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963B1 -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 Google Patents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963B1
KR101413963B1 KR1020110131968A KR20110131968A KR101413963B1 KR 101413963 B1 KR101413963 B1 KR 101413963B1 KR 1020110131968 A KR1020110131968 A KR 1020110131968A KR 20110131968 A KR20110131968 A KR 20110131968A KR 101413963 B1 KR101413963 B1 KR 10141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coupling portion
nozzle
diameter coupling
seal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213A (ko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김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희 filed Critical 김병희
Priority to KR102011013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9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86Means, generally located near the nozzle, for piercing or perforating the front part of a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의 교체용 노즐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실란트건 내부에 밀봉튜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밀봉튜브를 간단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실란트의 압출중에 밀봉튜브가 노즐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할한 실란트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 실란트 토출용 메인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A nozzle structure for discharging a sealant}
본 발명은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교체용 노즐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실란트건 내부에 밀봉튜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밀봉튜브를 간단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실란트의 압출중에 밀봉튜브가 노즐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할한 실란트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란트 건(sealant gun)은 산업용 및 건축용에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용제타입의 실란트가 충진되어 사용시 상측에 구비된 실란트건 노즐을 개봉함과 동시 하측에 구비된 마개를 밀어주어 그 압력에 의해 실란트가 노즐로 추출되게 하여 구조물의 틈새 혹은 기기결합간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밀봉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란트 건에 사용되는 실란트는 대개 합성수지재질의 원통형의 카트리지에 담겨지거나 또는 밀봉튜브의 내부에 담겨져 사용되는 바, 사용시에는 카트리지 또는 비닐지의 쏘세지형 밀봉튜브의 선단부를 절단칼로 절단하여 개봉한 후 이를 실란트건에 장착하여 실란트건의 방아쇠를 눌러줌으로써 압출시켜 사용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종래 사용되는 비닐재질의 쏘세지형 밀봉튜브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써, 종래 실란트건에 밀봉튜브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먼저 실란트건(1)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결합캡(2)을 실란트건(1)의 선단부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실란트 건(1)의 내부에 밀봉튜브(3)를 장입시킨 후, 장입된 밀봉튜브(3)의 선단부를 컷터칼과 같은 별도의 컷팅수단으로 컷팅한다.
이와 같이 밀봉튜브(3)의 선단부를 컷팅한 다음, 다시 밀봉튜브(3)를 실란트건(1)의 내부측으로 완전히 장입하고, 플랜지(4a)가 형성된 노즐(4)을 결합캡(2)으로 실란트건(1)의 선단부에 결합한후, 실란트건(1)의 레버(5)를 잡아당기면 실란트건(1)의 내부에 구성된 피스톤이 상기 밀봉튜브(3)의 후단측을 가압하여 줌으로써 밀봉튜브(3)의 내부측에 수용된 실란트가 상기 실란트건 노즐(4)을 통해 가이드 되어 외부로 압출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압출되는 실란트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틈새 혹은 기기결합간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실링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즐을 채용하는 실란트건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실링하는 부분이 좁거나 넓은 경우 토출구멍의 크기가 다른 노즐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밀봉튜브(3)의 선단부를 별도의 컷터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컷팅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밀봉튜브(3)의 절단과 결합캡(2)을 이용한 노즐(4)의 결합등 작업성이 떨어진다.
세째, 피스톤의 전진으로 밀봉튜브(3)내의 실란트가 노즐(4)을 통하여 토출되는 동안 실란트건(1)의 내부에 잔류하는 밀봉튜브(3)로 인하여 노즐(4) 구멍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원할한 실란트의 토출이 어렵게 된다.
