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63B1 -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63B1
KR102089263B1 KR1020180051610A KR20180051610A KR102089263B1 KR 102089263 B1 KR102089263 B1 KR 102089263B1 KR 1020180051610 A KR1020180051610 A KR 1020180051610A KR 20180051610 A KR20180051610 A KR 20180051610A KR 102089263 B1 KR102089263 B1 KR 10208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ping
lip
oil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237A (ko
Inventor
이준환
김진모
김종협
김소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2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로서, 플럼핑 원료, 왁스, 오일 및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플럼핑 효과가 극대화되면서도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OILY COSMETIC COMPOSITION FOR LIP PLUMPING HAVING IMPROVED FORMULATION STABILITY}
본 발명은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플럼핑 원료를 포함하여도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플럼핑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성들 사이에서는 입술이 볼륨감 있고 탄력있고 섹시하게 보이는 시술이나 화장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피부과에서 이루어지는 외과적 수술이나 보형물을 삽입하는 시술은 신체에 손상이 가해지고, 때에 따라서는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는 위험성이 있는 바, 유해성과 위험성이 크지 않은 방법으로서 입술을 도톰하게 보이게 하는 화장료의 사용에 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입술에 도포함으로써 입술을 도톰하게 보이게 하거나 입술이 부푸는 효과가 있는 소위, 플럼핑 화장료는 화장료에 포함되는 플럼핑 원료가 입술에 자극을 주거나 입술 부위의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입술을 도톰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화장료로서, 립스틱, 립밤 및 립오일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한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음식을 먹거나 대화를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화장료 성분이 지워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수시로 입술에 도포할 수 있도록 간이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립스틱이나 립글로스 등의 간편한 형태로 제조되므로 잘 지워지는 입술 화장료의 특성 상 플럼핑 효과의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플럼핑 원료를 포함하는 유성 화장료의 경우, 립스틱이나 고형 립밤으로 제조하면 제형이 불안정하여 립스틱이나 립밤 내에 플럼핑 성분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고온에서 쉽게 무너져 내려 화장료가 뭉개지거나 발림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립스틱과 같은 색소가 첨가되는 화장료의 경우에는 제형이 불안정해지면 각 성분이 화장품 내에서 분리되어 색상 띠가 형성되는 등의 제품 자체의 품질에 큰 타격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기존의 플럼핑 화장료는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화장료 전체 중량 중에 소량으로만 첨가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고 이에 따라, 미미한 플럼핑 효과를 갖는 화장료를 제조하는데 머물러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2740호는 립 플럼핑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플럼핑 효과를 주는 온감제를 화장료 총 중량 중의 0.01 내지 1 중량%로 첨가하는데 그치고 있어, 더욱 뛰어난 플럼핑 효과를 갖는 플럼핑 화장료의 개발이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01268호는 플럼핑 효과를 제공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화베이스 대신 수용성 폴리머를 유상 내에 안정화시킨 유중수 제형의 입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성제품인 입술 플럼핑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플럼핑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플럼핑 원료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유성화장료로서 입술 플럼핑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플럼핑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72740 (2013.06.1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7-0001268 (2017. 01. 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반복한 끝에, 플럼핑 원료, 왁스, 오일 및 파우더로 구성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의 오일성분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으로 구성하고, 다양한 종류의 플럼핑 원료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유성화장료의 제형이 안정하므로 플럼핑 원료를 과량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플럼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의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은 종전의 입술 플럼핑 화장료에서 각 구성성분이 분리되어 화장품 외형이 변형되거나 색 띠가 나타나는 등의 품질에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플럼핑 원료 0.1 내지 10 중량%, 왁스 5 내지 25 중량%, 오일 40 내지 75 중량% 및 파우더 8 내지 35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일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플럼핑 원료가 지모 추출물,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럼핑 원료는 지모 추출물을 포함하고,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를 1종 이상 포함하며,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를 1종 이상 포함하고,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지모 추출물, 캡사이신 플럼핑제,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와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지모 추출물: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 멘톨 및 멘톨 유도체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이 1: 0.1~5: 0.1~5: 1~15의 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멘톨 및 멘톨 유도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멘톨 및 멘틸 PCA일 수 있고, 멘톨 및 멘틸 PCA가 함께 첨가되는 경우에는 1 : 0.7~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립글로스, 립틴스, 립오일, 립밤, 립크림, 립트리트먼트, 립라커 및 립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세하게는, 립스틱 또는 립밤일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립스틱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에 있어서, 오일성분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고, 플럼핑 원료를 지모 추출물, 캡사이신 플럼핑제,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와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립스틱이나 립밤과 같은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플럼핑 화장료와 비교할 때, 플럼핑 원료를 많이 첨가하는 경우에도 제형이 무너지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화장품 내에서 각 성분의 분리되거나 화장품의 제형이 뭉개지는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플럼핑 원료가 화장료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플럼핑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플럼핑 원료를 포함하더라도 안정적인 화장료 제형을 가지므로, 플럼핑 원료의 함량을 증가시킨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플럼핑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균등한 품질의 입술 플럼핑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바,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품질 향상 및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2는 과량의 파우더를 함유한 플럼핑 립스틱에 크랙이 형성되거나 부러진 사진이다;
도 3은 25℃에서 스웨팅 현상이 나타난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립스틱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2에 따른 립스틱의 제조과정에서 색 분리가 나타난 화장료(우)와 실시예 1의 화장료(좌)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플럼핑 립스틱의 제품사진이다.
