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809B1 -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 Google Patents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809B1
KR101422809B1 KR1020120087022A KR20120087022A KR101422809B1 KR 101422809 B1 KR101422809 B1 KR 101422809B1 KR 1020120087022 A KR1020120087022 A KR 1020120087022A KR 20120087022 A KR20120087022 A KR 20120087022A KR 101422809 B1 KR101422809 B1 KR 10142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oil
return line
working flu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160A (ko
Inventor
이용범
이근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809B1/ko
Priority to PCT/KR2013/003740 priority patent/WO2014025122A1/ko
Priority to JP2014529628A priority patent/JP5636138B2/ja
Publication of KR2014002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된 오일 중 일부가 오일탱크로 리턴되도록 하는 리턴라인을, 틸팅수단을 통해 틸팅되는 구조 또는 오일 유면의 수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턴라인의 단부가 항시 유면 상부측에 유지되도록 하여, 리턴라인을 통해 리턴되는 오일 내 함유된 기체가 신속하게 유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OIL TANK FOR HYDRAULIC SYSTEM USING RETURN LINE FOR GAS OR AIR SEPARATION}
본 발명은 리턴라인을 틸팅가능하게 구성하여, 오일탱크 내에서 오일이 함유하고 있는 공기 또는 가스 등의 기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오일탱크에 관한 것이다.
유압장치에서 오일탱크(Oil reservoir or oil tank)는 오일을 저장해주는 기능을 하면서, 오일이 펌프 밸브 및 실린더와 모터(actuator) 그리고 고압 및 저압배관을 통과하면서 발생된 기포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압장치의 오일에는 압력, 온도, 기름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기압 상태에서 용해된 상태의 공기를 약 9%정도 포함하고 있다.
이 공기는 교축부와 유압펌프 등으로부터 공기가 혼입될 수 있고, 복귀관이 탱크로 잘못 연결되어 있을때, 오일이 탱크에 머무르는 시간이 너무 짧거나 혹은 유압유로부터 공기가 충분히 분리되지 못했을때 발생한다.
그러나, 유압시스템에 공기의 함유량이 높아지면 펌프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캐비테이션은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아주 작은 입자가 분리되는 현상으로, 유압펌프 혹은 밸브 등의 Control edge에서 발생된다. 이는 높은 소음(420bar 고압에서 최대 110 dBA)발생 원인이 되고 제품을 침식시키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국부적인 피크 압력과 높은 온도에 기인한다.
운동에너지는 단면이 좁아진 부분에서 유체의 속도에 따라 증가하고, 압력 에너지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이것으로 인해 좁아진 단면에서의 압력강하는 진공의 범위에 속하게 되고, 게이지압력 Pe가 -0.3bar보다 낮아지면 도 1과 같이 공기의 분리가 촉진되며 기포가 발생되었다가, 속도의 감소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면 기포도 소멸된다.
좁은 단면을 지나고 넓은 단면에서는 압력이 다시 상승하고, 이때 기포가 폭발하여 하기와 같은 캐비테이션 효과가 발생한다.
1) 압력상승: 작은 입자들이 단면이 커지는 부분에서 배관벽을 침식시킨다. 이것으로 인해 재료는 피로하게 되거나 혹은 파괴되며 또한 캐비테이션 현상은 소음을 수반하게 된다.
2)기름/공기 혼합물의 자연발화: 기포가 폭발하면 기름이 공기를 채워주게 된다.유체가 좁은 단면을 지난 후, 압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공기의 압축으로 인해 높은 온도가 만들어지고 기포가 폭발한다. 즉, 디젤엔진에서와 같이 기포 내 기름/공기 혼합물에서 자연 발화가 생긴다(디젤 효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구동을 통한 유압장치의 경우에는, 전기모터의 출력인 기계적에너지(회전수 * 토크)를 펌프에 가하여, 펌프는 오일탱크에 있는 저압의 오일(oil)을 고압으로 토출시켜 유체에너지(압력*유량)로 변환하고, 이 유체에너지를 제어밸브를 통해서 압력(힘 또는 토크)과 유량(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여, 작동기인 유압모터나 실린더에 공급함으로써, 고출력 밀도(kw/kg)의 동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의 부호를 설명: 101(HYD. TANK), 102 (LEVEL GAUGE), 103(AIR BREATHER), 104(THERMOCOUPLE), 105(LEVEL S/W), 106(FLEXIBLE JOINT), 107(BUTTERFLY VALVE), 108(EL. MOTOR), 109(COUPLING), 110(HYD. PUMP), 111(HYD.HOSE), 112(PRESSURE FILTER), 113(PRESSURE G/G), 114(GAUGE COCK), 115(SOL. RELIEF V/V), 117(WATER COOLER), 119(STOP V/V), 120(WATER STOP VALVE), 121(RETURN FILTER), 122(STOP V/V), 123(DRAING V/V), 124(EL. HEATER), 125(PRESSURE SENSOR))
더불어, 이러한 유압장치에서 사용되는 유체의 압력 에너지를 살펴보면,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그 체적이 감소되고, 그 양은 분리된 가스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압축체적은 전체 변화의 1~3%이다. 유압유(oil)의 압축성에는 한계가 있고 ΔV가 아주 작으면 압력에너지 또한 작다. 100bar의 압력에서 ΔV의 양은 체적 변화의 약 1%에 해당된다.
