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049B1 -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049B1
KR101421049B1 KR1020080018971A KR20080018971A KR101421049B1 KR 101421049 B1 KR101421049 B1 KR 101421049B1 KR 1020080018971 A KR1020080018971 A KR 1020080018971A KR 20080018971 A KR20080018971 A KR 20080018971A KR 101421049 B1 KR101421049 B1 KR 10142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wrinkle
plumping
cosmetic composition
hyalur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446A (ko
Inventor
양영준
김은정
이화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1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0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플럼핑(lip-plumping)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자극 없이 지속적으로 실질적인 볼륨효과를 제공하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및 입술 및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올레아놀산 성분을 함유하여 립-플럼핑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동시에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립-플럼핑, 입술주름 개선, 히알루론산, 올레아놀산, 입술용 화장료

Description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lip-plumping and wrinkle-improvement of lips}
본 발명은 립-플럼핑(lip-plumping)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자극 없이 지속적으로 실질적인 볼륨효과를 제공하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및 입술 및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올레아놀산 성분을 함유하여 립-플럼핑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동시에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성들은 피부의 주름을 완화시켜주는 화장료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특히 피부와는 생리적, 물리적 및 생물학적 특성이 다른 입술에 대해 볼륨감 있고 탱탱하며 섹시한 외관을 보일 수 있도록 해주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인해 성형외과적인 수술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비용발생 및 육체적인 고통 등을 고려하여 화장품을 통해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화장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입술 볼륨 및 입술 윤곽을 뚜렷이 하는 제품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제품들이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이미 자사에서도 실질적인 볼륨효과를 제공하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및 입술의 혈색강화에 도움이 되는 니아신 성분을 함유하는 립-플럼핑 메이크업 화장료 제품을 출시한 바 있다.
특히, 최근들어 립-플럼핑(lip-plumping) 효과와 더불어 자외선 차단, 보습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동시에 추구하는 립-플럼핑(lip-plumping) 제품이 점차적으로 확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립-플럼핑(lip-plumping)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는 유성기제에 왁스상 물질들과 혼합하여 만들어지게 되는데, 구성성분은 아래와 같이 몇 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우선, 첫 번째로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및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경도를 상승시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는 납상성분이 포함되고, 두 번째로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오일, 라놀린 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과 합성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등의 액상 유성성분이 포함되며, 세 번째로 입술 상태 개선을 위한 효능성분과 비타민류 및 고 보습성분과 항산화 성분들이 배합되고, 네번째로 유기 및 무기 색소로 이루어지는 색소성분이 포함되며, 다섯번째로 산화방지제, 방부제, 착향제 및 영양성분이 포함되고, 여섯번째로 펄안료 등의 기타성분이 첨가된다.
한편, 플럼핑 효과를 제공하는 기공지된 물질은 온감(warming) 효과를 제공하는 온감제(warming agent)인 다가알콜, 고추분말, 고추향, 고추즙, 캡사이 신(capsaicin), 호모캅사이신, 호모디하이드로캅사이신, 노나노일 바닐릴 아미드, 노난산 바닐릴 에테르, 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유도체(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9729호), 이소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에틸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베라트릴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알킬 에테르,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에틸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생강즙, 생강 오일, 진제올(gingeol), 진제론(gingeron), 노루벌풀, 계피, 생강, 로즈마리 및 니아신 성분 등이 있으며, 온감제 이외의 물질로는 팔미토일 올리고펩타이드(Palmitoyl Oligopeptide;Pal-GHK) 및 콜라겐(collagen) 성분 등이 있다.