본 발명은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로서, 플럼핑 원료를 포함하는 유성화장료 제품에 있어서, 제형이 불안정하여 플럼핑 원료가 용출되거나 각 성분이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화장료를 제조할 때 제형을 불안정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플럼핑 원료의 첨가가 제한되었다. 플럼핑 화장료의 주된 기능은 입술 플럼핑 효과에 있는 것이고, 기타 보습이나 각질제거 효과 등은 부수적인 효과에 불과한 것인데도, 플럼핑 화장료를 사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크지 않았던 문제가 있었다.
유성화장료에 플럼핑 원료를 첨가하는 것 자체로도 제형이 불안정한 문제로 인해 플럼핑 원료를 소정의 함량으로 제한하여 화장품으로 구현해야하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는 전체 화장료 대비 10 중량% 로 플럼핑 원료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립스틱의 경우, 고온에서 발생하는 스웨팅 현상이 실온에서도 발생하며, 고형 상이 쉽게 무너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리되어 립스틱 내에 띠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더욱이, 입술에 직접 바르는 화장품으로 입술자극에 민감한 경우 입술 포진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종래의 플럼핑 화장료와는 달리 본 발명의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유성화장료에 포함되는 오일성분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으로 포함하고, 플럼핑 원료를 1 종 이상을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안정적인 제형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플럼핑 원료, 왁스, 오일 및 파우더를 포함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플럼핑 원료 플럼핑 원료 0.1 내지 10 중량%, 왁스 5 내지 25 중량%, 오일 40 내지 75 중량% 및 파우더 8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럼핑 원료를 1 내지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플럼핑 원료가 상기 함량보다 과다하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입술에 과다한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심하게는 입술 포진을 유발하는 문제, 립스틱 스웨팅 현상 발생 및 화장료 제형에 컬러띠가 발생되며 분리되고 제형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입술 플럼핑 화장료와 유사한 수준의 플럼핑 효과를 가지는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왁스가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제조과정에서 원료 성분의 혼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하기 위해서는 제조 시 추가 교반과정을 장시간 수행해야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립스틱 제형의 플럼핑 화장료에서 스웨팅(Sweating) 현상이 나타나고 화장료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왁스와는 반대로, 오일의 함량이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립스틱 제형의 플럼핑 화장료에서 스웨팅 현상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고, 오일이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발림성이 떨어지고, 화장료의 제조 시 구성성분의 혼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파우더는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립스틱이나 립밤 등과 같은 고형 화장료 제형으로 구현할 때 제형 자체 크랙이 발생하거나, 이로 인해 고형 화장료가 부러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파우더가 과량으로 첨가됨에 따라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고형 화장료의 경도가 떨어져 입술에 바를 때 고형 화장료가 쉽게 뭉개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럼핑 원료는, 지모 추출물,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는 캡사이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캡사이신, 고추 분말, 고추 추출물, 고추 틴크, 호모캡사이신, 호모디하이드로캡사이신 및 노루벌풀, 계피 등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는 진저롤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생강 추출물, 생강 오일, 생강 분말, 생강 틴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생강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톨 유도체는 멘톨로 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플럼핑 원료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멘틸 에스테르 유도체, 멘틸 아마이드 유도체 등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멘틸 락테이트, 멘틸 살리실레이트, 멘틸 아세테이트, 멘틸 PCA, 멘틸 카르비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은 멘톨 및/또는 멘틸 PCA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은 멘톨 및 멘틸 PCA일 수 있으며, 멘톨과 멘틸 PCA가 동시에 첨가되는 경우에는, 1: 0.7~5 중량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0.9~4.5, 가장 바람직하게는 1: 1~4 중량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멘톨 및 멘틸 PCA의 중량 비율이 1: 0.7 미만인 경우에는, 상온에서도 스웨팅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고, 1: 5 초과인 경우에는, 립스틱의 강도가 커서 입술에의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왁스 성분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오조케라이트, 밀납, 칸데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 