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50B1 -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 Google Patents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50B1
KR101390450B1 KR1020130150256A KR20130150256A KR101390450B1 KR 101390450 B1 KR101390450 B1 KR 101390450B1 KR 1020130150256 A KR1020130150256 A KR 1020130150256A KR 20130150256 A KR20130150256 A KR 20130150256A KR 101390450 B1 KR101390450 B1 KR 10139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radiating
housing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거
Original Assignee
윤인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거 filed Critical 윤인거
Priority to KR102013015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정복사장치는 공조장치에서 만들어져 디퓨져(10)로 공급되는 공기에 건물에서 사용되는 온수나 냉수와 열교환하여 만들어진 공기를 섞어서 실내공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건물에서 사용되는 온수나 냉수와 열교환한 공기만으로도 환절기에는 실내공간을 난방하거나 냉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사하우징(32)의 내부에는 복사공간(33)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공간(33)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나 냉수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는 유체유로(43)가 형성된다. 상기 복사공간(33)과 디퓨져(10)의 내부를 연통시키기 위해 연결유로(33')가 형성되고 디퓨져(10)에는 유로연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에서 사용되는 온수나 냉수를 활용하여 난방과 냉방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에너지가 크게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Radiator having diffuser}
본 발명은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물을 사용하여 여름의 냉방이나 겨울의 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된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업무를 수행하거나 주거하는 공간이 외부의 환경에 상관없이 쾌적한 환경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여름에는 냉방을 하고 겨울에는 난방을 하게 된다. 즉, 냉방시에는 건물 내부공간에 있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난방시에는 건물 내부공간으로 열을 공급하여 원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온도 외에 습도 등의 다른 조건들도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절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난방을 위해서는 에너지가 소모된다. 하지만, 최근에 에너지 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각종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건물의 냉난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부공간으로 공기조화장치에서 소정의 온도로 만들어진 공기를 공급하고 회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디퓨져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디퓨져는 일반적으로 천정에 설치하여 해당되는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퓨져는 천정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천정에 설치되는 것은 디퓨져, 조명등과 같은 것은 천정의 외관을 어지럽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디퓨져, 조명등과 같은 것들이 각각 다수개씩 천정에 분산되어 설치됨에 의해 천정의 외관이 매우 어지럽게 되는 것이다.
미국특허 6,746,325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0-000810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의 외관을 어지럽히지 않으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천정 내부의 덕트와 연결되어 실내와 공조장치의 사이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디퓨져와, 상기 디퓨져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고 천정 내부에 위치하며 건물에서 사용되는 온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유동시키면서 복사공간 내에서 열교환하는 복사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유니트에는 내부에 상기 복사공간이 형성된 복사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복사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와 냉수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는 유체유로가 위치되며 상기 복사공간의 공기를 상기 디퓨져의 내부로 전달하는 연결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복사공간의 공기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해 디퓨져로 전달하도록 댐퍼가 구비된다.
상기 복사하우징의 복사공간 내부에는 천정에 대응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단열층이 형성되어 천정 내부의 공기와의 열교환이 차단된다.
상기 복사공간의 내부로 실내공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상기 복사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복사하우징의 복사공간에는 복사유니트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디퓨져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복사유니트출구에는 댐퍼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댐퍼가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복사공간과 디퓨져의 유로 사이에는 상기 복사하우징과 디퓨져하우징에 의해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디퓨져하우징에는 상기 연결유로와 디퓨져하우징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연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온수는 건물의 급탕기에서 만들어져 급탕수요부를 지나서 다시 급탕기로 전달되는 환탕수가 사용되고, 상기 냉수는 물탱크나 수도에서 제공되어 건물의 물수요부로 공급되는 물이 사용된다.
