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724B1 -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724B1
KR101411724B1 KR1020120117378A KR20120117378A KR101411724B1 KR 101411724 B1 KR101411724 B1 KR 101411724B1 KR 1020120117378 A KR1020120117378 A KR 1020120117378A KR 20120117378 A KR20120117378 A KR 20120117378A KR 101411724 B1 KR101411724 B1 KR 10141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steam
lid
hole
in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970A (ko
Inventor
이 린
유안지에 공
솅후아 싱
Original Assignee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210056310.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599808B/zh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101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증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뚜껑과, 및 상기 내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유입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멍, 상기 증기구멍, 및 상기 유입구멍은 함께 증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는 부압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에 의하면, 부압발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증기통로 내부에 진입한 거품이 거품 내부와 부압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팽창되어 터지므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낮다.

Description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ELECTRICAL COOKER AND METHOD OF PREVENTING FOAM FROM OVERFLOWING THEREOF}
본 발명은 거품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밥솥 및 밥솥 내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밥솥 제품은 밥을 짓고 죽을 끓이는 과정에서 밥솥 내부에 대량의 밥물 거품이 생긴다. 제품에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밥물 거품은 증기통로를 따라 밥솥 외부로 배출되어 제품의 청결 및 전체적인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현재 밥물이 넘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증기통로(예를 들면 증기밸브 내부)에 교차 리브 위치를 증가하여 밥물 거품이 밥솥 내부로부터 밥솥 밖의 공기와 접촉하는 전체적인 이동궤적의 길이를 증가시켜 거품이 이동과정에서 표면의 장력에 의해 터지게 하여 밥물 거품이 밥솥 밖으로 넘치는 확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두번째 방법은 증기통로에 일부 부품을 설치하여 밥물 거품이 이동과정에서 이러한 부품과 접촉하여, 이러한 부품에 의하여 막히고 찔려 터지게 하여 밥물 거품이 밥솥 밖으로 넘치는 확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일부 특정된 장치를 이용하여 밥솥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 혹은 거품을 하나의 독립공간(예를 들면 수조)에 유입시키지만 밥솥 밖으로 배출시키지 않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처음 두 가지 방법은 밥물 거품의 양이 많을 경우 모두 거품이 넘치는 문제를 절대적으로 해결할 수 없게 되고 밥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신뢰도가 낮다. 세 번째 방범은 밥솥 내부에 단독으로 독립공간을 설치해야 하므로 밥솥의 공간 사이즈가 커지고 전체적인 비용이 높아지며 청결이 편리하지 못한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개선된 거품 넘침방지 구조와 방법을 제출하여 이전의 기술에 존재하는 결함을 극복하여 청결성과 안정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정도에서 상기한 문제점 중의 하나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한가지 이상의 유용한 상업적 선택사항을 제공하는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은, 배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증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뚜껑과, 및 상기 내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유입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멍, 상기 증기구멍, 및 상기 유입구멍은 함께 증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는 부압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에 의하면, 부압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증기통로에 진입한 거품이 거품의 내부와 외부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팽창되어 터지게 함으로써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조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낮다.
우선적으로, 상기 부압발생장치는 상기 유입구멍의 입구 부근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뚜껑과 상기 뚜껑판 사이에 증기밸브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상단과 상기 내부뚜껑은 밀폐되게 연결되고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하단과 상기 뚜껑판은 밀폐되게 연결되며,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증기통로와 연통하는 상측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유입구멍과 연통하는 하측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압발생장치는 모터축을 구비한 모터와, 상기 모터축의 말단에 설치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내부뚜껑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내부뚜껑과 상기 뚜껑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은 상기 내부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와 연결된다.
모터를 통해 날개를 회전시키고 날개는 유입구멍의 위치에서 고속의 기류를 형성하여 유입구멍의 부근에 국부적인 부압구역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축에는 커넥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날개와 연결된다.
우선적으로, 상기 모터축의 말단에는 제1자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날개에는 상기 모터축의 축방향 혹은 반경방향을 따라 제1자성부재와 마주하는 제2자성부재가 설치된다.