세레신, 파라핀, 몬탄왁스, 저팬왁스, 코코아버터 및 합성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왁스 성분의 종류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오일 성분은 예를 들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텐, 각종 폴리올,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 옥틸도데칸올,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릴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옥틸도데실시트레이트 등의 합성오일, 팜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세사미오일, 올리브오일 및 피마자유 등의 식물성 오일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함으로써 플럼핑 원료와 혼합할 때 안정적인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파우더 성분은 무기 파우더 및/또는 유기 파우더일 수 있고, 예들 들면, 백운모, 견운모, 이산화티탄, 알루미나 등의 무기 파우더일 수 있고, 나일론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셀룰로오스 파우더, PMMA 등의 유기 파우더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플럼핑 원료는 지모 추출물을 포함하고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멘톨 및 멘톨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럼핑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되, 상기 성분을 1: 0.1~5: 0.1~5: 1~15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0.5~3.5: 0.5~3.5: 3~8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0.7~2.5: 0.7~2.5: 4~7.5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를 상기 비율보다 과량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입술에 자극을 많이 주게 되어, 발진이 일어나거나 입술이 부르트는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상기 비율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플럼핑 원료와 다른 왁스 및 오일 성분이 분리되어 제형이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멘톨 및 멘톨 유도체를 상기 비율보다 과량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입술 주변 피부가 붉게 일어나는 등의 입술 주변 부위에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비율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면 플럼핑 원료의 성상이 너무 묽은 액체 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로 제조된 화장품이 물러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플럼핑 원료는 지모 추출물, 고추 추출물과 생강 오일, 멘톨과 멘틸 PCA(Menthyl PCA, menthyl pyrrolidone carboxylat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립글로스, 립틴트, 립오일, 립밤, 립크림, 립트리트먼트, 립라커 및 립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형 상인 립스틱 또는 립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왁스 및 파우더 성분을 80 내지 95 ℃에서 7 내지 30분간 혼합한 후, 플럼핑 원료를 첨가하고, 80 내지 95 ℃에서 10 내지 20 분간 혼합한다. 혼합물을 탈기하여 립스틱 등의 제형으로 구현함으로써 완성된다.
이하에서, 실시예에 기초하여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각 구성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예에 의해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플럼핑 립스틱의 제조
<실시예 1>
하기 표 1의 성분을 혼합하여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5%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9%
옥틸도데칸올 1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트리옥틸도데실시트레이트 10%
오조케라이트 6.5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50%
폴리에칠렌 2.00%
카나우바 왁스 2.00%
멘톨 1.50%
멘틸 PCA 2.00%
고추추출물 0.50%
생강오일 0.50%
지모추출물 0.50%
실리카 5%
카올린 10%
<실시예 2>
플럼핑 원료와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각각 멘톨 2.0 중량%, 멘틸 PCA 2.9 중량%, 고추추출물 0.7 중량%, 생강오일 0.7 중량%, 지모추출물 0.7 중량%로 포함하고,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7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플럼핑 원료와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각각 멘톨 2.7 중량%, 멘틸 PCA 3.6 중량%, 고추추출물 0.9 중량%, 생강오일 0.9 중량%, 지모추출물 0.9 중량%로 포함하고,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5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플럼핑 원료와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각각 멘톨 3.6 중량%, 멘틸 PCA 4.8 중량%, 고추추출물 1.2 중량%, 생강오일 1.2 중량%, 지모추출물 1.2 중량%로 포함하고,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2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플럼핑 원료와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각각 멘톨 4.5 중량%, 멘틸 PCA 6.0 중량%, 고추추출물 1.5 중량%, 생강오일 1.5 중량%, 지모추출물 1.5 중량%로 포함하고,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9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플럼핑 원료를 멘톨 0.3 중량%, 멘틸 PCA 0.4 중량%, 고추추출물 0.1 중량%, 생강오일 0.1 중량%, 지모추출물 