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727B1 -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727B1
KR101414727B1 KR1020120082727A KR20120082727A KR101414727B1 KR 101414727 B1 KR101414727 B1 KR 101414727B1 KR 1020120082727 A KR1020120082727 A KR 1020120082727A KR 20120082727 A KR20120082727 A KR 20120082727A KR 101414727 B1 KR101414727 B1 KR 101414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erous goods
vehicle
information
accident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045A (ko
Inventor
권용장
원종운
이석
김경태
김영주
김학성
방연근
양근율
문대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7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에 의하면, 위험물마다 가지는 위험도를 반영하여 위험물 운송차량의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여 1차적으로 차량의 충돌, 추돌 및 전복 등의 사고의 위험도를 저감시키고, 2차적으로 위험물의 누출 및 유출로 인한 자연생태계 및 식수원의 오염 피해를 예방하며, 위험물 사고에 대하여 지역 공공기관 및 기업과 협조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 및 복구하여 위험물 사고에 대한 비용 절감의 효과 및 안전 수송체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물 운송관리를 위하여 Tablet-PC, Smart Phone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위험물 운송차량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위험물의 종류 및 운송차량의 특징에 적합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고, 운행 중인 운송차량의 상태 및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에 대하여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운송차량 및 위험물의 이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하여 철저하게 대비하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정보 및 출발에서 사고 발생까지의 경로정보를 통해 사고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미 계획된 사고에 대한 대응방안을 빠르게 결정하여 운전자 및 위험물과 관련한 지역 공공기관 및 업체에 제공하여 위험을 진압하고, 시설 및 도로 등을 조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이다.

Description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MANAGEMENT METHOD OF DANGEROUS ARTICLE TRANSPORT CAR AND MANAGEMENT APPARATUS OF DANGEROUS ARTICLE TRANSPORT CAR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개별법에 의해 소관부처별로 위험물을 관리하는 규정이나 지침이 상이하더라도, 위험물을 수송하는 차량의 관리에 있어서 수송차량의 출발지에서부터 도착지까지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첫째 위험물 수송차량이 운행할 도로의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검색하여 얻어진 복수의 안내경로 중에서 가장 적합한 안내경로를 제시하고, 둘째로는 운행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과 위험물 수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셋째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그 원료로 사용되는 화공약품이나 차량이나 공장에서의 기본 생산원으로 사용되는 여러 유류제품 및 압축가스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수송하는 경우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화공약품이나 유류제품들은 산화성, 인화성, 발화성의 물질이며, 자기 반응에 의해 폭발하는 위험물로서 운송전에는 견고한 보관시설내에서 보관되고 있으나, 이들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운송차량의 적재함 내에서의 온도나 진동 등의 변화로 인하여 내부물질의 변화로 인한 발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험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전복, 추돌 또는 충돌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물의 사고는 1차적으로 그 발화성 및 자기반응성으로 인해 보관용기밖으로 유출되는 경우 폭발성을 가져 대량의 위험물의 폭발로 인한 인명사고나 차량이나 도로 등의 파손이 발생하고, 2차적으로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의 확산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는 환경오염이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공개번호 제 10-2009-0079092호)은 유독물, 폐기물, 기름, 가스 등과 같은 위험물을 운반하는 차량을 일률적으로 관리하여 위험구역에서의 대형사고발생을 방지하면서, 유사시 사고유형에 적합한 표준대응처리절차를 제시하여 대형 안전사고방지 및 응급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 센서네트워크, 위험관제센터, 미들웨어서버, 긴급구조서버 등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위험물 수송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격지 위험요소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또한 종래의 위험물 운송시스템(공개번호 제 10-2005-0068858호)은 본 발명은 위험물 운송시스템을 개시한다.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송시스템은, 위험물을 적재시키는 생산공장 및 운송 관리회사에서 입력한 위험물 및 배차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와;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에 탑재된 위험물의 적재상태를 감시하고 이를 전송하는 위험물 감지기와;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GPS장치와; 상기 DB 서버 및 이동 감지기 그리고 GPS장치와 연계되어 정보를 제공받으며 위험물 운송정보를 실시간 관리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위험물 운송시스템은, 위험물 운송차량에 대한 실시간 추적 및 조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재된 위험물에 대한 적재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사고 발생시 적절하고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발명은 위험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사고를 방지하고 사고발생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위험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송차량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큰 피해의 주의가 높은 상수원보호구역에 