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281Y1 - 실링재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실링재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281Y1
KR200194281Y1 KR2020000010591U KR20000010591U KR200194281Y1 KR 200194281 Y1 KR200194281 Y1 KR 200194281Y1 KR 2020000010591 U KR2020000010591 U KR 2020000010591U KR 20000010591 U KR20000010591 U KR 20000010591U KR 200194281 Y1 KR200194281 Y1 KR 200194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p
sealing material
pack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동양실리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실리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실리콘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0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86Means, generally located near the nozzle, for piercing or perforating the front part of a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링재 포장 용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실링재가 충전되어서 별도의 주입건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실링재 포장 용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일단에 삽입되며, 그 전방으로 중심에 토출구(62)를 갖는 나사결합부(64)가 형성된 캡(60)과; 상기 캡(60)의 나사결합부(64)에 나사결합되는 노즐(70)과; 상기 실린더(50)의 타단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80)과; 내부에 실링재가 충전되어서 상기 실린더(50)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밀봉 포장된 팩(9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실린더, 캡, 노즐 및 피스톤을 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 팩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된 팩은 그 부피가 현저히 작은 상태로 압착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처리가 편리하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실링재 포장 용기{Container For Sealant}
본 고안은 실링재 포장 용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밀봉식 일체형 용기를 실린더와 팩으로 구성하면서 상기 실린더는 영구적으로 사용하고 실리콘이 충전된 팩만을 교체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인 실링재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링재(실란트)로서는 건축공사에 있어서 유리의 설치, 욕실 시설물의 밀봉 내지 접착, 벽체의 틈새 보수 등에 사용되는 실리콘을 들수 있고, 또는 유/공압 장비 등의 조인트 부분에 석면 내지 금속가스켓 대용으로 사용되는 액상가스켓 등을 들수 있는데, 이들은 통상 밀폐된 원통형 용기내에 충전된 상태로 제공되어 현장에서 별도의 주입건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형적인 실링재 포장 용기를 주입건과 함께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실링재 포장 용기는 대분하여 원통형의 튜브(2)와 노즐(10)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튜브(2)는 통상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면서 그 선단에는 상기 노즐(10)의 암나사부(12)가 결합되기 위한 숫나사부(4)가 형성되어 있고, 튜브(2)의 후미부에는 피스톤(6)이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숫나사부(4)는 상기 튜브(2)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서 그 선단이 막혀 있어 튜브(2) 내부에 실링재를 직접 충전하고 피스톤(6)을 삽입함에 의하여 실링재가 밀봉되도록 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실링재 용기는 주입건(20)에 장착하기에 앞서 튜브(2)의 숫나사부(4) 선단을 절단하여 내부의 실링재가 이를 통하여 토출가능한 상태로 한 다음, 노즐(10)을 결합하여 이의 노즐(10) 부분을 주입건(20)의 안내판(22) 측방으로부터 진입시키면서 앞으로 밀어 넣으면, 튜브(2)의 선단부가 주입건(20)의 안내판(22) 선단에 마련된 지지판(24)에 삽입됨과 아울러, 아래쪽의 안내판(22)에 안착되면서 장착되고, 이후 주입건(20)의 트리거(26)를 작동시킴에 의하여 진퇴봉(28)이 전진하면서 진퇴봉(28)의 선단에 일체로 된 밀판(30)이 튜브(2) 후미의 피스톤(6)을 가압함에 따라 튜브(2)내에 충전된 실링재가 노즐(10)을 통하여 압출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이 종래의 실링재 용기는 밀폐식의 일체형 튜브에 직접 실링재를 충전한 상태로 일회용의 상품으로써 제공되는 바, 충전된 실링재를 소진한 다음에는 빈 튜브와 노즐을 버리고 신품의 용기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게 되고, 부피가 큰 빈 튜브와 노즐이 폐기물로 남게 되어 작업현장에서 이를 처리하는데 매우 곤란하고 별도의 처리비용이 부담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튜브와 노즐 내부에는 필히 실링재가 묻어 있거나 남아 있게 되어 그대로 방치되거나 매립될 경우에는 환경도 오염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재 용기를 실린더와 팩으로 구성하면서, 상기 팩은 실링재가 충전된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팩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실린더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하면서 팩만을 교체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실링재 포장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자원낭비를 줄임과 아울러 폐기물의 양을 줄여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링재 포장 용기와 실링 건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실링재 포장 용기를 실링 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링재 포장 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링재 포장 용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실링재 포장 용기를 실링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실린더 52 : 돌기