상기 디퓨져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디퓨져하우징의 외측 가장자리를 두르는 위치와 상기 복사하우징의 내측두르는 위치에는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조명하는 조명유니트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물, 보다 상세하게는 냉방시에는 건물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그리고 난방시에는 건물에서 사용하는 환탕수에서 에너지를 회수하여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하므로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복사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복사하우징이 디퓨져와 일체로 되어 천정에 설치되므로, 천정의 외관을 보다 깔끔하게 만들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천정복사장치에 디퓨져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천정복사장치에서 회수된 에너지를 디퓨져로 바로 전달하여 냉난방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장치에 의한 냉난방시에 사용되는 연료비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천정복사장치의 복사하우징은 천정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단열을 하지 않으므로 내부공간에 직접 열영향을 줄 수 있어 공기조화장치가 동작되지 않아 디퓨져를 통해 냉난방된 공기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도 내부공간에 대한 냉난방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실내공간쪽에서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외관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천정복사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는 배관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가 천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천정복사장치에는 디퓨져(10), 조명유니트(20)와 복사유니트(30)가 일체로 구비된다. 물론, 이들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되어 위치될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유니트(20)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조명 역시 천정에 설치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조명유니트(20)가 디퓨져(10) 및 복사유니트(30)와 일체로 됨에 의해 천정에 설치되는 구성의 갯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퓨져(10)의 외관과 골격을 디퓨져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유로(14)가 실내측으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넓어진다. 물론, 천정(60)(도 5참고)내에 있는 덕트(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부분, 즉 덕트연결부(16)의 횡단면적은 소정 구간에 걸쳐 일정하게 된다.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의 상부에 있는 덕트연결부(16)에는 덕트가 연결되어 공조장치와 디퓨져(10)가 연결된다. 상기 덕트연결부(16)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공간연통부(17)가 있다. 상기 공간연통부(17)를 통해서는 상기 유로(14)와 실내공간이 연통된다.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의 덕트연결부(16)에는 다수개의 유로연통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연통공(18)은 아래에서 설명될 복사유니트(30)에서 만들어진 소정 온도의 공기가 상기 유로(14)로 전달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로연통공(18)은 상기 덕트연결부(16) 전체를 둘러 형성되거나,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40)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조명유니트(20)가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의 선단 가장자리 형상이 원형이므로 조명유니트(20)의 형상도 그에 맞춰 원형으로 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명유니트(20)는 도넛형상으로 된다.
상기 조명유니트(200의 외관과 골격을 조명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조명하우징(22)의 내부에는 조명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공간(24) 내에 광원(26)이 설치된다. 상기 광원(26)은 엘이디를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형광등이나 백열등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22)의 조명공간(24)은 상기 조명하우징(22)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28)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커버(28)는 광원(26)에서 나온 광이 잘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28)는 예를 들면 아크릴판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상기 커버(28)는 상기 조명하우징(22)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만들어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도넛형상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디퓨져(10)의 디퓨져하우징(12)의 외관을 둘러서는 복사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복사유니트(30)의 외관과 골격을 복사하우징(32)이 형성한다. 상기 복사하우징(32)은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의 배면 일부를 둘러감싸고 상기 디퓨져하우징(12)과 조명하우징(22)의 가장자리를 둘러 배치된다.
상기 복사하우징(32)의 내부에는 복사공간(33)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하우징(32)의 일부와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의 배면이 서로 협력하여 연결유로(33')(도 1 참고)를 형성한다. 상기 복사공간(33)은 상기 복사하우징(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복사공간(33)은 상기 디퓨져하우징(12)이나 조명하우징(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의 경우 조명공간(24)과 같이 도넛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복사공간(33)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복사공간(33)의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내면의 일부 모서리가 곡면으로 될 수 있도록 내부가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층(34) 등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33')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디퓨져하우징(12) 및 조명하우징(22)과 복사하우징(32)이 협력하여 만드는 것이다. 