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109B1 - 화분 거치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화분 거치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109B1
KR101413109B1 KR1020120115525A KR20120115525A KR101413109B1 KR 101413109 B1 KR101413109 B1 KR 101413109B1 KR 1020120115525 A KR1020120115525 A KR 1020120115525A KR 20120115525 A KR20120115525 A KR 20120115525A KR 101413109 B1 KR101413109 B1 KR 10141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pper frame
lower frame
mount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148A (ko
Inventor
김재순
정명일
한승원
장하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1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1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 설치 공간에 따라 외형을 가변할 수 있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 설치면에 밀접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양단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대향하는 각 걸림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거치바와 프레임 거치바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화분 거치바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 거치용 지지대{Transmutable Stand for mounting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 거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 설치공간에 따라 변형되어 화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변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을 심어 가꾸는 용기를 일컫는 것으로서 실내공간에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식물을 식재한 화분은 공기정화 효과가 높고 거주자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 학교 등의 집단시설뿐만 아니라 일반 건물의 사무실이나 가정에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화분을 거치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면적이 좁은 설치 공간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다단의 거치대를 마련하여 공간을 확보하기도 하며(아래 문헌 참조), 원형이나 다각형의 설치 공간일 경우 해당 설치 공간에 최적화된 거치대를 미리 시공하여 화분을 효과적으로 거치한다.
이와 같이 화분을 좁은 공간 또는 보다 시각적으로 미려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거치대는 미리 설치면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별적으로 주문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0723447호(2007.05.2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는 화분 설치 공간에 상응하도록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분은 화분 설치면에 밀접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양단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대향하는 각 걸림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거치바와 프레임 거치바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화분 거치바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거치바는 양단부 및 양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단부와 가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거치바의 길이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단면이 'H'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화분 거치바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받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마련되고 걸림홈의 전방으로 받침홈을 가지며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금속판재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강재봉을 두 줄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양단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대향하는 각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거치바와, 상기 걸림홈의 받침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화분 거치바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분 설치면에 밀접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공과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고정공에 체결되는 앵커 또는 나사에 상단이 걸리는 한편 양단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대향하는 각 걸림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거치바와 프레임 거치바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화분 거치바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는 플렉시블한 상하 금속판재를 화분 설치 공간 형상에 맞도록 외형을 가변하고, 상하 금속판재 사이에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는 다수의 거치프레임을 결합함으로써, 설치 공간에 최적화하여 화분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다단형 벽면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원형 기둥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화분 거치용 지지대는 화분 설치 공간에 지지대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화분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프레임(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형을 가지기 때문에, 상부프레임을 일례로 설명하고 하부프레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부프레임(10)은 유동성을 가지도록 얇은 금속판재를 띠 형상으로 마련한다. 플렉시블한 상부프레임(10)은 화분 설치면이 곡선이거나 단차진 경우에도 프레임 전체가 설치면에 밀접하도록 밴딩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0)은 단면이 'H'자 형상을 갖는다. 상부프레임(10)의 중심에 마련되는 격벽(12)에 의해 상하로 마련되는 요홈은 거치프레임(30)을 설치하기 위한 걸림홈(14)으로, 상하 걸림홈(14)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으로 개구된 받침홈(16)을 구비한다. 받침홈(16)은 항상 상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대가 다단으로 설치될 경우 하부프레임(20)에 놓이는 거치프레임(30)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간 중간에는 프레임을 화분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나 나사의 고정공(18)이 마련된다. 고정공(18)은 미리 일정 간격으로 타공하거나 또는 시공을 위해 후공정으로 타공할 수도 있다.
거치프레임(30)은 탄성을 가진 강재봉을 두 줄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의 대향하는 걸림홈(14)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거치프레임(30)은 상하부프레임(10,20)에 양단이 고정되는 프레임 거치바(32)와, 프레임 거치바(3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화분을 거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거치바(34)를 포함한다.
프레임 거치바(32)는 양단부(32a) 사이에 가변부(32b)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가변부(32b)를 삼각형 행태로 밴딩 마련하지만, 그 외 디자인적 외관을 고려하여 호나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밴딩된 가변부(32b)를 포함하는 프레임 거치바(32)의 전체 길이(H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의 거리(H1)보다 적어도 길게 마련된다. 이는 프레임 거치바(32)를 길이 방향으로 탄성 압축시킴으로써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프레임 거치바를 쉽게 넣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 사이에 프레임 거치바를 쉽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화분 거치바(34)는 프레임 거치바(32)의 양단 중 하단 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전방 돌출시켜 마련한다. 화분 거치바(34)의 단부(34a)는 다시 상측으로 밴딩되어 '凹'자 형태로 마련되는 내부 공간에 화분을 거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화분 설치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단차가 형성된 벽면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이 단차져 있을 경우 먼저,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은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단차진 벽면(1,2,3)을 따라 시공된다. 프레임의 벽면 고정은 고정공(18)에 앵커나 나사를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20) 시공이 끝나면,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 거치프레임(30)을 끼운다. 각 거치프레임(30)의 위치는 화분 거치바(34)를 하부프레임(20)의 받침홈(16)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30)이 고정되면, 화분 거치바(34)에 적정한 화분들을 올려놓음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20)의 시공이 끝나면 프레임 사이에 거치프레임(30)을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 끼우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좀 더 견고한 결합을 위해 단차진 벽면(1,2,3)을 따라 시공된 상부프레임(10)의 고정공(18)에 앵커나 나사를 체결하여 프레임을 고정한 후, 앵커나 나사의 남은 돌출 부위에 거치프레임(30)의 상단을 거는 한편 거치프레임(30)의 양단을 상하프레임(10,20)의 걸림홈(14)에 끼우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거치용 지지대를 원형 기둥(4)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지지대를 원형으로 시공하는 방법은 상술한 단차 설치 공간의 시공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상부프레임 14..걸림홈
16..받침홈 20..하부프레임
30..거치프레임 32..프레임 거치바
34..화분 거치바