0.1 중량%로 포함하고,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23 중량%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플럼핑 원료를 멘톨 0.9 중량%, 멘틸 PCA 1.2 중량%, 고추추출물 0.3 중량%, 생강오일 0.3 중량%, 지모추출물 0.3 중량%로 포함하고,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21 중량%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2 중량%, 오조케라이트 13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2 중량%, 오조케라이트 2 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중량%, 실리카 10 중량%, 카올린 20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플럼핑 원료를 멘톨 1.8 중량%, 멘틸 PCA 2.2 중량%, 지모추출물 1.0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플럼핑 원료를 고추추출물 1.7 중량%, 생강오일 1.7 중량%, 지모추출물 1.7 중량%로 포함하고, 오조케라이트를 6.4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플럼핑 원료를 멘톨 2.1 중량%, 멘틸 PCA 2.9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플럼핑 원료를 멘톨 1.0 중량%, 멘틸 PCA 1.0 중량%, 고추추출물 1.0 중량%, 생강오일 1.0 중량%, 지모추출물 1.0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플럼핑 원료를 멘톨 1.8 중량%, 멘틸 PCA 2.2 중량%, 고추추출물 1.0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5 중량% 대신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5 중량%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플럼핑 원료를 멘톨 2.3 중량%, 멘틸 PCA 1.2 중량%, 고추추출물 0.5 중량%, 생강오일 0.5 중량%, 지모추출물 0.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플럼핑 원료를 멘톨 0.40 중량%, 멘틸 PCA 3.1 중량%, 고추추출물 0.5 중량%, 생강오일 0.5 중량%, 지모추출물 0.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온도별 립스틱 스웨팅 발생여부 확인실험
실시예와 비교예의 화장료에 적색 201호 및 황색 4호를 각각 1.34 g, 1.0 g 첨가하여 혼합한 후 냉각시켜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 별로 각각 3개의 동일한 립스틱을 준비하고, 25℃에서 5일간 시료를 숙성시켰다. 숙성된 시료를 25℃, 40℃ 및 50℃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인큐베이터에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립스틱을 넣고, 30분 경과 후에 스웨팅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25℃ X X X X X X
40℃ X X X X X X
50℃ X X X X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3 비교예14
25℃ X X X X X
40℃ X X
50℃ X X
(O: 스웨팅 발생, △: 스웨팅 발생이 미미, X: 스웨팅 발생하지 않음)
실험예 2 - 립스틱 강도 확인 실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립스틱에 대해 절단경도와 침입도를 측정하였다.
Rheo Tech 사의 FUDOH RHEO METER(RTC-3002D)를 사용하고, 절단경도 측정을 위해 15mm 두께의 피아노선을 이용하여 2kg의 하중으로 절단경도를 측정하고, 침입도 측정을 위해 10mm 두께의 1mm Φ핀을 이용하여 200g의 하중으로 침입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절단
경도
156 152 152 120 80 158 156 106
침입도 67 67 66 52 20 68 67 40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3 비교예14
절단
경도
52 84 60 72 66 69 77 75
침입도 15 44 24 51 25 30 34 40
실험예 3 - 립스틱 색소 분리여부 확인 실험
고형화하여 완성된 립스틱을 25℃, 시간에 따라 립스틱의 색 띠 형성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1일후 X X X O X X X
3일후 X X X O O X X X
7일후 X X X O O X X X
15일후 X X O O X X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3 비교예14
1일후 X X X X X
3일후 X X
7일후 O O X
15일후 O O O O O
(O: 색 분리 띠 다수개 확인, △: 색 분리 띠가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일부 색변성 발생, X: 색 분리 띠 형성되지 않음)
실험예 4 - 플럼핑 효과 확인 실험
25세에서 39세의 여성 중에서, 1) 주 시험자가 설명한 피험자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임상 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하고, 2)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성 또는 만성 신체 질환없이 건강하며, 선별된 사람들과의 면담을 통해, 1) 임신 또는 수유 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거나, 2)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한 적이 있거나, 3)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졌거나, 4) 시험 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 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거나, 5) 연구 시작 전 6개월 이내에 박피 시술, 주름 제거 시술 등을 받았거나, 또는 6) 그 외 주 시험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제외하였다. 아울러, 위와 같은 선정기준에 합당하고 제외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피시험자라고 할지라도, 1) 시험 부위에 소양감이나 홍반 등의 이상반응이 발생하였거나, 2) 피시험자가 실험 진행과정 중 시험 부위에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하거나 지나친 음주, 흡연 등으로 결과 평가에 장애가 발생하였거나, 3) 피시험자가 실험 진행 과정 중 개인사정에 의해 추적관찰이 어렵거나, 또는 4) 기타 시험자의 판단으로 시험지속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사람은 제외하여 70명의 피시험자를 선정하였다.
