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507B1 -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507B1
KR101415507B1 KR1020120025309A KR20120025309A KR101415507B1 KR 101415507 B1 KR101415507 B1 KR 101415507B1 KR 1020120025309 A KR1020120025309 A KR 1020120025309A KR 20120025309 A KR20120025309 A KR 20120025309A KR 101415507 B1 KR101415507 B1 KR 10141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s
coffee
bean
roaster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113A (ko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플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플라
Priority to KR1020120025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50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두를 로스팅하여 종류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원두를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골라 분쇄한 후 커피로 추출하는 단계를 원스탑(One Stop)으로 처리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는, 생두(Green Bean)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복수의 생두 저장고; 복수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터; 로스팅된 원두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복수의 원두 저장고; 상기 복수의 원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분쇄하는 분쇄기; 분쇄된 원두가루에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 및 상기 생두 또는 원두를 상기 로스터, 원두 저장고 및 분쇄기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COFFEE BREW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두를 로스팅하여 종류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원두를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골라 분쇄한 후 커피로 추출하는 모든 과정을 커피 전문점 안에서 한번에(One Stop) 처리하여 커피의 맛과 향에 있어서 신선하고 품질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열매로부터 커피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커피열매를 건조시켜 생두(Green Bean)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Roast Bean)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원두를 분쇄해서 가루로 만든 후, 원두가루(Ground coffee)에 물을 첨가하여 커피를 완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생두를 로스팅하고 로스팅된 원두가 커피 전문점이나 소비자에게 배달되게 된다. 배달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가루로 만든 다음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생두를 로스팅하는 과정과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로 추출하는 과정이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91507호에서는 원두커피 수용부(40)에 원두를 수용하고, 원두를 설정된 양만큼 정밀하게 공급하여 분쇄기(80)를 이용하여 공급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일정한 품질의 커피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따라서, 생두를 얻고 이를 로스팅하여 원두로 만드는 과정과 원두를 분쇄하고 물은 첨가하여 추출하는 과정이 분리되어 있었다. 이렇게 두 과정이 시간적으로 그리고 공간적으로 간격이 있음으로 해서, 커피를 로스팅한 후 많은 시간이 지난 뒤에 원두 커피를 분쇄하고 추출하는 결과가 되어 커피의 맛과 향이 빠져나가 최상의 커피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두를 로스팅하여 종류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원두를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골라 분쇄한 후 커피로 추출하는 모든 과정을 커피 전문점 안에서 한번에(One Stop) 처리하여 커피의 맛과 향에 있어서 신선하고 품질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는, 생두(Green Bean)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복수의 생두 저장고; 복수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터; 로스팅된 원두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복수의 원두 저장고; 상기 복수의 원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분쇄하는 분쇄기; 분쇄된 원두가루에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 및 상기 생두 또는 원두를 상기 로스터, 원두 저장고 및 분쇄기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로스터에서 상기 생두를 로스팅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연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생두 저장고, 로스터, 원두 저장고 및 분쇄기를 연결하는 투명관;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공기흡/주입기; 및 상기 생두 저장고, 로스터, 원두 저장고 및 분쇄기를 각각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원두 저장고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원두의 양이 소정의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상기 로스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스터는, 상기 생두에 열풍을 가하여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주입기는, 공기를 방출하는 송풍기 또는 공기를 흡수하는 진공수단(Vacuum sourc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두 저장고는 배출구가 형성된 회전판을 통해 선택된 원두를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두 저장고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원두를 이송하는 분배기; 및 복수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밸브;를 통해 선택된 원두를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방법은, 1) 생두(Green Bean)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단계; 2) 상기 복수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로스팅하는 단계; 3) 로스팅된 원두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단계; 4) 상기 복수의 원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분쇄하는 단계; 및 5) 분쇄된 원두가루에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 단계 후, 상기 생두를 로스팅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키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3) 단계와 4) 단계 사이에, 상기 저장된 원두의 숙성을 위해 냉각되고 24시간 이상 48시간 이하 기간 동안 저장한 후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두를 로스팅하여 종류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원두를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골라 분쇄한 후 커피로 추출하는 모든 과정을 커피 전문점 안에서 한번에(One Stop) 처리하여 커피의 맛과 향에 있어서 신선하고 품질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로스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원두 저장고의 원판형 분배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원두 저장고의 원판형 분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원두 저장고의 직선형 분배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를 이용한 커피 제조 방법을 그린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추출 장치(1)는 생두 저장고(100),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분쇄기(400), 추출기(500) 및 이송수단(600)을 포함한다. 커피 추출 장치(1)는 신선하고 품질 높은 맛과 향을 유지하는 커피를 만들기 위해 로스팅하고 분쇄하고 추출하는 과정을 커피 전문점 안에서 한번에(One Stop) 수행할 수 있다.
