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677B1 -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677B1
KR101421677B1 KR1020120105772A KR20120105772A KR101421677B1 KR 101421677 B1 KR101421677 B1 KR 101421677B1 KR 1020120105772 A KR1020120105772 A KR 1020120105772A KR 20120105772 A KR20120105772 A KR 20120105772A KR 101421677 B1 KR101421677 B1 KR 10142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chicory
acid bacteria
suspension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525A (ko
Inventor
박성선
허정무
신선
Original Assignee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효과적인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커리 화이바 분말 현탁액에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중에서 1종류 이상의 유산균 침전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한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 및 살균한 치커리 발효물을 제공함으로서 장내 비피더스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풍미를 향상시키고, 발효에 의해 치커리 화이바(이눌린)가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되는 것을 기대함으로 장의 기능 및 변비 개성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Method Manufacturing of chicory fiber Fermented materials for Lactic Acid and Bacillus Using improving the intestine function and constipation}
본 발명은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효과적인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이 가능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시킴으로써 장내 비피더스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풍미를 향상시키고, 발효에 의해 치커리 화이바(이눌린)가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환되는 것을 기대함으로써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생활수준이 급속하게 향상되면서 인스턴트식품 및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가 증가했지만, 야채류 및 섬유질의 섭취가 감소하는 등 영양 과잉 및 영양 불균형에 따른 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변비 및 대사성 질환 등의 질병을 호소하는 사람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의 변비 유병률이 16.5%로 여성 및 노인층에서 증가하고 있다.
변비는 대장의 연동운동 저하로 원활한 배변 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1주일에 2회 이상를 배출하지 못하면 배변 시 굳은 변을 보며 통증이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를 변비로 진단하는데, 그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하복부의 불쾌감, 팽만감, 구역질, 구토, 복통 등이 수반된다.
하지만, 섭취하는 음식의 형태에 따라 배변시간에 영향을 나타내며, 특히 유산균은 장내에서 유산과 초산을 생성하여 딱딱해진 변을 부드럽게 만들어 배변을 원활하게 해준다.
또한, 식이섬유는 인체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난소화성 복합 다당류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배설물의 부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장 통과 속도를 빠르게 하여 변비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커리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서 치커리 원산지인 유럽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성인병의 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치커리에는 비타민 A, C, 칼륨, 인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치커리 뿌리에는 이눌린이 다량 함유되어있다.
이는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과정에서 단쇄 지방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단쇄 지방산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체내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저해하고 변으로 배설하게 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작용, 소화기관 내의 포도당 흡수를 감소시켜 식후 혈당상승 억제,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등 체내에 유익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3차 가공수준의 발효기술을 통해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효과적인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개발하고, 효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발효란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말하는데, 발효기술을 통해 유효성분을 다량 추출하여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농약과 중금속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한약재, 녹차 등 다양한 식품소재를 발효시킴으로써 기능성 강화는 물론 관능 및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생체이용률이 높은 유용성분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2-0091899호(선행기술)의 "변비, 비만증 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은, 다시마, 파래, 치커리를 주요 성분으로 하여 팩이나 병 등에 보관하고,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할 수 있는 중탕이나 휴대가 간편한 환으로 제조될 수 있는 변비, 비만증 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변비, 비만증 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은 다시마와 파래와 치커리가 5:3:2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중탕 및 환(丸)으로 제조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주재료인 다시마와 파래의 중량 대비 20중량%를 혼합하는 것에 불과 한 것이며, 이를 환으로 만들어 복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시마, 파래, 치커리의 효능이 있을 수 있으나, 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체질에 관계없이 활성화가 일어나야 하며 이러한 장의 활성화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유산균과 식품의 발효에서 얻을 수 있으며 발효식품은 사람의 체질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체내에 흡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유산균을 이용하여 다시마, 파래, 치커리를 발효하는 것이 아니라 분쇄하여 물과 함께 혼합하여 환으로 만들어 복용토록 함으로써 다시마, 파래, 치커리의 성분 특성에 따른 작용에 의해 변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으나 이는 사람의 체질에 따라서 체내에 흡수 정도가 서로 다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람에 따라서 그 효과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기능성 소재가 사람의 체질에 관계없이 체내에 흡수가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식품을 제공해야 체내의 흡수력을 증진시켜 그 효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나 선행기술은 식품을 분말화하여 환으로 복용함으로 장으로 흡수되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2-00918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산균을 이용하여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시킴으로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증대시켜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목적과,
또한,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지속적으로 섭취하여 장내 균총 개선 및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등 장 건강에 도움을 주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식이섬유로 이루어진 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증류수를 5-6배 가수하여 현탁하는 1단계;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121℃에서 20분 멸균하여 30-40℃로 식히는 2단계;
1종류 이상의 유산균을 각각 엠알에스(MRS)배지에서 계대 배양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 액을 제거한 침전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는 유산균 배양 및 혼합하는 3단계;
