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26B1 -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626B1
KR101417626B1 KR1020130040426A KR20130040426A KR101417626B1 KR 101417626 B1 KR101417626 B1 KR 101417626B1 KR 1020130040426 A KR1020130040426 A KR 1020130040426A KR 20130040426 A KR20130040426 A KR 20130040426A KR 101417626 B1 KR101417626 B1 KR 10141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external
black bo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모드에서 블랙박스에 구비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감시 센서를 외장센서로 구비하고, 외장센서의 전원을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차량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블랙박스와 차량의 외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외부의 움직임 또는 충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생성한 센서감지신호를 상기 블랙박스로 전송하기 위한 외장센서 및 상기 외장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A black-box device using external sensor for the power efficiency}
본 발명은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행이 중지된 주차모드에서 블랙박스에 구비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 또는 저장하기 위한 센서를 외장센서로 구비하고, 이러한 외장센서의 전원을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자동차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Black Box) 장치는 항공기 등의 성능과 상태를 기록하는 비행기록장치가 대표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성능과 주행상태를 기록함으로써, 사고 발생시에 기록된 영상을 활용하여 차량 사고의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블랙박스 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9056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센서(21, 22, 2n)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11, 12, 1n)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임시 저장한 임시 메모리(61)로부터 영구 메모리(62)에 기록함으로써 발생된 사고 시점의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절전모드에서는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센서 등의 최소한의 구성만 동작함으로써, 센서(21, 22, 2n)에 의해 사람 또는 물체가 접근하는 경우에만 카메라(11, 12, 1n)로부터 촬영되어 임시 메모리(61)에 저장된 영상을 영구 메모리(62)로 저장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랙박스 장치는 센서, 카메라 등의 모든 구성요소의 전원을 차량 내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절전모드에서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만으로 블랙박스 장치를 구동하게 되므로, 장시간 절전모드가 지속되는 경우, 센서의 감지 동작에 의한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이 동작되는 시간이 늘어나 차량 배터리의 방전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노후된 차량 배터리의 경우, 충전되는 전력이 충분치 않아 블랙박스 장치의 단시간 절전모드에서도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부득이 하게 블랙박스 장치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블랙박스 장치에 구비된 내부센서 이외에 차량에 장착되는 외장센서를 구비하고, 외장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블랙박스 장치에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 전력과 별개로 구비함으로써, 블랙박스 장치의 주차모드에서 차량 배터리 사용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센서에 구비되는 전력공급원을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전력이 필요한 외장센서가 장시간 주차모드인 경우에도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박스 장치와 별개로 구비되는 외장센서를 더스트(dust)센서, 적외선(IR ray; Infrared ray)센서, 조도(CDS)센서 또는 충격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또는 차량 주변의 상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센서에 공급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솔라 셀을 차량의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으며, 태양광을 충분이 받을 수 있도록 필름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또는 외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구조변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가 외장센서로 사용되는 경우에 차량의 운행 이후, 주차모드로 변환됨에 따라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적외선센서의 오동작 또는 감지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엔진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 온도와 외부 온도와의 오차를 상계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블랙박스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블랙박스와 차량의 외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외부의 움직임 또는 충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생성한 센서감지신호를 상기 블랙박스로 전송하기 위한 외장센서 및 상기 외장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블랙박스 장치에 구비된 내부센서 이외에 차량에 장착되는 외장센서를 구비하고, 외장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블랙박스 장치에 공급되는 차량 배터리 전력과 별개로 구비함으로써, 블랙박스 장치의 주차모드에서 차량 배터리 사용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센서에 구비되는 전력공급원을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전력이 필요한 외장센서가 장시간 주차모드인 경우에도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블랙박스 장치의 주차모드 동작시간이 향상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박스 장치와 별개로 구비되는 외장센서를 더스트(dust)센서, 적외선(IR ray; Infrared ray)센서, 조도(CDS)센서 또는 충격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또는 차량 주변의 상황에 대한 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센서에 공급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솔라 셀을 차량의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으며, 태양광을 충분이 받을 수 있도록 필름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구조변경 없이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가 외장센서로 사용되는 경우에 차량의 운행 이후, 주차모드로 변환됨에 따라 엔진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 온도와 외부 온도와의 오차를 상계하는 구성을 통해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적외선센서의 오동작 또는 감지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센서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장센서 및 솔라 셀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오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센서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블랙박스(100)와 블랙박스(100)에 센서감지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외장센서(200)와 외장센서(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400)로 구비되며, 블랙박스(100)는 차량에 구비된 자동차 배터리(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장센서(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태양전지 모듈(400)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 셀(410)과 솔라 셀(4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거나 충전된 전력을 외장센서(200)로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부(430)와 솔라 셀(4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축전지부(43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전력을 외장센서(20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부(420)로 구성된다.
