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983B1 - 스팀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팀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983B1
KR100962983B1 KR1020100007696A KR20100007696A KR100962983B1 KR 100962983 B1 KR100962983 B1 KR 100962983B1 KR 1020100007696 A KR1020100007696 A KR 1020100007696A KR 20100007696 A KR20100007696 A KR 20100007696A KR 100962983 B1 KR100962983 B1 KR 10096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steam
wate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하
Original Assignee
정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하 filed Critical 정원하
Priority to KR102010000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스팀을 이용해서 청소(세척)를 하도록 구성된 스팀청소기를 사용하고 남은 내부의 잔유물을 스팀청소기 외부로 완전 배출시켜 세균증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휴대용 스팀청소기를 사용한 후, 수조에 있는 물을 완전제거가 이루어 지지 않아 잔유물이 남으면서 수조내에 이물질이 발생 및 세균 증식이 유발되는 문제점 및 모든 장치가 본체에 설치되어 스팀청소기의 크기가 커져 주부들이 사용하기 곤란하고, 또한, 수조의 저장량에 따라 사용량이 한정되는 문제와, 또한, 물이 가득 찬 스팀청소기는 무게에 의해 손잡이와 분사노즐을 두 손으로 잡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분사노즐을 잡고 있는 손이 화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의 수조 내부에 사용하고 남은 물을 외부로 완전 배출시켜 이물질 및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며, 또한, 수조가 수용된 케이스와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건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싱크대에 설치하여 제품의 크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가 스팀청소기 사용을 간편하게 하는 동시에 스팀분사 중에 사용자가 화상을 방지하고, 또한, 수조와 수도관 또는 정수기를 상수관으로 연결시켜 물이 필요할 때, 수조로 공급되어 수조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스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해서 청소(살균세척)를 하도록 구성된 스팀청소기에서 사용하고 남은 내부의 잔유물을 스팀청소기 외부로 완전 배출시켜 세균증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이란 물을 가열시켜 발생되는 수증기를 뜻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팀은 가정에서 구겨진 옷을 펴서 다리거나, 더럽혀진 장판의 찌든 오물을 제거하거나, 음식물에 의해 더럽혀진 싱크대(개수대) 및 주방용품을 고압의 스팀을 이용해서 살균 소독을 하는 등 다방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스팀을 이용한 제품 중에서 특히, 주방에서 청소와 세척(이하 청소로 칭함)용으로 사용되는 스팀청소기 즉, 음식을 준비하거나 설거지를 하도록 하는 싱크대(개수대), 그리고 음식을 요리하도록 사용되는 조리용품의 세척, 및 신생아들의 젓병 등과 같은 신생아 용품에 서식하는 세균을 고압의 스팀으로 살균소독시켜 인체에 해가 가지 않도록 스팀청소기가 제공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스팀청소기는 핸디형태로 이루어진 휴대용 스팀청소기가 제공되었다.