생두 저장고(100)는 다수개의 생두(Green Bean)를 개별 저장하도록 동일한 복수의 용기(Bin)로 구성되는 장치이다. 생두는 커피 나무에서 채취한 열매로서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열매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서는 11종류의 생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생두의 종류가 그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생두의 종류는 생두의 원산지(예를 들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중부아프리카, 인도네시아, 인도 등의 지역이 있다), 생두의 품종(예를 들면, 아라비카(Arabica), 로부스터(Robousta), 리베리카(Riberica) 등 3가지 품종이 있다), 생두의 수확시기 등에 따라 분류된다. 생두 저장고(100)는 11개의 용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두 저장고(100)는 필요한 생두를 담기 위해 커피 전문점 직원이 필요한 경우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로스터(200)는 다수개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원두(Roasting Bean)로 로스팅하며 상기 생두 저장고와 결합된(coupling) 장치이다. 로스터(200)는 로스팅된 원두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기 위하여 팬(290)을 설치하여 원두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원두 저장고(300)는 생두 저장고와 동일한 갯수로 로스팅한 원두를 개별 저장하도록 복수의 용기로 구성되며 로스터와 결합된 장치이다. 원두 저장고(300)는 생두 저장고(100)에 대응되는 갯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두 저장고(300)는 11개의 용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두 저장고(300)는 원두를 선택된 용기로 원두를 이송하기 위하여 분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원두 저장고(300)에는 저장된 원두의 숙성하여 커피의 향과 맛을 강화시키기 위해, 실온에서 냉각시킨 후 24시간 이상 48시간 이하 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기(400)는 원두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두를 분쇄하며 원두 저장고(300)와 결합된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소비자가 선택한 3종류의 원두를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만들어질 수 있는 원두가루의 종류는
Figure 112012020047088-pat00001
이므로, 총 330종류의 원두가루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되는 원두가 1종류 이상 3종류 이하 또는 5종류 이상 11종류 이하일 수도 있다. 이론적으로 총 만들어질 수 있는 원두가루는
Figure 112012020047088-pat00002
=
Figure 112012020047088-pat00003
= 2047종류이다.
추출기(500)는 분쇄된 원두가루에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며 분쇄기(400)와 결합된 장치이다. 즉 추출기(500)는 원두가루를 받아서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출기(500)가 분쇄기(400)에 결합될 수 있다. 소비자가 원두를 4종류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330종류의 커피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다양한 종류의 신선하고 고품질의 커피를 마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기(400)와 추출기(500)는 일체형을 형성될 수 있다. 분쇄기(400)와 추출기(500)는 POS(Point Of Sale) 단말기가 위치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기(400)와 추출기(500)는 커피 전문점의 직원이나 소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수단(600)은 생두 저장고(100),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및 분쇄기(400)를 연결하며,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두 또는 원두를 운반하여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송수단(600)의 적어도 일부는 커피 전문점 중 소비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머리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생두 또는 원두가 소비자의 머리 위에서 이송될 수 있어, 매장 내에서 로스팅을 한다는 시각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커피 추출 장치(1)는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분쇄기(400) 및 이송수단(6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수단(700)은 생두 저장고(100),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분쇄기(400) 및 이송수단(60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커피 추출 장치(1) 전체에 걸쳐 생두 또는 원두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수단(700)은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하는 시간을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커피 추출 장치(1)는 로스터(200)에서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로스터(200)와 결합되는 배연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600)은 투명관(610), 공기흡/주입기(630) 및 밸브(65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관(610)은 생두 저장고(100),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및 분쇄기(400)를 연결하는 가운데가 비어있는 관 형태이다. 