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459Y1 - 화분대 - Google Patents

화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459Y1
KR200232459Y1 KR2019990003391U KR19990003391U KR200232459Y1 KR 200232459 Y1 KR200232459 Y1 KR 200232459Y1 KR 2019990003391 U KR2019990003391 U KR 2019990003391U KR 19990003391 U KR19990003391 U KR 19990003391U KR 200232459 Y1 KR200232459 Y1 KR 200232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vertical
plant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767U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2019990003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45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459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대에 관한 것으로, 수직골조(21)(31), 수평골조(22)(32) 및 경사골조(23)(33)를 각기 직각 삼각형상으로 연결하되, 상기 수평골조(22)(32)와 연결된 상기 경사골조(23)(33)의 하부를 수직절곡하여 상기 경사골조(23)(33)의 하단부와 상기 수직골조(21)31)의 하단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20)(30)와; 상기 받침부재(20)(30)의 마주보는 빗변의 경사를 따라 다수 체결되어지되,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양단부가 체결되는 제1걸림대(41) 및 제2걸림대(42)를 갖는 지지부재(40)와; 화분(F)을 끼워지지하도록 형성된 링부(51)와, 상기 링부(51)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2부분 이상이 동일선상으로 이격연장되어 대응된 상기 제1걸림대(41)에 걸려지도록 각기 만곡된 괘지부(52)와, 상기 각 괘지부(52)로부터 수직절곡된 부분(53)의 하단부를 상기 괘지부(52)의 절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각기 만곡하여 대응된 상기 제2걸림대(42)에 걸려지도록 지지부(54)가 형성된 화분걸이(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화분걸이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나 화초의 특성에 따라 화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화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화분대 {FLOWERPOT SUPPORT}
본 고안은 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여러 개의 화분을 배치할 수 있는 경사식 화분대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호나 화초의 특성 및 화분대의 설치공간에 따라 화분의 개수 및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화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경사식 화분대는 좁은 공간에 여러 개의 화분을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화분에 심어진 화초에 균일하게 햇볕이 비춰지기 때문에 화분의 배치제약이 많거나 일조가 양호치 못한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에서 애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화분대는 금속골조로 이루어진 받침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에 화분걸이가 다수 취부되어 있는 구조로서, 일정한 형상 및 크기의 화분만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화분대는 화분걸이가 지지부재에 용접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잎이 옆으로 퍼지는 화초나 난과 같이 잎사귀가 서로 접촉되면 생육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는 한편,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화분을 지지할 수 없으며 화초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나 화초의 특성에 따라 화분의 개수 및 배치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화분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화분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배치할 수 있는 화분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화분걸이가 지지부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분대 20,30 : 받침부재
21,22,23,31,32,33 : 골조 24a,24b,34a,34b : 받침패드
40 : 지지부재 41,42 : 걸림대
43a,43b : 연결대 50,60 : 화분걸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골조, 수평골조 및 경사골조를 각기 직각 삼각형상으로 연결하되, 상기 수평골조와 연결된 상기 경사골조의 하부를 수직절곡하여 상기 경사골조의 하단부와 상기 수직골조의 하단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마주보는 빗변의 경사를 따라 다수 체결되어지되,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양단부가 체결되는 제1걸림대 및 제2걸림대를 갖는 지지부재와; 화분을 끼워지지하도록 형성된 링부와, 상기 링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2부분 이상이 동일선상으로 이격연장되어 대응된 상기 제1걸림대에 걸려지도록 각기 만곡된 괘지부와, 상기 각 괘지부로부터 수직절곡된 부분의 하단부를 상기 괘지부의 절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각기 만곡하여 대응된 상기 제2걸림대에 걸려지도록 지지부가 형성된 화분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분대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화분대(10)는 이격된 직각 삼각형상을 갖는 받침부재(20)(30)의 마주보는 빗변의 경사를 따라 다수의 지지부재(40)가 