) 버튼(214), LED 램프(215),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시화면(201)은 동작 싸이클의 멸균압력(kPa), 멸균온도(), 멸균시간(min), 건조시간(min)을 나타내고, 상기 저수조(140)의 현재 물 수위를 화면에 그림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화면(201)은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 상기 랩트(WRAPPED) 버튼(209), 상기 글러브(GLOVE) 버튼(210), 상기 리퀴드(LIQUID) 버튼(211), 상기 테스트(TEST) 버튼(212), 상기 리-드라이(RE-DRY) 버튼(213)을 누르면, 화면에 INSTRUMENT, WRAPPED, GLOVE, LIQUID, TEST, RE-DRY의 공정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화면(201)은 LCD, LED, OLED, UHD 화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202)은 기기를 작동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로, 버튼을 길게(예를 들어, 3초 이상) 누르면 버튼에 녹색 불이 켜지면서 온(ON) 상태가 된다. 이 후, 다시 버튼을 길게(예를 들어, 3초 이상) 누르면 버튼에 녹색 불이 꺼지면서 오프(OFF) 상태가 된다.
상기 정지버튼(203)은 동작 싸이클 및 비상시 기기를 정지시키는 버튼으로, 버튼을 누르면 버튼에 적색 불이 켜지고 기기가 정지된다. 또한, 상기 정지버튼(203)은 작동 중에 기기를 정지시키고자 할 때, 긴급한 멸균물을 꺼내거나 빠뜨린 멸균물을 다시 넣고자 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또한, 각 모드 선택 및 공정 진행 전에는 터치로써 실행이 된다.
상기 시작버튼(204)은 동작 싸이클에 맞춰 기기를 작동시키는 버튼으로, 상기 시작버튼(204)을 누르면 녹색 불이 켜지고, 설정한 시간을 저장하고 기기가 작동한다.
상기 시간선택버튼(205)은 셋업(setup) 및 동작 싸이클 시간을 설정 및 조정하는 버튼으로, 상기 시간선택버튼(205)을 한번 누르면 상기 표시화면(201)에 커서가 생기고 멸균 시간의 위치에 있으면 멸균시간 변경 설정 가능 모드이다. 또한, 상기 시간선택버튼(205)을 두번 누르면 상기 표시화면(201)에 커서가 건조 시간의 위치로 이동하여 건조시간 변경 설정 가능 모드로 변경된다.
상기 시간조정버튼(206,207)은 셋업(setup) 및 동작 싸이클 시간을 조정하는 버튼이다. 여기서, 상기 시간조정버튼(206)은 업(Up) 버튼(), 상기 시간조정버튼(207)은 다운(Down) 버튼()으로, 버튼을 눌러 멸균 또는 건조시간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간조정버튼(206,207)을 누르게 되면 소정 단위(예를 들어, 10초)로 시간이 변경되게 된다. 그리고, 3초정도 계속 누르면 신속 변경 모드로 변경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은 비포장된 제품 멸균시 선택하는 버튼이다.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을 누르면 버튼에 청색 불이 켜지고, 상기 표시화면(201)에 INSTRUMENT의 공정이 표시되고, 설정된 멸균온도와 멸균압력이 선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을 누르면, 멸균온도 133, 멸균압력 210kPa, 멸균시간 10분(min), 건조시간 30분(min)이 선택된다. 이때,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공정의 선택을 취소하려면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르면 된다.
상기 랩트(WRAPPED) 버튼(209)은 포장된 제품 멸균시 선택하는 버튼이다. 상기 랩트(WRAPPED) 버튼(209)을 누르면 버튼에 청색 불이 켜지고, 상기 표시화면(201)에 WRAPPED의 공정이 표시되고, 설정된 멸균온도와 멸균압력이 선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랩트(WRAPPED) 버튼(209)을 누르면, 멸균온도 133, 멸균압력 210kPa, 멸균시간 20분(min), 건조시간 30분(min)이 선택된다. 이때, 랩트(WRAPPED) 공정의 선택을 취소하려면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르면 된다.