Claims (6)

  1. 화분 설치면에 밀접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H'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양단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대향하는 각 걸림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거치바와 프레임 거치바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화분 거치바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바는 양단부 및 양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단부와 가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거치바의 길이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마련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화분 거치바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받침홈을 포함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
  5.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H'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걸림홈의 전방으로 받침홈을 가지며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금속판재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강재봉을 두 줄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양단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대향하는 각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거치바와, 상기 걸림홈의 받침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화분 거치바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
  6. 화분 설치면에 밀접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공과 걸림홈이 마련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H'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고정공에 체결되는 앵커 또는 나사에 상단이 걸리는 한편 양단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대향하는 각 걸림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거치바와 프레임 거치바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화분 거치바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화분 거치용 지지대.
KR1020120115525A 2012-10-17 2012-10-17 화분 거치용 지지대 KR10141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25A KR101413109B1 (ko) 2012-10-17 2012-10-17 화분 거치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25A KR101413109B1 (ko) 2012-10-17 2012-10-17 화분 거치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148A KR20140050148A (ko) 2014-04-29
KR101413109B1 true KR101413109B1 (ko) 2014-07-02

Family

ID=5065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25A KR101413109B1 (ko) 2012-10-17 2012-10-17 화분 거치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1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433U (ja) * 1992-10-15 1994-05-10 アヅマ株式会社 立体花壇装置
JPH10127180A (ja) * 1996-10-31 1998-05-19 Green Life:Kk プランター吊り下げ具
KR200232459Y1 (ko) * 1999-03-04 2001-09-13 이상현 화분대
JP2003339498A (ja) 2002-05-24 2003-12-02 Iris Ohyama Inc 鉢植え保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433U (ja) * 1992-10-15 1994-05-10 アヅマ株式会社 立体花壇装置
JPH10127180A (ja) * 1996-10-31 1998-05-19 Green Life:Kk プランター吊り下げ具
KR200232459Y1 (ko) * 1999-03-04 2001-09-13 이상현 화분대
JP2003339498A (ja) 2002-05-24 2003-12-02 Iris Ohyama Inc 鉢植え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148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75B1 (ko)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KR101474346B1 (ko) 화분걸이조립체
CN112690679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US9603468B2 (en) Holding device for a bracket in a storage system
KR20090009539U (ko)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KR101413109B1 (ko) 화분 거치용 지지대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0470744Y1 (ko) 조립식 가구
JP5419381B2 (ja) 格子状壁体
KR200484826Y1 (ko) 화환받침대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KR200294933Y1 (ko) 화분 받침대
KR200416912Y1 (ko) 종교장식용품 걸고리대
JP5898809B1 (ja) ハンガーラック
KR200410555Y1 (ko) 고정식 거치대
KR200496070Y1 (ko) 화분받침대
US11118359B2 (en) Construction system for wall cladding
KR200384176Y1 (ko) 상품진열을 위한 월시스템용 패널
JP2010255327A (ja) 壁面型装飾家具
JP7228453B2 (ja) 廻り縁部材、天井構造、及び天井施工方法
KR200427157Y1 (ko) 화분 거치대
KR100723292B1 (ko) 상품진열을 위한 각형파이프 행거의 브라켓 일체형 홀더
KR0142749B1 (ko) 진열용 행거의 포인트 부착과 진열용 월판넬 부착을 겸한 부착부재
KR200172816Y1 (ko) 선반 설치구조
KR200443335Y1 (ko) 물품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