대한 진입이나 중량제한구역에의 접근을 처음부터 방지하고자 상수원보호구역이나 중량제한구역을 고려한 운행경로를 제공하지 못하며, 적재된 위험물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에 대하여 위험물의 종류 및 운송차량의 특징에 적합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고, 운행 중인 운송차량의 상태 및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에 대하여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운송차량 및 위험물의 이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하여 철저하게 대비하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정보 및 출발에서 현재까지의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사고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미 계획된 사고에 대한 대응방안을 빠르게 결정하여 운전자 및 위험물과 관련한 지역 공공기관 및 업체에 제공하여 위험을 진압하고, 시설 및 도로 등을 조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위험물 운송차량 관리 방법은
도로정보, 위험물질의 종류, 운송차량의 특징 및 도로 사정을 고려하여 위험물운송장치에 최적의 안내경로를 제공하는 최적경로제공단계;
상기 최적경로제공단계에서 제공된 경로를 따라 운행하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는 운송차량모니터링단계;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상태정보를 모니터하는 위험물모니터링단계; 및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를 인지하여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를 전송하여 미리 설정된 사고 대응계획에 따라 사고대응 및 도로나 시설 복구를 수행하는 사고대응단계;로 이루어지며,
위험물 운송차량 관리 장치는,
위위험물관제센터로부터 최적의 운송경로를 수신받아 위험물을 운송하고, 운행중에 발생하는 차량의 상태, 위험물의 상태 및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위험물운송장치;
상기 위험물운송장치에 복수의 경로를 제공하고, 운송차량의 상태, 위험물의 상태 및 사고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사고가 발생한 경우 위험물의 종류와 사고의 형태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대응방안을 제공하고, 관련 공공기관 및 업체에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위험물관제센터; 및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위험물관제센터로부터 사고정보 및 대응방안을 수신받아 사고발생지에서의 적절한 대응과 복구를 수행하는 위험물 관련 공공기관 및 업체의 위험물관제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에 의하면, 위험물마다 가지는 위험도를 반영하여 위험물 운송차량의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여 1차적으로 차량의 충돌, 추돌 및 전복등의 사고의 위험도를 저감시키고, 2차적으로 위험물의 누출 및 유출로 인한 자연생태계 및 식수원의 오염 피해를 예방하며, 위험물 사고에 대하여 지역 공공기관 및 기업과 협조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 및 복구하여 위험물 사고에 대한 비용 절감의 효과 및 안전 수송체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물 운송관리를 위하여 Tablet-PC, Smart Phone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운송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관리센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대응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경로제공단계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경로제공단계 중 초기화단계의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차량모니터링단계의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모니터링단계의의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대응단계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는 위험물을 운송하는 운송차량내 위험물운송장치(100)과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을 관리하는 위험물관제센터(200)와 위험물과 관련한 공공기관 및 업체의 위험물관제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험물운송장치(100)은 위험물관제센터로부터 최적의 운송경로를 수신하여 위험물을 운송하고, 운행중에 발생하는 차량의 상태, 위험물의 상태 및 사고정보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물운송장치(100)는 차량수신기(110)와 차량송신기(120)와 경로출력기(130)와 경로선택기(140)와 차량검지기(150)와 위험물검지기(160)와 차량사고검지기(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수신기(110)는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의 관제송신기(2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차량수신기(110)는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의 관제송신기(25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운송경로, 현재 운행경로에 대한 지시 및 새로운 운행경로를 수신한다.
상기 차량송신기(120)는 상기 위험물운송장치(10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에 송신한다.
상기 차량송신기(120)는 상기 차량수신기(110)에서 수신한 복수의 경로 중 상기 경로선택기(140)를 통해 운전자가 선택한 경로정보를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의 관제수신기(260)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검지기(150)로부터의 전송된 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운전시간 및 사고유무 등의 상태정보를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의 관제수신기(26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차량송신기(120)는 위험물검지기(160)로부터의 전송된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기울기 정보 등의 상태정보를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의 관제수신기(260)에 전송하며, 상기 차량사고검지기(170)로부터의 전송된 사고정보를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의 관제수신기(260)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수신기(110) 및 차량송신기(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상기 경로출력기(130)는 상기 차량수신기(110)에서 수신한 위험물관제센터(200)의 의사결정장치(210)로부터의 복수의 운행경로정보,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220)로부터의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지시정보 및 상기 복수의 경로 중에서 운전자가 선택한 최적경로를 운전자에게 출력한다.