체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지부재(40)에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화분(F)을 끼워지지할 수 있는 화분걸이(50)가 탈착가능하게 다수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받침부재(20)(30)는 좁은 공간에 많은 화분(F)을 배치함은 물론, 가능한 햇볕이 화초에 균일하고 많이 비춰질 수 있도록 철재 또는 알루미늄재의 금속골조(21,22,23) (31,32,33)을 직각 삼각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부재(20;30)는 수직골조(21)(31)를 기본으로 하여 하부에 수평골조(22)(32)의 일단이 접합되어 있으며 그와 함께, 경사골조(23)(33)의 양단을 각기 수직골조(21)(31)의 상부와 수평골조(22)(32)의 타단부에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받침부재(20)(30)는 경사골조(23)(33)의 하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전술된 수직골조(21)(31)와 함께 화분대(10)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골조(21)(31)와 경사골조(23)(33)의 하단부에는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받침패드(24a;24b)(34a;34b)가 각기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골조 (21)(31)의 하단부에 각기 제공된 받침패드(24a)(24b)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패드부의 상부면에 나사를 일체로 형성하여 수직골조(21)(31)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분대(10)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 무게중심의 편심에 따른 응력집중에 의하여 화분대(10)의 골조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경사골조(23)(33)는 수평골조(22)(32)와 연결된 하부가 수직절곡되어 하단부가 전술된 수직골조(21)(31)의 하단부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제1경사골조(23a) (33a)와, 제1경사골조(23a) (33a)에 대하여 수직으로 평행이동하여 양단이 각기 수직골조(21)(31)와 수평골조(22)(32)에 접합된 제2경사골조(23b)(32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경사골조(23a)(33a)와 제2경사골조(23b)(33b)가 일정거리 수직으로 이격된 이유는 후술되는 지지부재(40)의 연결대(43) 양단부를 각기 대응된 경사골조(23)(33)에 체결함으로써, 화분걸이(50)가 걸림대(41)(42)에 걸려져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미설명번호 D는 경사골조(23)(33)의 상부면에 제공된 담쟁이 형상의 장식물이다.
지지부재(40)는 전술된 받침부재(20)(30)의 마주보는 빗변의 경사를 따라 체결되어 다수의 화분걸이(50)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40)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분걸이(50)의 괘지부(52)와 지지부(54)가 각기 걸려져서 지지될 수 있도록 동일길이를 갖는 환봉 형상의 걸림대(41)(42)를 일정거리 예컨대, 괘지부(52)로부터 지지부(54)까지의 거리 이격시켜 각 양단부를 연결대(43a)(43b)와 접합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대 (43a)(43b)를 이용하여 걸림대(41)(42)를 일체로 형성한 이유는 조립분해시의 작업편의성을 개선함은 물론, 하중이 집중되는 지지부재(40)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받침부재(20)(30)의 상층에 체결된 지지부재(40)는 수직골조(21) (31)에 체결되어 있으며, 중층의 지지부재(40)는 경사골조(23)(33)에 그리고, 하층의 지지부재(40)는 수평골조(22)(32)와 제1경사골조(23a)(23b)에 체결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분걸이(50)는 화분(F)이 위로부터 끼워져서 지지될 수있도록 링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링부(51)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2부분 이상이 동일선상으로 이격연장되어 제1걸림대(41)에 대응하여 동시에 걸려지도록 만곡된 괘지부(52)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분걸이(50)는 각 괘지부(52)로부터 수직절곡된 부분(53)의 하단부를 괘지부(52)의 절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만곡하여 괘지부(52)에 의해 걸려진 화분걸이(50)를 제2걸림대(42)에 대응하여 걸려져서 보다 견고하게 화분(F)을 지지하도록 지지부(54)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화분걸이(50)의 괘지부(52) 및 지지부(54)는 각기 대응된 제1걸림대(41) 및 제2걸림대(42)의 원주를 대략 1/2 정도 이상을 감싸면서 걸려지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어 무거운 화분(F)이 화분걸이(50)에 끼워되더라도 견고하게 화분(F)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4 참조)
또한, 도 3의 화분걸이(60)는 육각형상의 화분(F)을 견고하게 끼워지지할 수 있는 실시예로서, 링부(61)의 형상 이외에는 도 2의 화분걸이(5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대(10)는 화분걸이(50)(60)가 지지부재(4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화분(F)을 끼워지지하기 위해서는 단지, 그러한 화분(F)에 적절한 화분걸이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제작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4는 화분걸이(50)가 수직골조(31)에 체결된 제1걸림대(41)에 제2걸림대 (42)에 의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분걸이(50)를 지지부재(40)에 장착하는 방법은, 우선 링부(51)를 손으로 잡고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지지부(54)를 제1걸림대(41)와 제2걸림대(42) 사이로 집어넣어 제2걸림대(42)에 건 다음, 손으로 링부(51)를 아래로 누르면 지지부(54)가 제2걸림대(42)에 구속된 상태에서 괘지부(52)는 제1걸림대(41)에 걸려진다. 또한, 화분걸이(50)의 해체방법은 장착방법으로 역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화분걸이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나 화초의 특성에 따라 화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화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직골조(21)(31), 수평골조(22)(32) 및 경사골조(23)(33)를 각기 직각 삼각형상으로 연결하되, 상기 수평골조(22)(32)와 연결된 상기 경사골조(23)(33)의 하부를 수직절곡하여 상기 경사골조(23)(33)의 하단부와 상기 수직골조(21)31)의 하단부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20)(30)와;