한편, 다양한 효과를 하나의 제품에서 해결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및 보습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립-플럼핑(lip-plumping)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립-플럼핑 효과와 주름 개선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는 제품은 출시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립-플럼핑 효과와 주름 개선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고자 연구한 결과, 아프지 않으면서도 플럼핑 효과를 주며 높은 팽윤도를 보이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와 입술의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올레아놀산을 사용하여 충분한 플럼핑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입술주름 개선의 효과를 갖는 주름 개선 립-플럼핑 입술용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립-플럼핑 효과와 입술 주름 개선의 효과를 동시에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높은 팽윤도를 보이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와 입술주름의 개선 효과가 있는 올레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립-플럼핑(lip-plumping)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고 높은 팽윤도를 보이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실질적인 립-플럼핑 효과를 제공하였고 동시에 올레아놀산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입술의 주름을 개선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립-플럼핑 입술용 화장료"는 입술을 아프지 않게 하면서 통통하게 하여 볼륨감 있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립-플럼핑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프지 않게 플럼핑 효과를 제공하는 높은 팽윤도를 보이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수평균 분자량 기준 700,000∼2,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은 한국특허출원 제2007-15864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간략히 언급하면, a) 오일성분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키는 단계; b) 염기성 수용액에 히알루론산 및 수용성 가교제를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a)의 혼합액에 상기 b)의 수용액을 투입하여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c)의 w/o 에멀젼을 60℃로 가열하면서 수용액 상의 가교제와 히알루론산의 가교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 e) 상기 d)의 w/o 에멀젼의 온도를 상온으로 유지하면서 수용액을 산으로 중화시키고 수용액상의 가교제와 히알루론산의 가교반응을 완료하는 단계; 및 f) 상기 e)의 w/o 에멀젼으로부터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는
i)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오일상 및 ii) 염기성 수용액에 히알루론산과 수용성 가교제가 용해된 수상이 1:1 내지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w/o 에멀젼에서 가교된 것이다.
상기에서, 오일상은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CEH), 도데칸(dodecane) 및 헵탄(hept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계면활성제는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30) 디폴리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30) dipolyhydroxy stea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염기성 수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암모니아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수용성 가교제는 비스에폭시드로서 부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BDG)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PEGDG)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올레아놀산 성분은 피부의 주름 개선 성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C30H48O3의 화학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은 팽윤도를 보이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와 올레아놀산은 그대로 또는 오일과 점증제에 분산시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0.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올레아놀산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며, 이들을 오일과 점증제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오일과 점증제에 분산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는 0.0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의 양으로, 올레아놀산은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 중량%를 함유한다. 이는 상기 립-플럼핑 효과를 주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립 플럼핑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5 중량% 초과시에는 플럼핑 효과가 증가하지 않고 피부에 약간의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올레아놀산의 경우 0.01 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주름 개선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3 중량% 이상에서는 함량증가에 따른 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하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사용하는 오일은 트리이소노나노인(triisononanoin),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점증제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계열 및 그 유도체 또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계열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류 0.1∼20 중량%; 및 에스테르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오일을 단독 혹은 혼합한 혼합물 5∼60 중량%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왁스류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왁스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칸데릴라납, 밀납, 카르바나우납, 파라핀납, 목납, 세레신 및 마이크로그리스탈린납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왁스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15 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이는 상기 왁스류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에서는 안정성을 확보할만한 점도나 경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20 중량% 초과시에는 최종 입술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뻑뻑하며 발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오일류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오일류로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용성이 확보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이나 에스테르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피마자유, 유동파라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글리세라이드, 젖산미리스틸, 옥탄도데칸올,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C13-18 에시드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린 및 트리메틸 펜타페닐트리실록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오일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이는 상기 오일류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에서는 끈적이고 뻑뻑한 사용감을 나타내며, 60 중량% 초과 시에는 번지거나 미끈거리는 사용감으로 지속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목적에 따라 실리콘오일, 실리콘 젤, 보습제, 보존제, 폴리머, 자외선 흡수제, 체질 안료, 펄 안료 및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하는 바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립글로스의 제조
비교예 1은 온감제로서 바닐릴 부틸 에테르를 0.2 중량% 정도 함유하고, 비교예 2는 냉감제로서 멘톨 성분이 0.5 중량% 함유되며, 실시예 1은 아프지 않게 플럼핑 효과를 제공하는 높은 팽윤도를 보이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10 중량%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위한 올레아놀산 성분을 0.02 중량% 함유하는 적용 처방이다.
성분명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1.밀납 4.0 4.0 4.0
2.폴리부텐 25.0 25.0 25.0
3.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25.0 25.0 25.0
4.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5.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잔량 잔량 잔량
6.마이카 3.0 3.0 3.0
7.TiO2 0.5 0.5 0.5
8.옐로우 #5 레이크 0.3 0.3 0.3
9.레드 #6 레이크 0.2 0.2 0.2
10.바닐릴 부틸 에테르 - 0.20 -
11.멘톨 - - 0.5
12.유용성 감초유도체 - 0.5 -
13.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10.0 - -
14.올레아놀산 0.02 - -
15.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16.단품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원료 1∼6을 평량하여 9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들었다.
(2) 상기 (1)에 원료 7∼9를 평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3) 원료 10∼16을 평량하였다.