상기 글러브(GLOVE) 버튼(210)은 고무장갑, 고무류 제품을 멸균시 선택하는 버튼이다. 상기 글러브(GLOVE) 버튼(210)을 누르면 버튼에 청색 불이 켜지고, 상기 표시화면(201)에 GLOVE의 공정이 표시되고, 설정된 멸균온도와 멸균압력이 선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글러브(GLOVE) 버튼(210)을 누르면, 멸균온도 121, 멸균압력 110kPa, 멸균시간 30분(min), 건조시간 30분(min)이 선택된다. 이때, 글러브(GLOVE) 공정의 선택을 취소하려면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르면 된다.
상기 리퀴드(LIQUID) 버튼(211)은 액체 멸균시 선택하는 버튼이다. 상기 리퀴드(LIQUID) 버튼(211)을 누르면 버튼에 청색 불이 켜지고, 상기 표시화면(201)에 LIQUID의 공정이 표시되고, 설정된 멸균온도와 멸균압력이 선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퀴드(LIQUID) 버튼(211)을 누르면, 멸균온도 121, 멸균압력 110kPa, 멸균시간 30분(min), 건조시간 자연냉각이 선택된다. 이때, 리퀴드(LIQUID) 공정의 선택을 취소하려면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르면 된다.
상기 테스트(TEST) 버튼(212)은 보위-딕 검사(Bowie-Dick Test) 또는 진공 누출 검사(Vacuum Leakage Test) 싸이클을 선택하는 버튼이다. 여기서, 상기 보위-딕 검사(Bowie-Dick test)는 선 진공 멸균기(Prevacuum Sterilization)는 챔버 내에 차있는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로 만드는데, 이때 에어 포켓(Air pocket, 공기주머니 현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멸균의 효과적인 신뢰성을 확인 검사하는 방법이다. 진공 사이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매일 보위-딕 검사(Bowie-Dick test) 사이클을 실행하여 실행 전에 멸균기의 진공성능을 확인해야 한다. 상기 테스트(TEST)의 선택을 취소하려면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르면 된다.
상기 리-드라이(RE-DRY) 버튼(213)은 건조 싸이클을 재실행하는 버튼이다. 상기 리-드라이(RE-DRY) 버튼(213)을 누르면 버튼에 청색 불이 켜지고, 상기 표시화면(201)에 RE-DRY의 공정이 표시된다. 이때, 건조 시간은 설정한 건조 시간이 선택되게 된다. 상기 리-드라이(RE-DRY) 공정의 선택을 취소하려면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르면 된다.
상기 도어 개폐 버튼(214)은 도어를 열고 닫는 버튼으로, 버튼을 누르면 노란색 불이 켜지고 도어가 열리고, 다시 버튼을 누르면 녹색 불이 켜지고 도어가 닫힌다. 이때, 상기 도어(110)는 챔버 내부의 압력이 0 kPa일때에만 열리도록 되어 있다. 공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문이 열리도록 되어 있으며, 공정 중에는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른 후 챔버 내부의 압력이 0 kPa일때에만 열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LED 램프(215)는 동작 싸이클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이다. 상기 시작버튼(204)을 누르면 기기가 작동하면서 설정한 모드로 멸균이 진행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공정 순으로 각 공정마다 상기 LED 램프(215)가 점멸을 반복하면서 현재 공정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LED 램프(215)는 청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청색 LED 이외에 다른 색의 LED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200)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동작 싸이클의 선택된 버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싸이클의 순서대로 멸균 및 건조 공정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작 싸이클은, 상기 피멸균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 압력, 멸균시간, 건조시간으로 멸균 및 건조 공정을 진행하되, 대기(standby), 진공(vacuum), 가열(heating), 멸균(sterilization), 배출(vent), 건조(dry), 완료(complete)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챔버(300)의 실시 예
상기 챔버(300)는 도 4, 도 5,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고 밀폐된 육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에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300)를 육각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챔버에 비해 챔버 내부에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챔버는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챔버 천장과 바닥에 이슬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챔버(300)는 천장과 바닥이 경사진 육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천장과 바닥에 결로가 생기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결로가 맺히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300)의 천장에 건조 히터(340)가 설치되어 있고 바닥에 살균 히터(350)가 설치되어 있어, 멸균 및 건조 동작시 챔버(300) 내측에 발생된 결로를 신속히 제거가 가능하고, 상기 챔버(300) 내부의 온도를 가열하여 결로 발생을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챔버(300)에는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진공 배기구(305)가 형성되어 있고, 챔버 내부의 물 및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공급 및 배수구(333)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 배기구(305)와 상기 물 공급 및 배수구(333)를 통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증류수 및 습기를 제거할 수 있어 결로 발생을 차단 및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300)는 몸체(301)의 내측에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이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은 상기 챔버(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300)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챔버(300)의 외측에는 상기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챔버(300)는 상기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이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내부에서 발생한 열과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챔버(300) 내부에 온도와 압력이 올라가면 내부의 공기분자의 움직임이 활발해진다. 