원두나 생두가 투명관(610)을 따라 이동되는 모습을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투명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관(610)은 닥트(Duct)로 대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투명관(610)은 생두나 원두를 구분되게 이송할 수 있다. 생두 저장고(100),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및 분쇄기(400)는 각각에 다른 경로를 형성하도록 분리된 투명관(610)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종류의 생두나 원두는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 게다가 투명관(610)은 카페인이 제거된 원두의 이송 경로와 카페인이 포함된 원두의 이송 경로를 달리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일부 경로는 자주 이송되는 원두나 생두 종류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고, 다른 경로는 다른 원두나 생두 종류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공기흡/주입기(630)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원두나 생두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장치이다. 공기흡/주입기(630)는 송풍기 또는 진공수단(Vacuum source)일 수 있다. 송풍기는 공기를 발생시켜 투명관(610)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원하는 장치로 생두나 원두를 이동시키게 된다. 즉 공기에 의해 발생한 양의 압력차이는 생두나 원두의 이동을 촉진시킨다. 진공수단은 공기를 빨아들여 반대 방향의 공기 흐름을 만드는 장치로 원두나 생두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음의 압력차이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생두나 원두의 이동을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흡/주입기(630)는 송풍기 또는 진공수단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공기흡/주입기(630)는 제어수단(700)에 의하여 투명관(610) 안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제어된다.
밸브(650)는 생두 저장고(100),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및 분쇄기(400)를 각각 개폐하는 장치이다. 즉 서로 다른 위치로 생두나 원두를 분배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다수개의 밸브(650)가 생두 저장고(100), 로스터(200), 원두 저장고(300) 및 분쇄기(400)에 설치될 수 있다. 밸브(650)는 제어수단(700)에 의해 전기 및/또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며, 투명관(6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650)는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생두나 원두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송수단(600)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개폐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피 추출 장치(1)는 음료 배출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배출기는 어떤 종류의 액체 제품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피를 배출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로스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로스터(200)는 다수개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원두(Roasting Bean)로 로스팅하며 상기 생두 저장고와 결합된(coupling) 장치이다. 로스터(200)로 생두를 로스팅하는 방식은 직화식, 반열풍식 및 열풍식이 있다.
직화식은 원통과 히터가 외장으로 둘러싸여 있고, 생두를 원통에 넣고 원통을 모터로 회전시켜 히터의 열로 직접 원통을 가열하여 생두를 로스팅하는 방식이다. 반열풍식은 직화식과 비슷하지만, 단지 히터의 열이 직접 원통을 가열하지 않고 생두를 로스팅하는 방식이다. 열풍식은 열풍기(210)로 가열한 열풍을 원통(230,250)으로 보내 그 열풍으로 생두를 로스팅하는 방식이다. 도 2에 도시된 로스터(200)는 열풍식으로 로스팅하는 로스터(200)를 그린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터(200)는 열풍기(210), 석쇠(230), 하부 반투명원통(250) 및 상부 투명원통(270)을 포함한다.
열풍기(210)는 원두를 로스팅하기 위하여 뜨거운 열기를 불어넣는 장치이다. 석쇠(230)는 이동수단(600)을 통해 로스터(200) 안으로 들어온 생두가 일차적으로 안착하는 장치로, 열풍기(210)를 통해 뜨거운 열기가 공급되면 석쇠(230)에 올려진 생두가 공중에서 오르내리면서 로스팅되게 된다. 반투명원통(250) 및 상부 투명원통(270)는 생두 또는 원두가 밖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로스터(200)로 생두를 로스팅하는 시간은 6분 내지 7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로스터(20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일 수 있고, 맞춤형인 것일 수도 있다. 로스터(200)는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의 로스터(200)일 수 있다.