상기 경로출력기(130)는 상기 차량수신기(1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경로 중에서 운전자가 선택한 경로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화면과 음성을 함께 출력한다.
상기 경로선택기(140)는 상기 경로출력기(130)에 표시된 복수의 경로 중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받아 상기 차량송신기(120)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검지기(150)는 상기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운전시간 및 사고유무 등의 운송차량의 상태정보를 검지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차량송신기(120)에 전송한다.
상기 위험물검지기(160)는 상기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기울기 정보 등의 위험물 상태정보를 검지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차량송신기(120)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사고검지기(170)는 차량의 추돌, 충돌 또는 전복 등의 사고뿐 아니라 위험물의 유출를 검지하는 센서부(171)와 운송 중인 차량내부와 차량주위의 음성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72) 및 상기 센서부(171)로부터 검지된 데이터와 상기 촬영부(172)에서 촬영한 음성과 영상 및 상기 경로출력기(130)에 표시된 현재 까지의 운행중인 차량의 운행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사고검지기(170)는 상기 센서부(171)로부터의 검지된 사고발생유무 와 사고 당시의 음성 및 영상과 사고 발생시까지의 운행정보를 상기 차량송신기(120)를 통해 위험물관제센터(200)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관리센터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는 의사결정장치(210)와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220)와 위험물모니터링장치(230)와 사고대응장치(240)와 관제송신기(250)와 관제수신기(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사결정장치(210)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도로지도를 내포하고, 위험물질의 종류, 위험물 운송차량의 특징 및 도로 사정을 고려하여 위험물 운송차량이 위험물을 적재하고 정해진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복수의 운송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220)는 상기 운송차량의 차량검지기(150)를 통해 검지된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의 상태정보를 관제수신기(260)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결함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한다.
상기 위험물모니터링장치(230)는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상태를 검지하는 위험물검지기(160)로부터 전송된 위험물의 상태정보를 관제수신기(260)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한다.
상기 사고대응장치(240)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의 차량사고검지기(170)로부터 전송된 사고의 종류를 인지하고, 전송된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운행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영상출력기(242)에 출력하며, 미리 설정된 사고 대응계획인 방재정보를 생성하여 위험물과 관련된 공공기관 및 업체에 상기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를 전송하여 사고에 대응하게 한다.
상기 관제송신기(250)는 상기 위험물관제센터(20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차량수신기(110)에 전송한다.
상기 관제송신기(250)는 상기 의사결정장치(210)로부터 제안된 복수의 경로 및 상기 사고대응장치(240)로부터 생성된 방재정보를 위험물운송장치(100)에 전송하고, 상기 사고대응장치(240)에 전송된 사고정보 및 상기 사고대응장치(240)로부터 생성된 방재정보를 관련 공공기관과 업체의 위험물관제장치(300)에 전송한다.
상기 관제수신기(260)는 상기 차량송신기(12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위험물운송장치(10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관제수신기(260)는 상기 차량송신기(120)로부터 전송된 운전자 선택 경로정보 및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220)에 전송하고, 위험물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험물모니터링장치(230)에 전송하며, 사고유무 및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고대응장치(240)에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사결정장치(210)는 경로입력기(211)와 도로정보제공기(212)와 위험물운송도로제공기(213)와 운송차량도로제공기(214)와 경로제공기(215)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로입력기(211)는 위험물의 종류와 운송차량의 특징과 출발지 및 도착지를 입력받는다.
상기 도로정보제공기(212)는 가장 최근의 전체 도로지도를 제공하고, 일정한 주기로 도로지도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한다.