물론, 상기 조명유니트(20)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디퓨져하우징(12)과 복사하우징(32)이 상기 연결유로(3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복사하우징(32)에는 단열층(34)이 있다. 상기 단열층(34)은 상기 복사공간(33)과 연결유로(33')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천정 내부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을 최소화시켜준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복사하우징(32)의 내면에 단열층(34)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복사하우징(32)의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사하우징(32)중에서 실내공간과 접하는 면에는 단열층(34)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실내공간과의 열교환을 통해 직접 실내공간에 열을 공급하거나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사하우징(32)에서 실내공간과 접하는 부분에는 일반적인 천정 마감재인 천정텍스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사하우징(32)의 외면이 그대로 실내공간으로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복사하우징(32)에서 실내공간과 접하는 면의 일측에는 인입구(36)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구(36)를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40)가 개방되어 복사공간(33)의 공기가 상기 유로(14)로 전달될 때, 상기 복사공간(33) 내부로 실내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복사하우징(32)에는 복사유니트출구(38)가 있다.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는 상기 연결유로(33')와 복사공간(33)을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는 상기 복사하우징(32)의 내측을 둘러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의 경우에는 도 2에서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4군데에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의 갯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는 댐퍼(4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댐퍼(40)는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를 개폐하여 상기 복사공간(33)과 연결유로(33')가 연통되게 한다. 상기 댐퍼(40)의 구동은 댐퍼구동원(4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구동원(42)으로는 솔레노이드,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댐퍼(40)의 개폐를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같은 부품이 더 필요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솔레노이드가 댐퍼구동원(42)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했는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솔레노이드의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상기 댐퍼(4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댐퍼(40)가 직선이동되지 않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를 개폐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댐퍼(40)가 닫히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스프링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댐퍼(40)가 개방되도록 솔레노이드의 동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댐퍼(40)는 항상 개방되지 않고, 상기 디퓨져(10)의 유로(14)를 통해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때 사용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필요시에만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댐퍼(40)가 개방되고 상기 유로(14)를 통해 공기가 소정의 속도로 유동하면 상기 유로연통공(18)을 통해서 상기 연결유로(33')내의 공기가 유로(14)로 빨려들어가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복사하우징(32)의 복사공간(33) 내부에는 유체유로(43)가 구비된다. 상기 유체유로(43)로는 일반적인 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유체유로(43)는 상기 복사공간(33) 내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복사공간(33)에 있는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체유로(43)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입수구(44)가 상기 복사하우징(32)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유체유로(43)를 유동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46)도 상기 복사하우징(32)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수구(44)와 출수구(46)에 아래에서 설명될 환탕배관(51')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체유로(43)로 유체를 공급하는 것에 대해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사유니트(30)에서 사용하는 유체는 난방시에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온수이고, 냉방시에는 소위 말하는 수도물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난방시에는 급탕기(50)에서 만들어져 각각의 급탕수요부(52)에서 사용되지 않고 다시 급탕기(50)로 리턴되는 환탕수를 사용한다. 그리고 냉방시에는 건물로 직접들어오는 수도물이나 건물의 물탱크(54)에 저장되었다가 사용되는 물이 된다.
