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279A -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279A
KR20180093279A KR1020170019127A KR20170019127A KR20180093279A KR 20180093279 A KR20180093279 A KR 20180093279A KR 1020170019127 A KR1020170019127 A KR 1020170019127A KR 20170019127 A KR20170019127 A KR 20170019127A KR 20180093279 A KR20180093279 A KR 2018009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unit
blade replacem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762B1 (ko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7001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7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44Wiper blades equipped with means to indicate wear or usage of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인지부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에는 비, 눈 또는 이물질등을 닦아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퍼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장치는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와이퍼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와이퍼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와이퍼 암이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와이퍼 암이 회전을 할 때에 와이퍼 암에 결합된 고무 재질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실드글래스를 닦아주게 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소모품으로 일정 기간 사용하면 고무가 마모됨에 따라 닦임 성능이 점차 떨어지게 되는 바, 운전자는 와이퍼 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을 보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서는 소음에 민감하지 않거나,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음으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로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평소 사용하지 않음으로 성능 저하가 된 것을 미쳐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동시킬 경우 낮은 전방 시야 확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정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교체시기를 기간으로는 6개월, 횟수로는 30만회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시기를 초과할 경우, 와이퍼 고무의 노후로 인해 차량의 앞유리가 잘 닦이지 않고, 소음이 발생하는 등 점점 성능이 저하되며,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여름 장마철의 경우, 악천후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교환주기를 초과한 와이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또한,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고속 주행을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럴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의 성능저하로 인한 미세한 시야 방해만으로도 매우 위험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000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로 하여금 손쉽게 인지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한 버튼부;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는, 고주파 발전식 또는 정전 용량식 또는 자기식(양방향) 또는 광전식(수광 센서) 센서와 같은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지부는, 디스플레이 방식, 경고음 방식, 경고등 방식, 또는 차량의 블루투스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는, 와이핑 횟수가 1회만 측정 되도록 와이퍼 블레이드의 반전위치 또는 정지위치에 일치하게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 태양광 충전방식 또는 시거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 및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를 병행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의 전력은 상기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상기 인지부의 전력은 상기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인지부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부착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100)은 윈드실드 글래스(105)를 포함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에는 비, 눈 또는 이물질등을 닦아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103)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3)는 운전자 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전방시야측(106a)을 와이핑하기 위한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 및 조수석의 전방시야측(106b)을 와이핑하기 위한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를 포함한다.
다만, 도면에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3)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차량에 따라서는 1개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차량(100)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3)와 연결되는 와이퍼 암부(104)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암부(104)는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와 연결되는 제1와이퍼 암부(104a) 및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와 연결되는 제2와이퍼 암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0)은 상기 와이퍼 암부(10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모터부(101)는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와 연결되어,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0)은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 및 상기 제2와이퍼 암부(104b)를 연결하는 연결부(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가 상기 모터부(101)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의 구동력을 상기 연결부(102)가 상기 제2와이퍼 암부(104b)로 전달함에 의하여, 상기 제2와이퍼 암부(104b)가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것으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관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100)은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일정 영역은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이거나,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정지위치(B)이거나, 또는,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의 정지위치(C)일 수 있다.
즉,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배치위치는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정지위치(B), 또는,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의 정지위치(C)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좌측부 또는 하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 상부측에 위치하되,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이하의 범위내인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중앙부에 위치하되,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내인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하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먼저,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하우징(20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1)의 제1면(20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면(203)은 상기 하우징(201)이 상기 차량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를 향하는 면에 해당하며, 상기 제1면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상기 제1면(203)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부착부(208)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208)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상기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양면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부착부(208)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상기 제1면(203)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207)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207)는 근접 센서(proximate sensor)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센서는 비접촉 동작으로 스위칭 작용을 하게 하는 센서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근접 센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주파 발진식, 정전용량식, 자기식(양방향 센서), 광전식(수광 센서)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207)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b 및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하우징(20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1)의 제2면(202)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203)은 상기 하우징(201)이 상기 차량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를 향하는 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면(203)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제2면(202)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이거나, 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측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면(202)은 일정정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20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면(202)의 상기 인지부(205)에 나타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는 현재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면(202)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원 on/off하거나, 와이핑 횟수 초기화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가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가 제1면, 즉,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2b 및 도 2d에서는 상기 인지부(205) 및 버튼부(206)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즉, 제2면(202)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지부(205) 및 버튼부(206)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즉, 상기 인지부(205) 및 버튼부(206)는 상기 하우징(20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제2면(202)에 위치하는 인지부(205)는 디스플레이 방식 또는 경고음 방식 또는 경고등 방식 또는 차량의 블루투스 및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지부(205)를 상기 제2면에 위치시킴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205)가 디스플레이 방식인 경우,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바라보았을 때, 쉽게 상기 디스플레이를 인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지부(205)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는 소모품으로 일정 기간 사용하면 고무가 마모됨에 따라 닦임 성능이 점차 떨어지게 되는 바, 운전자는 와이퍼 장치의 작동시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을 보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여야 한다.