이때, 활발하게 움직이는 공기분자가 상기 엠보싱(embossing)(302)에 충돌하면서 열과 압력을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은 상기 챔버(300)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빠르게 증가시킴으로써, 멸균 공정에서의 멸균 시간을 앞당길 수 있으며, 건조(Dry) 공정에서 건조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챔버(300)는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형 구조의 몸체(301) 전방에 전면 프레임(310)이 배치되고, 상기 몸체(301) 후방에 후면 프레임(330)이 배치되며, 전방과 후방 사이의 중간에 복수의 중간 프레임(320)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프레임(310)은 상기 육각형 구조의 몸체(301) 전방에 삽입하여 설치되고, 일 측에 상기 도어(110)를 설치하기 위한 힌지 설치대(311)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에 잠금기구 설치대(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고정다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프레임(320)은 상기 육각형 구조의 몸체(301) 중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 고정다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프레임(320)은 상기 몸체(301)가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멸균 및 건조 동작 후 챔버 내부의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후면 프레임(330)은 상기 육각형 구조의 몸체(301) 후방을 밀폐시키도록 배치되며, 중간에 볼록 형성부(331)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300)의 육각형 구조의 몸체(301)에는, 상기 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배기구(305)와 상기 챔버(30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구(334)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300)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P/S)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P/S)는 상기 몸체(301) 상부에 형성된 압력센서 설치구(304)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진공 배기구(305)에는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와 연결되는 연결관 또는 연결호스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구(334)에는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S5)와 연결되는 연결관 또는 연결호스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 프레임(330)에는, 상기 증류수 저장홈(303)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 공급 및 배수구(333)와,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 및 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에어 배기구(332)와, 상기 건조 히터(340)를 연결하는 건조 히터 연결구(335)와, 상기 살균 히터(350)를 연결하는 살균 히터 연결구(336)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챔버(30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T/S)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배기구(332)에는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와 연결되는 연결관 또는 연결호스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 및 배수구(333)에는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S2), 상기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S4),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S5)와 공동으로 연결되는 연결관 또는 연결호스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300)는 내부의 상부(천장)에 건조 히터(dry heater)(도 17의 34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건조 히터(340)의 하부에 건조 히터 커버(도 4의 34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 히터(340)는 건조 동작시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설정값으로 온도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건조 히터(340)는 멸균 동작시 상기 챔버(300) 내부에 잔존하는 수증기를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건조 히터 커버(341)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트레이(360)에 놓여진 피멸균 대상물이 고온의 건조 히터(340)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챔버(300)는 내부의 하부(바닥)에 살균 히터(heater)(도 17의 35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살균 히터(350)의 상부에 살균 히터 커버(도 5의 3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300)의 내부 바닥에는 도 15와 같이, 증류수 저장홈(30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류수 저장홈(303)에는 상기 살균 히터(35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수조(140)로부터 공급된 물(증류수)을 소정의 높이까지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증류수 