상기의 휴대형 스팀청소기는 본체(900) 내부에는 히터(901)로 가열되는 수조(902)가 마련되고, 상기 수조(902)를 덮어 밀폐하는 뚜껑(903)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900) 전방에는 가열된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노즐(904)이 형성되고, 후방에 마련된 손잡이(905)에 전원을 인가받아 히터(903)를 작동시키는 스위치(90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형 스팀청소기는 필요한 곳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휴대용 스팀청소기를 사용한 후, 수조(902)에 있는 물을 완전제거가 이루어 지지 않아 잔유물이 남으면서 수조(902)의 내부에 이물질의 발생 및 세균 증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든 장치가 본체(900) 내부에 설치되는 문제로 인해 주방에서 사용하기에는 스팀청소기의 크기가 커서 주로 사용하는 주부들이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또한, 수조(902)의 저장량에 따라 사용량이 한정되는 문제와, 또한, 수조(902)에 물을 가득 채워서 사용할 경우, 무게에 의해 손잡이(905)와 분사노즐(904)을 두 손으로 잡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분사노즐(904)을 잡고 있는 손이 화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팀청소기 수조 내부에 사용하고 남은 상수 또는 정수(이하 물이라 총칭함)을 외부로 완전 배출시켜 이물질 및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며, 또한, 수조가 수용된 케이스와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건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싱크대에 각각 설치하여 필요할 때, 사용자가 스팀건만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케이스와 스팀건으로 각각 분리시켜 제품의 크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가 스팀청소기 사용을 간편하게 하는 동시에 스팀분사 중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유아나 어린이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스팀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팀건에 안전장치를 설치하며, 또한, 수조와 수도관 또는 정수기를 상수관으로 연결시켜 물이 필요할 때, 수조로 공급되어 수조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스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개구된 전면에 커버가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물을 기화시키는 수조와 수조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급수관을 설치하고, 급수관의 타단에는 제1 밸브가 설치되며, 케이스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상수관으로 이루어진 급수장치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퇴수관을 설치하고, 퇴수관의 타단에는 제2 밸브가 설치되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케이스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퇴수장치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출수관을 설치하고, 출수관의 타단에는 제 3밸브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분사관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건으로 구성되며, 상기 싱크대 상부에 관통된 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건을 홀더구멍에 수용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장치를 작동시키는 스냅스위치가 설치된 장착대가 마련되는 분사장치와 상기 수조의 측면둘레에 일단이 관통설치되고, 타단은 제 4밸브의 일단과 연결되는 오버플로워관과, 상기 제 4밸브의 타단은 상기 퇴수장치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수조의 내부로 일정시간 동안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구비된 수위조절장치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공급관을 설치하고, 공급관의 타단에 설치되는 브리더밸브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온도센서와, 상기 수조 외부에 설치되는 바이메탈온도센서와,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조와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압축밸브와, 상기 케이스 측면에 설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분사장치를 구성하는 스팀건은,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갖도록 결합되는 상,하부몸체와, 상기 분사관의 선단과 스팀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몸체의 선단에 설치되며, 전방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구멍이 형성된 노즐 또는 가습용팁과,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힌지결합되고, 내부 바닥에는 복귀스프링이 설치되며, 하부 단부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동되고, 레버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스팀관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차단밸브와, 상기 상부몸체 내부에 설치되도록 벽체를 갖는 판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장공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와, 양측벽체의 선단에는 상기 레버의 걸림턱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판체 하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된 판체가 원위치 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비된 스토퍼와, 상기 분사장치를 구성하는 장착대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안착되어 