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607B1 - 바닥 급기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 급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607B1
KR101422607B1 KR1020130039729A KR20130039729A KR101422607B1 KR 101422607 B1 KR101422607 B1 KR 101422607B1 KR 1020130039729 A KR1020130039729 A KR 1020130039729A KR 20130039729 A KR20130039729 A KR 20130039729A KR 101422607 B1 KR101422607 B1 KR 10142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air
outlet
case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근
윤자문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바닥 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외기가 엑세스 플로어(access floor)로 배출되는 제 1 배출구, 상기 제 1배출구를 우회하는 외기가 배출되는 제 2배출구로 형성되고, 상기 엑세스 플로어 하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 1배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유로와, 상기 제 2배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by-pass)유로로 분할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바닥 급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닥 급기 장치 {Apparatus for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본 출원은 바닥 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등이 구비되어 있는 바닥하부공간에 공기의 공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내부공간이 분할된 바닥 급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과 사무기기가 공존하는 사무실 공간에서, 발열을 일으키는 사무기기에 의해 상승하는 사무실 내부의 온도를 쾌적하게 실현시키기 위해 바닥 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바닥 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 급기 시스템과는 달리, 디퓨저(diffuser)가 천장이 아닌 엑세스 플로어 상에 위치하여 바닥 플리넘(UFP, Under Floor Plenum)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것이다. 바닥 플리넘(UFP, Under Floor Plenum)은 바닥면과 엑세스 플로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공조급기용 공간으로 사용된다. 바닥플리넘(UFP, Under Floor Plenum)에서 공조된 공기는 디퓨저(diffuser)를 통해 실내로 송풍 되고 이후, 실내 기기의 발열로 형성되는 자연대류에 의해 천장면의 배기구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바닥 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은 공기의 흐름이 바닥에서 천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수송동력이 적게 들어 건물 내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바닥플리넘(UFP, Under Floor Plenum)의 상부에 설치되는디퓨저(diffuser)는 천장방식에 비해 설치가 용이하여 사무실 내의 가구, 기기 등의 레이아웃의 변경에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공사비 절감 또한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작은 디퓨저(diffuser)가 개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거주자와 가깝게 설치되어, 국부적인 부하 처리가 가능하므로 집중적인 열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바닥 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은 사무실과 상업 건물뿐만 아니라 기계적 부품들이 포함된 기기실 바닥하부공간에도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부품의 작동에 따른 마찰 등에 따라 상승된 기기실등의 내부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사무실과 건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적 제약이 큰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의 기기실에는 바닥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을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우선,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바닥하부공간에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등의 기계적 부품들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 플리넘(UFP, Under Floor Plenum)에서 공기의 공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방해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의 자체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기기실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1997-025885호에 따르면 경사지게 형성된 급기구를 포함하여,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는 바닥분출 공조 장치에 대하여 나타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특허는 공기흐름의 방해 정도가 높아, 필요로 하는 유량이 적은 사무실 및 거주구에 적합한 방식이다.
이러한 바닥분출 공조 장치가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기기실과 같이 대형 기기실에 적용될 경우,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충분한 공조공기가 공급되지 못해 냉각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등의 기계적 부품들이 하우징 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나 그 밖의 부수적인 장비들이 복잡하게 배치된 바닥하부공간에 적용될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바닥 급기 (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H02-136643 미국공개특허 US2008-0119128
따라서,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등의 발열 장치가 구비된 바닥하부공간에 공기의 공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외기가 엑세스 플로어(access floor)로 배출되는 제 1 배출구, 상기 제 1배출구를 우회하는 외기가 배출되는 제 2배출구로 형성되고, 상기 엑세스 플로어 하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 1배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유로와, 상기 제 2배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by-pass)유로로 분할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닥 급기 장치에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단열처리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스의 내측면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외기의 흐름 방향으로 제 1 배출구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는 구획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는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는 제 1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유입구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공간적으로 구획화 된 바닥 급기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출원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는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제 1배출구와 제 2배출구를 통해 각각 개별적으로 바닥 하부 공간을 공조할 수 있다.
