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186B1 -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186B1
KR101419186B1 KR1020130090806A KR20130090806A KR101419186B1 KR 101419186 B1 KR101419186 B1 KR 101419186B1 KR 1020130090806 A KR1020130090806 A KR 1020130090806A KR 20130090806 A KR20130090806 A KR 20130090806A KR 101419186 B1 KR101419186 B1 KR 101419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ire
barb
movemen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철
오은진
Original Assignee
오은진
양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진, 양영철 filed Critical 오은진
Priority to KR102013009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탠드에 대해 각도가 조절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활대 및 제2활대와,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의 제1가이드레일에 각각 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 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와이어 이동가이드 도르레와, 상기 이동가이드 도르레에 이동이 안내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한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활대와 제2활대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Arms exercising apparatus for rotator cuff}
본 발명은 어깨 근육 강화에 필요한 양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회선근개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이 동시에 가능한 새로운 양팔 운동기구를 제안한다.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요하는 근육인 회선근개 (rotator cuff)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으로 이루어지며, 팔을 뻗거나 구부린 상태에서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에 관여한다. 회선근개를 이루는 각 근육이 손상되면 심한 어깨 통증을 유발하게 되며 팔을 뻗거나 들어올리는데 문제가 생긴다.
어깨의 수평 또는 회전 스트레칭은 평소에 격무나 심한 운동으로 과다하게 사용한 어깨에서 유발될 수 있는 통증을 감소시키며 어깨 근육의 안정성도 유지 시킬 수 있다. 어깨 근육의 강화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상체 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며, 헬스장이나 체육시설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상체 운동기구는 주로 팔을 뻗거나 당기는 방식으로만 운동이 가능하였고, 예를 들어 아령을 이용하여 팔을 뻗은 상태에서 (주먹을 돌림으로써) 팔을 회전시키는 부분적인 회전 운동이 가능할 뿐 뻗는 동작과 회전 동작이 복합된 운동기구는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팔을 수직으로 뻗는 단순 직선 운동 방식의 경우, 특정 부위별 근육의 운동에 불과하여 자세 변형이 어렵고 회선근개 운동 효과가 떨어진다. 특히, 기존의 특정 관절 운동 위주의 운동 방식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관절 범위에 통증이 있는 환자를 위한 운동으로는 부적합하다.
한편, 중추신경계 질환 등으로 인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의 상지와 하지의 근력이 모두 저하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없는 편마비(hemiplegia) 환자에게는 상태의 악화를 방지하고 마비된 근육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뇌졸증으로 인해 한쪽이 마비되는 경우, 운동을 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면 몸의 구축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편마비 환자의 경우 한쪽 근육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마비된 다른 쪽 근육에 대해서는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어깨 근육이 손상된 환자나 근력이 저하된 노인 등의 경우 과도한 하중이 인가되는 기존의 상체 운동기구는 어깨 근육 강화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이 병합된 새로운 어깨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회선근개를 구성하는 모든 근육의 통합적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인의 스트레칭은 물론, 재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어깨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탠드에 대해 각도가 조절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활대 및 제2활대와,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의 제1가이드레일에 각각 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 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와이어 이동가이드 도르레와, 상기 이동가이드 도르레에 이동이 안내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한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활대와 제2활대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는 손잡이의 회전에 대해 회전 복원력을 유발할 수 있는 스프링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는 상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가 각각 제1활대 및 제2활대에 고정된 상태로 일정한 범위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활대와 제2활대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나선형 원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와 회전 동작이 연동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동작이 연동되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 요소를 포함하는 운동이 가능하여 회선근개를 구성하는 각 근육의 통합적 운동이 가능하다. 특히 팔의 움직임에 회전적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과도한 굽힘 근육과 펴짐 근육의 긴장도를 수정하고 근육의 최대 길이, 최대 장력을 높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한쪽 팔로 다른 팔의 직선 및 회전 운동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은 물론 팔이나 어깨를 다쳐 힘이 약하거나 편마비로 인하여 스스로 운동하기 어려운 중추신경계 환자까지 치료 목적에 적합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양팔 운동기구는 위 아래 및 다각도로 방향과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부위별 근육 강화만이 아닌 다양한 자세로 어깨의 안정성 및 팔의 회전에 관여하는 회선근개의 주변 협력 근들을 활성화시켜 기능적인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고, 중추신경계 질환 환자들의 재활 치료에 적용함으로써 뇌의 신경 자극성을 높이고 재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양팔 운동기구의 활대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4는 와이어의 일례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팔 운동기구에 따른 양팔의 운동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나선형 원통을 보인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서 손잡이 부분을 보인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
