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346B1 - 화분걸이조립체 - Google Patents

화분걸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346B1
KR101474346B1 KR1020130020437A KR20130020437A KR101474346B1 KR 101474346 B1 KR101474346 B1 KR 101474346B1 KR 1020130020437 A KR1020130020437 A KR 1020130020437A KR 20130020437 A KR20130020437 A KR 20130020437A KR 101474346 B1 KR101474346 B1 KR 10147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fixed
connection socket
r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195A (ko
Inventor
김준범
Original Assignee
김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범 filed Critical 김준범
Priority to KR102013002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34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Abstract

화분걸이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는, 받침대; 받침대 상측에 고정되는 제1 기둥; 제1 기둥에 끼워지고, 내부링 및 내부링에서 이격되는 외부링을 포함하는 제1 거치대; 화분이 끼워지는 고리형상의 안착부 및 안착부 일측에서 절곡형성되어 내부링과 외부링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화분걸이; 및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제1 기둥에 끼워지고, 내부링 하단을 지지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내부링 안쪽으로 삽입되어 제1 거치대가 제1 기둥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걸이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다수의 화분을 적층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 다수의 화분을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걸이조립체{HANGER ASSEMBLY FOR FLOWER POT}
본 발명은 화분걸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화분걸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좁은 공간에서 화초 또는 채소 등을 기르기 위하여 화분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한정된 공간에서 다수의 화분을 사용하는 것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8070호는 "조립식 다기능 화분대"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화분대에 있어서 삼발이로부터 수직방향, 고정링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층을 이루어 다수개의 화분을 각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진열함으로써 보다 작은 공간에 많은 화분을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접을 수 있는 다리로 구성된 삼발이, 화분구성의 중심이 되는 스텐레스 지주봉, 스텐레스 지주봉의 외측을 감싸고 상하위치조정이 가능하며 화분걸이대를 연결할 원형홈이 있는 고정링, 고정링 연결홈과 화분걸이대 연결홈에 조립할 화분걸이대, 화분걸이대와 스텐레스 지주봉의 규격에 맞는 화분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에서 개시되는 화분대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링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결구조는 화분대의 상하위치 조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사용이 편리한 개량된 형태의 화분걸이조립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화분의 높낮이 조정 및 고정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화분걸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측에 고정되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에 끼워지고, 내부링 및 상기 내부링에서 이격되는 외부링을 포함하는 제1 거치대; 화분이 끼워지는 고리형상의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일측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내부링과 외부링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화분걸이; 및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기둥에 끼워지고, 상기 내부링 하단을 지지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링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거치대가 상기 제1 기둥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받침대는, 판 형태의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은, 단면이 일정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돌부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링은, 상하 방향 길이가 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측에 고정되는 2 이상의 제2 기둥;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상측에 고정되고, 상측에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기둥이 안착되는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보다 직경이 큰 걸림링 및 상기 걸림링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소켓에 걸리는 연결키가 형성되는 제2 거치대; 화분이 끼워지는 고리형상의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일측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과 걸림링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화분걸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측에 고정되는 2 이상의 제2 기둥;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상측에 고정되고, 상측에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기둥이 안착되는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보다 직경이 큰 걸림링, 상기 걸림링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소켓에 걸리는 연결키 및 상기 걸림링 외측에서 화분이 끼워지는 고리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3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연결소켓은,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상단에 끼워지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상측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키가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홈 및 상기 연결키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둥, 제1 거치대 및 고무링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기둥, 제2 거치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판 형태의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둥 중 어느 하나는, 단면이 일정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돌부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걸이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다수의 화분을 적층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 다수의 화분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의 조립상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에서 제1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에서 화분걸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에서 제1 거치대 상에서 화분걸이의 여러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의 조립상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에서 연결소켓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에서 제2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에서 제3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1)의 조립상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1)에서 제1 거치대(3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1)에서 화분걸이(4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1)에서 제1 거치대(30) 상에서 화분걸이(40)의 여러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1)는 받침대(10), 제1 기둥(20), 제1 거치대(30), 화분걸이(40) 및 고무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화분걸이조립체(1)를 이루는 각 구성은 분리가능한 상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조립된다.
받침대(10)는 지면에 놓이는 부분이며, 대체로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받침판(11)과 받침판(11)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돌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판(11)은 평면도상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돌부(12)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둥(20)은 받침대(10) 상측에 고정되며, 특히 고정돌부(12)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제1 기둥(20)은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부(12)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제1 기둥(20)의 하단 외경이 고정돌부(12) 내경과 일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고정돌부(12)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제1 기둥(20)의 하단 내경이 고정돌부(12) 외경과 일치)될 수 있다.
