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035B1 -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035B1
KR100646035B1 KR1020040023128A KR20040023128A KR100646035B1 KR 100646035 B1 KR100646035 B1 KR 100646035B1 KR 1020040023128 A KR1020040023128 A KR 1020040023128A KR 20040023128 A KR20040023128 A KR 20040023128A KR 100646035 B1 KR100646035 B1 KR 10064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ration switch
bucket
water inlet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859A (ko
Inventor
박철호
Original Assignee
박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호 filed Critical 박철호
Priority to KR102004002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0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구들을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의 구성은 본체(1)의 내부 하단에 가열장치(2)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물통(3)을 설치하되 그 주연부에 보온재를 설치하며, 본체(1)의 상부 일측에는 뚜껑(4)으로 밀폐된 물주입구(5)를 설치하되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본체(1)의 일측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 물방울분사용 손잡이(6)를 설치하며, 본체(1)의 전면에는 작동스위치(7)와 타이머 작동 스위치(8) 및 적외선등 작동스위치(9)를 설치하고, 본체의 일측에는 청소용 밸브를 설치하며, 본체(1)의 저면에는 수개의 적외선등(10)을 설치하고 그 하단에 받침대(11)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온의 미립자 물방울과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2차 살균 처리하기 때문에 위생상 안전하게 사용할수가 있으며 적외선 살균용 받침대를 건조용 선반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가지의 효능을 얻을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가열장치, 물통, 타이머, 적외선등, 캡

Description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THE STERILIZATION METHOD AND THE EQUIPMENT}
도 1 은 본 발명의 작동단계를 보인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 살균기의 전체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 개략 측 단면도
도 4 은 본 발명 고온의 미립자 수증기 발생부의 요부 확대 개략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 분사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 적외선 살균부를 보인 측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살균기 본체 2. 17. 가열장치 3. 물통
4. 뚜껑 5. 12. 물주입구 6. 손잡이
7. 작동스위치 8. 타이머 작동 스위치 9. 적외선등 작동 스위치
10. 적외선 등 11. 받침대 13. 작동스위치부
14. 절개부 15. 캡 16. 경사부
본 발명은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구들을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방에서 고온의 물을 미립자 방식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살균소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컵이나 그릇 등의 간단한 물품들을 받침대에 놓고 살균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2중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는 주방용 칼이나 도마 또는 행주 등을 살균 처리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살균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칼이나 그릇 등은 깨끗이 씻은 다음 건조시켜 적외선 등이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살균기에 넣어 살균하는 방법과 행주는 별도의 용기에 물과 함께 넣어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살균을 하여 왔다.
또한, 각 가정에서는 주부들이 고온으로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행주를 살균하고 난후 이 물을 싱크대나 도마에 부어 싱크대와 도마를 살균 처리하였으나, 고온의 가열된 물이 들어 있는 용기를 사람이 직접 들고 움직여야하므로 부주의할 경우 용기를 놓쳐 고온의 물이 인체에 묻게 됨으로써, 사람이 화상을 입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주방용품(젖병, 행주, 수저, 칼, 식기류 등)을 삶아 살균하는 방법이 각 가정에서 위생상 제일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물을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살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였으며, 부주의할 경우 물을 엎질러 인체에 화상을 입게 되거나 화재를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방법(국내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166320호)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 방법은 컨베이어의 상측에 적외선이 조사되는 램프를 설치하여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되는 제품에 적외선을 조사시켜 살균하는 방법으로서 진공포장된 제품이나 의약품을 살균하는 것으로, 상추, 깻잎, 등과 같은 야채는 살균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에 스팀을 LD용하여 살균하는 방법(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1999-0034203호)이 고안되었다.