스토퍼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안착면으로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관의 선단에는 어댑터가 설치되고, 스팀건의 후단에는 연결소켓을 설치시켜, 스팀건과 분사관을 원터치피팅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청소기 사용 후, 시간이 지나면 수조의 내부에 사용하고 남은 잔유물이 자동으로 스팀청소기 외부로 완전 배츨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주방에서 인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신생아 용품, 조리용품 및 설거지를 하는 싱크대의 살균소독하여 세균감염의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와, 싱크대에 각각 케이스와 스팀건을 별도의 위치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미관상 심플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효과와, 제품의 중량이 적어 노약자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스팀건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스팀이 부주의로 인해 분사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와, 또한,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센서에 의해 비어있는 수조 내부에 물이 재급수되어 스팀사용에 애로사항이 없도록 하며, 비어 있는 수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온도가 되면 재급수시켜 스팀청소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핸디형 스팀청소기를 간략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청소기가 싱크대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사관이 다른 기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내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인 수위조절센서가 설치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를 확대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간략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스팀건의 레버가 작동으로 차단밸브가 개방되는 것을 발췌 도시한 상태도
도 11a은 차단밸브의 다른 실시예인 콕밸브가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사시도
도 11b는 차단밸브의 다른 실시예인 콕밸브가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이 수조에 급수 또는 재급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이 수조로부터 퇴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대(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면커버(11)가 개구된 전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12)이 마련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설치공간(12)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밀폐된 원통체인 탱크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스팀으로 기화시키는 수조(20)와, 상기 수조(20) 하부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수조(20)를 가열하는 히터(30)와, 상기 수조(20)의 하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급수관(101)을 설치하고, 상기 급수관(101)의 타단에는 제1 밸브(10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102)를 통해 물을 수조(20)에 공급하도록, 제1 밸브(102)의 일단에 상수도와 연결하는 상수관(103)이 케이스(10) 외부로 설치되는 급수장치(100)와, 상기 수조(20)의 하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퇴수관(201)을 설치하고, 퇴수관(201)의 타단에는 제2 밸브(202)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밸브(202) 일단에 제2 밸브(202)를 통해 수조(20)에 저장된 물을 케이스(10)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203)이 설치되는 퇴수장치(200)와,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출수관(301)을 설치하고, 출수관(301)의 타단에는 제3 밸브(302)가 설치되며, 상기 제3 밸브(302)의 일측에는 분사관(303)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관(303)의 타단에 설치되어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건(3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싱크대(1) 상부에 관통된 구멍(1a)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건(310)을 수용하여 거치시키는 홀더구멍(331)을 형성하며, 스팀청소기를 작동시키는 스냅스위치(332)가 설치된 장착대(330)가 마련되는 분사장치(300)와, 상기 수조(20)의 측면둘레에 일단이 관통설치되고, 타단은 제4 밸브(402)의 일단과 연결되는 오버플로워관(401)과, 상기 제4 밸브(402)의 타단은 상기 퇴수장치(200)의 배수관(203)과 연결되어, 수조(20)의 내부로 일정시간 동안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구비된 수위조절장치(400)와,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공급관(501)을 설치하고, 공급관(501)의 타단에 설치되어 수조(2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시켜, 수조(20)내부에 저장된 물을 원활히 배수되도록 마련되는 브리더밸브(500)와, 상기, 수조(20)내부에 설치시켜, 수조(20)의 수온을 체크하여 히터(30)의 가열상태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온도센서(600)와, 상기 수조(20) 외부에 설치되어, 빈 수조(20)의 급과열을 방지하여 재급수시키도록 설치된 바이메탈온도센서(610)와, 상기 기기를 작동시키는 스냅스위치(332), 내부온도센서(600) 및 바이메탈온도센서(610)의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각각의 장치로 전달시켜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제어부(620)와, 