상기 위험물운송도로제공기(213)는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운송차량의 운행이 가능한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운송차량도로제공기(214)는 운송차량의 특징에 따라 운송차량의 운행이 가능한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경로제공기(215)는 상기 도로정보제공기(212)로부터 제공된 도로 지도와 상기 위험물운송도로제공기(213)로부터 전송된 도로정보 및 상기 운송차량도로제공기(214)로부터 전송된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가능한 모든 운행경로 중 가장 짧은 거리를 기준으로 일정한 수의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경로제공기(215)는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위험도, 운행에 걸리는 시간, 운행거리 및 통행료를 포함한 운행비용을 고려하여 복수의 경로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220)는 차량정보표시기(221)와 경로지시기(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정보표시기(221)는 상기 관제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운송차량의 정보 중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운전시간 및 사고유무를 표시한다.
상기 차량정보표시기(221)는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및 운전시간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표시한다.
상기 경로지시기(222)는 상기 표시된 운송차량의 위치로부터 운행상의 위치, 경로에 대한 지시 및 새로운 운행경로를 생성하여 관제송신기(250)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대응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고대응장치(240)는 대응방안저장기(241)와 영상출력기(242)와 사고종류입력기(243)와 대응방안출력기(2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응방안저장기(241)는 예상되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사고의 종류에 따라 수립된 대응방안을 저장한다.
상기 대응방안저장기(241)는 순번, 사고종류, 대응방안명, 대응계획, 복구단계 및 유의사항을 항목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된다.
상기 영상출력기(242)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관제수신기(260)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 및 현재까지의 운행데이터로부터 운행경로를 출력한다.
상기 사고종류입력기(243)는 상기 영상출력기(242)로부터 판단된 사고의 종류를 선택한다.
상기 대응방안출력기(244)는 상기 사고종류입력기에 의해 선택된 사고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응방안저장기(241)에 저장된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물 운송차량 관리 방법은 최적경로제공단계(S100)와 운송차량모니터링단계(S200)와 위험물모니터링단계(S300)와 사고대응단계(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최적경로제공단계(S100)는 도로정보, 위험물질의 종류, 운송차량의 특징 및 도로 사정을 고려하여 상기 의사결정장치(210)를 통하여 생성한 최적의 안내경로를 상기 위험물운송장치(100)에 제공한다.
상기 운송차량모니터링단계(S200)는 상기 최적경로제공단계(S100)에서 제공된 경로를 따라 운행하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상기 차량검지기(150)를 통해 생성된 상태정보를 상기 차량송신기(120)로부터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한다.
상기 위험물모니터링단계(S300)는 상기 위험물검지기(160)를 통해 검지된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상태정보를 상기 차량송신기(120)로부터 전송받아 모니터한다.
상기 사고대응단계(400)는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사고검지기(170)를 통해 검지된 사고를 인지하여 전송된 사고정보 및 상기 대응방안저장기(241)로부터 생성된 방재정보를 전송하여 미리 설정된 사고 대응계획에 따라 사고대응 및 도로나 시설 복구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경로제공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적경로제공단계(S100)는 초기화단계(S110)와 경로입력단계(S120)와 위험물도로제공단계(S130)와 차량도로제공단계(S140)와 경로제공단계(S150)와 최적경로선택단계(S160)와 선택경로전송단계(S170)와 선택경로출력단계(S1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초기화단계(S110)는 현재 운송차량이 적재하여 수송하는 위험물의 종류, 운행할 운송차량들의 특징 및 상기 최근의 도로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의사결정장치(210)을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하여 변경사항을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최근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로입력단계(S120)는 현재 운행할 운송차량에 적재한 위험물의 종류를 상기 초기화단계(S110)에서 저장된 위험물의 종류 중 선택하고, 상기 초기화단계(S110)에서 저장된 운송차량들 중 현재 운행할 차량을 선택하며, 상기 초기화단계(S110)에서 저장된 도로정보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상기 위험물도로제공단계(S130)는 상기 경로입력단계(S120)에서 입력한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운행이 가능한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도로제공단계(S140)는 상기 경로입력단계(S120)에서 입력한 운송차량에 따라 통행이 가능한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경로제공단계(S150)는 상기 초기화단계(S110)에서 제공된 도로정보와 상기 초기화단계(S110)에서 제공된 위험물 운송이 가능한 도로정보 및 상기 초기화단계(S110)에서 제공된 운송차량의 운행이 가능한 모든 운행경로 중 가장 짧은 거리를 기준으로 일정한 수의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최적경로선택단계(S160)는 상기 경로제공단계(S150)에서 제공된 복수의 경로 중에서 운전자가 경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경로전송단계(S170)는 상기 최적경로선택단계(S160)에서 선택된 경로를 차량송신기(120)를 통해 위험물관제센터(200)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경로전송단계(S170)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상기 선택경로출력단계(S180)는 상기 최적경로선택단계(S160)에서 선택된 경로를 상기 경로출력기(130)를 통해 운전자에게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경로제공단계 중 초기화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기화단계(S110)는 위험물저장단계(S111)와 운송차량저장단계(S112)와 도로저장단계(S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험물저장단계(S111)는 위험물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기호, 명칭, 분류 및 위험도를 항목으로 저장한다.