솔라 셀(410)은 차량에 부착되어 외장센서(200)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소정 면적의 필름 형태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형태의 솔라 셀(410)은 차량의 전면 유리 상단에 부착될 수 있으나,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곳에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즉, 솔라 셀(410)은 차량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지붕, 측면 유리, 전면 후드 및 후면 후드 등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수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 차량의 전면 유리의 상단은 태양 등의 빛으로부터 운전자의 시력 보호 및 양호한 시야 확보를 위해 썬팅이 되어 있는데, 이러한 썬팅된 부분을 제거하고 솔라 셀(410)을 부착하거나 삽입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외장센서(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데, 외장센서(200)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블랙박스(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과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자동차 배터리가 보다 빨리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센서(200)에 필요한 전력을 태양전지 모듈(4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력공급을 이원화하면 블랙박스 장치의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솔라 셀(410)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차량에 구비된 전력제어부(420)를 통해 축전지부(430)에 저장되고, 축전지부(430)는 전력제어부(420)를 통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외장센서(200)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블랙박스(100)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센서(2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110),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20), 카메라부(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영상검출부(130),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감지하기 위한 내부센서부(140), 카메라부(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저장부(160), 차량의 자동차 배터리(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블랙박스(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관리부(170) 및 블랙박스(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호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외장센서(200)로부터 센서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센서감지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외장센서(200)로부터 센서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외장센서(200)와 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되, 외장센서(200)와 블랙박스(100)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원이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부(120)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촬영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카메라부(120)는 구비되는 개수 및 촬영되는 화소수에 따라 필요한 전력량이 상이하므로 자동차 배터리(300)의 전력에 따라 카메라부(120)의 개수 및 화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영상검출부(130)는 주차모드 등에서 영상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에 근접하는 영상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영상에 따라 영상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한편, 영상검출부(130)는 블랙박스의 주차모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배터리의 사용량의 증가하게 되므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센서부(140)는 블랙박스(100)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내부센서부(140)에 포함되는 센서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또는 중력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나 이상에서 발생하는 내부센서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내부센서부(140)는 자동차 배터리(300)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블랙박스 장치가 주차모드인 경우에는 동작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저장부(16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촬영된 영상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임시저장부(미도시)와 영상검출부(130)의 영상감지신호, 외장센서(200)의 센서감지신호 또는 내부센서부(140)의 내부센서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부(150)가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영구 저장하기 위한 영구저장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전력관리부(170)는 차량에 구비된 자동차 배터리(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되는 전력을 블랙박스(100)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동작될 수 있도록 공급한다. 그러나, 차량이 주차모드인 경우에는 외장센서(200)에 의한 센서감지신호에 따라 블랙박스(100)가 동작되기 때문에, 차량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50) 또는 전력관리부(170)가 영상검출부(130) 및 내부센서부(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자동차 배터리(300)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외장센서(200), 영상검출부(130) 또는 내부센서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서감지신호, 영상감지신호 또는 내부센서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 또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근 물체 또는 충격 등이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되어 영상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영구적으로 저장(영구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차량이 주행중이거나 시동이 ON 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자동차 배터리(300)가 지속적으로 충전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외장센서(200), 영상검출부(130) 및 내부센서부(140)이 모두 동작되면서 차량에게 접근하는 물체 및 차량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모두 감지하여 생성되는 각각의 신호에 따라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의 시동이 OFF 되어 있는 주차모드인 경우에는 블랙박스(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 배터리(300)의 효율적인 전원관리를 위해 영상검출부(130) 또는 내부센서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영상검출부(130) 또는 내부센서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주체는 제어부(150) 또는 전력관리부(17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블랙박스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인 주차모드에서는 외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서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물체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판단하며,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인 주행모드에서는 영상검출부의 영상감지신호 또는 내부센서부의 동작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외부 물체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판단한다.