저장홈(303)의 상부에는 상기 살균 히터 커버(351)가 설치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의 트레이(360)에 놓여진 피멸균 대상물이 상기 증류수 저장홈(303)에 들어있는 물이나 고온의 살균 히터(350)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 히터 커버(351)는 도 5와 같이, 상기 챔버(300)의 내부 바닥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 히터(350)는 멸균 동작시 상기 증류수 저장홈(303)에 저장된(또는 공급된) 물(증류수)을 설정 온도값으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가 상기 챔버(300) 내부의 트레이(360)에 놓여진 피멸균 대상물에 묻어있는 세균 등을 멸균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300)는 양 내측벽에 트레이 설치대(36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설치대(361)에 트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피멸균 대상물을 올려놓는 선반으로, 상기 트레이 설치대(361)에 끼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300)의 몸체(301)는 도 11 및 도 16과 같이, 상부 몸체(301a)와 하부 몸체(301b)가 하나로 합쳐져서 육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몸체(301a)와 상기 하부 몸체(301b)가 서로 접합되는 부분은 서로 절곡 처리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대해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가져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몸체(301a)의 하단 부분을 바깥쪽으로 절곡시켜 형성하고, 이에 대향하는 상기 하부 몸체(301b)의 상단 부분을 바깥쪽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후, 상기 상부 몸체(301a)와 하부 몸체(301b)의 절곡된 부분(306)을 합쳐서 용접으로 접합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육각형 구조의 몸체(301)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용접 부위를 접곡 처리하여 접합 부위를 넓힘으로써, 내부 압력에 대해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가져갈 수 있다.
상기 육각형 구조의 챔버(30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프레임(310), 상기 중간 프레임(320), 상기 후면 프레임(330)은 상기 챔버(30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커버(341, 351), 상기 트레이 설치대(361), 상기 트레이(360)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챔버의 다른 실시 예
본 발명은 육각형 구조의 챔버에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된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챔버에 엠보싱(embossing)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챔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육각형 구조의 챔버와 비교해 볼 때, 원형, 사각형, 육각형의 형상 구조만 다를 뿐 챔버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챔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의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챔버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하나로 합쳐져서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절곡된 부분(306 참조)을 합쳐서 용접으로 접합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몸체(301 참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챔버는 내측에 복수의 엠보싱(embossing)(302 참조)을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시켜 구성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엠보싱(embossing)은 챔버 내부에서 발생한 열과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의 챔버는 내부 천장에 건조 히터(340 참조)가 설치될 수 있고, 내부 바닥에 살균 히터(350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챔버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진공 배기구(305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챔버 내부의 물 및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공급 및 배수구(33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동작 예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컨트롤 패널(200)의 전원버튼(202)을 길게(예를 들어, 3초 이상) 누르면 버튼에 녹색 불이 켜지면서 온(ON) 상태가 되고, 상기 표시화면(201)이 켜진다(단계 S10).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200)의 시작버튼(204)은 슬리프(Sleep) 상태에 있고, 상기 표시화면(201)에는 상기 저수조(140)의 물 수위가 표시된다.
이 후, 상기 도어(110)를 닫으면 상기 도어(110)가 자동으로 잠기게 된다(단계 S10). 여기서, 상기 도어(110)가 닫히게 되면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가 작동하면서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저수조(140)의 물 수위가 상기 챔버(300)에 1회 공급량(셋업에서 설정값) 이하이거나 수도꼭지를 열어 수위 최고 설정값까지 물을 공급하거나 수동으로 물을 공급할 때 상기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S6)를 작동시켜 상기 저수조(14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저수조(140)에 물 수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S6)를 오프(OFF)시켜 물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동작 싸이클이 선택되고 상기 시작버튼(204)이 누르기 전에,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가 강제로 배출한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를 오프(OFF) 시킨다.