상기의 방법은 상자형의 챔버 내부에 의료용 약품용기를 넣고 고압으로 스팀을 분사시켜 살균하는 방법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부피가 작은 컵이나 그릇은 살균이 가능하나, 싱크대나 도마 등과 같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물품들은 소독을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물론 챔버를 대형으로 제작하여 살균을 할 수는 있으나 제작 및 소비의 타산성이 맞지 않아 제작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물품을 살균하지 못함으로써 이 물품에 음식물이 닿을 경우 음식물에 세균이 묻어 음식물을 상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대단위의 음식물 조리 대행업체(도시락업체 등)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종래에는 살균기와 식기 건조기 및 식기 받침대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였고, 또한 여러 가지의 물품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여러 곳에 설치된 각각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함으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살균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물저장통과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살균기의 일측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설치하며, 본체의 저면에는 적외선 등을 설치하고, 그 하단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고온의 미립자로 된 물을 분사시켜 살균된 주방용품을 받침대에 올려놓음으로써 2차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고온의 미립자로 된 물만을 이용할 경우 벽걸이형 살균기로 설치가 용이하고, 테이블 식으로 사용할 경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적외선을 이용한 2차 살균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고, 본체를 선반 대용품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뚜껑을 오픈 하는 단계:
물통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뚜껑을 닫는 단계:
미립자 물방울 발생부와 적외선 등의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가열 단계:
물통의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고온의 물이 노즐로 이동하는 단계:
노즐의 스위치를 오픈 하는 단계:
노즐에 의하여 물이 미립자로 분사되어 살균하는 단계:
살균된 주방용품을 받침대에 올려놓아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2차 살균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적외선 등을 이용한 살균장치에 있어서, 본체(1)의 내부 하단에 가열장치(2)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고압에 견딜 수 있는 물통(3)을 설치하되 그 주연부에 보온재를 설치하며, 본체(1)의 상부 일측에는 뚜껑(4)으로 밀폐된 물주입구(5)를 설치하되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본체(1)의 일측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 물방울분사용 손잡이(6)를 설치하며, 본체(1)의 전면에는 작동스위치(7)와 타이머 작동 스위치(8) 및 적외선등 작동스위치(9)를 설치하고, 본체의 일측에는 청소용 밸브를 설치하며, 본체(1)의 저면에는 수개의 적외선등(10)을 설치하고 그 하단에 받침대(11)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 설명 부호 은 18은 물 공급용 깔때기, 19는 청소용 밸브, 20은 패킹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본체(1)의 전면에 작동스위치부(13)를 설치하고, 상부 일측에는 물주입구(12)를 설치하며 본체(1)의 배면에는 고정공이 설치된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본체(1)를 주방의 벽면에 걸어서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 고온의 물을 분사하여 살균하는 장치를 식기 세척기에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로 물주입구(5)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물주입구(5)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군 데에 절개부(14)를 형성하고, 이 물주입구(14)의 상측에서 캡(15)을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되 캡의 내측에 밀폐용 패킹을 설치하여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물통(3)의 내부 바닥면을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부(16)를 형성하고, 하단 경사부에 노즐로 이어지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물통(3)의 바닥면에 가열장치(17)를 물통(3)과 같이 경사지게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뚜껑(4)을 열고 깔때기를 댄 다음 물을 공급하면 물은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물통(3)에 공급하게 되며, 물을 공급한 다음 깔때기를 빼고 뚜껑(4)을 닫아 밀폐시키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스위치(7)를 온 시키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장치(2)가 가열되면서 물통(3)이 같이 가열되고, 이로 인하여 물통의 내부에서 고온의 물이 발생하면서 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 압력에 의하여 고온의 물은 손잡이가 있는 노즐에 이르게 된다.
한편, 작동스위치(7)를 온 시킬 경우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작동스위치(8)를 작동시켜 시간을 설정할 경우 불필요하게 물이 가열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도 바람직하다.
또는 주 전원스위치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주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킬 경우 일정한 시간 동안 작동된 다음 꺼지게 구성하여 안전성을 도모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온의 물이 대류현상에 의하여 물통(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6)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누르면 노즐이 개폐되면서 물통에 있던 물이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미립자로 분사하게 되고, 이 고온의 물방울을 살균하고자 하는 물체에 뿜으면 되는 것이다.
이때 물은 약 120-200℃로 가열한 다음 스팀이 이송하여 분사시키게 되면 미립자로 분사될 때의 물방울의 온도가 노즐까지 이동하는 도중 냉각되어도 약 100℃ 이상이 되므로 주방기기에 있는 각종 세균을 살균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스팀은 미립자로 되어있기 때문에 스팀을 분사할 때 장시간(1초) 인체에 닿으면 뜨겁다는 느낌은 드나 화상은 입지 않게 되고, 약 5초 정도 계속 대고 있으면 화상을 입게 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6)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이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스팀을 분사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살균이 끝난 주방용품은 건조대에서 건조하거나 행주로 닦아 건조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고온의 미립자로 된 물방울을 이용하여 살균을 하고 난 후 본체(1)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작동스위치(9)를 온 시키고, 이 상태에서 미립자 물방울로 살균한 물품을 본체(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11)에 올려놓으면 본체(1)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등(10)에 의하여 2차 살균이 되면서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도 6에서와 같이 주방의 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못을 고정한 다음 살균기 본체(1)의 배면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못에 걸고, 이 상태에서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8에서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물통(3)에 물을 주입하고자 할 