54 : 돌출턱 60 : 캡
62 : 토출구 64 : 나사결합부
66 : 걸림돌기 68 : 환형지지부
70 : 노즐 72 : 나사부
80 : 피스톤 90 : 팩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실링재가 충전되어서 별도의 주입건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실링재 포장 용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삽입되며, 그 전방으로 중심에 토출구를 갖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노즐과; 상기 실린더의 타단 내측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과; 내부에 실링재가 충전되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밀봉 포장된 팩;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실린더, 캡, 노즐 및 피스톤은 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 상기 팩만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링재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링재 포장 용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팩(90)을 포장된 그대로 실린더(50)에 삽입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는 바, 사용시에는 상기 팩(90) 선단부의 묶음(92)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링재 포장 용기는 대분하여 원통형의 실린더(50), 캡(60), 노즐(70), 피스톤(80) 및 팩(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50)는 양단이 개방된 형태의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제조 및 비용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예를들어 폴리에틸렌수지 등의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60)과 노즐(70)에 있어서, 캡(60)은 상기 실린더(50)의 일단에 삽입되며, 그 전방으로는 나사결합부(64)가 형성되어 있고, 이의 나사결합부(64) 중심에는 실링재가 토출되는 통로인 토출구(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60)의 나사결합부(64)에는 상기 노즐(70)이 나사부(72)로써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캡(60)도 실린더(5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캡(60)이 상기 실린더(50)에 결합되는 구조로서는, 예를들어 나사식 결합구조도 가능하다 하겠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캡(60)이 삽입되는 부분의 실린더(50) 내주면 둘레로 돌출턱(54)을 형성하고, 캡(60)의 외주에는 상기 실린더(50)의 돌출턱(54)에 탄력적으로 걸림 및 이탈가능한 걸림돌기(66)를 형성하여, 상기 캡(60)을 가압.인출하는 동작으로 실린더(50)에 캡(60)이 결합.이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이로써 캡(60)의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80)은 기밀유지를 위하여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50)의 타단 내측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피스톤(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실린더(50)의 단부 내측에 돌기(52)를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3곳 이상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80)이 상기 실린더(5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팩(90)은 얇은 비닐, 바람직하기로는 온도나 외력에 의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는 알루미늄 호일(foil)을 사용하여 그 내부에 실링재를 충전시켜 밀봉시킨 형태를 갖추어 상기 실린더(5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팩(90)의 양단을 예컨대 소시지 포장과 같이 묶음(92)으로 처리하여 밀봉시킬 수도 있다. 도 4에는 팩(90)의 양측 묶음(92)이 모두 그대로 유지된 채 도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 팩(90)의 일측 묶음(92)부분을 칼로 절단한 다음, 이 절단된 부분이 캡(60) 및 노즐(70)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50)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캡(60)의 내측 전면에는 상기 팩(90)의 전방 외부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환형지지부(68)들이 동심원으로써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져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환형지지부(68)들은 실링재 도포를 위하여 팩(90)을 가압할 시, 이 가압력에 의하여 팩(90)의 앞부분이 상기 환형지지부(68)들이 이루는 틈새 사이로 약간식 끼워지게 함으로써 캡(60)의 토출구(62)측 즉, 노즐(70)측으로 밀려나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나아가 경사져 있어서 실링재를 캡(60)의 중심방향 즉, 토출구(62)측으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토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도록 고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5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링재 포장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를 병행하여 참조하면서 그 사용과정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실링재 포장 용기는 먼저 실린더(5), 캡(60) 및 노즐(70)은 한 번 구입하기만 하면 그 재질적 수명이 다할 때까지 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 상기 팩(8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실링재가 충전되어서 별도로 제공되는 팩(90)의 양측 묶음(92)중 일측의 묶음(92)부분을 칼로써 절단한다. 도 5에서는 상기 묶음(92)부분이 잘려나간 부분을 요철모양의 절단부(94)로 표시하고 있다.