이 후,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서 피멸균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동작 싸이클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동작 싸이클은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구성된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 상기 랩트(WRAPPED) 버튼(209), 상기 글러브(GLOVE) 버튼(210), 상기 리퀴드(LIQUID) 버튼(211), 상기 테스트(TEST) 버튼(212), 상기 리-드라이(RE-DRY) 버튼(21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멸균하고자 하는 피멸균 대상물이 비포장된 제품일 경우,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을 누르면 버튼에 청색 불이 켜지고, 상기 표시화면(201)에 INSTRUMENT의 공정이 표시되고, 설정된 멸균온도와 멸균압력이 선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208)을 누르면, 멸균온도 133, 멸균압력 210kPa, 멸균시간 10분(min), 건조시간 30분(min)이 선택된다.
이 후, 상기 시작버튼(204)을 누르면, 버튼에 녹색 불이 켜지고, 설정한 시간을 저장하고, 선택한 동작 싸이클에 맞춰 기기가 작동한다(단계 S30).
이 후, 상기 진공펌프(150)와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가 작동하여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챔버(300) 내부의 진공 압력을 진공 설정값까지 만든다(단계 S40).
이 후, 상기 진공펌프(150)와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S4)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300) 내부에 설정된 수위량 만큼 물(증류수)을 공급하게 된다(단계 S50). 이때, 물 공급을 시작한 후 설정된 시간을 경과했을 때에는 필 에러(Fill Error)를 발생한다.
이 후, 상기 챔버(300) 내부에 설정된 수위량 만큼 물(증류수)이 공급되면 상기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S4)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살균 히터(350)를 작동시켜 설정온도까지 상기 챔버(300) 내부에 공급된 물을 가열하게 된다(단계 S60). 이때, 동작 싸이클이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싸이클인 경우, 설정온도는 133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 히터(350)는 가열 온도가 133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오프(OFF)된다. 상기 살균 히터(350)가 온(ON)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구성된 HEATING" 공정 표시에 LED가 점멸된다.
이 후, 상기 살균 히터(350)에 의해 상기 챔버(300)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멸균(Sterilization) 공정이 시작되면서 멸균시간의 카운터가 시작된다(단계 S70). 상기 멸균(Sterilization) 공정은 상기 챔버(300) 내부에 발생한 고온고압의 수증기에 의해 상기 피멸균 대상물에 묻어있거나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들을 멸균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멸균(Sterilization)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구성된 STERILIZATION" 공정 표시에 LED가 점멸된다.
이 후, 상기 동작 싸이클에서 설정된 멸균시간이 되면 상기 살균 히터(350)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건조 히터(340)를 설정온도까지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히터(340)는 예를 들어, 121에 도달하면 오프(OFF)되고, 121 이하에서는 계속 온(ON)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건조 히터(340)가 온(ON)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구성된 VENT" 공정 표시에 LED가 점멸된다.
이 후,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S2)를 온(ON)시켜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이 0이 될 때까지 작동시킨다(단계 S80).
여기서, 본 발명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100)는 멸균 공정이 완료되어 상기 살균 히터(350)가 오프(OFF)되면,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2)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300) 내부에 있는 멸균시 사용한 물 또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재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 히터(340)가 작동하는 건조 공정에서도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2)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300) 내부에 잔류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이 0이 되면 상기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2)가 오프(OFF)되고,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가 작동하여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을 설정값으로 제어한다(단계 S91). 이때,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S5)가 온(ON)되어 상기 챔버(3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데(단계 S92), 셋업(SETUP)의 설정시간이 되면 오프(OFF)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S5)는 상기 챔버(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설정시간동안 작동된다.
이 후, 상기 살균 히터(350)와 상기 건조 히터(340)가 동시에 온(ON)/오프(OFF)되면서, 상기 챔버(300)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 히터(350)와 상기 건조 히터(340)는 상기 챔버(300)의 내부 온도가 100가 되면 오프(OFF)되고, 95가 되면 온(ON)된다. 상기 건조 히터(340)가 작동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구성된 DRY" 공정 표시에 LED가 점멸된다(단계 S90).
이 후, 상기 건조 시간이 완료되면, 상기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S3)가 작동하여 상기 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 펌프(150)와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S1)가 오프(OFF)되고, 상기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S5)가 오프(OFF)되며, 상기 살균 히터(350)와 상기 건조 히터(340)가 모두 오프(OFF)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200)에 구성된 COMPLETE" 공정 표시에 LED가 점멸되고, 상기 표시화면에 COMPLETE" 문구가 표시된다(단계 S100).