상기 수조(20)와 케이스(10)의 상부를 관통 설치되어, 가열된 수조(2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축밸브(630)와, 상기 케이스(10) 측벽(13)에 설치되어, 케이스(1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냉각팬(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케이스(10)는, 가정으로 공급되는 상수도와 쉽게 설치되도록 싱크대(개수대)(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스(10) 후면에는 설치공(14)을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설치공(14)에 삽입되는 못이나 부착형 걸이구를 싱크대(1)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장치(100), 퇴수장치(200), 분사장치(300) 및 수위조절장치(400)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밸브(102), 제2 밸브(202), 제3 밸브(302) 및 제4 밸브(402)는 서보모터(M)의 작동으로 개폐되는 서보밸브(V)로 구성시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30)는 수조(20)의 하부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수조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환봉 형태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퇴수장치(200)의 배수관(203)은 싱크대(1)의 물이 배출되도록 설치된 배수호수와 분기관으로 연결시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정치(400)는 제어부(620)에 설정된 시간 동안 급수장치(100)의 제1 밸브(102)가 개방되어 수조에 물이 유입되는데 이때, 수조(20)의 저장량을 초과하여 계속해서 남은 시간 동안 물이 유입될 경우 개방된 제4 밸브(402)에 의해 물이 오버플러워관(401)으로 유입되어 배수가 되고, 그리하여 수조(20)에는 항상 오버플러워관(401)의 설치 위치만큼 수위가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버플러워관(401)은 수조(20)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설치시켜 수조(20)의 가열로 발생되는 스팀의 압력으로부터 수조(2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버플러워관(401)이 설치된 위치에 별도의 수위조절센서(403)를 설치하여 적정수위가 되면 자동으로 급수장치(100)를 폐쇄시켜 급수의 공급을 단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압축밸브(630)는, 수조 내부에 발생되는 고압의 스팀에 의한 부피 팽창시 작동되어 스팀을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수조(20)의 상부에 관통설치된 밸브관(633) 내부에 수조(20)의 입구를 막는 밸브볼(631)과 수조(20)측으로 밸브볼(631)을 압박하여 입구를 막도록 하는 압축스프링(63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700)은 케이스의 일측벽(13)에 설치하여 케이스(1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고, 상기 냉각팬(700)을 케이스(10)의 양측 벽체(13)(13')에 각각 설치시키되, 높이 편차 즉, 상부와 하부에 설치시킴으로써, 가열된 공기에 의해 대류현상으로 이동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케이스(10)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조(20)에 설치되는 각각의 관체는 수조(20)에 니플을 설치시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300)를 구성하는 스팀건(310)은,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갖도록 결합되는 상,하부몸체(311)(312)와, 상기 분사관(303)의 선단부와 스팀관(304)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몸체(311)(312)의 선단에 설치되며,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구멍(315)이 형성된 노즐(316)과, 상기 하부몸체(312)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구멍(313)에 회전되게 힌지(317) 결합되고, 일단이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부몸체(311)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318)이 설치되며, 하부 단부측에는 걸림턱(319)이 형성된 레버(320)와, 상기 레버(320)와 연동되고, 레버(32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스팀관(304)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차단밸브(340)와, 상기 상부몸체(311) 내부에 설치되도록 벽체를 갖는 판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11)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장공(314)에 상,하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811)와, 양측벽체의 선단에는 상기 레버(320)의 걸림턱(319)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812)와, 상기 판체 하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된 판체가 원위치 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813)으로 구비된 스토퍼(810)와, 상기 분사장치(300)를 구성하는 장착대(3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돌부(811)가 안착되어 스토퍼(81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안착면(333)으로 이루어진 안전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면(333)은 스팀건(310)이 홀더구멍(331)에 삽입시, 돌출된 레버(320)가 간섭없이 거치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333)은 장착대(33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거치되는 스팀건(310)의 방향 즉, 레버(320)와 노즐(316)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분사관(303)의 선단에는 어댑터(350)가 설치되고 스팀건(310)의 후단에는 연결소켓(351)을 설치하여 스팀건(310)과 분사관(303)을 원터치피팅 연결된다.