모든 물질은 압축성으로서, 초기압력 P0가 ΔP 만큼 증가하면 초기체적 V0는 ΔV만큼 감소한다. 이와 같은 압축성은 기름에 용해된 기체(공기 또는 가스 등)의 양과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에 기체가 다량 용해된 경우, 기체가 압축될때까지 체적 손실이 발생함으로써 정밀한 유압기기에서는 유압의 압축성이 무시되어서는 안된다.
이 특성에 대한 값이 압축률 K이며, 기름의 부피 탄성계수로 취급된다. 이 계수는 압축 범위에 따라 하기의 식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12063587354-pat00001
Figure 112012063587354-pat00002
(β=1/K : Bulk modulus of elasticity
V0 : 초기 체적, ▽P: 체적 감소분)
오일에 기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50℃에서 K = 1.56 × 105N/cm2이지만, 일반적으로 오일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제 적용되는 값 K = 1.0 ~ 1.2 × 105N/cm2 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의 흡입구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면, 매우 높은 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산업공해 유발원인이 되고, 압축율의 증가로 제어정밀도 저하 및 효율이 감소하며, 특히 기기의 침식을 초래하여 고장의 주범이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오일탱크에서 발생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오일탱크 내부의 복귀(리턴)라인을 유면 상부측에 유지되도록, 부유체와 함께 틸팅(tilting) 또는 상, 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오일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기체(공기 또는 가스 등)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오일탱크(10) 내부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되, 일단부가 오일탱크(10) 내에서 상, 하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리턴라인(20a); 상기 오일탱크(10)의 유면에 부유되되, 제 1리턴라인(20a)의 단부를 내부의 배출로(41)에 연통고정함으로써, 오일탱크(10) 내 유면높이(H) 변화에도 제 1리턴라인(20a) 단부가 항시 작동유체 유면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수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배출 부유체(40a);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 탱크에 저장되는 오일에 함유된 기체(공기 또는 가스 등)를 외부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된 오일 중 일부가 리턴되는 리턴라인의 단부가, 항시 오일 유면 상부측에 유지됨으로써, 신속한 기체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에 함유된 기체를 신속히 분리함으로써, 유압펌프 등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방지 및 그로 인한 소음감소와 더불어, 압출율 증가 및 제어정밀도 저하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고 압력이 떨어짐에 따라 기포가 발생되는 현상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일반적인 유압동력발생장치의 유압 회로도.
도 3은 일반적인 유압동력발생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오일 내 기체의 용해유무에 따라, 기체가 압축시의 체적손실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턴라인을 구비한 오일탱크가 적용된 유압동력발생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리턴라인을 구비한 오일탱크를 나타낸 첫번째 실시예의 작동도.