둘째, 본 출원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는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포함할 수 있어,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기기실과 같은 대형 기기실의 하부공간에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출원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단열 처리되어, 케이블(cable)의 발열이 바닥 급기 장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출원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출원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외기(外氣)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여섯째, 본 출원에 따른 구획부재는 구획본체 또는 댐퍼(damper)로 이루어져 급기유로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조절하며, 동시에 유로가이드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출원에 따른 구획부재는 열 부하가 증가한 곳으로 외기를 가이드 하여 바닥 급기 장치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덟째, 본 출원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는 바이패스(by-pass)유로를 통해 외기를 유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바닥 급기 장치가 급기 하는데 필요한 외기 량을 보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damper)가 포함된 바닥 급기 장치에서, 댐퍼가 열린 상태의 바닥 급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가 포함된 바닥 급기 장치에서, 댐퍼가 닫힌 상태의 바닥 급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 4는 도 2의 바닥 급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바닥 급기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된 바닥 급기 시스템(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바닥 급기 장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7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700)는 케이스(100)와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300), 구획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일 측에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상측에 제 1배출구(103)가 형성되며, 타 측에 제 2배출구(10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급기유로와 바이패스(by-pass)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외형은 특정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케이스(100) 외부의 공기가 출입(出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케이스(100)는 바닥면(11)과 엑세스 플로어(access floor: 13)사이에 형성된 소정 높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엑세스 플로어(13)란, 배선이나 배관을 하기 위해 바닥면(11)으로부터 소정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 이중바닥을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엑세스 플로어(13)의 하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상기 엑세스 플로어(13) 하부공간 전체를 공조공기의 급기용 챔버(chamber)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바닥면(11)과 엑세스 플로어(13)사이에 배치된 케이스(100)는 엑세스 플로어(13)상의 바닥급기구(15)와 대응하는 위치에 용접방식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실내 배치의 변화나 바닥 급기구(15)의 이동 또는 증설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바닥급기구(15)는 엑세스 플로어(13) 패널에 직접 설치하게 되므로, 그 위에 기기 장비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작된다.
또한, 바닥급기구(15)는 상기 바닥급기구(1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 바닥면의 먼지들을 비산시키지 않는 기류특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급기구(15)는 엑세스 플로어(13)의 마무리면과 동일한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유입구(101)는 케이스(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기(外氣)가 바닥 급기 장치(700)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후, 유입구(101)를 통해 바닥 급기 장치(700)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제 1배출구(10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 배출구(103)는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들어온 외기를 실내의 바닥면으로 급기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기가 이동하는 경로는 급기유로부라 할 수 있다.
한편, 엑세스 플로어(13) 하부 공간의 압력은 외기가 유입되기 전 부(-)압을 유지한다. 바닥 급기 장치(700)를 통해 상기 엑세스 플로어(13) 하부 공간에 공조공기가 공급되면 엑세스 플로어(13)하부공간은 적정한 양(+)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공조공기는 제 1배출구(103)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바닥 급기구(15)를 통해, 상기 엑세스 플로어(13) 하부공간보다 압력이 낮은 실내공간으로 자연스럽게 급기 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원이 필요하지 않아 별도의 전기공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배출구(103)를 우회하는 외기는 제 2배출구(105)를 통해 케이스(100)외부로 배출된다.
제 2배출구(105)는 급기유로부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 2 배출구로 이동하는 외기를 바닥 급기 장치(700)외부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기가 이동하는 경로는 바이패스(by-pass)유로부라 할 수 있다.