상기 운송차량저장단계(S112)는 운송차량에 따라 차량번호, 길이, 폭, 높이 및 특징을 항목으로 하여 저장한다.
상기 도로저장단계(S113)는 최근 전국의 도로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국의 도로정보를 저장하며 도로정보의 변경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차량모니터링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송차량모니터링단계(S200)는 차량검지단계(S210)와 차량정보송신단계(S220)와 차량정보수신단계(S230) 및 차량정보표시단계(S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검지단계(S210)는 상기 차량검지기(150)에 의해 현재 운행중인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및 운전시간을 검지하여 그 검지정보를 상기 차량송신기(120)에 전송한다.
상기 차량정보송신단계(S220)는 상기 검지된 정보를 차량송신기(120)를 통해 상기 관제수신기(260)전송한다.
상기 차량정보수신단계(S230)는 상기 전송된 정보를 상기 관제수신기(260)에서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정보송신단계(S220) 및 차량정보수신단계(S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상기 차량정보표시단계(S240)는 상기 관제수신기(260)에 수신된 정보로부터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및 운전시간을 상기 차량정보표시기(221)에 표시한다.
도 11은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모니터링단계의의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물모니터링단계(S300)는 위험물검지단계(S310)와 위험물정보송신단계(S320)와 위험물정보수신단계(S330) 및 위험물정보표시단계(S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험물검지단계(S310)는 상기 위험물검지기(160)에 의해 현재 운행중인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검지한다.
상기 위험물정보송신단계(S320)는 상기 위험물검지기(160)를 통해 검지된 정보를 상기 차량송신기(120)를 통해 상기 관제수신기(260)에 전송한다.
상기 위험물정보수신단계(S330)는 상기 전송된 정보를 상기 관제수신기(260)를 통해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물정보송신단계(S320) 및 위험물정보수신단계(S3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상기 위험물정보표시단계(S340)는 상기 관제수신기(260)에 수신된 정보로부터 위험물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상기 위험물모니터링장치(230)에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대응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고대응단계(S400)는 대응방안수립단계(S410)와 대응방안저장단계(S420)와 사고정보저장단계(S430)와 사고정보전송단계(440)와 사고정보수신단계(S450)와 사고유무표시단계(S460)와 사고정보출력단계(S470)와 사고종류입력단계(S480)와 대응방안출력단계(S490)와 대응방안전송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응방안수립단계(S410)는 위험물의 종류 및 운송차량의 특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종류별로 예상하여 대응 가능한 적절한 방안을 수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방안수립단계(S410)는 순번, 사고종류, 대응방안명, 대응계획, 복구단계 및 유의사항을 항목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상기 대응방안저장단계(S420)는 상기 수립된 대응방안을 상기 대응방안저장기(241)에 저장한다.
상기 사고정보저장단계(S430)는 상기 차량사고검지기(170)의 센서부(171)로부터 상기 운송차량의 사고발생 유무, 상기 촬영부(172)로부터 사고발생 당시의 사고정보 및 상기 경로출력기(130)로부터 출발지부터 사고 지점까지의 운행데이터를 검지하여 상기 저장부(173)에 저장한다.
상기 사고정보전송단계(440)는 상기 저장부(173)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차량송신기(120)를 통해 상기 관제수신기(260)에 전송한다.
상기 사고정보수신단계(S450)는 상기 차량송신기(1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관제수신기(260)로 수신한다.
상기 사고유무표시단계(S460)는 사고발생여부에 대하여 차량정보표시기(221)에 표시한다.