이 후, 상기 정지버튼(203)을 누르면 버튼에 적색 불이 켜지고 기기가 정지된다.
끝으로, 상기 도어 오픈 & 클로즈(DOOR OPEN & CLOSE) 버튼(214)을 누르면 노란색 불이 켜지고 상기 도어(110)가 열리게 된다(단계 S110). 이때, 상기 도어(110)는 챔버 내부의 압력이 0 kPa일때에만 열리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아래의 표 1은 멸균물의 종류 및 멸균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멸균물의 종류 및 멸균시간
Figure 112014009510611-pat0000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기존의 원형, 사각형 구조의 챔버(chamber)를 육각형 구조로 개량하여 챔버 내부의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챔버(chamber)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공기 입자의 충돌에 의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챔버 내부의 압력과 열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는 챔버(chamber)의 용접부위를 절곡하여 챔버의 상하 접합 면적을 넓혀 챔버 내부의 압력에 대해 견고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
101 : 상부 덮개 102 : 우측 덮개
103 : 좌측 덮개 104 : 후면 덮개
105 : 하부 덮개 106 : 받침대
107 : 프레임 110 : 도어(DOOR)
111 : 손잡이 112 : 비상도어개폐구
113 : 힌지부 114 : 힌지핀
115 : A/F 삽입구 120 : 컨트롤 패널 설치대
131 : 급수밸브 132 : 배수밸브
133 : 배기구 140 : 저수조
141 : 물 주입구 142 : 연결대
143 : 부력체 144 : 물 주입구 마개
150 : 진공펌프
160 :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170 : 전원단자대 180 : 록킹 부재
181 : 몸체 182 : 록킹 구멍
183 : 록킹 핀 삽입구 184 : 록킹 핀
185 : 스토퍼 핀 삽입구 200 : 컨트롤 패널
201 : 표시화면 202 : 전원버튼
203 : 정지버튼 204 : 시작버튼
205 : 시간선택버튼 206 : 시간조정버튼
207 : 시간조정버튼
208 :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버튼
209 : 랩트(WRAPPED) 버튼 210 : 글러브(GLOVE) 버튼
211 : 리퀴드(LIQUID) 버튼 212 : 테스트(TEST) 버튼
213 : 리-드라이(RE-DRY) 버튼
214 : 도어 오픈 & 클로즈(DOOR OPEN & CLOSE) 버튼
215 : LED 램프 300 : 챔버(chamber)
301 : 육각형 구조의 몸체 301a : 상부 몸체
301b : 하부 몸체 302 : 엠보싱(embossing)
303 : 증류수 저장홈 304 : 압력센서 설치구
305 : 진공 배기구 306 : 절곡 접합부
310 : 전면 프레임 311 : 힌지 설치대
312 : 잠금기구 설치대 320 : 중간 프레임
330 : 후면 프레임 331 : 볼록 형성부
332 : 에어 배기구 333 : 물 공급 및 배수구
334 : 에어 공급구 335 : 건조 히터 연결구
336 : 살균 히터 연결구 340 : 건조 히터(dry heater)
341 : 건조 히터 커버 350 : 살균 히터(heater)
351 : 살균 히터 커버 360 : 트레이
361 : 트레이 설치대 400 : 안전잠금장치
430 : 스토퍼 핀 500 : 록킹(LOCKING) 장치
S1 :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vacuum solenoid valve)
S2 : 스팀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steam vent solenoid valve)
S3 : 에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air vent solenoid valve)
S4 : 물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water supply solenoid valve)
S5 : 에어 주입 솔레노이드 밸브(air injet solenoid valve)
S6 : 2방향 솔레노이드 밸브(2way solenoid valve)
S7 : 수동 밸브
S8 : 안전 솔레노이드 밸브(safe solenoid valve)
A/F : 에어 필터(air filter)
P/S : 압력센서
T/S : 온도센서

Claims (3)

  1. 멸균용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공급받아 피멸균 대상물을 고온고압에서 멸균 및 건조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진공 압력을 형성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고, 일측이 개방된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된 상부 몸체와 상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절곡된 하부 몸체를 하나로 합쳐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절곡된 부분을 용접으로 접합한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챔버 내부에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 때 공기 분자의 충돌을 유발시켜 열과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챔버 내부의 온도와 압력 상승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엠보싱;
    상기 몸체의 내부 천장에 배치된 건조 히터;
    상기 건조 히터의 하부에 배치된 건조 히터 커버;
    상기 몸체의 내부 바닥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증류수 저장홈;