상기 원터치피팅 구조 및 연결은 널리 알려진 여러방식에 의한 것으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설치공간(12)에 위치한 분사관(303)에는, 분사되는 스팀을 살균처리하도록 살균필터(3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대(330)에 제어부(620)를 통해 살균작동의 상태를 확인을 할 수 있는 램프(36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사관(303)에 어댑터(350)를 설치하여 스팀건(310)과 분사관(303)의 결합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와 같이, 살균처리가 가능한 효과로, 냉온수기, 신생아가 사용하는 젓병을 살균하는 젓병살균기(370), 완구를 소독하는 소독통, 그릇 및 수저 등을 세척하는 식기세척기, 스팀으로 찜요리를 하는 조리기구 및 과일을 살균하는 살균기 등과 같이 스팀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이 원터치식으로 손쉽게 연결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4에서는 젓병살균기(370)에 분사관(303)이 장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스팀건(310)의 선단에 비교적 출구가 넓어 분사되는 스팀이 넓게 펴지도록 하는 가습용팁(380)을 상기 스팀건(310)의 노즐(316)과 교체 가능하게 설치시켜 사용자가 사용처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건(310)의 레버(320)는 누름동작으로 차단밸브(340)를 개방시켜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팀건(310)을 상기 장착대(330)의 홀더구멍(331)에 꽂아 거치시킬 때, 상기 스토퍼(810)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811)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레버(320)의 하부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턱(319)에 스토퍼(810)의 걸림돌기(812)가 삽입되면서 걸려져 비사용 시에는 레버(320)가 작동 금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팀건(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밸브(340)는, 상기 힌지(317)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320)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링크(341)와, 상기 링크(3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밸브콕(342)과, 상기 밸브콕(342)이 수용되는 밸브실(343)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콕(342)의 재질은 밀폐성능이 우수한 고무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상기 밸브콕(342)의 외표면에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체(344)로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스팀건(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밸브(340)는, 스팀건(310)의 측면, 상부몸체(311) 또는 하부몸체(312)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 손잡이(391)를 형성하고, 손잡이(39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동되고, 관통구멍(392)이 형성된 밸브콕(393)과 상기 밸브콕(393)을 수용하는 밸브실(394)가 마련되는 콕밸브(390)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콕밸브(390)의 밸브콕(393)은 다단으로 회전되게 형성되어 손잡이(391)를 돌리는 정도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392)과 스팀관(304)의 직경이 겹쳐지는 타원형태는 작은 양의 스팀이 통과되고, 관통구멍(392)과 스팀관(304)이 서로 동심원을 이루게 되면 많은 양의 스팀이 통과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이 가능하며, 스팀의 통과를 차단하기 위해서 최대로 손잡이(391)를 돌린 경우에도 미세한 스팀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기기가 작동을 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밸브콕(393)이 회전되게 하기위해서는, 일실시예로 도시된 첨부된 도면 도 11a 및 11b에서와 같이, 밸브실(394)의 내주연에는 탄성체에 위해 작동되는 볼(395)이 삽입되고, 그에 대응하는 밸브콕(393)에는 볼(395)이 삽입 고정되는 볼홀(396)을 복수개로 형성시켜, 손잡이(391) 회전시 밸브콕(393)이 회전되면서 볼(395)이 볼홀(396)에서 탈착되고, 상기 볼홀(396)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볼홀(396)이 돌아서 볼(395)이 삽입되는 것으로, 밸브가 개방되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11a는 손잡이(391)의 측단을 길게 연장시켜 스팀건(3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고, 도 11b는 스팀건(310)의 하부 또는 상부에 설치되고, 손잡이(391)가 다이얼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 택일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이며, 또한, 상기 콕밸브(390)가 적용된 스팀건(310)에는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 작동시키는 레버(320)가 필요치 않은 것이다.
상기 분사관(303)은 스팀건(310)의 사용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서 길게 연장되고, 표면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금속으로 형성된 관(일명: 메탈호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온도센서(610)는 수조에 물이 없어 비어 있는 상태로 수조의 온도가 150℃ 이상일 경우 제어부(620)에 신호를 전달하고, 그 신호를 급수장치(100)를 구성하는 제1 밸브(102)의 서보모터(M)로 보내어 서보밸브(V)를 개방시켜 수조(20)에 물을 재급수시켜 수조(20)가 급과열되어 화재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온도센서(600)는, 수조(20)의 내부에 온도가 60℃에서 30분 이상 온도변화가 없을 때, 제어부(620)에 신호를 전달하고, 그 신호를 퇴수장치(200)를 구성하는 제2 밸브(202)의 서보모터(M)로 보내어 서보밸브(V)를 개방시켜 수조(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완전배출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리더밸브(500)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수조(20)내부로 흡입시켜 수조 내부의 물을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수관(103)을 통해 수조(20)로 공급되는 물은 수돗물인 상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정수기에 의해 정화된 정수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장치에서 밸브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관을 별도의 명칭을 부여한 것은, 설명을 좀더 확실하고 쉽게 표현하기 위해서 부여한 것일 뿐, 별도의 관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하나의 관에 밸브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팀청소기의 급수, 재급수 및 퇴수는 첨부된 도면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작동된다.