경우 물주입구(5)를 체결하고 있는 캡(15)을 회전시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캡(15)에 의하여 가려져 있던 절개부(14)가 노출하게 되고, 물통(3)의 내부에 물이 가열되면서 압력이 잔존할 경우 그 압력은 절개부(14)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므로 화상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캡(15)의 내측에 체결되어 있는 패킹은 물통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누출 을 막기 때문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물주입구(5)에 형성되는 절개부는 사람이 없는 뒤쪽에 형성하여 잔류압력에 의하여 수증기가 분사될 경우 사람이 없는 방향으로 분사하게 되므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물통(3)의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 물통(3)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 후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를 오픈하면 물통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물통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을 식기세척기에 설치하여 식기를 세척하고 난 후 약 100℃ 이상의 물을 미립자로 분사하여 식기에 남아 있는 세균을 살균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미립자로 된 고온의 물을 약 100℃ 이상으로 분사하여 살균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고온의 미립자 물방울이 살균하는 물체와 접하는 시간이 짧은 시간(0,5-2초)단위이므로 과일이나 야채 등을 살균 소독하기에도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는 안전밸브를 설치하여 불필요한 고압발생시 압력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 안전밸브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언급하지 아니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살균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물저장통과 가열장치를 설치하고, 살균기의 일측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설치하며, 본체의 저면에는 적외선 등을 설치하고 그 하단에 받침판을 설치하여 고온의 미립자 물방울로 살균된 주방용품을 받침대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온의 미립자 물방울과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2차 살균 처리하기 때문에 위생상 안전하며 적외선 살균용 받침대를 건조용 선반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고, 살균시 미립자의 물방울을 이용함으로써 가습의 효과도 얻을 수가 있으며, 고온의 미립자 물방울이 살균하는 물체와 접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과일이나 야채 등을 살균 소독하기에도 적당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적외선 등을 이용한 살균장치에 있어서, 본체(1)의 내부 하단에 가열장치(2)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물통(3)을 설치하되 그 주연부에 보온재를 설치하며, 본체(1)의 상부 일측에는 뚜껑(4)을 밀폐된 물주입구(5)를 설치하고, 본체(1)의 일측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 물방울분사용 손잡이(6)를 설치하며, 본체(1)의 전면에는 작동스위치(7)와 타이머 작동 스위치(8) 및 적외선등 작동스위치(9)를 설치하고, 본체의 일측에는 청소용 밸브를 설치하며, 본체(1)의 저면에는 수개의 적외선등(10)을 설치하고 그 하단에 받침대(11)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 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본체(1)의 전면에 작동스위치부(13)를 설치하고, 상부 일측에는 물주입구(12)를 설치하며 본체(1)의 배면에는 고정공이 설치된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본체(1)를 주방의 벽면에 걸어서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고온의 미립자로 된 물방울에 의하여 1차로 살균하고, 적외선을 이용하여 2차로 살균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물주입구(5)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물주입구(5)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군 데에 절개부(14)를 형성하고, 이 물주입구(14)의 상측에서 캡(15)을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하되 캡의 내측에 패킹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물통(3)의 내부 바닥면을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부(16)를 형성하고, 하단 경사부에 노즐로 이어지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물통(3)의 바닥면에 가열장치(17)를 물통(3)과 같이 경사지게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120℃ - 200℃로 가열된 스팀을 노즐에서 100℃ 이상으로 분사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KR1020040023128A 2004-04-02 2004-04-02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KR10064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128A KR100646035B1 (ko) 2004-04-02 2004-04-02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128A KR100646035B1 (ko) 2004-04-02 2004-04-02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274U Division KR200355220Y1 (ko) 2004-04-02 2004-04-02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859A KR20050097859A (ko) 2005-10-10
KR100646035B1 true KR100646035B1 (ko) 2006-11-23

Family

ID=3727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128A KR100646035B1 (ko) 2004-04-02 2004-04-02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83B1 (ko) 2010-01-28 2010-06-10 정원하 스팀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69Y1 (ko) * 2007-07-30 2009-07-22 정원하 주방전용다기능스팀기
KR101143309B1 (ko) * 2009-02-20 2012-06-12 이대형 스팀분사장치
CN107663936A (zh) * 2017-10-30 2018-02-06 惠州市富的旺旺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厨房用消毒防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83B1 (ko) 2010-01-28 2010-06-10 정원하 스팀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859A (ko) 200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540B1 (ko) 주방용 칼 세척 및 살균소독기
KR100646035B1 (ko)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KR101014161B1 (ko) 식탁용 청소기
KR200439102Y1 (ko) 주부 습진 예방 및 노출형 살균 건조기
KR20170056741A (ko) 스팀노즐의 세척기능이 포함된 즉석식품 조리장치
CN202478225U (zh) 可烘干、消毒的筷笼
KR200355220Y1 (ko) 주방용 기기의 살균장치
WO2017193242A1 (zh) 带炉灶的消毒柜
KR200447010Y1 (ko) 행주 삶는 전기 포트
CN204798413U (zh) 蒸汽消毒装置和消毒器具
KR200270666Y1 (ko) 도마 보관장치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62983B1 (ko) 스팀청소기
CN111603078A (zh) 厨具收纳架
KR200359377Y1 (ko) 수세미, 행주 건조 및 살균장치
KR200406297Y1 (ko) 주방용 건조장치
CN104906606A (zh) 蒸汽消毒装置和消毒器具
KR100918857B1 (ko) 다용도 증기발생장치
WO2017193241A1 (zh) 可消毒多种类型器皿的消毒柜
WO2017193239A1 (zh) 家用消毒置物柜
CN212281124U (zh) 厨具收纳架
KR200258588Y1 (ko) 다기능 찜기 세트
JP2004222816A (ja) 調理器具殺菌装置
CN211157515U (zh) 一种消毒器的底座及消毒器
CN212521480U (zh) 设有量杯的烹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