한국특허등록 10-0897244호 한국실용신안등록 20-03378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노즐구멍 크기가 다른 교체용 노즐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밀봉튜브의 선단부를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며, 신란트건의 실린더 내부에 잔류하는 밀봉튜브로 인한 노즐구멍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크기가 다른 교체용 노즐을 결합할 수 있도록 소경 및 대경의 결합부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노즐 내부에서의 실란트 흐름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량된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후단부가 실란트가 충전된 밀봉튜브를 수용하는 실란트건의 실린더 선단에 결합캡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에 교체용 노즐들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노즐을 구비하는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메인노즐은;
상기 실린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결합캡에 의해 실린더의 선단에 가압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되는 절두원추형통부와,
상기 절두원추형통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교체용 노즐들중 어느 하나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대경결합부와,
상기 대경결합부의 단부와 연결되되 대경결합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교체용 노즐들중 다른 하나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경결합부와,
상기 대경결합부와 소경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노즐 구조체는 상기 원통부의 타단부에 상기 밀봉튜브의 단부를 파손시키는 칼날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칼날의 외주면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밀봉튜브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실란트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대경결합부보다 얇게하여 유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경결합부와 결합되는 상기 교체용 노즐의 단부에는 상기 소경결합부와 결합되는 소경부와 상기 대경결합부와 결합되는 대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경결합부의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메인노즐(30)에 소경결합부(35)와 대경결합부(33)를 형성시킴으로써, 실링하고자 하는 부분의 폭에 따라 다른 교채용노즐(50,6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메인노즐(30)의 단부에 칼날(31b)을 형성시켜서 실린더(10)에 메인노즐(30)을 결합시킬때 밀봉튜브(40)의 단부가 파손되도록 하여서, 밀봉튜브(40)의 파손을 간편하게 한다.
세째, 칼날(31b)과 실린더(10) 사이에 수용부(15)를 형성시킴으로써, 피스톤(11)의 전진에 의해서 밀봉튜브(40)로부터 실란트(41)가 토출되는 동안 찢겨진 밀봉튜브(40)가 수용부(15)에 수용되도록 하여 밀봉튜브(40)로 인한 메인노즐(30)의 막힘을 방지한다.
네째, 대경결합부(33)와 소경결합부(35)를 연결하는 연결부(34)를 박형으로서 유연하게 형성함으로써, 실란트(41)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토출방향으로 소경결합부(35)가 위치이동되고 연결부(34)가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사용자에 의한 피스톤(11) 작용력을 경감하면서 실란트(41)의 토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소경결합부(35)와 결합되는 제2교체용 노즐(60)의 단부에 소경결합부(35)와 결합되는 소경부(61)와 대경결합부(33)와 결합되는 대경부(62)를 형성함으로써, 유연한 연결부(34)에도 불구하고 실링부분에 제2교체용노즐(60)을 접촉시키면서 안정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통상의 실란트건을 이용한 쏘세지형 밀봉튜브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밀봉튜브를 파손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제1,2교체용노즐을 메인노즐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메인노즐에 제2교체용노즐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메인노즐에 제1교체용노즐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연결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본 발명 실시예의 노즐 구조체는 다양한 크기의 교체용 노즐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실란트건 내부에 밀봉튜브를 장착한 상태에서 밀봉튜브를 간단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실란트의 압출중에 밀봉튜브가 노즐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할한 실란트의 토출이 가능하도록.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노즐 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실란트건(sealant gun)의 선단에 결합캡(2, 20(도 6참조))에 의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메인노즐의 선단부에는 교체용 노즐들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실란트건은 밀봉튜브(40)가 장착되는 실린더(10)와, 밀봉튜브(40) 내부의 실란트(41)를 밀어내는 피스톤(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메인노즐(30)은 상기 실린더(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결합캡(20)에 의해 실린더(10)의 선단에 가압되는 플랜지(31a)가 형성된 원통부(31)와, 상기 원통부(31)의 일단부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되는 절두원추형통부(32)와, 상기 절두원추형통부(3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1교체용 노즐(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대경결합부(33)와, 상기 대경결합부(33)의 단부와 연결되되 대경결합부(33)보다 직경이 작으며 제2교체용 노즐(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경결합부(35)와, 상기 대경결합부(33)와 소경결합부(35)를 연결하는 연결부(34)로 구성된다.
