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388B1 - 인젝터 탈거 장치 - Google Patents

인젝터 탈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388B1
KR101414388B1 KR1020140024003A KR20140024003A KR101414388B1 KR 101414388 B1 KR101414388 B1 KR 101414388B1 KR 1020140024003 A KR1020140024003 A KR 1020140024003A KR 20140024003 A KR20140024003 A KR 20140024003A KR 101414388 B1 KR101414388 B1 KR 10141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nut
head
support
hou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진
정석훈
Original Assignee
김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진 filed Critical 김택진
Priority to KR102014002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35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tor-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fluid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젝터 탈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린더헤드에 고착된 인젝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젝터 탈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인젝터 탈거 장치는, 하부 일부가 실린더헤드를 통해 연소실측으로 매설되며, 상기 실린더헤드 상부의 노출부는 볼트형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상부를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목부를 구비하는 인젝터에 대한 탈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상부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하부 내주면의 너트부와 결합되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하의 개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간부 및 상기 인젝터의 목부를 각각 밀착되게 파지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및 상기 인젝터의 상단부를 하우징 하는 제 1 하우징부; 상기 제 1 하우징부를 하우징하며, 저면이 상기 실린더헤드의 상부 외벽과 밀착되는 제 2 하우징부; 및 상기 지지대 상부 외주면의 볼트부와 대응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젝터 탈거 장치{Apparatus for taking off injector}
본 발명은 인젝터 탈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린더헤드에 고착된 인젝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젝터 탈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젝터(injector, 연료 분사 노즐)는 ECU의 신호에 따라 정확한 타이밍에 정확한 양의 연료를 고압으로 연소실에 분사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으로, 엔진에는 실린더 수만큼의 인젝터가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젝터는 제조회사, 차종 및 연료 종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도 1에 이 가운데 한 종류의 인젝터를 도시하였다.
도 1은 통상의 인젝터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인젝터(100)는, 연료 공급관이나 또는 연료 리턴관 등과 연결되는 연료관(112)이 구비되는 헤드부(110), 헤드부(110)의 하단에 위치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 목부(120) 및 실린더헤드와의 결합을 통해 연소실 측에 매입되는 매입부(13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헤드부(110)의 상단을 구성하는 헤드상부(114)에는 볼트형 나사산이 형성되며, 매입부(130)의 하단에는 연료 분사부(135) 등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인젝터(100)는 실린더헤드에 형성된 홀과 억지끼움 방식 등을 통해 단단히 고정되는데, 특히 차량이 오래 운행되는 경우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형성되는 탄화물 등으로 인해 상기 고정이 더더욱 고착화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착화가 발생되는 경우 차량의 수리 등을 위해 인젝터(100)의 분리 시도 시, 상대적으로 약한 상기 목부(120)의 절단이나 파손 등이 자주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헤드에 삽입된 채로 인젝터(100)의 절단이 발생되면 이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제거를 위해 드릴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실린더헤드 등의 손상으로 인한 더 큰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131243호(발명의 명칭: 디젤엔진 인젝터의 탈거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6556호(발명의 명칭: 커먼레일 엔진용 인젝터 탈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실린더헤드에 고착된 인젝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젝터 탈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젝터 탈거 장치는, 하부 일부가 실린더헤드를 통해 연소실측으로 매설되며, 상기 실린더헤드 상부의 노출부는 볼트형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상부를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목부를 구비하는 인젝터에 대한 탈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상부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하부 내주면의 너트부와 결합되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하의 개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간부 및 상기 인젝터의 목부를 각각 밀착되게 파지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및 상기 인젝터의 상단부를 하우징 하는 제 1 하우징부; 상기 제 1 하우징부를 하우징하며, 저면이 상기 실린더헤드의 상부 외벽과 밀착되는 제 2 하우징부; 및 상기 지지대 상부 외주면의 볼트부와 대응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인젝터 탈거 장치는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에 상기 너트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어 상기 너트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와 각각 밀착되는 제 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에 상기 너트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너트의 회전을 돕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지지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 및 상기 베어링의 하부와 각각 밀착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된 