상기 사고정보출력단계(S470)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사고정보수신단계(S450)에서 수신한 사고정보 및 현재까지의 운행데이터로부터 운행경로를 상기 영상출력기(242)에 출력한다.
상기 사고종류입력단계(S480)는 상기 사고정보출력단계(S470)를 통해 출력된 사고정보를 확인하여 판단한 사고의 종류를 사고종류입력기를 통해 입력한다.
상기 대응방안출력단계(S490)는 상기 사고종류입력단계(S480)에서 입력한 사고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응방안저장기(241)에 저장된 대응방안을 출력한다.
상기 대응방안전송단계(S500)는 상기 관제수신기(260)에 수신된 사고정보와 상기 대응방안출력단계(S490)에서 출력한 대응방안을 위험물 운송사고와 관련한 상기 공공기관과 업체의 위험물관제장치(300)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고정보전송단계(440), 사고정보수신단계(S450) 및 대응방안전송단계(S5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첨부도면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위험물운송장치 110 : 차량수신기
120 : 차량송신기 130 : 경로출력기
140 : 경로선택기 150 : 차량검지기
160 : 위험물검지기 170 : 차량사고검지기
171 : 센서부 172 : 촬영부
173 : 저장부 200 : 위험물관제센터
210 : 의사결정장치 211 : 경로입력기
212 : 도로정보제공기 213 : 위험물운송도로제공기
214 : 운송차량도로제공기 215 : 경로제공기
220 :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 221 : 차량정보표시기
222 : 경로지시기 230 : 위험물모니터링장치
240 : 사고대응장치 241 : 대응방안저장기
242 : 영상출력기 243 : 사고종류입력기
244 : 대응방안출력기 250 : 관제송신기
260 : 관제수신기 300 : 위험물관제장치
S100 : 최적경로제공단계 S110 : 초기화단계
S111 : 위험물저장단계 S112 : 운송차량저장단계
S113 : 도로저장단계 S120 : 경로입력단계
S130 : 위험물도로제공단계 S140 : 차량도로제공단계
S150 : 경로제공단계 S160 : 최적경로선택단계
S170 : 선택경로전송단계 S180 : 선택경로출력단계
S200 : 운송차량모니터링단계 S210 : 차량검지단계
S220 : 차량정보송신단계 S230 : 차량정보수신단계
S240 : 차량정보표시단계 S300 : 위험물모니터링단계
S310 : 위험물검지단계 S320 : 위험물정보송신단계
S330 : 위험물정보수신단계 S340 : 위험물정보표시단계
S400 : 사고대응단계 S410 : 대응방안수립단계
S420 : 대응방안저장단계 S430 : 사고정보저장단계
S440 : 사고정보전송단계 S450 : 사고정보수신단계
S460 : 사고유무표시단계 S470 : 사고정보출력단계
S480 : 사고종류입력단계 S490 : 대응방안출력단계
S500 : 대응방안전송단계

Claims (27)

  1. 위험물 운송차량 관리 장치에 있어서,
    위험물관제센터로부터 운송경로를 수신받아 위험물을 운송하고 운행중에 발생하는 차량의 상태와 위험물의 상태 및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위험물운송장치와, 상기 위험물운송장치에 경로를 제공하고 운송차량의 상태 및 사고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위험물관제센터, 그리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위험물관제센터로부터 사고정보 및 대응방안을 수신받아 사고발생지에서의 대응과 복구를 수행하는 위험물 관련 공공기관 및 업체의 위험물관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위험물운송장치는,
    위험물관제센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량수신기;
    내부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위험물관제센터에 송신하는 차량송신기;
    차량수신기에서 수신된 지시정보, 복수의 경로 및 상기 복수의 경로 중에서 운전자가 선택한 경로를 운전자에게 출력하는 경로출력기;
    상기 경로출력기에 표시된 복수의 경로 중 운전자가 원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기;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운전시간 및 사고유무를 검지하여 그 데이터를 차량송신기에 전송하는 차량검지기;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검지하는 위험물검지기;
    상기 운송차량의 사고발생 유무, 사고발생시의 사고정보 및 현재까지의 운행데이터를 검지하여 저장하는 차량사고검지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험물관제센터는,
    도로 지도를 내포하고, 위험물질의 종류, 위험물 운송차량의 특징 및 도로 사정을 고려하여 위험물운송장치에 안내경로를 제공하는 위험물 수송 의사결정장치;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는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는 위험물모니터링장치;
    상기 위험물 운송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를 인지하고, 사고정보, 방재정보 및 미리 설정된 사고 대응계획인 방재정보를 위험물과 관련된 공공기관 및 업체에 전송하는 사고대응장치;
    의사결정장치의 경로제공기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경로 및 상기 사고대응장치의 대응방안출력기에 지시된 내용을 위험물운송장치에 전송하고, 관제수신기에 수신된 사고정보를 관련 공공기관과 업체에 전송하는 관제송신기;
    상기 차량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운전자 선택 경로정보 및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고, 위험물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위험물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며, 사고유무 및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사고대응장치에 전송하는 관제수신기;
    로 이루어지고,
    상기 의사결정장치는,
    위험물의 종류와 운송차량의 특징과 출발지 및 도착지를 입력하는 경로입력기;
    일정한 주기로 도로 지도를 제공하여 업데이트하는 도로정보제공기;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운송차량의 운행이 가능한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위험물운송도로제공기;
    운송차량의 특징에 따라 운송차량의 운행이 가능한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운송차량도로제공기;