참고로, 급탕기(50)에서 만들어진 급탕수는 급탕배관(51)을 통해 급탕수요부(52)로 전달되는데, 각각의 급탕수요부(52)에는 밸브(도면부호 부여않음)가 있어 필요시에 밸브를 열어 급탕수를 공급받아 사용된다. 급탕수중에서 사용되지 않고 다시 급탕기(50)로 귀환되는 환탕수는 환탕배관(51')을 통해 급탕기(50)로 가는데, 상기 환탕배관(51')에서 상기 입수구(44)로 밸브를 둔 상태로 연결하여 필요시에 환탕수를 상기 유체유로(43)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냉방을 위한 물탱크(54)의 물은 공급배관(55)을 통해 각각의 물수요부(56)로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배관(55)에 분지배관(55')을 연결하고 밸브를 두어 상기 복사유니트(30)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물탱크(54)의 물이나 수도물은 대략 15도에서 17도 정도를 유지하므로 여름철의 외부 온도를 고려하면 실내공간을 냉방하기에는 충분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에서 상기 디퓨져(10)는 천정 내부에 있는 덕트에 상기 덕트연결부(16)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디퓨져(10) 자체는 덕트에 의해 지지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덕트는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냉,난방을 위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유니트(20)의 경우 상기 복사유니트(30)와 함께 천정(6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복사유니트(30)(상기 조명유니트(20)는 없을 수도 있음)를 천정(60)에 고정하기 위해 설명을 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걸이구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가 천정에 설치되면, 상기 디퓨져(10)는 상기 공간연통부(17)가 실내공간으로 개방되어 노출된다. 상기 조명유니트(20)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천정(60)으로 상기 복사유니트(30)와 함께 노출된다. 물론, 상기 복사유니트(30)의 복사하우징(32)에는 천정(60)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천정텍스가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실내공간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퓨져(10)와 복사유니트(30)(조명유니트(20)가 있는 경우에는 조명유니트(20)도 함께)가 천정(60)에 설치됨에 있어서 하나로 모여져 있으므로 천정(60)의 외관을 상대적으로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즉, 여러가지 장치가 각각 나누어져 여기저기에 별개로 천정(6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모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복사유니트(30)의 입수구(44)와 출수구(46)에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분지배관(55')이 연결된 환탕배관(51')을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입수구(44)와 출수구(46)에 유체의 공급을 위한 준비가 되면 냉방시에는 상기 분지배관(55')을 통해 전달되는 물을 복사유니트(30)로 공급하여 사용하고, 유체유로(43)를 통과한 물은 리턴배관(55")을 통해 물탱크(54)로 돌려보내거나 급탕기(50)로 보내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복사유니트(30)에서 상기 물과 열교환한 상기 복사공간(43) 내부의 공기는 상기 댐퍼(40)가 개방되지 않았을 때, 즉 상기 대퓨져(10)를 통해 공조장치에서 만들어진 냉방을 위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 상기 복사하우징(32)의 단열층(34)이 없는 부분을 통해 실내와 열교환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어느 정도 낮추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의 가동으로 상기 디퓨져(10)의 유로(14)로 공조장치에서 만들어져 공급된 공기가 유동하게 되면, 상기 댐퍼(40)를 구동시켜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를 통해 복사공간(33)의 공기를 연결유로(33')를 거쳐 상기 디퓨져(10)의 유로(14)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로(14)를 통해 공조장치에서 만들어진 냉방용 공기가 일정 속도로 유동되면 상기 유로연통공(18)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33')의 공기가 빨려 나와 상기 유로(14)로 전달되어 섞여서 상기 공간연통부(17)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연결유로(33')의 공기가 유로(14)로 전달되면, 상기 복사공간(33)으로는 상기 인입구(36)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가 유입되어 유체유로(43)를 지나는 물과 열교환하게 되고 위에서 설명된 경로를 통해 유로(14)로 전달된다.
참고로, 실내공간을 냉방할 때의 온도관계를 살펴보면, 실내공간을 24℃로 만들기 위해서는 공조장치에서 대략 14 ~ 15℃ 정도의 공기를 공급하는데,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동안에 온도변화가 발생하여 대략 20~22℃정도로 디퓨져(1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54)에서 공급되는 물은 대략 17~19℃정도여서 복사공간(33)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디퓨져(10)에 공급된 공기보다 온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난방시에는 상기 급탕기(50)에서 만들어진 급탕수중에서 급탕수요부(52)를 지나서 다시 급탕기(50)로 귀환되는 환탕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복사유니트(30)로 물을 공급할 것인지 환탕수를 공급할 것인지는 밸브의 개폐를 통해 조절하게 된다.
환탕수가 상기 복사유니트(30)의 유체유로(43)로 공급되면 유체유로(43)를 통과하면서 상기 복사공간(33) 내부에 있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복사공간(33)에 있는 공기로 열을 전달하여 온도를 올려준다. 이와 같은 공기는 상기 천정(60)을 통해 직접 실내공간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공간의 난방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를 사용하여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40)를 구동시켜 상기 복사유니트출구(38)를 개방하여 복사공간(33)에 있는 공기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로(14)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로(14)로 공급된 공기는 공조장치에서 공급된 공기와 섞여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되어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실내공간을 25℃정도로 난방하는 경우에는 공조장치에서 약 40~45℃정도의 공기를 공급하여야 한다. 이 공기는 덕트를 통해 전달되어 디퓨져(10)에 오게 되면 대략 30~35℃정도가 된다. 그리고 환탕수의 온도는 대략 45℃ 내외가 되므로 복사공간(33)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공조장치에서 공급된 공기보다 높은 온도여서 실내공간의 난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퓨져 12: 디퓨져하우징
14: 유로 16: 덕트연결부
17: 공간연통부 18: 유로연통공
20: 조명유니트 22: 조명하우징
24: 조명공간 26: 광원
28: 커버 30: 복사유니트
32: 복사하우징 33: 복사공간
33': 연결유로 34: 단열층
36: 인입구 38: 복사유니트출구
40: 댐퍼 42: 댐퍼구동원
43: 유체유로 44: 입수구
46: 출수구 50: 급탕기
51: 급탕배관 52: 급탕수요부
54: 물탱크 55: 공급배관
55': 분지배관 55": 리턴배관
56: 물수요부 60: 천정

Claims (7)

  1. 천정 내부의 덕트와 연결되어 실내와 공조장치의 사이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디퓨져와,