날개는 자성흡입력에 의해 커넥터의 말단에 부상(浮上) 결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분리하여 청결하도록 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증기통로는 상하방향에서 곡선의 형식으로 뻗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압발생장치는 모터축을 구비한 모터와, 상기 내부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뚜껑으로부터 상기 뚜껑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회전축과,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축은 상기 내부뚜껑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모터축의 말단에는 제1자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날개에는 상기 모터축의 축방향 혹은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자성부재와 마주하는 제2자성부재가 설치된다.
모터축이 내부뚜껑을 관통하지 않아, 모터와 전기밥솥의 요리챔버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고온의 수증기가 모터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증기가 모터를 회손시키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가 모터 내부의 부품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식품의 위생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피면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밥솥은 상기 부압발생장치와 전기적 연결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은 요리챔버를 구비한 밥솥몸체와, 상기 요리챔버를 밀봉 또는 열 수 있는 밥솥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밥솥뚜껑의 내부에는 상기 요리챔버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는 부압구역을 형성하는 부압발생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부압구역 내의 압력이 상기 증기통로 내의 거품속의 압력보다 작아 상기 거품이 상기 부압구역을 통과할 때 터지게 된다.
우선적으로, 상기 부압구역은 상기 증기통로와 상기 요리챔버가 연통되는 입구 부근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밥솥뚜껑은 배기구멍이 설치된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증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뚜껑과, 및 상기 내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유입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멍, 상기 증기구멍, 및 상기 유입구멍은 증기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전기밥솥 내부에 증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 부압을 발생하여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 진입한 거품이 상기 부압에 의해 터지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의하면, 부압발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증기통로 내부에 진입한 거품이 거품 내부와 부압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팽창되어 터지므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고 비용이 낮다.
우선적으로, 상기 부압은 상기 전기밥솥 내부의 증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것을 감지한 후에 생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압은 모터를 구동하여 날개를 회전시켜 생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부압의 값은 0.85~1 대기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품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밥솥 및 밥솥 내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의 저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예시한 전기밥솥의 날개와 커넥터의 감합(嵌合)을 표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밥솥뚜껑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중심>>, <<세로>>, <<가로>>, <<길이>>, <<너비>>, <<두께>>, <<위>>, <<아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밑>>, <<내>>, <<외>>,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등이 가리키는 방향이나 위치관계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이나 위치관계이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성과 간략성을 위한 것으로서, 해당 장치나 부품이 반드시 특정적인 방향이나 특정적인 위치적 구조와 조작방식을 가져야 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지는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로 명확하게 구체적 제한을 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서 <<여러개>>의 뜻은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을 가리킨다.
따로 명확하게 구체적 제한을 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서 기술적 용어 <<장착>>, <<상호 연결>>, <<연결>>, <<고정>>등은 넒은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 혹은 일체성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부품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 속한 자는 구체적 정황에 따라 상기한 기술적 용어가 본 발명에서 나타내는 구체적인 뜻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로 명확하게 구체적 제한을 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서 제1특징이 제2특징의 <<위>> 혹은 <<아래>>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와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양자 사이의 또다른 특징을 통하여 접촉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혹은 <<상방>> 또는 <<위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위측에 있거나 사선방향으로 위측에 있는 경우를 포함하며 혹은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특징의 수평 높이보다 높은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혹은 <<하방>> 또는 <<아래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측에 있거나 사선방향으로 아래측에 있는 경우를 포함하며 혹은 단지 제1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은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의 예시도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원리를 도시하였다. 전기밥솥은 밥솥뚜껑(100)과 밥솥몸체(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밥솥몸체(2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요리챔버가 구비되고 밥솥뚜껑(100)은 외부뚜껑(1)과, 외부뚜껑(1)의 하방에 설치된 내부뚜껑(2)과, 및 내부뚜껑(2)의 하방에 설치된 뚜껑판(3)을 포함한다. 외부뚜껑(1)에는 배기구멍(11)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뚜껑(2)에는 증기구멍(21)이 설치되어 있으며 뚜껑판(3)에는 유입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증기구멍(21)은 배기구멍(11) 및 유입구멍(31)과 각기 대응된다. 즉, 증기구멍(21)의 양단은 각각 배기구멍(11)과 유입구멍(31)에 연결되어 유입구멍(31), 배기구멍(11), 및 증기구멍(21)은 함께 밀폐된 증기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증기통로를 이용하여 밥솥몸체(200) 내부로부터 증기를 배출한다. 증기통로의 한 단부는 외부와 연통되고 다른 단부는 밥솥몸체(200)의 요리챔버와 연통된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멍(31) 하단의 입구는 밥솥몸체(200)의 요리챔버와 연통되고 배기구멍(11) 상단의 출구는 외부와 연통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바, 유입구멍(31)의 입구가 상기 증기통로의 입구이고 배기구멍(11)의 출구가 상기 증기통로의 출구인 것이다.