한편, 실린더(50)로부터 캡(60)을 분리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캡(60)을 잡아당김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50)의 내주면 둘레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턱(54)을 캡(60)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돌기(66)가 탄력적으로 넘으면서 이탈되게 되고, 이와 같이 하여 캡(60)을 분리한 후에는 상기 팩(90)의 묶음(92)이 남아있는 부분을 실린더(50)로 삽입시켜 피스톤(80)에 이르기 까지 밀어 넣는다. 이후 다시 캡(60)을 결합시키고, 이 캡(60)의 나사결합부(64)에 노즐(70)을 결합시킨다. 상기 노즐(70)은 미리 캡(60)에 결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의 노즐(70) 부분을 주입건(20)의 안내판(22) 측방으로부터 진입시키면서 앞으로 밀어 넣으면, 실린더(50)의 선단부가 주입건(20)의 안내판(22) 선단에 마련된 지지판(24)에 삽입됨과 아울러, 아래쪽의 안내판(22)에 안착되면서 장착된다. 다음, 주입건(20)의 트리거(26)를 작동시킴에 의하여 진퇴봉(28)이 전진하면서 진퇴봉(28)의 선단에 일체로 된 밀판(30)이 실린더(50) 후미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80)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피스톤(80)이 팩(90)을 가압하게 됨에따라 팩(90) 내부의 실링재가 캡(60)에 형성된 토출구(62) 및 노즐(70)을 통하여 압출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팩(90)은 비닐계통 또는 알루미늄 호일로 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캡(60)에 접촉되고 있는 전방부분이 피스톤(80)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캡(60)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지지부(68)들 사이로 다소간 밀려들어가게 됨으로써 실링재의 압출과정에서 앞으로 밀려나가지 않게되며, 나아가 환형지지부(68)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어 실링재를 캡(60)의 중앙 토출구(62)측으로 자연스럽게 압출유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과정에서 상기 팩(90)은 비닐계통 또는 알루미늄 호일로 되어 있는 관계로 실링재의 토출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찌그러지면서, 내부에 충전된 실링재가 노즐(10)을 통하여 압출되게 되는 바, 실링재가 소진된 다음에는 팩(90)이 매우작은 크기로 압착된 상태로 되어 그 부피가 매우 작게 됨으로써 압착된 팩(90)의 폐기가 매우 간단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실린더(50)를 직경 50mm 및 길이 220mm정도로 사용하는 것을 감안하면, 본 고안에 따라 압착된 팩(90)의 부피는 상기 실린더(50)부피의 대략 1/50정도로 된다.
또한, 실링재를 모두 소진한 다음에는 주입건(20)으로부터 용기를 분리한 다음, 실린더(50)로부터 캡(60)을 분리하여 팩(90)을 꺼내 폐기처리한다. 상기 팩(90)을 처리한 후에는 실린더(50)와 캡(60), 노즐(70) 및 피스톤(80)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실링재가 충전된 신품의 팩(90)을 가져다 사용하면 되는데, 실링재가 모두 압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80)이 전진하여 캡(60)에 거의 닿아 있는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신품의 팩(90)을 가져다 피스톤(80)을 누르면서 삽입시키면, 피스톤(80)이 실린더(5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80)을 별 어려움 없이 밀어넣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별도의 긴 공구를 사용하여 피스톤(80)을 밀어넣을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의 종국에는 피스톤(80)이 실린더(50)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52)에 걸려 최초의 위치로 자리잡게 되고, 이후 팩(90)을 약간 인출하여 그 단부의 묶음(92)부분을 잘라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링재 포장 용기는, 종래의 일체식 밀봉형 실링재 용기를 간편한 결합구조를 갖는 실린더, 캡, 노즐 및 피스톤으로 구성하고, 이에 실링재가 충전된 별도의 팩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따라 본 고안의 실링재 포장 용기에서는, 실린더, 캡, 노즐 및 피스톤을 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 팩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된 팩은 그 부피가 현저히 작은 상태로 압착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처리가 편리하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실링재가 충전되어서 별도의 주입건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실링재 포장 용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일단에 삽입되며, 그 전방으로 중심에 토출구(62)를 갖는 나사결합부(64)가 형성된 캡(60)과;
    상기 캡(60)의 나사결합부(64)에 나사결합되는 노즐(70)과;
    상기 실린더(50)의 타단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80)과;
    내부에 실링재가 충전되어서 상기 실린더(50)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밀봉 포장된 팩(9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포장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50)의 단부 내주면에는 피스톤(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52)가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3곳 이상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포장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60)이 삽입되는 부분의 실린더(50) 내주둘레로 돌출턱(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60)의 외주에는 상기 실린더(50)의 돌출턱(54)에 탄력적으로 걸림 및 이탈가능한 걸림돌기(66)가 형성되어, 상기 캡(60)을 가압.인출하는 동작으로 실린더(50)에 캡(60)이 결합.이탈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포장 용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60)의 내측 전면에는 상기 팩(90)의 외부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환형지지부(68)들이 동심원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포장 용기.