제 2배출구(105)를 통해 엑세스 플로어(13)하부 공간으로 확산된 공조공기는 열 부하가 증가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외기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확산된 공조공기는 엑세스 플로어(13) 하부공간의 전체적인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700)는 케이블트레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면(11)과 소정공간을 두고 설치된 엑세스 플로어(13) 하부공간에는 외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케이블(cable)선들이 흩어져 배설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유입구(101)를 통해 케이스(100)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제 1, 2배출구(103,105)를 통해 케이스(100)외부로 이동하는데 있어, 외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닥 급기 장치(700)의 공조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300)는 케이블의 배선경로를 따라 설치되면서, 복수의 케이블을 일정한 곳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300)는 바닥 급기 장치(700)를 구성하는 케이스(100)를 관통하도록 상기 케이스(100)내부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에 끼워지도록 홈이 마련되어 착탈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케이블 트레이(300)에 의해 하우징 된 케이블은 외기의 흐름저항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먼지와 같은 외부이물질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어 케이블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300)의 외형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00)내부로 유입된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제 1, 2 배출구(103,105)를 통해 케이스(100)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외기의 흐름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선형의 케이블 트레이(300)는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블 트레이(300)를 케이스(100) 내측면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밀착되도록 배치하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외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어 외기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트레이(300)가 케이스(100) 내측면의 상측에 밀착되어 배치될 때에는, 외기의 흐름방향으로 제 1배출구(103) 후측에 배치시켜 상기 제 1배출구(103)를 통해 실내로 급기 되는 외기의 유동에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300)는 유선형의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300)에서 유입구(101)를 바라보는 면(310)의 하측단부(310a)는 상측단부(310b)보다 상기 유입구(101)측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01)를 통해 급기유로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300)가 형성하는 경사면(310)을 따라 제 1배출구(103)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케이블 트레이(300) 경사면(310)의 상측 단(310b)은 상기 제 1배출구(103)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300)에 안착된 케이블의 발열로 바닥 급기 장치(700) 내부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다.
바닥 급기 장치(700) 내부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제 1배출구(103)를 통해 실내로 급기 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므로 이는 결국 공조효율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체발열을 일으키는 케이블 트레이(300)의 표면을 단열처리를 하면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쉽게 부식되지 않아 상기 케이블 트레이(300)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고, 케이블의 발열로 인해 바닥 급기 장치(700)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구획부재(5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유입구(101)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제 1 배출구(103)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유로와, 상기 제 1배출구(103)를 통해 급기 되지 못하고 상기 급기유로부를 우회하는 바이패스(by-pass)유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500)는 상기 제 1배출구(103)의 하측에서 케이스(100)내측면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이격 된 지점에서, 유입구 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재(500)는 케이스(100)내부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케이스(100)에 상기 구획부재(500)가 끼워지도록 홈이 마련되어 착탈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구획본체(501)는 바닥 급기 장치(700)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외기의 공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획본체(501)에 의해 급기유로와 바이패스(by-pass)유로로 구획된 바닥 급기 장치(700)내부의 외기는, 전(全) 바닥 급기 장치(700)내부를 순환하며 각종 발열체에 의한 발열을 흡수하기 전에, 급기유로를 통해 바로 냉각 공기로 사용되기 때문에 바닥 급기 장치(700)의 공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바닥면으로 급기 되는 공조공기의 이동경로가 짧아져 외기가 실내로 급기 되는 과정 중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열효과 또한 높일 수 있다.
또한, 구획본체(501)에 의해 형성된 바이패스(by-pass)유로를 통해 제 1배출구를 우회하는 외기를 열 부하가 증가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댐퍼(503)는 유입구(101)측으로 연장된 구획본체(501)의 끝 단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503)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와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503)가 포함된 바닥 급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700)는 케이스(100)와 케이블 트레이(300) 및 구획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급기장치(700)의 케이스(100)와 케이블 트레이(300) 및 구획부재(5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케이스(100)와 케이블 트레이(300) 및 구획부재(500)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500)는 구획본체(501)와 댐퍼(damper: 5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503)는 상기의 유입구(101)측으로 연장된 구획본체(501)의 끝 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hinge)결합될 수 있다.