상기 증기통로의 내부에는 부압발생장치(107)가 설치되어 있다. 부압발생장치(107)는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발생장치(107)는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서 부압발생장치(107)의 주위에 부압구역(109)을 형성한다.
여기서, 용어 <<부압>>은 상기 증기통로에 진입한 거품속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가리키고 <<부압구역>>은 해당 구역 내의 압력이 상기 증기통로에 진입한 거품속의 압력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부압의 값은 일반적으로 0.85~1.0 표준대기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에 의하면,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 부압발생장치(10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압발생장치(107)는 그 부근에 부압구역(또는 부압공간, 저압구역, 혹은 저압공간)(109)을 형성한다. 해당 부압구역(109) 내의 압력이 거품 속의 압력보다 작으므로 거품이 부압구역(109)에 진입하게 되면 거품속의 압력이 거품 밖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거품은 압력차의 작용하에 급속히 팽창되어 터지게 된다. 따라서 거품이 증기와 함께 상기 증기통로를 통하여 전기밥솥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우선적으로, 부압발생장치(107)를 유입구멍(31)의 입구 부근에 설치하여 부압구역(109)이 유입구멍(31) 부근에 형성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 진입한 거품이 최대한 빨리 터지도록 하여 거품넘침방지 전기밥솥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우선적 실시예에서 증기통로는 밥솥뚜껑(100) 내에서 곡선 형식으로 뻗어 있어 상기 증기통로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거품넘침방지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밥솥은 부압발생장치(1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을 온도센서가 감지했을 경우, 부압발생장치(107)가 작동되어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 부압을 형성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요리챔버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우선적으로 온도센서는 밥솥뚜껑(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설정온도는 요리챔버 내에서 거품이 생기려 할 때의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과정에서, 밥솥몸체(200)의 요리챔버 내의 쌀과 물의 혼합물(108)이 끓기 시작하려는 상태까지 가열되면 상기 온도센서는 요리챔버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했음을 감지하고 신호를 발송하여 부압발생장치(107)를 작동시킨다. 이때 부압발생장치(107)의 부근에 국부적으로 부압구역(109)이 형성된다. 요리챔버 내의 쌀과 물의 혼합물은 계속해서 가열되어 끓는 상태가 되면 밥물 거품이 쌀물로부터 넘치기 시작한다. 증기와/또는 밥물 거품은 도1의 화살표(P)가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상기 증기통로를 통과한다. 거품이 부압구역(109)에 진입한 후, 밥물 거품 내부의 압력이 밥물 거품 외부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거품은 압력차의 작용하에 급속히 팽창되어 터진다. 따라서 거품이 넘치는 것을 피면 할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부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1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밥솥뚜껑(100)은 외부뚜껑(1)과, 내부뚜껑(2)과, 및 뚜껑판(3)을 포함한다. 밥솥뚜껑(100)의 내부에는 증기밸브 베이스(9)가 설치되어 있고 부압발생장치(107)는 모터축(41)을 구비한 모터(4)와 날개(6)를 포함한다. 내부뚜껑(2)은 외부뚜껑(1)의 하방에 장착되고 외부뚜껑(1)에는 배기구멍(11)이 설치되며 외부뚜껑(1)의 하방에는 배기구멍(11) 둘레에서 내부뚜껑(2)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環形)의 차단리브(12)가 설치된다. 내부뚜껑(2)에는 배기구멍(11)과 연통된 증기구멍(21)이 설치되고 환형의 차단리브(12)와 내부뚜껑(2) 사이에는 외부뚜껑밀폐링(103)이 설치된다. 증기밸브 베이스(9)는 내부챔버(91)를 구비하고 내부챔버(91)의 하단에는 개구가 설치되며 내부챔버(91)의 개구는 상기 유입구멍(31)을 이룬다. 내부챔버(91)는 증기구멍(21)과 밥솥몸체(200)의 요리챔버와 연통된다. 즉, 증기밸브 베이스(9)는 내부뚜껑(2)과 뚜껑판(3) 사이에 설치되고 유입구멍(31)은 증기밸브 베이스(9)의 내부챔버(91)로 이루어진다. 배기구멍(11), 증기구멍(21), 및 내부챔버(91)는 증기통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밸브 베이스(9)의 상단 개구는 내부뚜껑(2)의 하방에 걸림 결합되고 내부뚜껑(2)의 증기구멍(21)과 통공(22)을 덮는다. 내부뚜껑(2)과 증기밸브 베이스(9)의 결합부위에는 밀폐리브(7)가 설치되고 밀폐리브(7)의 부위를 밀폐시킨다.