최초 장착대(330)에 설치된 스냅스위치(332)를 작동(ON)시켜 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제어부(620)를 통해 급수장치(100)의 제1 밸브(102)인 서보밸브(V)가 개방되면서 상수관(103)을 통해 물이 수조(20)내부로 티이머에 설정된 시간만큼 유입된다.
이때, 수위조절장치(400)의 제4 밸브(402) 역시 수조(20)내의 물을 타이머 설정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개방되어 물을 수조(20)에서 배수시켜 적정수위를 유지하게 되고, 타이머가 작동을 멈추면 제1 밸브(102)와 제4 밸브(402)가 차단된다.
또는, 수위조절센서(4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적정수위에 도달하면 수위조절센서(400)가 제1 밸브(102)를 차단시켜 단수된다.
이렇게 수조(20)에 유입된 물은 히터(30)의 가열로 고압의 스팀으로 기화되고, 이렇게 기화된 스팀은, 수조(20)의 상부에 설치된 제3 밸브(302)가 개방되면서 스팀건(310)의 차단밸브(340)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분사준비가 완료된 스팀은 스팀건(310)을 장착대(330)에서 뽑아 레버(320)를 제어하고 있던 스토퍼(810)를 이탈시켜 안전장치(800)가 해제되고, 청소(세척)를 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켜 스팀건(310)을 위치시킨 후, 레버(320)를 눌러 차단밸브(340)의 밸브콕(342)을 상승시켜 고압의 스팀이 차단밸브(340)를 통과해서 노즐(316)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물이 스팀으로 기화된 후, 제3 밸브(302)가 개방되어 분사준비가 되더라도 스팀건(310)의 차단밸브(340)가 폐쇄되는 이중안전밸브에 의해 분사가 이루어 지지않아 안전하게 스팀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분사가 이루어지고, 수조(20)의 물이 모두 기화되어 수조(20)가 비어있게 되면, 히터(30)의 가열로 인해 수조(20)는 급가열되고 있어 화재에 노출되는데 이때, 바이메탈온도센서(610)가 수조(20)에 물이 없이 150℃가 되면 급수장치의 제1 밸브(102)를 개방시켜, 수조(20)의 내부에 물을 재급수하게 되면서, 스팀분사가 재가동 상태가 된다.
사용을 끝낸 스팀건(310)을 장착대(330)의 홀더구멍(331)에 삽입 거치시키면 장착대(330)의 안착면(333)이 스토퍼(810)의 가이드돌부(811)를 상승시켜면 전체적으로 스토퍼(810)가 상승되고, 레버(32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9)에 스토퍼(810)의 걸림돌기(812)가 삽입 고정되어 레버(320)의 작동이 금지된다.
이후, 수조(20)내부에 남아있는 잔유물은 퇴수장치(200)와 브리더밸브(500)를 작동시켜 수조(20)내부에서 완전히 배출이 된다.