제어수단(700)은 원두 저장고(300) 중 특정 용기에 저장된 원두의 양이 소정의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로스팅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수단(700)은 원두 저장고(300) 중 특정 용기에 저장된 원두의 양이 소정의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생두 저장고(100)로부터 생두를 이송한 후 로스터(200)로 작동하여 로스팅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원두 저장고의 원판형 분배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원두 저장고의 원판형 분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 분배기(310)는 원두 저장고(300)와 연결되어 선택된 원두를 저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 분배기(310)는 회전판(315)과 배출구(320)를 포함한다. 로스터(200)에서 로스팅된 원두가 이송수단(600)을 통해 이송되어 오면, 원판형 분배기(310)의 회전판(315)이 회전하면서 원두가 저장될 용기와 연결되는 배출구(320)와 맞추게 된다. 이렇게 경로가 연결되면, 원두는 선택된 용기로 이동되어 저장되게 된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15)의 회전에 의해 첫 번째 배출구(320)와 연결되면 원두는 원두 저장고(300)의 첫 번째 용기로 들어가게 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15)의 회전에 의해 네 번째 배출구(320)와 연결되면 원두는 원두 저장고(300)의 네 번째 용기로 들어가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첫 번째 용기부터 열한 번째 용기까지 선택된 원두가 원두 저장고(300)에 저장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중 원두 저장고의 직선형 분배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분배기(330)는 원두 저장고(300)와 연결되어 선택된 원두를 저장하게 된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분배기(330)는 밸브(335)와 배출구(320)를 포함한다. 로스터(200)에서 로스팅된 원두가 이송수단(600)을 통해 이송되어 오면, 직선형 분배기(330)에 복수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11개의 밸브(335)와 배출구(320)를 통해 경로가 연결되면, 원두는 선택된 용기로 이동되어 저장되게 된다. 즉 첫 번째 밸브(335)만 열리고 나머지 밸브(335)가 모두 닫히면 원두는 원두 저장고(300)의 첫 번째 용기로 들어가게 되고, 네 째 밸브(335)만 열리고 나머지 밸브(335)가 모두 닫히면 원두는 원두 저장고(300)의 네 번째 용기로 들어가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첫 번째 용기부터 열한 번째 용기까지 선택된 원두가 원두 저장고(300)에 저장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 방법을 그린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내지 S250 단계를 거쳐 생두에서 커피가 추출된다.
S210은 다수개의 생두(Green Bean)를 대응하는 다수개의 용기에 개별 저장하는 단계이다. 즉 커피 전문점 직원이 생두 저장고(10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용기에 대응되는 생두를 담는 단계이다.
S220은 다수개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원두(Roasting Bean)로 로스팅하는 단계이다. 즉 다수개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이송수단(600)을 통해 로스터(200)로 이동시킨 후 히터(210)로 열풍식 또는 반열풍식을 이용하여 로스티하여 원두로 만드는 단계이다.
S230은 로스팅한 원두를 대응하는 다수개의 용기에 개별 저장하는 단계이다. 로스팅된 원두는 이송수단(600)을 통해 원두 저장고(300)로 이동되는데 같은 종류는 동일한 용기로 이동되어 저장되게 된다.
S240은 저장된 원두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두를 분쇄하는 단계이다. 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원두는 이송수단(600)을 통해 분쇄기(400)로 이동되어 분쇄되어 원두가루로 된다.
S250은 분쇄된 원두가루에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S220 단계 후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키기 단계(S225)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230 단계와 S240 단계 사이에 저장된 원두의 숙성을 위해 냉각되고 24시간 이상 48시간 이하 기간 동안 저장하는 단계(S235)를 더 수행할 수 있다.
S210 내지 S250 단계를 거치면서 다수개의 생두는 커피 전문점 안에서 한번에 소비자가 원하는 커피로 제조되므로, 여러 종류의 신선하고 품질 높은 커피를 얻을 수 있다.