모터(4)는 외부뚜껑(1)과 내부뚜껑(2) 사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내부뚜껑(2)에는 증기구멍(21) 부근에 통공(22)이 설치되고 모터(4)는 내부뚜껑(2)의 상방에 고정되며 모터(4)의 모터축(41)은 하방향으로 통공(22)을 관통하여 날개(6)와 고정 연결된다.
날개(6)는 내부뚜껑(2)과 증기밸브 베이스(9)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고 커넥터(5)를 통하여 모터(4)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모터(4)의 모터축(41)에는 커넥터(5)가 설치되어 있고 커넥터(5)는 플런저 커넥터이며 커넥터(5)에는 볼 플런저(ball plunger, 8)가 설치되어 있어 날개(6)는 커넥터(5)의 볼 플런저(8)를 통해 커넥터(5)에 고정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축(41)은 날개(6)를 회전시켜 증기통로 내부에 부압구역을 형성한다.
밥솥몸체(200) 내부의 쌀물이 끓을 때 증기를 생성하면 증기는 유입구멍 챔버(91)(즉, 유입구멍(31))로 진입하여 증기구멍(21)을 지난 후, 끝으로 배기구멍(11)을 통해 전기밥솥으로부터 배출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회전축(41)은 날개(6)를 회전시키고 날개(6)는 유입구멍(31)을 통해 요리챔버 내부로부터 증기를 흡입한다. 흡입된 증기는 증기구멍(21)을 통과한 후 배기구멍(11)을 통해 전기밥솥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날개(6) 부근에 부압구역이 형성되어 쌀물 거품이 부압구역까지 상승하면 거품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므로 급속히 팽창되어 터지기 때문에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밥솥뚜껑(100)은 외부뚜껑(1)과, 내부뚜껑(2)과, 및 뚜껑판(3)을 포함한다. 부압발생장치(107)는 모터(4)와 날개(6)를 포함한다. 내부뚜껑(2)은 외부뚜껑(1)의 하방에 장착되고 외부뚜껑(1)의 하방에는 배기구멍(11) 둘레에 내부뚜껑(2)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차단리브(12)가 설치된다. 내부뚜껑(2)에는 증기구멍(21)이 설치되고 뚜껑판(31)에는 유입구멍(31)이 설치되고 환형의 차단리브(12)와 내부뚜껑(2) 사이에는 외부뚜껑밀폐링(103)이 설치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바, 환형의 차단리브(12)의 내부챔버는 배기구멍(11)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뚜껑판(31)과 내부뚜껑(2) 사이에는 밀폐링(15)이 설치되어 유입구멍(31)과 증기구멍(21)을 덮는다.
모터(4)는 외부뚜껑(1)과 내부뚜껑(2) 사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내부뚜껑(2)에는 증기구멍(21) 부근에 통공이 설치되고 모터(4)는 내부뚜껑(2)의 상방에 고정되며 모터(4)의 모터축(41)은 하방으로 통공(22)을 관통하여 커넥터(5)와 강성 연결되고 커넥터(5)와 날개(6)는 탈착 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날개(6)는 내부뚜껑(2)과 뚜껑판(3)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고 커넥터(5)를 통하여 모터(4)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모터(4)의 모터축(41)에는 커넥터(5)가 설치되어 있고 커넥터(5) 내부에는 제1자성부재(제1자석, 51)가 설치되고 날개(6) 내부에 제2자성부재(제2자석, 61)가 설치된다. 제2자석(61)과 제1자석(51)의 자극(磁極)은 반경방향으로 배열되고 날개(6)는 제2자석(61)과 제1자석(51)의 반경방향의 자성흡입력에 의해 전기축(41)의 말단부에 부상(浮上) 결합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축(41)은 커넥터(5)를 회전시키고 제1자석(51)은 제2자석(61)에 대하여 축방향의 비틀림력을 작용하여 날개(6)를 회전시킨다.