또는, 사용자가 미처 처리하지 못한 잔유물은, 수조(20)내부에 설치된 내부온도센서(600)가 수조(20)의 내부 온도가 60℃상태에서 30분 이상 온도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퇴수장치(200)와 브리더밸브(500)를 동시에 작동시켜 수조 (20)내의 잔유물을 강제 배출하게 되어, 수조(20) 내부에는 이물질이나 세균번식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싱크대: 1 구멍: 1a
케이스: 10 전면커버: 11 설치공간: 12 측벽: 13
설치홈: 14 수조: 20 히터: 30
급수장치: 100 급수관: 101 제1 밸브: 102 상수관: 103
퇴수장치: 200 퇴수관: 201 제2 밸브: 202 배수관: 203
분사장치: 300 출수관: 301 제3 밸브: 302 분사관: 303
스팀건: 310 상,하부몸체: 311,312 장착구멍: 313 가이드장공:314
분사구멍 : 315 노즐: 316 힌지: 317 복귀스프링: 318
걸림턱: 319 레버: 320
장착대: 330 홀더구멍: 331 스냅스위치: 332 안착면: 333
차단밸브: 340 링크: 341 밸브콕: 342 밸브실: 343
다공체: 344 수위조절장치: 400 오버플로워관: 401 제4 밸브: 402 수의조절센서:403 브리더밸브: 500 공급관: 501 내부온도센서: 600
바이메탈온도센서: 610 제어부: 620 압축밸브: 630 밸브볼: 631
압축스프링: 632 냉각팬: 700 안전장치: 800 스토퍼: 810
가이드돌부: 811 걸림돌기: 812 탄성스프링: 813

Claims (5)

  1. 싱크대(1)에 고정설치되는 스팀청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개구된 전면에 전면커버(11)가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12)이 마련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설치공간(12)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밀폐된 원통체로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스팀으로 기화시키는 수조(20)와;
    상기 수조 하부에 설치되어 수조(20)를 가열하는 히터(30)와;
    상기 수조(20)의 하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급수관(101)을 설치하고, 급수관(101)의 타단에는 제1 밸브(10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브(102)를 통해 물을 수조(20)에 공급하도록, 케이스(10)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상수관(103)으로 이루어진 급수장치(100)와;
    상기 수조(20)의 하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퇴수관(201)을 설치하고, 퇴수관(201)의 타단에는 제2 밸브(202)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밸브(202)를 통해 수조(20)에 저장된 물을 케이스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203)으로 이루어진 퇴수장치(200)와;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출수관(301)을 설치하고, 출수관(301)의 타단에는 제 3밸브(302)가 설치되며, 상기 제3 밸브(302)의 일측에는 분사관(303)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관(303)의 타단에 설치되어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건(3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싱크대(1) 상부에 관통된 구멍(1a)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건(310)을 홀더구멍(331)에 수용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스팀청소기를 작동시키는 스냅스위치(332)가 설치된 장착대(330)가 마련되는 분사장치(300)와;
    상기 수조(20)의 측면둘레에 일단이 관통설치되고, 타단은 제 4밸브(402)의 일단과 연결되는 오버플로워관(401)과, 상기 제 4밸브(402)의 타단은 상기 퇴수장치(200)의 배수관(203)과 연결되어, 수조(20)의 내부로 일정시간 동안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구비된 수위조절장치(400)와;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일단이 관통되는 공급관(501)을 설치하고, 공급관(501)의 타단에 설치되어 수조(2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시켜, 수조(2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원활히 배수되도록 마련되는 브리더밸브(500)와,
    상기, 수조(20) 내부에 설치시켜, 수조의 수온을 체크하여 히터의 가열상태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온도센서(600)와;
    상기 수조(20) 외부에 설치되어, 빈 수조의 급과열을 방지하여 재급수시키도록 설치된 바이메탈온도센서(610)와;
    상기 스팀청소기를 작동시키는 스냅스위치(332), 내부온도센서(600) 및 바이메탈온도센서(610)의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각각의 장치로 전달시켜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제어부(620)와;
    상기 수조(20)와 케이스(10)의 상부를 관통 설치되어, 가열된 수조(2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축밸브(630)와;
    상기 케이스(10) 측면에 설치되어, 케이스(1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냉각팬(7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300)를 구성하는 스팀건(310)은,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갖도록 결합되는 상,하부몸체(311)(312)와,
    상기 분사관(303)의 선단과 스팀관(304)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몸체(311)(312)의 선단에 설치되며, 전방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구멍(315)이 형성된 노즐(316) 또는 가습용팁(380)과,
    상기 하부몸체(312)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구멍(313)에 회전되게 힌지(317) 결합되고, 내부 바닥에는 복귀스프링(318)이 설치되며, 하부 단부측에는 걸림턱(319)이 형성된 레버(320)와,