몸체상부; 내주면에 너트부가 형성된 몸체하부; 및 상기 몸체상부 및 몸체하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대적으로 상기 몸체상부 및 몸체하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부는 단면이 U자 형태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로부터 각각 다른 내경을 갖는, 상기 지지대의 중간부와 결합되는 상부 개구부; 상기 지지대의 몸체하부와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부; 상기 인젝터의 헤드부와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부; 및 상기 인젝터의 목부와 결합되는 하부 개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젝터 탈거 장치에 따르면, 실린더헤드에 고착된 인젝터에 대해 스크류 방식 또는 유압실린더 방식의 선택적 적용을 통한 효과적인 탈거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탈거 과정 중 인젝터의 절단 발생으로 인한 드릴링 등의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차량 수리 및 정비 등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추가 작업 과정에 발생될 수 있는 제 2, 제 3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인젝터의 구성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에 구비되는 제 1 하우징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2의 인젝터 탈거 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들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는, 지지대(200), 제 1 하우징부(300), 제 2 하우징부(400), 너트(500) 및 베어링(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젝터(100)의 상부와 결합되는 지지대(200)의 상부 외주면에는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호 결합된 인젝터(100)의 상부 및 지지대(200)의 하부는 제 1 하우징부(300) 및 제 2 하우징부(400)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우징 되며, 특히 제 1 하우징부(300)는 인젝터(100)의 목부(도 1의 120) 및 지지대(200)의 중간부(도 4의 230)와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후, 지지대(200)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부와 너트(500) 사이에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 후 너트(500)를 계속 조이게 되면, 너트(500)의 하부는 제 2 하우징부(400)의 상부와 맞닿게 된다. 하지만 렌치 등을 이용해 계속적으로 너트(500)를 조이게 되면 반대로 지지대(200)가 너트(500)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이를 통해 지지대(200)와 체결된 인젝터(100)가 같이 상승함으로써 실린더헤드로부터 인젝터(100)의 탈거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 1 하우징부(300)의 하부 개구부는 인젝터(100)의 목부(120)를 밀착되게 파지함으로써, 인젝터(100)의 탈거 과정에서 목부(120)의 절단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부(400)의 상부에는 너트(500)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도록 돕기 위한 베어링(600)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하우징부(400)의 보호 및 너트(500)가 너무 깊숙히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 연결부(450) 등이 제 2 하우징부(400)와 베어링(600)의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젝터(100)의 상부와 결합되는 지지대(200)의 상부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되며, 상호 결합된 인젝터(100)의 상부 및 지지대(200)의 하부는 제 1 하우징부(300)와 제 2 하우징부(400)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우징 될 수 있고, 지지대(200)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부와 너트(500) 사이에 나사 결합이 이루어짐은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는, 너트(500)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센터홀 타입 유압실린더(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700)의 공급부(7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압력이 공급되면 유압실린더(700)가 너트(500)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며, 이 과정에서 너트(500)에 연결된 지지대(200), 지지대(200)에 연결된 인젝터(100)가 동시에 상승되는 과정에 인젝터(100)의 탈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 1 하우징부(300)의 하부 개구부가 인젝터(100)의 목부(120)를 밀착되게 파지함으로써, 인젝터(100)의 탈거 과정에서 목부(120)의 절단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제 2 하우징부(400)와 유압실린더(700)의 사이에 연결부(450) 등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서로서로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대(200)는,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된 몸체상부(210), 내주면에 너트부가 형성된 몸체하부(220) 및 몸체상부(210), 몸체하부(22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중간부(230)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몸체상부(210)는 너트(500)와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 가능하도록 적어도 상단 외주면을 포함하는 상부 일부에 볼트부가 구비되며, 몸체하부(220)는 하방에서 삽입되는 인젝터(100)의 헤드상부(도 1의 114)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하부 내주면에 너트부가 구비된다. 서로 다른 외관을 갖는 몸체하부(220)가 구비된 지지대(200)가 (a), (b)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몸체하부(220)는 모두 적어도 하부 일부 내주면에 너트부를 구비한다.
또한, 몸체상부(210) 및 몸체하부(220) 사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중간부(230)가 구비됨으로써, 제 1 하우징부(300)의 상부 개구부가 중간부(230)를 밀착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탈거 장치에 구비되는 제 1 하우징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1 하우징부(300)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U자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각기 다른 내경을 갖는 적어도 4개의 부분으로 구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상부 개구부(310)는 지지대(200)의 중간부(230)에 대응되는 개구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중간부(230)를 밀착되게 파지한다.