상기 살균 완료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상기 유산균 배양 및 혼합 단계에 의한 유산균을 첨가하는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을 첨가하는 4단계;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가 완료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발효하는 5단계;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가 완료된 발효액을 95-100℃에서 5-10분 동안 살균처리 하는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1종 이상의 유산균을 첨가시켜 발효를 함으로써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치커리 원물이 갖는 쓴맛성분인 인타빈(Intatine)의 소화촉진효과를 치커리 화이바를 사용함으로써 쓴맛 개선은 물론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유산균 발효를 이용하여 장내 유익균의 증식 및 치커리 화이바 섭취를 통한 장 기능 및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을 나타낸 공정순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이 pH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섭취가 대장 내 잔변 개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치커리 화이바 발효 물의 섭취가 소화관 이동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섭취가 변비를 유발시킨 후 변의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공정의 순서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제조방법은,
제1단계: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단계(S1),
제2단계: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멸균 단계(S2),
제3단계: 유산균 배양 및 혼합 단계(S3),
제4단계: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S4),
제5단계: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
제6단계: 발효액 살균 단계(S6)로 이루어진다.
제1공정: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단계(S1)
치커리 화이바를 만들기 위해 먼저 치커리를 준비하게 되는데 치커리는 벨기에산 치커리를 구입하여 이를 통상의 방법으로 식이섬유 분말을 제조 치커리 화이바를 준비한다.
이때, 치커리 화이바는 필요에 따라서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치커리를 구입하여 화이바 제조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치커리 화이바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치커리 화이바를 준비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벨기산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벨기산 치커리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커리 화이바를 준비한 다음 어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증류수를 5-6배 가수하여 현탁한다.
제2공정: 치커리 화이바 현택액 멸균 단계(S2)
상기 제1공정에서 치커리 화이바를 현탁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여 30-40℃로 식히는 것이다.
제3공정: 유산균 배양 및 혼합단계(S3)
준비된 다종의 유산균 중 1종류 이상의 유산균을 각각 엠알에스(MRS)배지에서 계대배양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침전물을 동일비율로 혼합한다.
본 공정의 유산균 배양 및 혼합 단계(S3)에서 각각의 유산균은 엠알에스(MRS)배지에서 3-4회 계대배양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심분리는 1,500-1,700rpm에서 15-18분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산균 배양 및 혼합 단계(S3)에서 각각의 유산균이 엠알에스(MRS)배지에서 3-4회 계대배양을 하면서 유산균의 증식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원심분리가 1,500-1,700rpm에서 15-18분간 이루어짐으로써 고체입자와 액체미립자의 분리가 분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공정인 유산균 배양 및 혼합 단계(S3)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중에서 1종류 이상의 유산균을 각각 엠알에스(MRS)배지에서 계대배양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침전물을 동일비율로 혼합하는 것이다.
제4공정: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S4)
상기 제3공정에서 유산균을 배양한 후 이를 혼합한 유산균을 상기 준비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첨가하게 된다. 본 공정인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S4)는 치커리 화이바 현탁, 멸균 단계(S1, S2)에 의해 제조된 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멸균한 후 멸균 완료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상기 유산균 배양 및 혼합 단계(S3)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을 첨가하는 것이다.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S4)에서 증류수 첨가는 치커리 화이바 분말 1kg당 4-6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멸균은 121℃에서 15-20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산균은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중량 대비 4-5%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S4)에서 증류수 첨가가 치커리 화이바 분말 1kg당 4-6L로 이루어짐으로써 증류수 내의 치커리 화이바 분말이 입자 간에 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멸균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가 활성화될 수 있게 되어 유산균에 의한 발효가 분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5공정: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단계(S5)
본 공정인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는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S4)가 완료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발효시키는 공정이다.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에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는 37-45℃에서 24-4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에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가 37-45℃에서 24-48시간 동안 진탕 배양을 함으로써 유산균의 활성화에 의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의 발효가 균일하고 분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6공정: 발효액 살균 단계(S6)
본 공정의 발효액 살균 단계(S6)는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가 완료된 발효액을 95-100℃에서 5-10분 동안 살균처리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조된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용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균 체중 220-240g의 스프라그 돌리(Sprague Dawley) 래트를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개선 및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주는 차전자피 함유 제품인 종근당건강(주) 화이바웰플러스와 치커리 화이바 비발효물,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2주 동안 저농도(0.95 mg/g), 중농도(1.55 mg/g), 고농도(2.20 mg/g) 나누어 경구투여하면서 로페라마이드 투여를 통해 변비를 유발 시킨 후 변의 중량 변화를 관찰하였고, Balb/C 마우스를 대상으로 종근당건강(주) 화이바웰플러스와 치커리 화이바 비발효물,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1주 동안 저농도(1.9 mg/g), 중농도(3.1 mg/g), 고농도(4.4mg/g) 나누어 경구투여하면서 대장 내 잔변 개수 및 소화관 이동능 변화를 관찰하였다.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변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종료 5일 전 로페라마이드(loperamide)를 1.5 mg/kg의 농도로 1일 2회 피하 주사하여 변비를 유발시킨 후 5일 동안의 체중, 변의 중량, 위장관 운동성, 혈액화학적인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
벨기에산 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증류수를 5-6배 가수하여 현탁한 후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여 30-40℃로 식힌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구입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 중에서 1종류 이상의 유산균을 각각 엠알에스(MRS)배지에서 계대배양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침전물을 동일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121℃로 10-15분간 살균하였고, 상기 배양 및 혼합된 유산균을 살균 완료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중량 대비 4% 첨가하였다.