도 8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리턴라인을 구비한 오일탱크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리턴라인을 구비한 오일탱크를 나타낸 두번째 실시예의 작동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유압장치용 오일탱크에 있어서, 오일탱크(10) 내부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되, 일단부가 오일탱크(10) 내에서 상, 하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리턴라인(20a); 상기 오일탱크(10)의 유면에 부유되되, 제 1리턴라인(20a)의 단부를 내부의 배출로(41)에 연통고정함으로써, 오일탱크(10) 내 유면높이(H) 변화에도 제 1리턴라인(20a) 단부가 항시 작동유체 유면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수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배출 부유체(40a);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유압장치용 오일탱크에 있어서, 오일탱크(10) 내부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되, 오일탱크 내에서 작동유체의 유면 높이(H)에 따라 인장/압축되며 상, 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 2리턴라인(20b); 상기 오일탱크(10)의 유면에 부유되되, 제 2리턴라인(20b)의 단부를 내부의 배출로(41)에 연통고정함으로써, 오일탱크(10) 내 유면높이(H) 변화에도 제 2리턴라인(20b) 단부가 항시 작동유체 유면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수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배출 부유체(40b);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은 직선관 또는 플렉시블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배출 부유체(40a)는 상기 배출로(41)와 연통되도록 외주연 상부에 천공형성되어, 배출로(41)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기공(43); 상기 배기공(43)에 내설되는 여과부재;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배출 부유체(40b)는 상기 배출로(41)와 연통되도록 외주연에서 상부를 향해 사선형태로 천공형성되어, 배출로(41)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기공(43); 상기 배기공(43)에 내설되는 여과부재;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로(41) 또는 제 1, 2리턴라인(20a, 20b)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작동유체 내부에 생성되는 공기를, 오일탱크(10)의 유면측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는 오일탱크(10), 제 1리턴라인(20a) 또는 제 2리턴라인(20b), 제 1배출 부유체(40a) 또는 제 2배출 부유체(40b)를 포함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도 6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오일탱크(10)는 유압장치 내 유압펌프로 작동유체(ex: oil, 오일, 이하 '오일'이라 칭함)를 공급하도록 외주연에 관통형성된 공급관과, 공급된 작동 오일 중 일부가 리턴되어 오일탱크(10)로 재유입되도록, 일단이 오일탱크(10) 내부에 관통내설되는 제 1리턴라인(20a)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오일탱크(10)는,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압동력발생장치에서 사용된 오일탱크(101)과 마찬가지로, 유압펌프(110)와 연결된 플랙시블 조인트(106), 레벨 게이지(102), 에어 브리더(103), 레벨스위치(105), 온도계(104), 전기히터(124), 드레인밸브(123) 및 스탑밸브(122) 등이 구비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은 전술된 오일탱크(10)의 내부에 일단부가 내설되어 있는 관체이다.
이러한,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은 오일탱크(10)에 내설된 일단부의 중단에 틸팅힌지(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오일탱크(10) 내 일단부가 상기 틸팅힌지(30)에 의해 틸팅(Tilting)되며 상, 하로 회동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러한 제 1리턴라인(20a)의 경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틸팅힌지(30)가 형성되어 있는 중단부 이후의 제 1리턴라인(20a) 일단부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지 않는 직선형 관 또는 호스가 사용되거나 또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는 플렉시블관 또는 호스가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제 1배출 부유체(40a)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관체이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출로(41)가 천공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배출로(41)에 제 1리턴라인(20a)의 단부가 연통연결되며, 상기 오일탱크(10)의 내부에서 오일의 유면에 부유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상기 제 1배출 부유체(40a)의 저면, 즉, 오일의 유면에 접촉되는 제 1배출 부유체(40a)의 외주연 일부에는 배출로(41)와 연통되도록 오일 포트(42)가 천공형성되어,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을 통해 오일탱크(10)로 리턴된 오일이, 제 1배출 부유체(40a)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로(41)로 이동한 후, 저면의 오일 포트(42)를 통해 곧바로 오일탱크(10)에 리턴되는 것이다.
즉, 제 1리턴라인(20a)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배출 부유체(40a)는 오일탱크(10) 내 오일 유면에 항시 부유되어 있기에, 오일탱크(10) 내 오일 유면의 높이(작동유체 유면의 높이, H)가 승, 강할 시,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은 변화되는 오일 유면 높이(H)에 따라 일단부는 제 1배출 부유체(40a)에 연결되어 승, 하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승하강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제 1리턴라인(20a)에 형성된 틸팅힌지(30)가 상, 하로 회전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로써,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은 오일탱크(10) 내 오일의 유면 높이(H)에 맞춰 틸팅힌지(30) 부분이 회전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항시 오일 유면 근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제 1배출 부유체(40a)의 외주연 상부, 즉 오일의 유면에 접촉하지 않는 외주연에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배기공(43)을 천공형성하되, 이러한 상기 배기공(43)은 제 1배출 부유체(40a) 내부의 배출로(41)와 연통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을 통해 리턴되는 오일은 오일탱크(10)의 유면근처에서 리턴되어 오일탱크(10)에 저장되고, 이때 상기 오일 내부에 함유된 기체(공기 또는 가스 등)는 오일 유면 근처에서 신속하게 분리되면서 배기공(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가 된다.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배기공(43) 내에 여과부재(ex: 여과망) 등을 설치될 수도 있음이다.