(4) 상기 (2)의 혼합물의 온도를 75∼85℃로 조절한 다음 상기 (3)를 서서히 가하면서 호모게나이저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탈기, 부향 및 냉각의 과정을 거쳐 립글로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3∼4] 립스틱의 제조
비교예 3은 온감제로서 바닐릴 부틸 에테르를 0.2 중량% 정도 함유하고, 비교예 4는 냉감제로서 멘톨 성분이 0.5 중량% 함유되며, 실시예 2는 아프지 않게 플럼핑 효과를 제공하는 높은 팽윤도를 보이는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10 중량%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위한 올레아놀산 성분을 0.02중량% 함유하는 적용 처방이다.
성분명 실시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칸델릴라 왁스 8.0 8.0 8.0
2.세레신 8.0 8.0 8.0
3.하이드로제네이티드 베지터블오일 7.0 5.0 5.0
4.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5.0 5.0 5.0
5.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10.0 10.0
6.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잔량 잔량 잔량
7.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3.0
8.TiO2 3.0 3.0 3.0
9.옐로우 #5 2.0 2.0 2.0
10.I.O.레드 2.0 2.0 2.0
11.레드 #6 2.0 2.0 2.0
10.바닐릴 부틸 에테르 - 0.20 -
11.멘톨 - - 0.5
12.유용성 감초유도체 - 0.5 -
13.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10.0 - -
14.올레아놀산 0.02 - -
15.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16.단품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원료 1∼7을 평량하여 9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들었다.
(2) 상기 (1)에 원료 8∼11을 평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3) 위의 원료 12∼16을 평량하였다.
(4) 상기 (2)의 혼합물의 온도를 75∼85℃로 조절한 다음 상기 (3)을 서서히 가하면서 호모게나이저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탈기, 부향 및 냉각의 과정을 거쳐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립글로스의 자극감(온감)과 볼륨감 및 주름 개선효과에 대한 비교
37명의 여성에게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립글로스를 각각 도포하게 한 후, 입술에서 느끼는 자극의 정도와 볼륨감을 관능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자극의 정도
(온감포함)
자극(온감) 지속
(분)
볼륨감
(만족도5)
주름 개선
(만족도5)
실시예 1 초기의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5 4.78 3.27
비교예 1 초기부터 거의 일정한 온감유지 30 4.13 1.25
비교예 2 통각을 자극하여 자극을 느낌 10 1.03 1.32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비교예 1의 경우 바닐릴 부틸 에테르에 의한 지속적이며 일정한 온감 효과를 통한 볼륨감을 제공하였으나, 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하였고, 비교예 2에서는 냉감제 멘톨을 사용하여 자극을 주어 온감 유사 효과를 주기는 하지만 일부 자극을 느끼는 패널들이 있었으며 온감의 지속도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 역시 미미하였다.
반면에, 실시예 1의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은 초기부터 자극이나 온감이 거의 없이 볼륨감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주름 개선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예 1 및 2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값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립스틱의 자극(온감) 및 볼륨감에 대한 비교
37명의 여성에게 실시예 2 및 비교예 3∼4에서 제조한 립스틱을 각각 도포하게 한 후, 입술에서 느끼는 자극의 정도와 볼륨감을 관능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자극의 정도 (온감포함) 자극(온감) 지속
(분)
볼륨감
(만족도5)
주름 개선
(만족도5)
실시예 2 초기의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5 4.56 4.19
비교예 3 서서히 온감이 나타나고 거의 일정한 온감유지 30 3.72 1.12
비교예 4 초기부터 통각을 자극하여 멘톨에 의한 자극을 느낌 10 0.43 1.3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이 초기부터 자극이나 온감이 거의 없이 볼륨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과 주름 개선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예 3 및 4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9]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와 올레아놀산 함량에 따른 립글로스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와 올레아놀산의 함량을 달리한 실시예 3∼4 및 비교예 5∼7의 립글로스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1.밀납 4.0 4.0 4.0 4.0 4.0
2.폴리부텐 25.0 25.0 25.0 25.0 25.0
3.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25.0 25.0 25.0 25.0 25.0
4.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5.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6.마이카 3.0 3.0 3.0 3.0 3.0
7.TiO2 0.5 0.5 0.5 0.5 0.5
8.옐로우 #5 레이크 0.3 0.3 0.3 0.3 0.3
9.레드 #6 레이크 0.2 0.2 0.2 0.2 0.2
10.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1.0 5.0 20.0 10.0 10.0
11.올레아놀산 0.02 0.02 0.02 0.01 0.5
12.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단품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원료 1∼6을 평량하여 9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들었다.