상기 유산균이 첨가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37℃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하며 발효를 진행시켰다.
발효 완료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95-100℃에서 5-10분 동안 살균처리 하여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의 제조
벨기에산 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증류수를 5-6배 가수하여 현탁한 후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여 30-40℃로 식혀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실시예 1(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시간경과에 따른 피에이치(pH)의 변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에 의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이 제대로 발효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시간에 따른 피에이치(pH)를 분석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피에이치(pH)가 5.07에서 3.71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유산균 발효에 의해 유기산이 생성되어 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물성 유산균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 아시아인에게 있어서 식생활에 깊이 관련되어 있는 미생물 중 하나이다. 이러한 유산균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식품에 첨가되어 이들의 대사산물인 유산에 의해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식품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한다.
특히,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는 안전성이 우수하고, 장관에 일정한 균총을 생성하여 면역증진 및 유해독소의 중화, 영양분의 소화흡수를 증대시키는 유익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우리 인체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장내 유익균은 감소하고 유해균은 증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을 통해 유산균을 이용하여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시킴으로써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지속적으로 섭취하여 장내 유익균의 수를 증가시키고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장 건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치커리 식이 섬유소는 체내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저해하고 변으로 배설하게 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작용, 소화기관 내의 포도당 흡수를 감소시켜 식후 혈당상승 억제,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등 체내에 유익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커리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100g당 2.0g으로 식이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진 근채류 중 고구마의 총 식이섬유의 함량 0.9g과 비교했을 때 치커리의 경우 2배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식이 섬유소 공급원으로 훌륭한 식품재료라고 말할 수 있다.
실험예 2 :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장 기능 개선 효과
1. 대장 내 변의 개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에 의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1주 동안 투여했을 때 대장 내 변의 개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음성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 n=8), 양성대조군(화이바웰플러스 제품 투여, n=8),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실험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생리식염수에 각각의 농도로 희석하여 경구투여한 군, n=8),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실험군(실시예 1에서 제조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을 생리식염수에 각각의 농도로 희석하여 경구투여한 군, n=8) 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샘플을 1주 동안 투여한 후 대장 내 변의 개수를 확인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장 내 변의 개수는 대조군 2.1개에 비해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투여군의 경우 저농도 3.8개, 중농도 3.2개, 고농도 2.6개로 잔변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투여군 또한 저농도 2.4개, 중농도 2.2개, 고농도 2.4개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 소화관 이동능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에 의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소화관 이동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활성탄 5%와 아라비아검을 10%의 중량비로 혼합된 식이를 경구투여한 후 30분 뒤 희생시켜 위장관을 적출하였다. 소화관 이동률은 활성탄 식이의 전체 장관거리 중 이동거리로 산출하였으며, 소화관 이동률을 측정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60.2%에 비해 소화관 이동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투여군의 경우 저농도 79.6%, 중농도 74%, 고농도 70%로 양성대조군인 화이바웰플러스 투여군 72.2% 이상의 소화관 이동률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저농도 투여군의 경우 79.6%로 대조군 60.2%와 비교했을 때 소화관 이동률이 약 19.4% 증가한 것으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섭취를 통해 위장관의 운동성을 증가시켜 소화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3.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변비 개선 효과