본 발명은 팔의 움직임에 회전적 요구를 충족시킨 새로운 상체 운동이 가능하도록 창안한 양팔 운동기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양팔 운동기구는 뻗기 움직임의 효율성을 높여 회선근개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뻗기의 회전성 및 대각선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한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100)를 도시한 것이다. 회선근개 운동을 위한 운동기구는 지면으로부터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탠드(10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기구는 스탠드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탠드에 대해 각도가 조절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활대(110a) 및 제2활대(110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스탠드에 고정된 제1지지부(104)와 제1활대 및 제2활대를 고정하는 제2지지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활대 및 제2활대가 상기 스탠드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활대와 제2활대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제1활대와 제2활대가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운동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장에 맞추어 운동기구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팔의 운동이 수직 상방 및 수평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1활대와 제2활대는 일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회선근개 운동의 편의성을 위하여 활처럼 휘어진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활대와 제2활대는 활대 각도 고정부(108)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제1활대와 제2활대 사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두 활대가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하트 모양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회선근개 운동 중에 활대 각도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활대 및 제2활대가 각각 위 아래로 회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도르레(122a)가 고정되는 제1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르레는 제1활대와 제2활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 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와이어(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는 제1도르레의 회전홈에 맞물려 이동이 가이드되며, 본 발명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에서 사용자의 두 팔의 움직임에 따라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을 할 때 힘이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도르레에 이동이 안내되는 와이어의 양 끝단에는 제1손잡이(140a) 및 제2손잡이(140b)가 연결된다. 와이어와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각 손잡이를 각 활대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부가 장치가 매개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는 회전 내지 회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활대(및 제2활대)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활대와 제2활대가 만나는 부위에 활대 간격조절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활대 각도 고정부(108)를 중심으로 활대 간격조절 레일 내에서 두 활대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르레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되어 있다. 운동 중에 와이어가 움직이더라도 제1도르레는 그 위치가 쉽게 바뀌지 않지만, 사용자의 체형이나 와이의 장력 등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1가이드레일 내에서 제1도르레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활대의 제1손잡이(140a) 근처에는 제2가이드레일(113)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레일은 소정 범위에서 제1손잡이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며, 손잡이를 각 활대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부가 장치가 제2가이드레일 내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손잡이(140a)와 제2손잡이(140b)는 각각 정위치에서 회전(C1, C2)이 가능하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왕복하여 직선 이동(L1, L2)이 가능하다. 또한, 제1활대(110a) 및 제2활대(110b)는 활대 각도조절 고정부를 중심으로 위 아래로 회동(H1, H2)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예를 들어, 제1손잡이를 회전하면서 위로 밀어올리고 제2손잡이를 회전하면서 아래로 당기는 운동이 가능하다. 반대로 제2손잡이를 회전하면서 위로 밀어올리고 제1손잡이를 회전하면서 아래로 당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동작을 속도를 달리하면서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므로 하나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다른 손잡이가 연동되어 당겨지거나 밀려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와이어가 원할하게 힘을 전달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활대 중앙에 기중 도르레(도 1의 124 참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는 와이어가 기중 도르레 아래면에 맞닿아 있지만, 지지대에 대한 활대의 각도 및 두 활대 사이의 각도의 변화에 따라 와이어가 기중 도르레 윗면에 접촉할 수도 있다.
한편, 손잡이 회전 동작 시 복원력을 부가하여 회전 운동에 대한 장력을 유발하기 위해 와이어를 회전 복원력(저항력) 내지 회전 장력이 있는 재질이나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130)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스프링 내지 코일 형태로 와이어가 꼬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A 부분). 이러한 스프링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에 연결된 손잡이를 회전시킬 때 회전 저항이 발생하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높이거나 하나의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하나의 손잡이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팔 운동을 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양쪽 팔(A1, A2)을 번갈아서 구부린 상태로부터 펴는 직선 운동(L1, L2)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직선 운동과 동시에 주먹(P1, P2)의 회전 운동(C1, C2)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팔 운동기구는 팔을 접거나 구부린 상태에서 위로 쭉 뻗는 직선 운동과 더불어 주먹을 돌리는 회전 운동을 함께 병행할 수 있어 회선근개의 근력 강화에 효과적이다.