밥솥몸체(200) 내부의 쌀물이 끓을 때 증기를 생성하면 증기는 차례로 유입구멍(31), 증기구멍(21)을 지난 후, 끝으로 배기구멍(11)을 통해 전기밥솥으로부터 배출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축(41)은 날개(6)를 회전시키고 날개(6)는 유입구멍(31)을 통해 요리챔버 내부로부터 증기를 흡입한다. 흡입된 증기는 증기구멍(21)을 통과한 후 배기구멍(11)을 통해 전기밥솥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날개(6) 부근에 부압구역이 형성되어 쌀물 거품이 부압구역까지 상승하면 거품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므로 급속히 팽창되어 터지기 때문에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은 제2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나 그 구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플런저 커넥터이고 날개(6)는 볼 플런저(8)를 통해 커넥터(5)에 고정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축(41)은 커넥터(5)를 통해 날개(6)를 회전시켜 부압구역을 형성한다.
실시예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은 제2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나 그 구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5)는 나사 커넥터이고 날개(6)는 너트(14)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되어 커넥터(5)에 고정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축(41)은 너트(14)를 통해 날개(6)를 회전시켜 부압구역을 형성한다.
실시예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은 제2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나 그 구별점은 다음과 같다. 제2자석(61)과 제1자석(51)의 자극은 축방향으로 배렬되고 날개(6)는 제2자석(61)과 제1자석(51)의 축방향의 자성흡입력에 의해 전기축(41)의 말단부에 부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는 비원형의 기둥형상의 구조로 날개(6)에는 기둥형상 구조와 맞물리는 비원형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축(41)은 커넥터를 회전시키고 커넥터(5)는 비원형 기둥형상의 구조를 통해 날개(6)를 회전시켜 부압구역을 형성한다.
실시예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밥솥뚜껑(100)은 외부뚜껑(1), 외부뚜껑(1)의 하방에 장착된 내부뚜껑(2), 및 내부뚜껑(2)의 하방에 감합된 뚜껑판(3)을 포함한다. 부압발생장치(107)는 모터(4)와 날개(6)를 포함한다. 날개(6)와 밀폐링(15)은 내부뚜껑(2)과 뚜껑판(3) 사이에 장착되고 외부뚜껑(1)에는 배기구멍(11)이 설치되고 내부뚜껑(2)에는 회전축(62)과 증기구멍(21)이 설치된다. 날개(6)는 회전축(62)에 장착되고 뚜껑판(3)에는 유입구멍(31)이 설치된다. 모터(4)는 외부뚜껑(1)과 내부뚜껑(2) 사이에 장착되고 모터축(41)의 말단에는 커넥터(5)가 장착된다. 커넥터(5) 내부에는 제1자석(51)이 설치되고 날개(6)의 내부에는 제2자석(61)이 설치되며 제1자석(51)과 제2자석(61)은 상하 평행되게 분포되고 자극(磁極)은 서로 다른 극을 대응시킨다. 모터축(41)은 내부뚜껑(2)을 관통하지 않으므로 날개(6)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또한 커넥터(5)를 통하여 날개(6)와 간접 연결되지도 않는다.
구체적으로, 날개(6)는 회전축(62)에 장착되어 회전축(62)을 중심으로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다. 날개(6)는 제1자석(51)과 제2자석(61)의 자성력에 의해 내부뚜껑(2)과 뚜껑판(3) 사이의 공간에 부상된다.