KR2020000010591U 2000-04-14 2000-04-14 실링재 포장 용기 KR200194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591U KR200194281Y1 (ko) 2000-04-14 2000-04-14 실링재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591U KR200194281Y1 (ko) 2000-04-14 2000-04-14 실링재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281Y1 true KR200194281Y1 (ko) 2000-09-01

Family

ID=1965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591U KR200194281Y1 (ko) 2000-04-14 2000-04-14 실링재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28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2195A1 (en) * 2006-01-10 2007-07-19 Henkel Corporation Cartridge for caulking compound, sealant and/or adhesives
KR101353999B1 (ko) * 2012-02-23 2014-01-2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패스너 조립용 실런트 노즐
KR101413963B1 (ko) 2011-12-09 2014-07-04 김병희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KR200496329Y1 (ko) * 2022-05-30 2023-01-03 허영호 실리콘 비닐튜브 조립체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2195A1 (en) * 2006-01-10 2007-07-19 Henkel Corporation Cartridge for caulking compound, sealant and/or adhesives
US8430276B2 (en) 2006-01-10 2013-04-30 Henkel Corporation Cartridge for caulking compound, sealant and/or adhesives
KR101413963B1 (ko) 2011-12-09 2014-07-04 김병희 실란트 토출용 노즐 구조체
KR101353999B1 (ko) * 2012-02-23 2014-01-2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패스너 조립용 실런트 노즐
KR200496329Y1 (ko) * 2022-05-30 2023-01-03 허영호 실리콘 비닐튜브 조립체 구조
WO2023234628A1 (ko) * 2022-05-30 2023-12-07 허영호 실리콘 비닐 튜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6988B2 (ja) 剛体容器内に収容された変形可能なバッグ内に気密状態で含まれた流体物質をポンプによって吐出する装置
CN101863343B (zh) 用于在气密条件下容纳流体物质和分配该流体物质的装置
CA2083898C (en) Sausage dispensing adapter
JP3345100B2 (ja) 密封材カートリッジ
US5248071A (en) Re-sealable nozzle and cap assembly
JP2008260581A (ja) 多液系物質の手動分配シリンジ
AU734817B2 (en) Press for extruding lubricating grease
CN101500905A (zh) 改进的分发装置
KR200194281Y1 (ko) 실링재 포장 용기
CN103079493A (zh) 筒式分配器
KR20060110370A (ko) 유동 가능한 페이스트상 물질을 압착하여 주입하는 장치
AU714353B2 (en) Industrial syringe
US4779736A (en) Tubular plastic shipping,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US7631790B2 (en) Fluid dispensing accessory
US6000582A (en) Cartridge and cartridge system
CN114275551A (zh) 粉体进料装置及其推料装置
GB2374070A (en) A dispenser
CN106714979A (zh) 用于将糊状的或流体的物质从薄膜袋中压出的设备
JPH04253671A (ja) 押出ガン用カートリッジ容器とノズルとの接合構造
CA30159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sealably sealing a container of extrudable fluid
KR20110035299A (ko) 교체 가능한 실란트코킹건 노즐
KR20240012996A (ko) 실리콘건의 실리콘팩 교체시스템
JP2004316494A (ja) 粘性流体用の容器及びこれに使用するプランジャ
JP2002518260A (ja) ペースト状歯科材料を収容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
ITRM990035U1 (it) Cartuccia per ingrassatore manuale con pompa di grasso azionata a le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