외장센서(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을 센싱하기 위한 전방센서1(211) 및 전방센서2(212), 차량의 후방을 센싱하기 위한 후방센서1(213) 및 후방센서2(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외장센서(211, 212, 213, 214)는 도 3에 도시된 태양전지 모듈(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5에서는 4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외장센서(200)로 구성하였으나, 외장센서(200)의 개수는 차량을 감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자유롭게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장센서 및 솔라 셀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센서(200)가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자동차 후드의 전방 좌우(211-c, 212-c), 자동차 후드의 후방 좌우 또는 차량 전면 유리 하단의 좌우(211-b, 212-b), 자동차 지붕의 전방 좌우(211-a, 212-a), 자동차 지붕의 후방 좌우(213-a, 214-a), 자동차 트렁크문 전방 좌우 또는 자동차 후방 유리 하단의 좌우(213-b, 214-b) 또는 자동차 트렁크문 후방 좌우(213-c, 214-c)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외장센서(200)는 각각의 센서 종류에 따라 센싱되는 각도 및 범위 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센서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장센서(200)는 센싱되는 특징에 따라 더스트(dust)센서, 적외선(IR ray)센서, 조도(CDS)센서 또는 충격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더스트(dust)센서는 온도, 빛, 진동, 물체의 성분 등을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는 초소형 센서로써, 설치된 주변 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시하여 다양한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조도(CDS)센서는 감지 대상 범위 내의 조도(illumination)를 추정하는 센서로써, 센싱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보정 필터를 추가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황화 카드뮴 셀(CdS)을 이용한 센서를 이용한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조도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적외선센서(infrared sensor)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 압력, 방사선의 세기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외선센서는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 대상 범위 내에서 변화되는 온도를 감지하여 물체의 접근을 판단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는 압전센서(piezoelectric sensor) 또는 임팩트 센서(impact sensor)를 사용하는 것으로,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한다.
더스트(dust)센서, 조도(CDS)센서, 적외선(infrared)센서 및 충격감지센서는 각각 물체 또는 충격 등을 감지하여 생성된 센서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블랙박스(100)의 신호수신부(110)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각의 외장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장센서(200)가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며, 구비되는 위치가 도 6에서 도시된 자동차 후드의 후방 좌우 또는 차량 전면 유리 하단의 좌우(211-b, 212-b) 또는 자동차 지붕의 전방 좌우(211-a, 212-a)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운행에 따라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장센서(200)가 센싱되는 범위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외장센서(200)가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외부 온도와 엔진 온도를 측정하여 적외선 센서의 오동작 또는 오차를 상계하여야만 정확한 센서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는 차량 외부 온도를 측정한 후, 차량 외부 온도와 측정 범위 내에서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감지를 하되, 온도 차이에 대한 감도를 조절함으로써 미세한 온도 차이에도 외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센서의 감도 조절은 적외선 센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의 오동작 또는 오차를 상계하는 방법은 도 7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오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센서(200)가 적외선 센서이며 자동차 후드의 후방 좌우 또는 차량 전면 유리 하단의 좌우(211-b, 212-b) 또는 자동차 지붕의 전방 좌우(211-a, 212-a)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는 범위는 자동차 후드의 상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7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의 운행 또는 운행 직후에는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자동차 후드 상부의 온도(ⓐ)가 외부 온도(ⓑ)와 차이가 있어, 적외선 센서(211, 212)가 장착된 위치에서 감지되는 범위에 자동차 후드 상부의 온도(ⓐ)가 영향을 미치는 공간이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 외부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열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211, 212)는 자동차 후드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센서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운행 직후에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 온도와 동일하게 변화되는 시점까지는 이러한 오동작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랙박스(100)가 주차모드에서의 동작이 수행되므로 자동차 배터리(300)의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외장센서(200)가 적외선 센서인 경우에는 외장센서(200)에 자동차 후드 상부의 온도(ⓐ)와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구비하고, 외부 온도(ⓑ)와 자동차 후드 상부의 온도(ⓐ)와의 온도 차에 따라 적외선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보정하여 센서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특징에 따라 차량의 운행 직후에 블랙박스(100)가 주차모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더라도, 자동차 후드 상부의 온도(ⓐ)가 외부 온도(ⓑ)와 동일하게 변화되는 시점까지 오동작에 의한 센서감지신호가 생성되어 블랙박스(100)의 신호수신부(110)로 전송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블랙박스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블랙박스; 및