제1 거치대(30)는 다수 개로 구비되며, 내부링(31) 및 외부링(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링(3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제1 기둥(20)에 끼워진다. 내부링(31)의 내경은 제1 기둥(20)의 외경과 일치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기둥(2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링(31)의 상하 방향 길이는 그 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외부링(32)은 내부링(3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내부링(31)의 둘레에 형성된다. 내부링(31)과 외부링(32) 사이에는 간격리브(33)가 형성되며, 간격리브(33)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화분걸이(40)는 안착부(41) 및 고정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착부(41)는 화분(100)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화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직경이 하측보다 큰 형태로 이루어져 안착부(41)에 끼워진다.
고정부(42)는 안착부(41) 일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이에 따라 단면상 안착부(41)와 직교하는 형태를 이룬다. 고정부(42)가 내부링(31)과 외부링(32) 사이의 틈에 끼워지면서 화분걸이(40)가 제1 거치대(30)에 고정되게 된다.
화분걸이(40)는 다수 개로 구비되며, 제1 거치대(30) 주변을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화분걸이(40)가 제1 거치대(30)에 결합된 형태가 도 4에 도시된다. 이하, 화분걸이(40)가 제2 거치대(80)에 결합되는 형태 또한 도 4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무링(50)은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제1 기둥(20)에 끼워진다. 고무링(50)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탄성변형 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내경이 제1 기둥(20)의 외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무링(50)이 제1 기둥(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단히 고정되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고무링(50)은 제1 기둥(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링(31) 하단을 지지하거나 또는 고무링(5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기둥(20)과 내부링(31) 사이로 삽입되어 제1 거치대(30)가 제1 기둥(2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고무링(50)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1 거치대(30)가 제1 기둥(20)에서 흘려 내리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고무링(50)의 일부가 제1 기둥(20)과 내부링(31)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 강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제1 거치대(30)의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진다.
고무링(50)에 의하여 제1 거치대(30)는 제1 기둥(20)의 임의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고, 고무링(5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 거치대(30)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2)의 조립상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2)에서 연결소켓(7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화분걸이조립체(2)에서 제2 거치대(8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2)는, 받침대(10), 제2 기둥(60), 연결소켓(70), 제2 거치대(80) 및 화분걸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10) 및 화분걸이(40)는 상술한 형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제2 기둥(60) 또한 제1 기둥(2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체로 제1 기둥(20)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제2 기둥(60)은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면서 하나의 긴 기둥을 형성한다.
제2 기둥(60)이 받침대(10) 상측에 고정되는 형태는, 제1 기둥(20)이 고정되는 형태와 동일하다.
연결소켓(70)은 삽입부(71) 및 수용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삽입부(71)는 연결소켓(70)의 아래쪽을 이루며,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제2 기둥(60) 상단에 끼워진다.
수용부(72)는 연결소켓(70)의 위쪽을 이루며,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제2 기둥(60) 하단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수용부(72)는 삽입부(71)에서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연결소켓(70)은 상하로 배열되는 두 개의 제2 기둥(6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수용부(72)의 외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73) 및 걸림홈(74)이 형성된다. 도 6에는 수용부(72) 외측면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홈(73)은, 수용부(72)의 외측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완전히 가로지르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동홈(73)은 수용부(72)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걸림홈(74) 또한 수용부(72)의 외측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나, 이동홈(73) 보다 짧게 형성되며, 특히 위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홈(74)은 수용부(72)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걸림홈(74)은 이동홈(73)과 동일 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거치대(80)는 걸림링(81) 및 연결키(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링(8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소켓(70)보다 직경이 크게 이루어지며, 특히 수용부(72)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걸림링(81)과 수용부(72)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연결키(82)는 걸림링(81) 내측으로 돌출되며, 걸림링(81)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로 구비된다. 특히 연결키(82)는 걸림링(81)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연결키(82)는 이동홈(73) 및 걸림홈(74)과 동일한 수 및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연결키(82)는, 제2 거치대(80)를 연결소켓(70)에 끼우는 경우, 이동홈(73)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걸림홈(7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다수의 적층된 제2 기둥(60) 상측에서 제2 거치대(80)를 끼워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연결키(82)가 이동홈(73)을 거쳐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임의의 위치에서 제2 거치대(80)가 연결소켓(7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연결키(82)가 걸림홈(74)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제2 거치대(80)가 연결소켓(70)에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링(81)과 수용부(72)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며, 이러한 틈에 화분걸이(40)의 고정부(42)를 끼워 고정하게 된다. 화분걸이(40)가 제2 거치대(80)에 결합되는 형태는, 화분걸이(40)가 제1 거치대(30)에 결합되는 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에서 제3 거치대(9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는, 받침대(10), 제2 기둥(60), 연결소켓(70) 및 제3 거치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대(10), 제2 기둥(60), 연결소켓(70)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제3 거치대(90)는 제2 거치대(80)와 화분걸이(40)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제3 거치대(90)는 걸림링(91), 연결키(92) 및 안착부(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걸림링(91) 및 연결키(92)는 상술한 걸림링(81) 및 연결키(82)와 같으며, 화분걸이(40)를 이루는 안착부(41) 부분이 걸림링(91)의 외주면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안착부(93)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걸이조립체는, 화분걸이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다수의 화분을 적층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 다수의 화분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2 : 화분걸이조립체 10 : 받침대
11 : 받침판 12 : 고정돌부
20 : 제1 기둥 30 : 제1 거치대
31 : 내부링 32 : 외부링
33 : 간격리브
40 : 화분걸이 41 : 안착부
42 : 고정부
50 : 고무링
60 : 제2 기둥
70 : 연결소켓 71 : 삽입부
72 : 수용부 73 : 이동홈
74 : 걸림홈
80 :제2 거치대 81 : 걸림링
82 : 연결키
90 : 제3 거치대