상부 개구부(310)와 연결되는 하방의 상부 하우징부(320)는 지지대(200)의 몸체하부(220)를 파지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하부(220)의 내주면에는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어 인젝터(100)의 헤드상부(114)와 나사결합이 체결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부 하우징부(320)와 연결되는 하방의 하부 하우징부(330)는 지지대(200)의 하방으로 삽입된 헤드상부(114)를 제외한 나머지 헤드부(110)를 하우징하며, 하부 하우징부(330)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하부 개구부(340)는 인젝터(100)의 목부(120)를 밀착되게 파지한다.
다시 말해, 제 1 하우징부(300)는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된 인젝터(100) 및 지지대(200)의 연결 부위를 하우징함으로써 체결을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절단 또는 파손 등의 위험이 있는 인젝터(100)의 목부(120)를 보호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체적인 구성들은 일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 1 하우징부(300)의 단면이 U자 형태를 갖는 구성은, 제 1 하우징부(300)의 체결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젝터(100)의 연료관(도 1의 112) 보호 등의 장점을 갖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하우징부(300)에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통상의 어떠한 구성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2의 인젝터 탈거 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들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실린더헤드 등에 매입된 인젝터(100)의 상부에 지지대(200)가 결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인젝터(100)의 헤드상부에는 볼트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하부(220)의 내주면에는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사이에는 견고한 나사결합이 체결될 수 있다.
이어서, 지지대(200)의 중간부(230)로부터 인젝터(100)의 목부(120)까지를 하우징 하는 제 1 하우징부(300)가 체결됨을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 1 하우징부(300)의 하부 개구부(340)는 인젝터(100)의 목부(120)를 밀착되게 파지함으로써 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제 1 하우징부(300)의 측면 개구면을 통해 연료관(112) 등이 노출됨으로써 외부 압력에 의한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8에는, 제 1 하우징부(300)의 외부에 제 2 하우징부(400)가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 2 하우징부(400)는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1 하우징부(300)를 전체적으로 서라운딩 함으로써, 제 1 하우징부(300)의 측면 개구면을 통해 일부 노출된 인젝터(100)를 보호하는 한편, 제 1 하우징부(300)의 바닥면 및 실린더헤드의 상부면과 각각 밀착됨으로써, 인젝터(100)의 탈거가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9에는, 제 2 하우징부(400)의 상부에 연결부(450) 및 베어링(6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마지막으로 지지대(200)의 볼트부와의 결합을 통해 너트(500)가 조여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와 같이 너트(500)가 하부의 구성요소들과 밀착될 때까지 조여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너트(500)에 조여지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지지대(200)가 너트(500)를 따라 상승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연결된 인젝터(100)의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베어링(600)은 너트(500)의 조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선택적 구성요소이고, 연결부(450) 역시 제 2 하우징부(400) 상부면의 보호 및 너트(500) 체결 깊이 조절 등을 위한 선택적 구성요소임은 전술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부(400)의 상부에 너트(500)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유압실린더(7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압실린더(700)는 공급부(750)를 통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어 너트(500)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인젝터(100) 탈거 작업을 수행하게 됨은 전술한 바 있다.
이때에도,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밀착을 통해 너트(500)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유압실린더(700)를 통한 상방향으로의 힘의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부(450)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 또한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인젝터 200: 지지대
300: 제 1 하우징부 400: 제 2 하우징부
450: 연결부 500: 너트
600: 베어링 700: 유압실린더

Claims (7)

  1. 하부 일부가 실린더헤드를 통해 연소실측으로 매설되며, 상기 실린더헤드 상부의 노출부는 볼트형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상부를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목부를 구비하는 인젝터에 대한 탈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상부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하부 내주면의 너트부와 결합되며, 상부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하의 개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간부 및 상기 인젝터의 목부를 각각 밀착되게 파지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및 상기 인젝터의 상단부를 하우징 하는 제 1 하우징부;
    상기 제 1 하우징부를 하우징하며, 저면이 상기 실린더헤드의 상부 외벽과 밀착되는 제 2 하우징부; 및
    상기 지지대 상부 외주면의 볼트부와 대응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에 상기 너트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위치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어 상기 너트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인젝터 탈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와 각각 밀착되는 제 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인젝터 탈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에 상기 너트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너트의 회전을 돕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인젝터 탈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상부 및 상기 베어링의 하부와 각각 밀착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인젝터 탈거 장치.