    상기 도로정보제공기로부터 제공된 도로 지도와 상기 위험물운송도로제공기로부터 전송된 도로정보 및 상기 운송차량도로제공기로부터 전송된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가능한 모든 운행경로 중 가장 짧은 거리를 기준으로 일정한 수의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송신기 및 차량수신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송신기 및 관제수신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는 상기 관제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운송차량의 정보 중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운전시간 및 사고유무를 표시하는 차량정보표시기;
    상기 표시된 운송차량의 위치로부터 운행상의 위치, 경로에 대한 지시 및 새로운 운행경로를 생성하여 관제송신기에 전송하는 경로지시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물모니터링장치는 상기 관제수신기로부터 위험물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대응장치는 예상되는 위험물 운송차량의 사고의 종류에 따라 수립된 대응방안을 저장하는 대응방안저장기;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관제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사고정보 및 현재까지의 운행데이터로부터 운행경로를 출력하는 영상출력기;
    상기 영상출력기로부터 판단된 사고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고종류입력기;
    상기 사고종류입력기에 의해 선택된 사고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응방안저장기에 저장된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대응방안출력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수신기는 관제송신기로부터 복수의 운송경로, 현재 운행경로에 대한 지시 및 새로운 운행경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량송신기는 수신된 복수의 경로 중 운전자가 선택한 경로정보, 차량검지기로부터의 차량상태정보, 위험물검지기로부터의 위험물상태정보, 차량사고검지기로부터의 사고정보를 관제수신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송신기는 의사결정장치의 경로제공기로부터 제안된 복수의 경로 및 상기 사고대응장치의 대응방안출력기로부터 생성된 방재정보를 위험물운송장치에 전송하고, 관제수신기에 수신된 사고정보 및 상기 사고대응장치의 대응방안출력기로부터 생성된 방재정보를 관련 공공기관과 업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제수신기는 차량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운전자 선택 경로정보 및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운송차량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고, 위험물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위험물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며, 사고유무 및 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사고대응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공기는 운송차량에 적재된 위험물의 위험도, 운행에 걸리는 시간 , 운행거리 및 통행료를 포함한 운행비용을 고려하여 복수의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3.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경로출력기는 경로제공기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경로 중에서 운전자가 선택한 경로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화면과 음성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표시기는 운송차량의 속도, 위치, 타이어공기압 및 운전시간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물모니터링장치는 위험물의 상태정보 또는 위험물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방안저장기는 순번, 사고종류, 대응방안명, 대응계획, 복구단계 및 유의사항을 항목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운송관리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20082727A 2012-07-27 2012-07-27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 KR101414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727A KR101414727B1 (ko) 2012-07-27 2012-07-27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727A KR101414727B1 (ko) 2012-07-27 2012-07-27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045A KR20140015045A (ko) 2014-02-06
KR101414727B1 true KR101414727B1 (ko) 2014-07-04

Family

ID=5026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727A KR101414727B1 (ko) 2012-07-27 2012-07-27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2274A (zh) * 2015-07-30 2015-11-25 武汉理工大学 基于多传感器感知的集装箱在途状态异常判别方法
KR20180059153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철도운송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센싱 및 정보전달을 위한 화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227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KR101974882B1 (ko) * 2018-08-20 2019-05-07 전광규 물류 배송 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1931545B (zh) * 2019-05-13 2023-10-31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号牌识别方法及装置