변비를 유발하기 위해 실험종료 5일 전 로페라마이드(loperamide)를 투여한 후 5일 동안의 변의 중량을 매일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변 중량의 경우 음성대조군 29.1g에 비해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실험군의 경우 42.6g으로 약 46% 증가시켰으며, 양성대조군인 화이바웰플러스 제품 40.5g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이 체내에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변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변비를 개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S1 : 치커리 화이바 현탁 단계
S2 : 멸균 단계
S3 : 유산균 배양 단계
S4 :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
S5 :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
S6: 발효액 살균 단계

Claims (5)

  1. 치커리 화이바 분말에 증류수를 5-6배 가수하여 현탁하는 단계(S1);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여 30-40℃로 식히는 단계(S2);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의 유산균을 각각 엠알에스(MRS)배지에서 계대 배양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1종류 이상의 유산균 침전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는 유산균 배양 및 혼합 단계(S3);
    상기 유산균 배양 및 혼합한 유산균을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을 첨가하되 유산균은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중량 대비 4-5% 첨가하는 단계(S4);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에 유산균 첨가 단계(S4)가 완료된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을 37-45℃에서 24-4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가 완료된 발효액을 95-100℃에서 5-10분 동안 살균처리 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 발효 단계(S5)의 치커리 화이바 현탁액은 진탕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
KR1020120105772A 2012-09-24 2012-09-24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42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72A KR101421677B1 (ko) 2012-09-24 2012-09-24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72A KR101421677B1 (ko) 2012-09-24 2012-09-24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25A KR20140039525A (ko) 2014-04-02
KR101421677B1 true KR101421677B1 (ko) 2014-08-13

Family

ID=5065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772A KR101421677B1 (ko) 2012-09-24 2012-09-24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7209A1 (en) * 2019-02-01 2020-08-06 Givaudan Sa Flavour modifying ingredient derived from dietary fibre
KR102416513B1 (ko) * 2022-01-26 2022-07-05 김민정 반려동물 변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899A (ko) * 2001-06-01 2002-12-11 김정웅 변비, 비만증 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1887A (ko) * 2007-10-25 2009-04-29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요구르트를 이용한 식품 및 그제조방법
KR20100118967A (ko) * 2010-10-12 2010-11-08 오세권 새싹채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899A (ko) * 2001-06-01 2002-12-11 김정웅 변비, 비만증 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1887A (ko) * 2007-10-25 2009-04-29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요구르트를 이용한 식품 및 그제조방법
KR20100118967A (ko) * 2010-10-12 2010-11-08 오세권 새싹채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25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stmanesh High polyphenol, low probiotic diet for weight loss because of intestinal microbiota interaction
CN105146614B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CN105249100B (zh) 发酵果蔬汁与甜酒酿复合功能饮料的生产方法
CN104982928B (zh) 一种红豆杉果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JP5249817B2 (ja) フルクタン含有食品からの免疫賦活発酵食品
JP6479768B2 (ja) 新規ラクトバチラス・パラカゼイ株
CN109125525B (zh) 防治心血管疾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271274B (zh) 一种营养保健粥
WO2006093267A1 (ja) 免疫調節作用を有する発酵組成物
CN1931879A (zh) 银耳杂多糖或其提取物的新用途
WO2009131208A1 (ja) 抗アレルギー作用を有する新規乳酸菌と、該乳酸菌を含む抗アレルギー剤、食品及び医薬品組成物と、前記抗アレルギー剤の製造方法
JP2018153182A (ja)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tci378、およびそれを用いた脂肪の減少および胃腸機能の改善における使用
CN103445048A (zh) 含有益生菌的大豆寡糖产品及其制备方法
CN103766904A (zh) 一种具有降脂、通便功能胶囊的制备及其应用
CN108283285A (zh) 一种糖尿病的理疗保健食品
CN107593925A (zh) 一种黑豆黑木耳豆奶及其制备方法
CN111329055B (zh) 一种簕菜酵素的制备方法
JP2018519337A (ja) 便秘及び疲労回復の改善機能を有する発酵ミネラル生食丸剤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発酵ミネラル生食丸剤
KR101496244B1 (ko) 발효 치커리를 이용한 변비 개선용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1421677B1 (ko)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제조방법
CN105899090A (zh) 包含乳酸菌的肠道屏障功能促进剂
CN106974263A (zh) 一种能降脂减肥,复合益生菌植物酵素粉的制备方法
KR100994196B1 (ko) 마늘 청국장 발효액의 제조방법
CN117177673A (zh) 罗伊氏乳杆菌的预调理
KR102133015B1 (ko) 당뇨병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