하지만,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서는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로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이러한 교체시기의 판단이 객관적인 근거에 의한 것이 아닌, 경험에 의해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로 하여금 손쉽게 인지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207)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인지부(205)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지부(205)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성되어 와이핑 횟수를 운전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와이핑 횟수를 보여 주는 것 이외에, 정해진 횟수 또는 기간이 지나면, 소리나 빛을 통해 와이퍼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경고등 방식 또는 경고음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차량의 블루투스 및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으로 교체시기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의 블루투스 및 스마트폰 설치된 전용 앱에 등록하고, 상기 앱의 구동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와이핑 횟수를 상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앱을 통해 운전자로 하여금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부(207)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차량의 구입시, 차량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시스템이 아닌, 운전자 또는 소비자가 필요에 의하여, 임의로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차량의 구입시, 기본 사양으로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운전자가 시중에서 구입하여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의 기본사양으로 장착하는 경우, 차량의 구입가격이 크게 상승할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낮은 가격으로 구입하여 차량에 임의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부착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운전자가 시중에서 구입하여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직접 차량에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가 차량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이 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일정 영역인,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에 위치, 즉,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작동은 open/close고 부르는데, 즉,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위치에서 반전위치(도 3의 A)로 가는 것을 open, 반전위치(도 3의 A)에서 다시 정지 위치로 오는 것을 close라고 하며, open/close가 완료되어야 1회 작동했다라고 지칭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센서부(207)가 정확히 반전위치(A)에 있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 작동 시, 2회로 카운트가 되기 때문에, 정확한 교체주기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센서부(207)의 위치와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open/close가 완료된 1회를 상기 인지부(205)에 1회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뿐만 아니라,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정지위치(B), 또는,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의 정지위치(C)에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정지위치(B, C)는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센서부(207)와 인지부(20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09, 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일반적인 건전지 또는 태양광 충전방식 또는 시거잭 등 다양한 전력 공급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력 공급 방식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제1면, 즉,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209)는 태양광 충전방식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 시, 상기 제1면은 태양광을 마주하는 면에 해당하므로, 상기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209)가 태양광 충전방식인 경우,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제1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부(209)가 제1면에 위치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부착부(208) 측에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센서부(207)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21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하우징(20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210)는 건전지 공급방식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원부(210)를 건전지로 구성할 경우,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으면서, 센서부(207) 또는 인지부(205)에 전력 공급이 용이하도록 하우징(201)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부(209)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하우징(201)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210)는 상기 부착부(208) 측에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센서부(207)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전원부는 상술한 도 4a의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와 상술한 도 4b의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를 병행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207)의 전력은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상기 인지부(205)의 전력은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센서부(207)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동작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시 측정 대기상태이어야 하며, 상기 인지부(205)는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상시 작동상태일 수 있고, 작동이 잠시 중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인지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원을 상호 달리함으로써, 각 구성요소별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전력 수명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한 버튼부;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고주파 발전식 또는 정전 용량식 또는 자기식(양방향) 또는 광전식(수광 센서) 센서와 같은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디스플레이 방식, 경고음 방식, 경고등 방식, 또는 차량의 블루투스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와이핑 횟수가 1회만 측정 되도록 와이퍼 블레이드의 반전위치 또는 정지위치에 일치하게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 태양광 충전방식 또는 시거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 및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를 병행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의 전력은 상기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상기 인지부의 전력은 상기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KR1020170019127A 2017-02-13 2017-02-13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KR10189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27A KR101895762B1 (ko) 2017-02-13 2017-02-13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27A KR101895762B1 (ko) 2017-02-13 2017-02-13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79A true KR20180093279A (ko) 2018-08-22
KR101895762B1 KR101895762B1 (ko) 2018-09-05

Family

ID=6345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27A KR101895762B1 (ko) 2017-02-13 2017-02-13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59A (ko)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용 알림 장치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20230166222A (ko) 2022-05-30 2023-12-07 (주)대한솔루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636A (ko) * 2009-05-19 2010-11-29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KR101417626B1 (ko) * 2013-04-12 2014-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KR20150130004A (ko) 2014-05-13 2015-11-23 주식회사 만도 와이퍼 블레이드의 노후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636A (ko) * 2009-05-19 2010-11-29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블레이드용 경보장치, 그 구동방법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KR101417626B1 (ko) * 2013-04-12 2014-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전력 효율화를 위한 외장센서를 사용하는 블랙박스 장치
KR20150130004A (ko) 2014-05-13 2015-11-23 주식회사 만도 와이퍼 블레이드의 노후 상태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762B1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0919B (zh) 雨刮片的报警指示器、操作方法及带报警指示器的雨刮片
KR101895762B1 (ko)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CN100484781C (zh) 轮胎状态检测装置
JP3683763B2 (ja) 天候検出装置
US11130472B2 (en) Wiping device for motor vehicle windows, comprising a windscreen wiper frame and a piezoelectric film
EP2048047A3 (en) Wiper controller
JP6623143B2 (ja) 電動補助自転車および電動補助自転車のバッテリ状態監視方法
CN207241580U (zh) 一种新型的汽车后视镜和前门侧玻璃雨刷器
KR1004440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교환시기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JP2020196341A (ja) 車載センサ洗浄装置
Chapakanade et al. Automatic rain operated wiper and dimmer for vehicle
US20230386274A1 (en) Wiper blade for vehicle notifying of replacement timing
JP7362661B2 (ja) 風防ガラス払拭システムの少なくとも1つのワイパーブレードの摩耗状態について遠隔で警告するための装置
KR100445157B1 (ko) 자동차의 글래스 자동 세척장치
CN205365535U (zh) 汽车后视镜雨水刮除器
CN205554043U (zh) 汽车外后视镜
CN210526484U (zh) 用于车辆传感部件的清洁装置及具有该装置的车辆
CN203293994U (zh) 具有大视野的带雨刷器的快速烘干后视镜
CN208422127U (zh) 一种交通事故现场防闯入预警系统
CN209600392U (zh) 一种车道偏离、内后视镜和雨量传感器集成安装结构
KR200402262Y1 (ko) 주차위치 표시등
KR20100059008A (ko) 레인 센싱방법
KR100431970B1 (ko) 자동차의 리어 와이퍼 작동 방법
CN115534871A (zh) 雨量传感器、车辆以及车辆的控制方法
KR20220045963A (ko) 경고 메시지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