상기 대경결합부(33) 및 소경결합부(35)와 제1 및 제2 교체용 노즐(50,60)의 결합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호간 상대편에 각각 걸림홈과 걸림턱을 형성하여서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원통부(31)의 타단부에는 상기 밀봉튜브(40)의 단부를 파손시키는 칼날(31b)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칼날(31b)의 외주면과 상기 실린더(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밀봉튜브(40)가 수용되는 수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튜브(40)를 실린더(10)에 장착한 후, 메인노즐(30)을 실린더(10)의 선단에 결합시킬때 칼날(31b)이 밀봉튜브(40)를 파고들면서 파손시킨다. 이때 메인노즐(30)을 실린더(10)에 결합시키면서 회전시키게 되면 밀봉튜브(40)의 파손을 보다 원할하게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34)는 상기 실란트(42)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대경결합부(33)보다 얇게하여 유연하도록 형성된다. 즉, 메인노즐(3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데, 연결부(34)는 박형으로 형성하여서 유연하게 되며 도 8b에서와 같이 실란트(41)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토출방향으로 소경결합부(35)가 위치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대경결합부(33)와 소경결합부(35)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분(연결부(34) 부분)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피스톤(11) 작용력을 경감하면서 실란트(41)의 토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란트의 토출 원할 및 피스톤(11) 작용력의 경감을 위하여, 상기 소경결합부(35)의 단부에 경사면(35a)을 형성하였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교체용 노즐(60)을 소경결합부(35)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유연한 연결부(34)에 의해서 제2교체용 노즐(60)이 유동적이므로 창틀등에의 실링작업이 불편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소경결합부(35)와 결합되는 상기 제2교체용 노즐(60)의 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경결합부(35)와 결합되는 소경부(61)와 상기 대경결합부(33)와 결합되는 대경부(62)를 형성하여서, 연결부(34)에 의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메인노즐(3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되어진다.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실린더(10)에 밀봉튜브(40)를 장착하고, 메인노즐(30)을 결합캡(20)에 결합시키고, 결합캡(20)을 실린더(1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실린더(10)의 선단에 메인노즐(30)을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캡(20)을 실린더(10)에 완전히 나사결합하기전 메인노즐(30)을 헐겁게 한 상태에서 메인노즐(30)을 작업자가 회전시키게 되면 칼날(31b)에 의한 밀봉튜브(40)가 원할하게 파손된다. 칼날(31b)의 단부를 톱니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밀봉튜브(40)가 보다 원활하게 찢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밀봉튜브(40)가 찢어진 다음 결합캡(20)을 완전히 실린더(10)에 나사결합시키고, 도 3b에서와 같이 피스톤(11)을 전진시켜서 찢어진 밀봉튜브(40)의 선단부(40a)를 메인노즐(30)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후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노즐(30)의 단부에 실링하고자 하는 면적에 따라 제1교체용노즐(50) 또는 제2교체용노즐(60)을 결합시킨 후 피스톤(11)에 작용력을 가하여 실란트(41)를 토출시켜 사용한다.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교체용노즐(60)을 소경결합부(35)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실란트(41)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연결부(34)가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게 되므로 실란트(41)가 원할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교체용노즐(60)을 실링하고자 하는 부분에 접촉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유연한 연결부(34)에 의해서 접촉력이 부족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노즐(30)의 대경결합부(33)에 결합되는 대경부(62)를 형성한 제2교체용노즐(60)을 사용한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제1교체용노즐(50)을 메인노즐(3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실란트(41)의 토출압력이 작용할때 도 6 및 도 8b에서와 같이 실란트(41)의 토출방향으로 소경결합부(35)가 위치이동되게 되며 이때 연결부(34)가 경사상태로 펼쳐지게 되므로 실란트(41)의 토출을 원할하게 하고 또한 작업자에 의한 피스톤(11)의 작용력을 경감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피스톤(11)의 전진에 의해서 밀봉튜브(40)로부터 실란트(41)가 토출되는 동안 찢겨진 밀봉튜브(40)의 단부부분부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31b)과 실린더(10) 사이의 수용부(15)에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밀봉튜브(40)가 메인노즐(30)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란트(41)의 토출을 원할하게 한다.