특히 활대를 하트 모양으로 벌린 상태에서 손잡이가 달린 와이어를 통해 양팔 운동을 하면서 회전성을 부가시켜 팔의 대각선 패턴의 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뻗기 운동의 효율성 및 재활 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활대의 각도를 팔 움직임의 각도에 맞게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어깨에 이상이 있거나 중등도의 장애인도 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와이어를 통해 한쪽 팔로 반대쪽 팔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편마비 환자의 경우에도 다양한 범위로 자가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는 특히 어깨 환자나 중추신경계 질환 환자 등의 재활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지만, 와이어에 에어실린더나 무게추 등을 부가적으로 연결하여 하중을 높이거나 등급화된 운동 저항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정상인의 회선극계 근력 강화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두 개의 와이어(130a, 130b)를 포함하고 있고, 이 와이어들이 각각 제1손잡이(140a) 및 제2손잡이(140b)에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와이어(130a, 130b)는 각각 제1도르레(122a) 및 제2도르레(123a)를 통해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장력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두 와이어는 제1활대와 제2활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나선형 원통(150) 내부를 통과한다. 나선형 원통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나선형의 틀이 존재하며, 이 나선형 내부 구조를 따라 두 개의 와이어 줄이 꼬여 들어가게 함으로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활대 중앙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틀이 형성된 원통 내부에서 두 줄의 와이어가 꼬여 들어가게 함으로써 두 와이어가 연결된 각각의 손잡이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손잡이(140a)와 제2손잡이(140b)는 각각 정위치에서 회전(C1, C2)이 가능하며, 자유로운 동작에 의해 위 아래로 직선 이동(L1, L2)이 가능하고, 제1활대(110a) 및 제2활대(110b)는 위 아래로 회동(H1, H2)이 가능하다. 제1손잡이를 아래로 당기게 되면 두 와이어에 의해 제2손잡이가 위로 올라가게 되고, 이 반대의 동작도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각 손잡이에 연결되는 두 와이어는 활대 중앙의 나선형 원통 내에서 두 와이어가 꼬인 상태로 이동되며, 이러한 꼬인 상태가 각 손잡이에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손잡이가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두 손잡이로 양팔을 위 아래 움직이는 직선 운동 중에 팔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가능하게 되어 회선근개를 구성하는 여러 근육에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팔 운동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두 개의 와이어(130a, 130b)를 포함하고 있으며, 두 와이어 중 하나는 각각의 손잡이 쪽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는 활대 후방으로 빠져 나와 활대 표면에 고정된다(130c 참조). 이 경우 활대와 손잡이가 인접한 부위에는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와 회전 동작이 연동되는 제1기어(142)와 상기 제1기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동작이 연동되는 제2기어(144)가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와이어는 활대 중앙에서 이중 도르레(126)에 접하여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제1손잡이 및 두 개의 기어는 하나의 구조체로서 제2가이드레일(도 2의 113 참조) 내에서 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각각 보호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으며, 내부 구조를 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베벨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140a)에 연동되는 제1기어(142)에는 제1와이어(131a)가 연결되고, 제1기어와 회전축이 직각으로 배치된 제2기어(144) 후방에는 보조도르레(121a)가 장착되어 제2와이어(130b)가 가이드된다. 제2와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활대 후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 하에서 손잡이를 당기거나 밀게 되면 제2와이어가 보조도르레를 회전시키고(I) 이에 따라 제2기어가 회전하며(II), 제2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2기어가 회전하면서(III) 제1손잡이가 회전하게 된다(IV). 즉 두 개의 기어 및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인하여 손잡이를 당기거나 밀 때 손잡이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해 손잡이의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이 동시에 유도되며, 이와 같은 구조 및 동작 메카니즘은 제2손잡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1손잡이(140a)와 제2손잡이(140b)는 각각 정위치에서 회전(C1, C2)이 가능하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왕복하여 직선 이동(L1, L2)이 가능하다. 또한, 제1활대(110a) 및 제2활대(110b)는 활대 각도조절 고정부를 중심으로 위 아래로 회동(H1, H2)이 가능하다. 제1손잡이를 위로 밀어올리거나 당기게 되면 자연스럽게 제1손잡이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제2손잡이가 함께 당겨지거나 밀어올려지면서 회전하게 되어 양팔의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팔의 힘이 약하거나 어깨가 손상된 경우 또는 한쪽 마비로 인하여 전혀 운동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에 다른 한쪽의 정상적인 팔로 나머지 팔의 운동을 유도할 수 있어 재활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양팔 운동기구 102:스탠드