    차량의 외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외부의 움직임 또는 충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생성한 센서감지신호를 상기 블랙박스로 전송하기 위한 외장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외장센서로부터 상기 센서감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움직임을 감지하여 영상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검출부와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또는 중력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동작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내부센서부와 상기 센서감지신호, 상기 영상감지신호 또는 상기 동작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외부 물체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외부 물체 접근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저장부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블랙박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랙박스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인 주차모드에서는 상기 외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서감지신호를 이용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인 주행모드에서는 상기 영상검출부의 상기 영상감지신호 또는 상기 내부센서부의 상기 동작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장센서는
    더스트(dust)센서, 적외선(IR ray; Infrared ray)센서, 조도(CDS)센서 또는 충격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솔라 셀;
    상기 솔라 셀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부; 및
    상기 솔라 셀에서 생성된 전력을 상기 축전지부에 저장하며, 상기 축전지부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외장센서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솔라 셀은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차량 외부 온도와 차량 엔진 온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차량 엔진 온도에 의해 감지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정된 상기 차량 엔진의 온도와 상기 차량 외부 온도를 상계하여 상기 센서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외장센서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신호수신부와 상기 외장센서는 무선통신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내부센서부 또는 상기 영상검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이 중지되며, 상기 외장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센서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블랙박스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차량 엔진 온도와 상기 차량 외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챠량 외부 온도와 감지되는 물체의 온도의 차이인 감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KR1020130040426A 2013-04-12 2013-04-12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KR10141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26A KR101417626B1 (ko) 2013-04-12 2013-04-12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26A KR101417626B1 (ko) 2013-04-12 2013-04-12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626B1 true KR101417626B1 (ko) 2014-07-08

Family

ID=5174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426A KR101417626B1 (ko) 2013-04-12 2013-04-12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279A (ko) *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KR20190029545A (ko) * 2019-03-07 2019-03-20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91A (ko) * 2007-09-03 2009-03-06 (주)디코인 회전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통신 및 디브이알 기능을 구비한네비게이션 장치 및 시스템
KR100974020B1 (ko) * 2007-12-21 2010-08-05 신무환 태양 전지 필름과 썬바이저 및 태양 전지 차량
KR20110130713A (ko) * 2010-05-28 2011-12-06 (주) 미디어아이엠티 태양전지를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JP2012230077A (ja) * 2011-04-27 2012-11-22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赤外線センサ信号の補正方法及び温度測定方法並びに温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91A (ko) * 2007-09-03 2009-03-06 (주)디코인 회전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통신 및 디브이알 기능을 구비한네비게이션 장치 및 시스템
KR100974020B1 (ko) * 2007-12-21 2010-08-05 신무환 태양 전지 필름과 썬바이저 및 태양 전지 차량
KR20110130713A (ko) * 2010-05-28 2011-12-06 (주) 미디어아이엠티 태양전지를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JP2012230077A (ja) * 2011-04-27 2012-11-22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赤外線センサ信号の補正方法及び温度測定方法並びに温度測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279A (ko) *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KR101895762B1 (ko) * 2017-02-13 2018-09-0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KR20190029545A (ko) * 2019-03-07 2019-03-20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KR102059931B1 (ko) * 2019-03-07 2020-02-11 주식회사 현대오토하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외장gps모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4928B1 (en) Autonomous tracking device for vehicle
WO2022134630A1 (zh) 摄像模组及其控制方法和装置、车辆、存储介质
US20130188047A1 (en) Trail camera
JP2005096554A (ja)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KR101417626B1 (ko)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CN204010062U (zh) 车载监视设备
KR200468693Y1 (ko) 조도에 따른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블랙박스
CN105984383A (zh) 车载摄像系统
CN109577242B (zh) 一种道闸杆传感器
CN208076404U (zh) 车辆尾气黑度检测仪及系统
CN104280174B (zh) 一种车辆表面压力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1524197B1 (ko) 차량용 블랙박스
US20140055641A1 (en) System for recognizing surroundings of vehicle
US10708552B2 (en) Vehicle driving assistant device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1558255B1 (ko) 차량 경광등 보안 카메라 시스템
JP2009290462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5674716B2 (ja) 車両検出装置
KR20100078085A (ko) 태양발전 전원기반 차량용 멀티기능 블랙박스
KR20110107084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827707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카메라의 제어방법
KR102052462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0058B1 (ko) 블랙박스용 절전 시스템
TW202213291A (zh) 停車感測裝置
KR101342465B1 (ko) 번호판 인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