상기 피시험자의 선정은 "기능성화장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2005.07."을 참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립스틱을 각 10개씩 준비하고, 시험자만이 구별가능한 표시를 하여 임의로 립스틱을 분배하여 맹검법에 의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피시험자는 플럼핑 립스틱을 사용하기 전에 Antera 3D Camera를 이용하여 입술 이미지를 촬영하고, 립스틱을 3 내지 5회 입술에 문질러서 충분히 도포한 후 약 1시간 경과 후에 동일한 조건에서 입술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이미지 분석장치(ANTERA 3DTM)를 이용하여 플럼핑 립스틱의 도포 전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도포 후의 부피 변화의 평균값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부피변화 112% 122% 130% 132% 135% 102% 105%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은 25℃와 40℃의 온도에서는 스웨팅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으며, 50℃의 온도에서 실시예 3의 립스틱만이 약간의 스웨팅 현상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25℃에서 스웨팅 현상이 나타난 비교예 1과 2의 립스틱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립스틱이 주로 상온에서 보관되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직접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있으므로, 약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스웨팅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비교예 1과 2의 경우, 상온에서도 스웨팅 현상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표 3의 절단경도와 침입도 측정에서 낮은 값을 가져 립스틱이 물러지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립스틱의 보관에 있어서도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립스틱을 입술에 바르는 과정에서 립스틱의 경도가 너무 무른 경우에는 바르는 양을 조절하거나, 립스틱의 발색 색상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표 4를 참조하면, 플럼핑 원료를 10 중량% 이상으로 첨가한 비교예 1과 2에서는 제조된 립스틱이 시간에 흐름에 따라 색 분리 띠를 형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다른 립스틱들과 비교할 때, 고형화하여 완성된 립스틱을 1일간 방치한 후에 확인한 경우에도 색변화나 색 분리 띠가 나타났다.
사용자에 따라서 립스틱을 1년 가량 사용하기도 하고,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한다면, 플럼핑 원료의 함량을 10 중량% 이상으로 하여, 플럼핑 립스틱을 제조하는 것은 품질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불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3과 4의 경우, 플럼핑 원료가 립스틱 내에 미량으로 첨가됨에 따라, 플럼핑 립스틱의 플럼핑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과 2와 대비하여 플럼핑 립스틱 도포 후의 입술 부피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 바, 플럼핑 원료가 소량으로 첨가된 경우에는 플럼핑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1의 플럼핑 립스틱을 사용한 피시험자 중 4명은 입술에 도포할 때 따끔거리는 증상이 나타났고, 비교예 2의 플럼핑 립스틱을 사용한 피시험자 중의 5명은 립스틱을 사용한 후 일주일 내에 입술 포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5의 경우, 과량의 왁스를 포함함에 따라, 제조과정에서 플럼핑 립스티을 구성하는 원료 성분을 혼합하는 시간이 다른 실시예나 비교예의 화장료에 비해 약 2배에서 3배 정도의 시간이 더 소요되는 제조 상의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6의 경우, 스웨팅 현상은 발생되지 않았으나, 고형성분이 과량으로 첨가됨에 따라, 고온에서 크랙이 발생되고, 경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립스틱의 절단경도 및 침입도 측정에 있어서는 가장 낮은 수치가 측정되었다.
한편, 비교예 7 내지 11의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의 플럼핑 원료, 오일, 왁스, 파우더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플럼핑 원료의 혼합비율이 상이하게 구성됨에 따라 스웨팅 현상이 심하게 일어나고, 색 분리 띠 내지는 색변성이 나타나며 립스틱의 경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8은 고추추출물, 생강오일 및 지모추출물만을 포함함에 따라, 립스틱의 강도가 다소 무르고, 스웨팅 현상도 심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7, 비교예 9 및 비교예 11의 경우에는, 멘톨과 멘틸 PCA를 포함함에 따라, 스웨팅 현상이 나타나거나 립스틱의 강도는 비교예 8보다는 높게 측정되었으나, 40℃에서 스웨팅 현상이 나타났다.