    상기 디퓨져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고 천정 내부에 위치하며 건물에서 사용되는 온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유동시키면서 복사공간 내에서 열교환하는 복사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유니트에는 내부에 상기 복사공간이 형성된 복사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복사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와 냉수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는 유체유로가 위치되며 상기 복사공간의 공기를 상기 디퓨져의 내부로 전달하는 연결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복사공간의 공기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해 디퓨져로 전달하도록 댐퍼가 구비되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하우징의 복사공간 내부에는 천정에 대응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단열층이 형성되어 천정 내부의 공기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공간의 내부로 실내공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상기 복사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하우징의 복사공간에는 복사유니트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디퓨져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복사유니트출구에는 댐퍼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댐퍼가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공간과 디퓨져의 유로 사이에는 상기 복사하우징과 디퓨져하우징에 의해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디퓨져하우징에는 상기 연결유로와 디퓨져하우징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연통공이 형성되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는 건물의 급탕기에서 만들어져 급탕수요부를 지나서 다시 급탕기로 전달되는 환탕수가 사용되고, 상기 냉수는 물탱크나 수도에서 제공되어 건물의 물수요부로 공급되는 물이 사용되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디퓨져하우징의 외측 가장자리를 두르는 위치와 상기 복사하우징의 내측두르는 위치에는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조명하는 조명유니트가 더 설치되는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KR1020130150256A 2013-12-04 2013-12-04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KR10139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256A KR101390450B1 (ko) 2013-12-04 2013-12-04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256A KR101390450B1 (ko) 2013-12-04 2013-12-04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50B1 true KR101390450B1 (ko) 2014-05-30

Family

ID=5089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256A KR101390450B1 (ko) 2013-12-04 2013-12-04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77B1 (ko) * 2014-11-12 2015-01-16 윤인거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KR20180051875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용 디퓨저
KR102079826B1 (ko) 2019-06-19 2020-04-07 박명구 천장 파동연출 장치
KR102233657B1 (ko) * 2020-03-27 2021-03-30 주식회사 알토 일체형 공조 및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842B1 (ko) 1997-07-15 2000-01-15 이성환 통합 천장 설비 시스템
JP2003090592A (ja) 2001-09-20 2003-03-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436124Y1 (ko) 2006-08-09 2007-06-04 임기태 다기능의 디퓨저 캡 및 그 형상 구조
KR20120005436U (ko) * 2011-01-19 2012-07-27 김송이 엘이디조명등부 브이에이브이 전동디퓨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842B1 (ko) 1997-07-15 2000-01-15 이성환 통합 천장 설비 시스템
JP2003090592A (ja) 2001-09-20 2003-03-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436124Y1 (ko) 2006-08-09 2007-06-04 임기태 다기능의 디퓨저 캡 및 그 형상 구조
KR20120005436U (ko) * 2011-01-19 2012-07-27 김송이 엘이디조명등부 브이에이브이 전동디퓨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77B1 (ko) * 2014-11-12 2015-01-16 윤인거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KR20180051875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용 디퓨저
KR101955620B1 (ko) * 2016-11-09 2019-03-07 삼성중공업(주) 공기조화용 디퓨저
KR102079826B1 (ko) 2019-06-19 2020-04-07 박명구 천장 파동연출 장치
KR102233657B1 (ko) * 2020-03-27 2021-03-30 주식회사 알토 일체형 공조 및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9436C (en) Heating and cooling unit, and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KR101390450B1 (ko) 디퓨져 일체형 천정복사장치
JP4792101B2 (ja) 空気式輻射層流ユニット
JP2004177052A (ja) 床埋込形空調ユニット
KR101628558B1 (ko) 차량의 공조 장치
US20150260417A1 (en) Integrated energy-saving building heating/cooling system by efficient air circulation technology
KR101980175B1 (ko) 냉온방장치
CN212390501U (zh) 空调室内机
JP2012021737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5560444B2 (ja) 空調システム
JP6626554B1 (ja) 住宅用空気調和装置
JP4698204B2 (ja) 建物の室内空調システム
JP2010281529A (ja) 空調ユニット、及び、空調システム
JP3818379B2 (ja) 床埋込形エアコン
JP4424532B2 (ja) 放射方式併用の対流型空調システム
KR20090123621A (ko) 환기와 가열 및 냉각 겸용 실내 공기조화기
US20230059931A1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plenum for make-up air
KR20180051875A (ko) 공기조화용 디퓨저
JPH0719518A (ja) 天井設置用空調換気ユニット
KR20030013657A (ko) 실내용 냉·난방장치
JP409152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80012997A (ko) 바닥환기 시스템
JP6220605B2 (ja) 空調システム
EP2017538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welling hause
JP6216514B2 (ja) 温調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