Claims (6)

  1.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측에 고정되는 2 이상의 제2 기둥;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상측에 고정되고, 상측에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기둥이 안착되는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보다 직경이 큰 걸림링 및 상기 걸림링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소켓에 걸리는 연결키가 형성되는 제2 거치대; 및
    화분이 끼워지는 고리형상의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일측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과 걸림링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화분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소켓은,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상단에 끼워지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상측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키가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홈 및 상기 연결키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조립체.
  2.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측에 고정되는 2 이상의 제2 기둥;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상측에 고정되고, 상측에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기둥이 안착되는 연결소켓; 및
    상기 연결소켓보다 직경이 큰 걸림링, 상기 걸림링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소켓에 걸리는 연결키 및 상기 걸림링 외측에서 화분이 끼워지는 고리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3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소켓은,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상단에 끼워지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상측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기둥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키가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홈 및 상기 연결키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판 형태의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둥 중 어느 하나는, 단면이 일정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돌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20437A 2013-02-26 2013-02-26 화분걸이조립체 KR10147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437A KR101474346B1 (ko) 2013-02-26 2013-02-26 화분걸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437A KR101474346B1 (ko) 2013-02-26 2013-02-26 화분걸이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95A KR20140106195A (ko) 2014-09-03
KR101474346B1 true KR101474346B1 (ko) 2014-12-18

Family

ID=5175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437A KR101474346B1 (ko) 2013-02-26 2013-02-26 화분걸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3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55Y1 (ko) 2015-12-30 2016-10-18 도시농업협동조합 화분 받침대
KR101749452B1 (ko) * 2016-03-09 2017-06-21 영 성 왕 3점식 지지바를 이용한 자동관수용 꽃기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82B1 (ko) 2014-08-14 2020-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6212082A (zh) * 2016-08-18 2016-12-14 江苏三维园艺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花架
CN107027617A (zh) * 2017-06-14 2017-08-11 福建省泉州兴峰农业科技有限公司 立柱式无土栽培架
CN109527892A (zh) * 2018-11-07 2019-03-29 杭州游闻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吊架
CN111329300A (zh) * 2020-04-27 2020-06-26 庞圣才 一种自动浇花花盆吊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53Y1 (ko) 1999-09-15 2000-02-15 김이근 가로등 화분걸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53Y1 (ko) 1999-09-15 2000-02-15 김이근 가로등 화분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55Y1 (ko) 2015-12-30 2016-10-18 도시농업협동조합 화분 받침대
KR101749452B1 (ko) * 2016-03-09 2017-06-21 영 성 왕 3점식 지지바를 이용한 자동관수용 꽃기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95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346B1 (ko) 화분걸이조립체
JP5383444B2 (ja) ペット用遊戯装置
CN112690679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KR101696299B1 (ko) 간이 침대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KR101885029B1 (ko) 보조거치대의 위치가변이 가능한 걸림식 화분 거치대
KR200477844Y1 (ko) 부케홀더
KR101463937B1 (ko) 화분 받침대
KR101774792B1 (ko) 화분 받침대
JP3150648U (ja) 造花用支持器
KR200473554Y1 (ko) 선반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다단 선반
JP3234740U (ja) 鉢受スタンド
JP7004293B2 (ja) 植物保持具
JP3184095U (ja) 植木鉢用支持具
JP3210400U (ja) グラスホルダー
KR200427157Y1 (ko) 화분 거치대
JP5898809B1 (ja) ハンガーラック
KR200467148Y1 (ko)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US20180271306A1 (en) Multipurpose vase
US200402130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lights on a pole
JP2013236643A (ja) ペット用遊戯装置
KR200485644Y1 (ko) 작물 지지대
KR102018273B1 (ko) 꽃꽂이대
JP3191111U (ja) 棚構造
KR20110003090U (ko) 선반용 착탈식 와인잔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