즉, 기존의 방식처럼 리턴라인이 오일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 내부에 잠겨진 상태로 내설되어 있는 구조의 경우, 오일이 리턴라인을 통해 리턴되면 리턴된 오일 속 기체는 상부로 느리게 상승되어 오일에서 분리되지 못한 상태가 되고, 또한 리턴된 오일이 오일탱크(10)에서 리턴되어 머무르는 시간이 짧으면 오일 속 기체 또한 분리될 시간이 짧아지므로, 이러한 기체를 포함한 오일을 공급배관을 통해 유압펌프로 공급하게 되면 캐비테이션, 소음발생, 압축율의 증가, 제어정밀도 저하 등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리턴되는 오일을 항시 오일 유면에서 리턴되도록 제 1리턴라인(20a)의 단부를 오일의 유면 근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오일에 함유된 기체가 신속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후술될 두번째 실시예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도 10 내지 도 11)에 따른 오일탱크(10), 제 2리턴라인(20b), 제 2배출 부유체(40b)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오일탱크(10)는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의 오일탱크(10)와 동일하다.
상기 제 2리턴라인(20b)의 경우,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오일탱크(10) 내부에 일단이 내설되어 오일을 리턴하는 것이다.
단, 이러한 두번째 실시예에서의 제 2리턴라인(20b)은 상, 하로 길이가 조절가능한 관체로써,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안테나 또는 라디오나 휴대폰의 안테나의 구조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관(P)이 직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점차 커지는 순서로 일단이 연속연결됨으로써, 상호간 연결되어 있는 관들이 각 단부만이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잡아당길 경우 길이가 길어지고, 다수개의 관들이 상호간 순차적으로 내설되도록 길이가 길어진 관들을 밀어넣는 경우 길이가 줄어드는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2배출 부유체(40b)는 상,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 관체이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출로(41)가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출로(41)가 오일탱크(10) 내 오일 유면에 수직형태가 되도록 직립배치되는 것이며, 전술된 바와 같이, 상, 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 2리턴라인(20b)의 단부가 상기 배출로(41)의 내부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제 2배출 부유체(40b)의 외주연에는 내부의 배출로(41)와 연통되면서, 소정각도를 가지고 상부를 향해 파여지는 사선형태의 배기공(43)이 단일 또는 다수개 천공형성되도록 한다.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배기공(43) 내에 여과부재(ex: 여과망) 등을 설치될 수도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제 2배출 부유체(40b)의 외주연에는 부유체(44)가 결합되어, 상기 제 2리턴라인(20b)의 단부가 오일탱크(10) 내 오일 유면에 부유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배출 부유체(40b)는 제 2리턴라인(20b)의 단부가 배출로(41)에 끼움결합고정되어, 항시 오일 유면에 근처에 위치되도록 하여, 유면 상부측에서 오일이 복귀되면서, 오일 내부에 함유된 기체(공기 또는 가스 등)는 배기공(43)을 통해 신속하게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일탱크(10) 내 오일 유면 높이가 상승되거나 하강될 경우, 상기 제 2리턴라인(20b)은 단부가 제 2배출 부유체(40b)를 통해 오일 유면 근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오일의 유면 높이가 상승하면, 제 2배출 부유체(40b) 또한 오일탱크(10) 내 부유위치가 상승하게 되므로 제 2리턴라인(20b)을 압축시키게 되고, 오일의 유면 높이가 하강하면, 제 2배출 부유체(40b)가 제 2리턴라인(20b)을 결합한 상태로 부유위치가 하강하게 되므로 제 2리턴라인(20b)을 하단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오일 유면 높이 변화에 따라 제 2리턴라인(20b)을 이루는 다수의 관(P)들이 상호간 내설되거나 또는 내설되어 있던 관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의 안테나 구조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 2리턴라인(20b)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더불어, 전술된 바와 같이, 리턴된 오일이 유동하여 배출되는 배출로(41) 또는 제 1, 2리턴라인(20a, 20b) 등의 경우,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오일의 유속이 점차 증가시키고, 이로써 작동유체 내부에 공기를 생성시켜, 오일 내부의 생성되는 공기가 오일탱크(10)의 유면측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오일탱크 20a: 제 1리턴라인
20b: 제 2리턴라인 30: 틸팅힌지
40a: 제 1배출 부유체 40b: 제 2배출 부유체
41: 배출로 42: 오일 포트
43: 배기공 44: 부유체
H: 작동유체 유면 높이

Claims (6)

  1. 유압장치용 오일탱크에 있어서,
    오일탱크(10) 내부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되, 일단부가 오일탱크(10) 내에서 상, 하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리턴라인(20a);
    상기 오일탱크(10)의 유면에 부유되되, 제 1리턴라인(20a)의 단부를 내부의 배출로(41)에 연통고정함으로써, 오일탱크(10) 내 유면높이(H) 변화에도 제 1리턴라인(20a) 단부가 항시 작동유체 유면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수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배출 부유체(4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배출 부유체(40a)는 배출로(41)와 연통되도록 외주연 상부에 천공형성되어, 배출로(41)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기공(43)과, 상기 배기공(43)에 내설되는 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2. 유압장치용 오일탱크에 있어서,
    오일탱크(10) 내부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되, 오일탱크 내에서 작동유체의 유면 높이(H)에 따라 인장/압축되며 상, 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 2리턴라인(20b);