10...실린더 11...피스톤
20...결합캡 30...메인노즐
40...밀봉튜브 50,60...제1,2교체용노즐

Claims (4)

  1. 후단부가 실란트가 충전된 밀봉튜브(40)를 수용하는 실란트건의 실린더(10) 선단에 결합캡(2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에 교체용 노즐(50,60)들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노즐(30)을 구비하는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메인노즐(30)은;
    상기 실린더(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결합캡(20)에 의해 실린더(10)의 선단에 가압되는 플랜지(31a)가 형성된 원통부(31)와,
    상기 원통부(31)의 일단부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되는 절두원추형통부(32)와,
    상기 절두원추형통부(3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교체용 노즐(50,60)들중 어느 하나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대경결합부(33)와,
    상기 대경결합부(33)의 단부와 연결되되 대경결합부(33)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교체용 노즐(50,60)들중 다른 하나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경결합부(35)와,
    상기 대경결합부(33)와 소경결합부(35)를 연결하는 연결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31)의 타단부에 상기 밀봉튜브(40)의 단부를 파손시키는 칼날(31b)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칼날(31b)의 외주면과 상기 실린더(10)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밀봉튜브(40)가 수용되는 수용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4)는 상기 실란트(42)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대경결합부(33)보다 얇게하여 유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결합부(35)와 결합되는 상기 교체용 노즐(60)의 단부에는 상기 소경결합부(35)와 결합되는 소경부(61)와 상기 대경결합부(33)와 결합되는 대경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결합부(35)의 단부에 경사면(3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KR1020110131968A 2011-12-09 2011-12-09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KR10141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968A KR101413963B1 (ko) 2011-12-09 2011-12-09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968A KR101413963B1 (ko) 2011-12-09 2011-12-09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213A KR20130065213A (ko) 2013-06-19
KR101413963B1 true KR101413963B1 (ko) 2014-07-04

Family

ID=4886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968A KR101413963B1 (ko) 2011-12-09 2011-12-09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91B1 (ko) * 2015-07-16 2016-11-22 신현호 접합소재 인출노즐
KR102505978B1 (ko) * 2022-01-13 2023-03-03 김종성 커팅부가 구비된 코킹건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471B1 (ko) * 2016-02-29 2016-08-29 대동실란트(주) 실리콘건
KR200493066Y1 (ko) * 2019-03-14 2021-01-26 주식회사 투엔티원 실리콘 카트리지용 노즐캡 고정구
KR200496329Y1 (ko) * 2022-05-30 2023-01-03 허영호 실리콘 비닐튜브 조립체 구조
KR102633399B1 (ko) * 2023-01-27 2024-02-02 김성원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669A (ja) * 1992-09-17 1994-04-19 Dow Corning Corp ソーセージ分配用アダプタ
JPH10156252A (ja) * 1996-12-04 1998-06-16 Honda Motor Co Ltd シーリング剤の吐出量調整装置
KR200194281Y1 (ko) 2000-04-14 2000-09-01 동양실리콘주식회사 실링재 포장 용기
JP2001315752A (ja) 2000-05-11 2001-11-13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シーラント内蔵カートリッジ収納段ボール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669A (ja) * 1992-09-17 1994-04-19 Dow Corning Corp ソーセージ分配用アダプタ
JPH10156252A (ja) * 1996-12-04 1998-06-16 Honda Motor Co Ltd シーリング剤の吐出量調整装置
KR200194281Y1 (ko) 2000-04-14 2000-09-01 동양실리콘주식회사 실링재 포장 용기
JP2001315752A (ja) 2000-05-11 2001-11-13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シーラント内蔵カートリッジ収納段ボール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91B1 (ko) * 2015-07-16 2016-11-22 신현호 접합소재 인출노즐
KR102505978B1 (ko) * 2022-01-13 2023-03-03 김종성 커팅부가 구비된 코킹건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213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963B1 (ko)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AU2017239548B2 (en) Mixing and dispensing container
JP6168719B2 (ja) 流体間接触低減化用複数成分吐出カートリッジ,混合ノズルおよびその方法
EP2475598B1 (en) Mix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20080276359A1 (en) Drain clog remover
JP2014221476A (ja) 修理ノズル
CN101500905A (zh) 改进的分发装置
JP2009082867A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
KR20130029048A (ko) 실러 건에 있어서의 액 흘러내림 방지 장치
US7631790B2 (en) Fluid dispensing accessory
KR101178376B1 (ko) 실리콘 용기와 노즐의 결합구조
JP5211499B2 (ja) シーリング材パック用コーキングガンのパック穿孔治具
US20210299695A1 (en) Self-puncture nozzle for caulking
JP4030181B2 (ja) 粘性体の吐出治具
JP5309471B2 (ja) シーリング材パック用コーキングガンのパック穿孔治具
KR100527790B1 (ko) 접착제 용기
JP2022001352A (ja) 押出しガン
US20110272439A1 (en) Discharge structure for a liquid container
JP2014234186A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及び吐出具
EP2583635B1 (en) Mixing and dispensing container
JP4348640B2 (ja) 吐出ガン用カートリッジ
TWM611016U (zh) 填料設備及填料設備的噴嘴頭
JP6958319B2 (ja) ノズル
KR200354361Y1 (ko) 접착제 용기
JP3141275U (ja) シリカゲル用筒型押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