(2) 상기 (1)에 원료 7∼9를 평량하여 넣고 분산시켰다.
(3) 원료 10∼13을 평량하였다.
(4) 상기 (2)의 혼합물의 온도를 75∼85℃로 조절한 다음 상기 (3)를 서서히 가하면서 호모게나이저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탈기, 부향 및 냉각의 과정을 거쳐 립글로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3]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함량에 따른 립글로스의 립-플럼핑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5∼7에서 제조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함량에 따른 립글로스의 볼륨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명의 여성에게 실시예 1 및 비교예 5∼7의 립글로스를 각각 도포하게 한 후, 입술에서 느끼는 볼륨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력을 관능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은 아프지 않으면서 립-플럼핑 효과가 있는 기준처방으로서 비교예와 실시예 1을 비교하였다.
구분 온감 및 자극의 정도 만족도(볼륨감)
실시예 1 초기에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4.86
실시예 3 초기에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4.77
실시예 4 초기에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4.67
비교예 5 초기에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4.16
비교예 6 초기에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4.03
비교예 7 초기에 약간의 온감이 있으나 자극이 없음 4.21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온감과 자극의 정도는 비교예 5∼7과 실시예 1, 3 및 4가 동일한 현상을 보이며, 실시예 1 이상의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를 사용해도 볼륨감에 대한 만족도는 올라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립-플럼핑(볼륨감)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이 가장 좋은 볼륨감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 및 올레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 중량%로 함유되고,
    상기 올레아놀산은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 중량%로 함유되는,
    립-플럼핑(lip-plumping) 및 입술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18971A 2008-02-29 2008-02-29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971A KR101421049B1 (ko) 2008-02-29 2008-02-29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971A KR101421049B1 (ko) 2008-02-29 2008-02-29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446A KR20090093446A (ko) 2009-09-02
KR101421049B1 true KR101421049B1 (ko) 2014-07-21

Family

ID=4130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971A KR101421049B1 (ko) 2008-02-29 2008-02-29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237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콜마주식회사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KR102193298B1 (ko) 2020-03-30 2020-12-23 김은지 립 플럼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3325B (zh) * 2021-05-31 2022-04-05 宝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丰唇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877A (ko) * 1999-10-14 2002-08-05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KR20060065585A (ko) * 2003-06-20 2006-06-14 어드밴스드 인 비트로 셀 테크놀로지스, 에스.엘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들
KR20070004159A (ko) * 2005-07-04 2007-01-0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히알루론산 가교물의 제조방법
KR20070122315A (ko) * 2006-06-26 2007-12-31 (주) 에스바이오메딕스 자가 진피 세포 및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주사용 인체연조직 충전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877A (ko) * 1999-10-14 2002-08-05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KR20060065585A (ko) * 2003-06-20 2006-06-14 어드밴스드 인 비트로 셀 테크놀로지스, 에스.엘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들
KR20070004159A (ko) * 2005-07-04 2007-01-0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히알루론산 가교물의 제조방법
KR20070122315A (ko) * 2006-06-26 2007-12-31 (주) 에스바이오메딕스 자가 진피 세포 및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주사용 인체연조직 충전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237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콜마주식회사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KR102089263B1 (ko) * 2018-05-04 2020-03-16 한국콜마주식회사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KR102193298B1 (ko) 2020-03-30 2020-12-23 김은지 립 플럼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446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KR102586463B1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0391B1 (ko)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4279A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TWI733678B (zh) 包含水溶性聚合物的油包水型唇部化妝品組合物
PL189774B1 (pl) Przeciwpotowa kompozycja kosmetyczna w postaci kremu lub kompozycji na kulce
DE102004048987B3 (de) Kühlen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JP2983487B2 (ja) 多糖類アルキルエーテルで増粘させた組成物
KR101421049B1 (ko)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1683510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ster derivative of pentaerythritol and benzoic acid
KR20070081994A (ko) 청량감과 펄감을 제공해주는 스틱형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1272740B1 (ko) 립플럼핑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S63107911A (ja) 頭髪化粧料
JP3543523B2 (ja) ボディ用化粧料
KR101451107B1 (ko) 립-플럼핑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095844A (ja) 化粧料
JP7456866B2 (ja) エアゾール化粧料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306410A (ja) 粉末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041500B2 (ja) 皮膚化粧料
JP2008031045A (ja) 液状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JPS64104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