    상기 오일탱크(10)의 유면에 부유되되, 제 2리턴라인(20b)의 단부를 내부의 배출로(41)에 연통고정함으로써, 오일탱크(10) 내 유면높이(H) 변화에도 제 2리턴라인(20b) 단부가 항시 작동유체 유면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수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배출 부유체(4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배출 부유체(40b)는 배출로(41)와 연통되도록 외주연에서 상부를 향해 사선형태로 천공형성되어, 배출로(41)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 내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기공(43)과, 상기 배기공(43)에 내설되는 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리턴라인(20a)은
    직선관 또는 플렉시블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41) 또는 제 1, 2리턴라인(20a, 20b)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작동유체 내부에 생성되는 공기를, 오일탱크(10)의 유면측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5. 삭제
  6. 삭제
KR1020120087022A 2012-08-09 2012-08-09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KR10142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22A KR101422809B1 (ko) 2012-08-09 2012-08-09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PCT/KR2013/003740 WO2014025122A1 (ko) 2012-08-09 2013-04-30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JP2014529628A JP5636138B2 (ja) 2012-08-09 2013-04-30 油圧装置用オイルタン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22A KR101422809B1 (ko) 2012-08-09 2012-08-09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60A KR20140021160A (ko) 2014-02-20
KR101422809B1 true KR101422809B1 (ko) 2014-07-24

Family

ID=5006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022A KR101422809B1 (ko) 2012-08-09 2012-08-09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36138B2 (ko)
KR (1) KR101422809B1 (ko)
WO (1) WO201402512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79A (ko) * 2000-04-07 2000-07-05 유성용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의 부유식 배출장치
JP2004011873A (ja) * 2002-06-11 2004-01-15 Komatsu Ltd 液体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764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연료탱크의 수분 제거장치
KR100592038B1 (ko) * 2004-03-31 2006-06-20 (주)에코데이 고형물과 액상물질로 층분리된 오폐수로부터 액상물질을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JP2010051846A (ja) * 2008-08-26 2010-03-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気体溶解装置
JP2011169360A (ja) * 2010-02-17 2011-09-01 Yuutekku:Kk 油タンク
JP2012107726A (ja) * 2010-11-19 2012-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作動油貯蔵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79A (ko) * 2000-04-07 2000-07-05 유성용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의 부유식 배출장치
JP2004011873A (ja) * 2002-06-11 2004-01-15 Komatsu Ltd 液体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60A (ko) 2014-02-20
JP2014525021A (ja) 2014-09-25
WO2014025122A1 (ko) 2014-02-13
JP5636138B2 (ja)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6266A (ko) 기포 리프트 시스템 및 기포 리프트 방법
CN105109700A (zh) 一种应急放油总管余油排放系统及排油方法
KR101774892B1 (ko) 플러싱 시스템
KR101422809B1 (ko) 기체의 분리가 용이한 리턴라인을 구비한 유압장치용 오일탱크
JPH03151422A (ja) 掘削吸引口
US20090038067A1 (en) Wave generating system
US20080166187A1 (en) Wave generating system
JP2009057876A (ja) 浚渫装置などのジェットポンプ
JP4913677B2 (ja) ジェット流による負圧形成方法及び負圧形成装置
KR20000068483A (ko) 역전가능한 벤투리 효과 펌프
SU853192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насос замещени
CN104728191B (zh) 一种利用液压缸活塞杆空腔储油的液压系统
JP2008194664A (ja) 水陸自在気液分離装置
CN115217444B (zh) 井下排液装置及系统
KR20190033356A (ko)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SU927645A2 (ru) Система выработки топлива на летательном аппарате
KR101825946B1 (ko) 에어챔버의 침전물 세척장치
US20210222707A1 (en) Removing Fluid Substances
RU2642704C1 (ru) Способ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компримирования газа
CN206592341U (zh) 一种具有出水弯管的泵体
JP5342101B2 (ja) スラリ状土砂の空気圧式輸送システム
KR200258212Y1 (ko) 저장탱크의 자동 물 배출시스탬을 위한 보조탱크
RU2630050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таран
CN105221493A (zh) 柱塞泵蓄能器
US20210040828A1 (en) Vacuum generator device through supersonic impulsion for oil w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