  6. 제 1 항, 제 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된 몸체상부;
    내주면에 너트부가 형성된 몸체하부; 및
    상기 몸체상부 및 몸체하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대적으로 상기 몸체상부 및 몸체하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탈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부는 단면이 U자 형태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로부터 각각 다른 내경을 갖는, 상기 지지대의 중간부와 결합되는 상부 개구부;
    상기 지지대의 몸체하부와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부;
    상기 인젝터의 헤드부와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부; 및
    상기 인젝터의 목부와 결합되는 하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탈거 장치.
KR1020140024003A 2014-02-28 2014-02-28 인젝터 탈거 장치 KR10141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03A KR101414388B1 (ko) 2014-02-28 2014-02-28 인젝터 탈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03A KR101414388B1 (ko) 2014-02-28 2014-02-28 인젝터 탈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388B1 true KR101414388B1 (ko) 2014-07-01

Family

ID=5174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003A KR101414388B1 (ko) 2014-02-28 2014-02-28 인젝터 탈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3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948B1 (ko) * 2015-05-12 2016-07-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핀제거 장치
KR101907263B1 (ko) * 2016-09-09 2018-10-11 김학렬 차량용 인젝터 제거 장치
RU191714U1 (ru) * 2018-10-23 2019-08-19 Алексей Павлович Вербенский Съемник электро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556B1 (ko) * 2006-04-14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먼레일 엔진용 인젝터 탈거장치
EP1847356A2 (de) 2006-04-21 2007-10-24 Klann Spezial-Werkzeugbau GmbH Vorrichtung mit Stützring zum Ausziehen von Einspritzdüsen
KR20080092985A (ko) * 2006-02-07 2008-10-16 반발 앤 파트너스 눌어붙은 연결부를 푸는 장치와 방법
JP2010155309A (ja) 2008-12-26 2010-07-1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埋込みピンの引抜き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985A (ko) * 2006-02-07 2008-10-16 반발 앤 파트너스 눌어붙은 연결부를 푸는 장치와 방법
KR100706556B1 (ko) * 2006-04-14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먼레일 엔진용 인젝터 탈거장치
EP1847356A2 (de) 2006-04-21 2007-10-24 Klann Spezial-Werkzeugbau GmbH Vorrichtung mit Stützring zum Ausziehen von Einspritzdüsen
JP2010155309A (ja) 2008-12-26 2010-07-1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埋込みピンの引抜き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948B1 (ko) * 2015-05-12 2016-07-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핀제거 장치
KR101907263B1 (ko) * 2016-09-09 2018-10-11 김학렬 차량용 인젝터 제거 장치
RU191714U1 (ru) * 2018-10-23 2019-08-19 Алексей Павлович Вербенский Съемник электро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388B1 (ko) 인젝터 탈거 장치
JPH1193933A (ja) ナット合わせ手段付きロックナット
JP2012125854A (ja) スリーブ取外工具およびスリーブ取外方法
US6012475A (en) Self-piercing valve assembly
US20090211407A1 (en) Nut wrench
US20090041560A1 (en) Lock nut
FI125539B (fi) Hydraulinen kiinnityslaite
JP2012052538A (ja) 燃料噴射ノズルのための芯出し装置
KR101435765B1 (ko) 드릴 작업용 지그
EP3469220B1 (en) Bolt with safety device for a bolt head and a method for releasing the bolt
KR970033572A (ko) 디젤 엔진 인젝터의 탈거 장치
RU142408U1 (ru) Антивандальное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варианты)
US10899175B2 (en) Wheel lock key assembly and wheel lock key retention mechanism
JP2010163788A (ja) ロックボルトの締め付けプレート及びロックボルトの締め付け方法
JP2002055312A (ja) レンズ取付具及びレンズ取付部の構造
KR20000014980U (ko) 나사 지지 기능을 구비한 드라이버
KR100223111B1 (ko) 호스고정용 스프링 클램프
JP4725852B2 (ja) 取り外し防止具
JP2003239925A (ja) ボルトアセンブリ
JP4361574B2 (ja) インジェクタ引き抜き工具
JP2001271818A (ja) スリーブナット
KR200373204Y1 (ko) 엘형 렌치의 지지용 툴
JPH0744456Y2 (ja) 回動用のパイプハンドル付セットレンチ
JPH0711892Y2 (ja) ホルダー付きドライバー
JP3785446B2 (ja) 管継手予備締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