    상기 받침부재(20)(30)의 마주보는 빗변의 경사를 따라 다수 체결되어지되,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양단부가 체결되는 제1걸림대(41) 및 제2걸림대(42)를 갖는 지지부재(40)와;
    화분(F)을 끼워지지하도록 형성된 링부(51)와, 상기 링부(51)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2부분 이상이 동일선상으로 이격연장되어 대응된 상기 제1걸림대(41)에 걸려지도록 각기 만곡된 괘지부(52)와, 상기 각 괘지부(52)로부터 수직절곡된 부분(53)의 하단부를 상기 괘지부(52)의 절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각기 만곡하여 대응된 상기 제2걸림대(42)에 걸려지도록 지지부(54)가 형성된 화분걸이(50)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21)(31)와 상기 경사골조(23)(33)의 하단부에는 받침패드(24a;34a)(24b;34b)가 각기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골조(21)(31)에 제공된 받침패드(24a)(34a)는 화분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패드부의 상부면에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대응된 수직골조(21)(31)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골조(23)(33)는 수직 이격된 상기 제1걸림대(41)와 상기 제2걸림대(42)가 각기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제1경사골조(23a)(33a) 및 상기 제1경사골조(23a)에 대하여 수직으로 수평이동되어 상기 수직골조(21)(31)와 상기 수평골조(22)(32)에 연결된 제2경사골조(23b)(33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가 대응된 받침부재(20)(30)에 용이하게 조립, 분해됨은 물론, 하중이 집중되는 지지부재를 보강하도록 상기 제1걸림대(41)와 상기 제2걸림대(42)의 양단부를 각기 연결대(43a)(43b)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대.
KR2019990003391U 1999-03-04 1999-03-04 화분대 KR200232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91U KR200232459Y1 (ko) 1999-03-04 1999-03-04 화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91U KR200232459Y1 (ko) 1999-03-04 1999-03-04 화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67U KR20000017767U (ko) 2000-10-05
KR200232459Y1 true KR200232459Y1 (ko) 2001-09-13

Family

ID=5476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391U KR200232459Y1 (ko) 1999-03-04 1999-03-04 화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4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09B1 (ko) * 2012-10-17 2014-07-02 대한민국 화분 거치용 지지대
WO2018044109A3 (ko) * 2016-08-31 2018-08-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크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09B1 (ko) * 2012-10-17 2014-07-02 대한민국 화분 거치용 지지대
WO2018044109A3 (ko) * 2016-08-31 2018-08-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단크 플레이트 화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67U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2148A (en) Hanging rope mounted adjustable position plant pot
US6299118B1 (en) Plant holder
US6116164A (en) Suspended shelving apparatus
US7654036B2 (en) Horticultural growing rack
US20050166449A1 (en) Vertical plant stand
US9107518B2 (en) Apparatus for hanging plants
NO20031416L (no) Monteringsbrakett for trådhylle
US4506475A (en) Hanger for potted plants
US4747494A (en) Collector's stand
KR200232459Y1 (ko) 화분대
US20020088913A1 (en) Rotatable hanger
KR200294273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CN220587988U (zh) 一种兼具摆放花盆和吊装花盆功能的花架
KR200496070Y1 (ko) 화분받침대
JP3031245U (ja) 植木鉢支持具及び植木鉢飾り台
CN213280804U (zh) 一种安装灵活的酒店绿植幕墙
KR200294933Y1 (ko) 화분 받침대
KR200457927Y1 (ko) 조립식 화분대
KR0123959Y1 (ko) 화분진열대
KR960006066Y1 (ko) 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화분 걸이대
JPH10225350A (ja) フラワースタンド
JP3073248U (ja) 物干し台
DK9300088U3 (da) Bærearrangement for pynte- eller udstillingsgenstande
KR200228617Y1 (ko) 조립식 가구용 홀더
JP3005238U (ja) 屋外での鉢植え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