댐퍼(503)의 형상은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503a)과 상기 회전축(503a)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댐퍼날개(503b)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날개(503b)는 외기의 흐름을 개폐(開閉)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댐퍼날개(503b)는 전술한 구획부재(500)와 마찬가지로, 제 1배출구(103)의 하측에서 유입구(101)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날개(503b)는 스토퍼(미 도시)에 의해 개도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댐퍼날개(503b)의 개도 조절에 의해 급기유로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에 열 부하가 증가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3a)의 회전운동에 의해 댐퍼날개(503b)의 각도를 구획본체(501)의 하측으로 내려 외기를 제 1배출구(103)로 유입시키는 급기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배출구(103)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늘리고 동시에, 외기를 제 1배출구(103) 측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댐퍼날개(503b)의 각도를 구획본체(501)의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의 댐퍼날개(503b)는 바이패스(by-pass) 유로를 향해 흐르는 외기 중 일부를 급기유로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실내공간에 열 부하가 감소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회전축(503a)의 회전운동에 의해 댐퍼날개(503b)의 각도를 구획본체(501)의 상측으로 올리면서 제 1배출구(103)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마침내, 열 부하가 원활하게 처리되고 나면 상기 댐퍼날개(503b)의 각도롤 조절하여 급기유로를 폐쇄하고 제 1배출구(103)로 더 이상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실내공간의 열 부하 량에 따라 댐퍼(503)의 개도를 조절하여,실내공간에 열 부하가 발생하면 급기유로를 개방하고, 실내공간의 열 부하가 해소되면 급기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500)가 댐퍼(503)로만 구성된 바닥 급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700)는 케이스(100)와 케이블 트레이(300) 및 구획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급기장치(700)의 케이스(100)와 케이블 트레이(300) 및 구획부재(5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케이스(100)와 케이블 트레이(300) 및 구획부재(500)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500)는 댐퍼(503)만으로 이루어져, 바닥 급기 장치(700)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댐퍼(503)는 제 1배출구(103)의 하측에서 유입구(101)측으로 연장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의 바닥 급기 장치(700)내부공간을 급기유로와 바이패스(by-pass)유로로 분할할 수 있다.
댐퍼(503)의 형상은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503a)과 상기 회전축(503a)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댐퍼날개(503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열 부하 량에 따라 댐퍼(503)의 개도를 조절하여, 제 1배출구(103)로 유입 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실내공간에 열 부하가 증가하면 회전축(503a)의 회전운동에 의해 외기가 제 1배출구(103)로 유입되는 급기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후, 실내공간의 열 부하가 감소하면 댐퍼날개(503b)를 상측으로 올리면서 제 1배출구(103)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급기 장치가 복수개가 구비된 바닥 급기 시스템(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엑세스 플로어(13) 하부공간에는 복수개의 바닥 급기 장치(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바닥 급기 장치(700)들은 개별 제어성을 갖고 있어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바닥 급기 장치(700)에서 제 1배출구(103)를 우회하여 제 2배출구(105)를 통해 상기 바닥 급기 장치(700)외부로 전달된 공조공기는 또 다른 바닥 급기 장치(700)의 외기로 이용될 수 있어 실내바닥면에 배치된 기기발열부하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즉, 바이패스(by-pass)유로를 통해 흐르는 외기를 다른 바닥 급기 장치(700)의 외기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다른 바닥 급기 장치(700)가 실내의 바닥면으로 공조공기를 급기하는데 필요한 외기 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따라서 본 출원은 바닥급기(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300)등의 발열 장치가 구비된 엑세스 플로어(access floor)하부공간에 공기의 공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 바닥면 13: 엑세스 플로어(access floor)
15: 바닥급기구 101: 유입구
103: 제 1배출구 105: 제 2배출구
300: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500: 구획부재
501: 구획본체 503: 댐퍼(damper)
503a: 회전축 503b: 댐퍼날개

Claims (10)

  1. 외기(外氣)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외기가 엑세스 플로어(access floor)로 배출되는 제 1 배출구, 상기 제 1배출구를 우회하는 외기가 배출되는 제 2배출구로 형성되고, 상기 엑세스 플로어 하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 1배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급기유로와, 상기 제 2배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by-pass)유로로 분할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바닥 급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급기 장치에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더 포함될 수 있는 바닥 급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단열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급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급기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바닥 급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외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밀착되는 바닥 급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외기의 흐름방향으로, 상기 제 1배출구 후측에 위치하는 바닥 급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구획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급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급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제 1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 측으로 연장되는 바닥 급기 장치.