1 : 커피 추출 장치 100 : 생두 저장고
200 : 로스터 210 : 열풍기
230 : 석쇠 250 : 하부원통
270 : 상부원통 290 : 팬
300 : 원두 저장고 310 : 원판형 분배기
315 : 회전판 320 : 배출구
330 : 직선형 분배기 335 : 밸브
400 : 분쇄기 500 : 추출기
600 : 이송수단 610 : 투명관
630 : 공기흡/주입기 650 : 밸브
700 : 제어수단 800 : 배연기

Claims (11)

  1. 생두(Green Bean)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복수의 생두 저장고;
    상기 복수의 생두 중 선택된 하나의 생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터;
    로스팅된 원두를 종류별로 개별 저장하는 복수의 원두 저장고;
    상기 원두 저장고에 저장된 원두 중 적어도 2 이상의 원두를 선택하여 분쇄하는 분쇄기;
    분쇄된 원두가루에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
    상기 생두 또는 원두를 상기 로스터, 원두 저장고 및 분쇄기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로스터, 원두 저장고, 분쇄기 및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2 이상의 원두를 상기 원두 저장고에서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상기 분쇄기에 공급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생두 저장고, 로스터, 원두 저장고 및 분쇄기를 연결하는 투명관;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공기흡/주입기; 및
    상기 생두 저장고, 로스터, 원두 저장고 및 분쇄기를 각각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에서 상기 생두를 로스팅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원두 저장고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원두의 양이 소정의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상기 로스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는 상기 생두에 열풍을 가하여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주입기는 공기를 방출하는 송풍기 또는 공기를 흡수하는 진공수단(Vacuum sour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 저장고는
    배출구가 형성된 회전판을 통해 선택된 원두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 저장고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원두를 이송하는 분배기; 및
    복수의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밸브;를 통해 선택된 원두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25309A 2012-03-13 2012-03-13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41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09A KR101415507B1 (ko) 2012-03-13 2012-03-13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09A KR101415507B1 (ko) 2012-03-13 2012-03-13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13A KR20130104113A (ko) 2013-09-25
KR101415507B1 true KR101415507B1 (ko) 2014-07-04

Family

ID=4945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309A KR101415507B1 (ko) 2012-03-13 2012-03-13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424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202B1 (ko) * 2014-12-08 2016-08-30 양재영 온도차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동 원두 커피 머신 및 온도차 보정 방법
KR102590651B1 (ko) * 2021-03-15 2023-11-01 주식회사 이디야 커피 생두별 정점 로스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6419A (ja) * 1997-08-25 1999-03-09 Yoneo Imamura コーヒ豆焙煎ミル自動販売機
JP2002191507A (ja) * 2000-12-25 2002-07-09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2003070652A (ja) * 2001-08-31 2003-03-11 Cafetec:Kk 全自動コーヒーメーカ
JP2008264349A (ja) * 2007-04-24 2008-11-06 Apex:Kk コーヒー抽出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6419A (ja) * 1997-08-25 1999-03-09 Yoneo Imamura コーヒ豆焙煎ミル自動販売機
JP2002191507A (ja) * 2000-12-25 2002-07-09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2003070652A (ja) * 2001-08-31 2003-03-11 Cafetec:Kk 全自動コーヒーメーカ
JP2008264349A (ja) * 2007-04-24 2008-11-06 Apex:Kk コーヒー抽出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424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KR101697280B1 (ko) * 2014-11-25 2017-01-17 주식회사 라붐팩토리 커피 자동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13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389A (ko) 로스팅 및 분쇄 시스템
US201800001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ffee preparation
KR101499513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킹 장치
JP5876726B2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4484064A (en) Coffee roaster
US11523710B2 (en) Coffee containers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roast and ground coffee
KR101468359B1 (ko) 커피의 자동 가공 및 브렌딩 시스템
JPH01190317A (ja)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US20180263408A1 (en) Coffee dispensing apparatus
US20100101433A1 (en) Equipment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edible seeds in general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1415507B1 (ko)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US20200107672A1 (en) Coffee roaster and degasser
KR101595497B1 (ko) 더치커피 추출기
EP3692868A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KR101285558B1 (ko)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US20200354142A1 (en) Extraction sleeve coffee making apparatus
JP7217494B2 (ja) 飲料製造装置
KR102218251B1 (ko) 자동 판매기용 커피 추출장치
KR101392777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생두공급유닛
KR101392778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KR20140012792A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원두공급유닛
JP7389450B2 (ja) 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0048700A (ja) 飲料製造装置及び飲料製造方法
KR101392776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생두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