CN110481413A (zh) * 2019-09-20 2019-11-22 国泰消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一头三罐应急救援消防车
KR102389521B1 (ko) * 2019-12-30 2022-04-21 에스케이쉴더스 주식회사 융복합 산업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3554369A (zh) * 2020-04-23 2021-10-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危化品运输事故的救援队伍的调配方法及装置
KR102479111B1 (ko) * 2020-07-31 2022-12-19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물고기마을 활어이동체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산물 유통 시스템
KR20220138443A (ko) * 2021-03-09 2022-10-13 주식회사 카짱 비대면 항공화물 원스톱 출고시스템을 연계한 화물운송 플랫폼
CN113408984B (zh) * 2021-06-21 2024-03-22 北京思路智园科技有限公司 危化品运输追踪系统及追踪方法
GB2624810A (en) * 2021-09-16 2024-05-29 Cryoport Inc Prediction of dewar failure
US20230082374A1 (en) * 2021-09-16 2023-03-16 Cryoport, Inc. Prediction of dewar failure
CN116193292A (zh) * 2022-06-07 2023-05-30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车载危险化学品安全监测系统
CN115817423B (zh) * 2022-12-27 2023-06-06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营运车辆车路协同精准制动控制系统及方法
CN116596425B (zh) * 2023-06-25 2023-09-22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基于渗流分析石化港区槽罐车安全调度方法和系统
CN117078141A (zh) * 2023-09-08 2023-11-17 兰州交通大学 一种多车型危险品满载配送车辆调度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858A (ko) * 2003-12-30 2005-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물 운송시스템
KR20090079092A (ko) * 2008-01-16 2009-07-21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858A (ko) * 2003-12-30 2005-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험물 운송시스템
KR20090079092A (ko) * 2008-01-16 2009-07-21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2274A (zh) * 2015-07-30 2015-11-25 武汉理工大学 基于多传感器感知的集装箱在途状态异常判别方法
KR20180059153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철도운송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센싱 및 정보전달을 위한 화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045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727B1 (ko)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위험물 운송차량의 관리 장치
US10366605B1 (en) Broadcasting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s impacting vehicle travel
US113249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adiness of a fire apparatus
KR100963143B1 (ko)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KR101518688B1 (ko) 모바일 태그 로컬 데이터 보고 시스템
US20060047543A1 (en) Electronic emergency response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ed rule-based alert notifications and response deployment
US20160217433A1 (en) System for automated asset inspection and maintenance
US201101309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s carrying hazardous materials
WO20141489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with a fault
KR102077038B1 (ko) 밀폐공간 가스 감지 시스템
WO2016123303A4 (en) Fleet management, automated inspection and maintenance, and conditional proximity-based equipment authorization key
CN109269565A (zh) 一种基于位置管控的危险品运输监测设备以及监测方法
CN115063091A (zh) 危险货物运输事故的处理方法、系统、设备与存储介质
KR20210097988A (ko) Iot 기반 유해물질을 감지하는 스마트 센서 장치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12152A1 (en) Message Conveying System of Rendezvous Locations for Stranded Autonomous Vehicles
AU2021360916A1 (en) Intelligent mobile oilfield analytics platform
CA3073800C (en)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for railway transportation of lng tank containers and transportation management device
WO2023236429A1 (zh) 一种车载易燃易爆物品防燃爆安全管理系统
CN113479131A (zh) 一种车辆运输实时监测系统及方法
US20030169853A1 (en) Electronic emergency response management system
CN103942672A (zh) 用于物流跟踪系统的跟踪装置及使用方法和物流跟踪系统
CN105460454A (zh) 移动检测报警系统
JP2002175583A (ja) 危険物監視装置、危険物監視システム
WO2017022266A1 (ja) 車載器、通信装置および車両管理システム
JP6551456B2 (ja) 給油所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