    상기 레버(320)와 연동되고, 레버(32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스팀관(304)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차단밸브(340)와,
    상기 상부몸체(311) 내부에 설치되도록 벽체를 갖는 판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11)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장공(314)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811)와, 양측벽체의 선단에는 상기 레버(320)의 걸림턱(319)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812)와, 상기 판체 하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된 판체가 원위치 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813)으로 구비된 스토퍼(810)와,
    상기 분사장치(300)를 구성하는 장착대(3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돌부(811)가 안착되어 스토퍼(81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안착면(333)으로 이루어진 안전장치(800)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관(303)의 선단에는 어댑터(350)가 설치되고, 스팀건(310)의 후단에는 연결소켓(351)을 설치시켜, 스팀건(310)과 분사관(303)을 원터치피팅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100), 퇴수장치(200), 분사장치(300) 및 수위조절장치(400)에 설치되는 제1 밸브(102), 제2 밸브(202), 제3 밸브(302) 및 제4 밸브(402)는 서보모터(M)의 작동으로 개폐되는 서보밸브(V)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장치(400)인 오버플로워관(401)에는 수조(20)에 적정높이로 물이 유입되면 급수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수위조절센서(403)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건(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밸브(340)는, 상기 레버(320)와 수직으로 작동되는 링크(341)와, 링크(3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밸브콕(342)과, 상기 밸브콕(342)이 수용되는 밸브실(343)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콕(342)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체로 형성시켜 구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되는 손잡이(391)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콕밸브(390)를 택일적으로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KR1020100007696A 2010-01-28 2010-01-28 스팀청소기 KR10096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96A KR100962983B1 (ko) 2010-01-28 2010-01-28 스팀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96A KR100962983B1 (ko) 2010-01-28 2010-01-28 스팀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983B1 true KR100962983B1 (ko) 2010-06-10

Family

ID=4236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96A KR100962983B1 (ko) 2010-01-28 2010-01-28 스팀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134A (zh) * 2018-09-05 2018-12-07 侯莉芝 一种新型多功能工厂用电脑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456A (ja) 2004-02-16 2005-08-25 Osada Res Inst Ltd スーパヒート消毒装置
KR100646035B1 (ko) 2004-04-02 2006-11-23 박철호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456A (ja) 2004-02-16 2005-08-25 Osada Res Inst Ltd スーパヒート消毒装置
KR100646035B1 (ko) 2004-04-02 2006-11-23 박철호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134A (zh) * 2018-09-05 2018-12-07 侯莉芝 一种新型多功能工厂用电脑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9354A (ko)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
KR102046846B1 (ko) 전기 식기 소독장
WO2000026594A1 (en) Ozonization system
KR200444503Y1 (ko) 싱크대를 이용한 식기 살균기
KR100962983B1 (ko) 스팀청소기
US20230415202A1 (en) Countertop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CN210932860U (zh) 多功能消毒器
KR101014161B1 (ko) 식탁용 청소기
CN106923527A (zh) 一种智能蒸汽厨房系统
KR100646035B1 (ko)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CN210169738U (zh) 一种茶具
CN205625212U (zh) 一种智能蒸汽厨房系统
KR101056854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101858985B1 (ko) 가열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싱크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21536A (ko) 탈부착이 가능한 싱크대 살균 장치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297181A (zh) 一种茶具
KR200355220Y1 (ko)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GB2423247A (en) A hand washing station
KR20050039486A (ko) 스팀 싱크대
KR101689975B1 (ko) 싱크대 거름망 소독장치
CN202925648U (zh) 蹲便器坐式洁身器
CN103536945A (zh) 一种餐具快速消毒的方法及装置
KR102469774B1 (ko) 컵 세척소독장치
CN109464084A (zh) 旋臂式砧板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