104:제1지지부 106:제2지지부
108:활대 각도 고정부 110a,110b:제1활대,제2활대
111:활대 간격조절 레일 112:제1가이드레일
113:제2가이드레일 121a:보조 도르레
122a:제1도르레 123a:제2도르레
124:기중 도르레 126:이중 도르레
130,130a,130b:와이어 140a,140b:제1손잡이,제2손잡이
142:제1기어 144:제2기어
150:나선형 원통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탠드에 대해 각도가 조절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활대 및 제2활대와,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의 제1가이드레일에 각각 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 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와이어 이동가이드 도르레와,
    상기 이동가이드 도르레에 이동이 안내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에 연결되며, 회전이 가능한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활대와 제2활대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스프링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대 및 제2활대는 상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가 각각 제1활대 및 제2활대에 고정된 상태로 일정한 범위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1활대와 제2활대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나선형 원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와 회전 동작이 연동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동작이 연동되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KR1020130090806A 2013-07-31 2013-07-31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KR101419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06A KR101419186B1 (ko) 2013-07-31 2013-07-31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06A KR101419186B1 (ko) 2013-07-31 2013-07-31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186B1 true KR101419186B1 (ko) 2014-07-14

Family

ID=5174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806A KR101419186B1 (ko) 2013-07-31 2013-07-31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1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341A (ja) 2002-03-22 2003-09-30 Junichi Setoguchi 上半身運動器具
KR200362612Y1 (ko) 2004-07-07 2004-09-18 부산광역시 동래구 어깨 운동기구
US6824498B2 (en) 2001-01-11 2004-11-30 Oped Ag Therapeutic and training device for the shoulder joint
KR101057316B1 (ko) 2010-02-23 2011-08-17 (유)메리츠이엔지 줄 당기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498B2 (en) 2001-01-11 2004-11-30 Oped Ag Therapeutic and training device for the shoulder joint
JP2003275341A (ja) 2002-03-22 2003-09-30 Junichi Setoguchi 上半身運動器具
KR200362612Y1 (ko) 2004-07-07 2004-09-18 부산광역시 동래구 어깨 운동기구
KR101057316B1 (ko) 2010-02-23 2011-08-17 (유)메리츠이엔지 줄 당기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0868B2 (ja) 体力良好維持、リハビリテーションおよび治療のためのストレッチ療法器械
EP3352721B1 (en) Neck training apparatus
JP6043803B2 (ja) 全身運動器
CN103656975B (zh) 一种柔性康复训练机
CN107198856B (zh) 一种家用多功能健身康复锻炼装置
KR2004708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US9511256B2 (en) Supine cycle
CA3041452A1 (en) Neckpillow
CN204246753U (zh) 一种腹肌锻炼装置
JP2012005523A (ja) 上肢回転運動用のリハビリ機器
KR20140022993A (ko) 재활치료용 상지 및 하지 운동기구
CN105327451B (zh) 基于运动参数的电刺激康复踏车
CN213527322U (zh) 一种田径训练用韧带牵拉装置
KR101419186B1 (ko) 회선근개용 양팔 운동기구
CN110368645B (zh) 一种关节炎运动康复装置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CN108325141A (zh) 一种肩关节康复用滑轮吊环训练器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CN2394620Y (zh) 偏瘫患者康复器械
CN115624712A (zh) 一种神经康复训练装置
CN110368643B (zh) 一种膝肩关节同练康复装置
JP2008126022A (ja) リハビリ運動器具
CN209392331U (zh) 一种手功能康复训练机器人
CN113397913A (zh) 一种基于座椅滑动调节机构的医用腿部锻炼器
KR20110011844U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