KR1020130039729A 2013-04-11 2013-04-11 바닥 급기 장치 KR10142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729A KR101422607B1 (ko) 2013-04-11 2013-04-11 바닥 급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729A KR101422607B1 (ko) 2013-04-11 2013-04-11 바닥 급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607B1 true KR101422607B1 (ko) 2014-07-23

Family

ID=5174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729A KR101422607B1 (ko) 2013-04-11 2013-04-11 바닥 급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082A (ko) * 2022-06-28 2024-01-04 한현목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
JP7508149B1 (ja) 2023-10-30 2024-07-01 恭男 中野 室内排気用床構造、及び室内排気用床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136A (ja) 2002-11-13 2004-06-10 Denso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車両用梁部材構造
KR100483073B1 (ko) 2002-12-09 2005-04-14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바닥 공조 시스템
JP2010019503A (ja) 2008-07-11 2010-01-28 Softbank Mobile Corp 室内温度調整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床板補助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136A (ja) 2002-11-13 2004-06-10 Denso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車両用梁部材構造
KR100483073B1 (ko) 2002-12-09 2005-04-14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바닥 공조 시스템
JP2010019503A (ja) 2008-07-11 2010-01-28 Softbank Mobile Corp 室内温度調整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床板補助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082A (ko) * 2022-06-28 2024-01-04 한현목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2663921B1 (ko) 2022-06-28 2024-05-08 한현목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
JP7508149B1 (ja) 2023-10-30 2024-07-01 恭男 中野 室内排気用床構造、及び室内排気用床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867B1 (en) Venturi type air distribution system
US9644851B2 (en) Automatic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with heating mode
US9612024B2 (en) Energy efficient HVAC system
US9028308B2 (en) Integrated structural slab and access floor HVAC system for buildings
US20090293518A1 (en) Cooling system for a room containing electronic data processing equipment
JP5615783B2 (ja) 原子力発電所の中央制御室における換気空調設備
AU2010201383A1 (en) Heating and cooling unit, and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AU2013234030B2 (en) Chilled beam with multiple modes
US4646966A (en) Personalized air conditioning
US20110159796A1 (en)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s for enclosed spaces
KR101422607B1 (ko) 바닥 급기 장치
JP3145634B2 (ja) 温度分布調整式恒温装置
CN1610808A (zh) 用于独立的新鲜和返回空气流的节能调节的单盘管双风扇变风量(vav)系统
JP2011196671A (ja) 高負荷空調システム
KR101995120B1 (ko) 배기팬이 없는 데이터센터 공기조화시스템
US10401050B2 (en) Lighting control for chilled beam
US11268710B2 (en)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s for enclosed spaces
CA2567669C (en) Integrated structural slab and access floor hvac system for buildings
KR101390450B1 (ko)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US20090124188A1 (en) Personal distribution terminal
JP6052959B2 (ja) 空調システム
JP6464482B2 (ja) 空調システム
JP4615267B2 (ja) ファン内蔵二重床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室内空調システム
JP2021508015A (ja) ファン及びそれを備える空調ユニット
CN209459163U (zh) 气流引导装置及数据中心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