    상기 증류수 저장홈의 내부에 배치된 살균 히터;
    상기 증류수 저장홈의 상부에 바닥면과 일치되게 배치된 살균 히터 커버;
    상기 몸체의 양쪽 내측벽에 설치된 트레이 설치대; 및
    상기 트레이 설치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일 측에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힌지 설치대가 형성되고, 타 측에 도어를 개폐하는 잠금기구 설치대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
    상기 몸체의 중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중간 프레임; 및
    상기 몸체의 후방을 밀폐시켜 배치되며, 중간에 볼록 형성부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후면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챔버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배기구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 프레임에는, 상기 증류수 저장홈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 공급 및 배수구와,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 및 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에어 배기구와, 상기 건조 히터를 연결하는 건조 히터 연결구와, 상기 살균 히터를 연결하는 살균 히터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된,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KR1020140010957A 2014-01-28 2014-01-28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KR10142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57A KR101423022B1 (ko) 2014-01-28 2014-01-28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57A KR101423022B1 (ko) 2014-01-28 2014-01-28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022B1 true KR101423022B1 (ko) 2014-07-28

Family

ID=5174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957A KR101423022B1 (ko) 2014-01-28 2014-01-28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6603A (zh) * 2015-05-11 2015-09-16 成都中牧生物药业有限公司 具有密封结构的蒸汽灭菌器
CN114366830A (zh) * 2021-12-31 2022-04-19 宁波艾康机电有限公司 一种脉动真空灭菌器的真空模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916A (ja) 2008-05-27 2009-12-10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916A (ja) 2008-05-27 2009-12-10 Sanyo Electric Co Ltd 高圧蒸気滅菌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6603A (zh) * 2015-05-11 2015-09-16 成都中牧生物药业有限公司 具有密封结构的蒸汽灭菌器
CN114366830A (zh) * 2021-12-31 2022-04-19 宁波艾康机电有限公司 一种脉动真空灭菌器的真空模组
CN114366830B (zh) * 2021-12-31 2024-03-01 宁波艾康机电有限公司 一种脉动真空灭菌器的真空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021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자동 도어록 장치
KR101420997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컨트롤 패널
CN105421008B (zh) 用于使服装干燥和消毒的服装护理设备
JP5337339B2 (ja) 殺菌庫
US9480765B2 (en) Sterilization apparatus
KR101420996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물 공급 및 배수 장치
WO2016121171A1 (ja) リークテスタ及び内視鏡リプロセッサ
KR101423022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챔버 구조
KR101423020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
KR20160122062A (ko) 음료 서버
US20220226524A1 (en) Fogging system and methods for enclosed chambers
KR101358073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818711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JP3208567U (ja) 電解水を利用した清拭タオル洗浄専用台車
KR100755296B1 (ko) 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CN109550064A (zh) 一种安全性高的母婴消毒柜
JPH1133064A (ja) 清拭車
CN209933555U (zh) 高温蒸汽消毒柜
CN212994209U (zh) 一种水气共浴杀菌锅
JP5100506B2 (ja) 高圧蒸気滅菌器
KR102575948B1 (ko) 세척 기능이 구비된 고압증기 멸균기
CN212971552U (zh) 一种保压杀菌锅
KR0177899B1 (ko) 의료용 소독기
JP2000202006A (ja) 蒸気滅菌装置
KR100962983B1 (ko) 스팀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