비교예 10의 경우에는, 멘톨 및 멘틸 PCA에 비해 고추추출물, 생강오일 및 지모 추출물이 과다하게 첨가됨에 따라, 제형이 불안정하여 립스틱의 색 분리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12과 같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플럼핑 원료의 용해가 어려워 하나의 혼합된 제형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립스틱과 같은 고형 화장료로 제조할 수 없었다. 구성성분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립스틱 형상으로 고형화하기도 전에 색 분리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는 바,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13는 실시예 1과 대비하여 멘틸 및 멘틸 PCA의 총 함량은 동일한 양으로 첨가되었으나, 두 성분의 중량 비율이 1: 약 0.5로서, 멘틸 PCA가 멘톨의 함량 대비 소량으로 첨가됨에 따라 상온에서 스웨팅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14와 같이 멘틸 대비 멘틸 PCA가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립스틱의 경도가 커져, 입술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로 활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0)

  1.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플럼핑 원료, 왁스, 오일 및 파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플럼핑 원료는,
    i) 지모 추출물; ii) 캡사이신 함유 플럼핑제; iii) 진저롤 함유 플럼핑제; 및 iv) 멘톨 및 멘톨 유도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1: 0.1~5: 0.1~5: 3~15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플럼핑 원료 0.1 내지 10 중량%, 왁스 5 내지 25 중량%, 오일 40 내지 75 중량% 및 파우더 8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멘톨 및 멘톨 유도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멘톨 및 멘틸 PCA(menthyl pyrrolidone carbox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멘톨 및 멘틸 PCA는 1 : 0.7~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립글로스, 립틴트, 립오일, 립밤, 립크림, 립트리트먼트, 립라커 및 립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립스틱 또는 립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51610A 2018-05-04 2018-05-04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KR10208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10A KR102089263B1 (ko) 2018-05-04 2018-05-04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10A KR102089263B1 (ko) 2018-05-04 2018-05-04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37A KR20190127237A (ko) 2019-11-13
KR102089263B1 true KR102089263B1 (ko) 2020-03-16

Family

ID=6853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610A KR102089263B1 (ko) 2018-05-04 2018-05-04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99B1 (ko) 2020-03-30 2020-12-22 김은지 살균램프가 구비된 립 플럼퍼
CN111939104A (zh) * 2020-08-25 2020-11-17 轻妍合生(天津)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魔力唇油
KR102518286B1 (ko) * 2020-10-28 2023-04-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틱형 립밤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되는 편의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스틱형 립밤
CN112245373B (zh) * 2020-11-06 2022-08-23 广州欧博化妆品有限公司 一种天然滋养保湿型护唇口红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49B1 (ko) * 2008-02-29 2014-07-21 (주)아모레퍼시픽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40B1 (ko) 2006-06-30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립플럼핑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4255A (ko) * 2006-09-13 2008-03-18 송철규 올리고펩타이드 함유 입술연지 조성물
KR102405998B1 (ko) 2015-06-26 2022-06-08 (주)아모레퍼시픽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49B1 (ko) * 2008-02-29 2014-07-21 (주)아모레퍼시픽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37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263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입술 플럼핑 유성화장료 조성물
EP2515828B1 (en) Stabilized glycerin-in-oil emulsions
JP4691357B2 (ja) 局所用グリコピロレート製品
Sahu et al. Skin cream as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a review
DE69733086T2 (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welche kukui nuss öl enthalten
KR102405998B1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US10736836B2 (en) Method of treating external tissues with waxes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9847B1 (ko) 피부 보습 및 진정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rveen et al. Topical microemulsion containing Punica granatum extract: its control over skin erythema and melanin in healthy Asian subjects
EP1078625B1 (de) Körperpflegemittel in Form eines frei stehenden Stiftes
KR101773523B1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80117651A (ko)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WO2009136633A1 (ja) 棒状化粧料、棒状化粧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9143086A (ja) 皮膚疾患治療剤及び化粧料
JP6664883B2 (ja) 外用組成物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3510930A (ja) スキンケア組成物
EP2749319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lips containing spherical silica microparticles
KR20090093446A (ko) 립-플럼핑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Marviani et al. Formulation of coenzyme Q10 liquid foundation with a variations linseed oil as the oil phase
KR20190013006A (ko)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1597505B1 (ko)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l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RBAL LIP BALM FOR CHEIL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