밥솥몸체(200) 내부의 쌀물이 끓을 때 증기를 생성하면 증기는 유입구멍(31)으로 진입하여 내부뚜껑(2)의 증기구멍(21)을 지난 후, 끝으로 배기구멍(11)을 통해 전기밥솥으로부터 배출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회전축(41)은 커넥터(5)를 회전시킨다. 이때, 커넥터(5) 중의 제1자석(51)은 자성력에 의해 날개(6) 내부의 제2자석(61)을 회전시켜 날개(6)를 회전시킨다. 유입구멍(31)을 통해 요리챔버 내부로 증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증기는 증기구멍(21)을 통과한 후 배기구멍(11)을 통해 전기밥솥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날개(6) 부근에 부압구역이 형성되어 쌀물 거품이 부압구역까지 상승하면 거품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므로 급속히 팽창되어 터지기 때문에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은 제6실시와 대체로 동일하나 그 구별점은 다음과 같다. 모터축(41)의 말단에 장착된 제1자석(51)과 날개(6) 내부의 제2자석(61)은 동심(同心)으로 장착되고 날개(6)의 구동력은 제1자석(51)과 제2자석(61) 사이의 반경방향의 흡입력에서 생성된다. 모터(4)가 작동할 때, 모터축(41)은 커넥터(5)를 회전시키고 이때 커넥터(5) 중의 제1자석(51)은 자성력에 의해 날개(6) 내부의 제2자석(61)을 회전시켜 부압구역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전기밥솥 내부의 증기통로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절차를 포함하여 상기 증기통로 내부로 진입한 거품이 상기 부압에 의해 터지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압은 유입구멍 부근에 실치된 날개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다. 날개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부압은 예를 들면 0.85~1.0 표준대기압이고 이 부압은 거품속의 압력보다 작다. 따라서 거품이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터진다. 여기서 알수 있는 것은 다른 방법을 통해 증기통로에 부압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밥솥 내부의 증기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때, 부압을 생성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한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예시>>, 혹은 <<일부 예시>> 등의 묘사는 해당 실시예 혹은 예시에서 결합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혹은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혹은 예시에 포함됨을 가리킨다. 또한, 설명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혹은 특성은 임의의 하나 혹은 여러개의 실시예 혹은 예시에서 적당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공개 및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성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대하여 한정하지는 않는다.

Claims (16)

  1. 배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증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뚜껑과,
    상기 내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유입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멍, 상기 증기구멍, 및 상기 유입구멍은 함께 증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는 부압구역을 형성하는 부압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부압구역 내의 압력이 상기 증기통로 내의 거품속의 압력보다 작아 상기 거품이 상기 부압구역을 통과할 때 터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장치는 상기 유입구멍의 입구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뚜껑과 상기 뚜껑판 사이에 증기밸브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상단과 상기 내부뚜껑은 밀폐되게 연결되고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하단과 상기 뚜껑판은 밀폐되게 연결되며,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증기통로와 연통하는 상측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밸브 베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유입구멍과 연통하는 하측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장치는 모터축을 구비한 모터와, 상기 모터축의 말단에 설치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내부뚜껑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내부뚜껑과 상기 뚜껑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은 상기 내부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에는 커넥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날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의 말단에는 제1자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날개에는 상기 모터축의 축방향 혹은 반경방향을 따라 제1자성부재와 마주하는 제2자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통로는 상하방향에서 곡선의 형식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장치는 모터축을 구비한 모터와, 상기 내부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뚜껑으로부터 상기 뚜껑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회전축과,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축은 상기 내부뚜껑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모터축의 말단에는 제1자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날개에는 상기 모터축의 축방향 혹은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자성부재와 마주하는 제2자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밥솥.
  10. 요리챔버를 구비한 밥솥몸체와, 상기 요리챔버를 밀봉 또는 열 수 있는 밥솥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밥솥뚜껑의 내부에는 상기 요리챔버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는 부압구역을 형성하는 부압발생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부압구역 내의 압력이 상기 증기통로 내의 거품속의 압력보다 작아 상기 거품이 상기 부압구역을 통과할 때 터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구역은 상기 증기통로와 상기 요리챔버가 연통되는 입구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뚜껑은 배기구멍이 설치된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증기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뚜껑과, 및
    상기 내부뚜껑의 하방에 설치되고 유입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멍, 상기 증기구멍, 및 상기 유입구멍은 함께 증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3. 내부에 증기통로가 형성된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기통로 내부에 부압구역을 발생하여, 상기 부압구역 내의 압력이 상기 증기통로 내의 거품속의 압력보다 작아 상기 거품이 상기 부압구역을 통과할 때 터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은 상기 전기밥솥 내부의 증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것을 감지한 후에 생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은 모터를 이용하여 날개를 회전시켜 생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의 값은 0.85 ~ 1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KR1020120117378A 2012-03-06 2012-10-22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KR101411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056310.6 2012-03-06
CN201210056310.6A CN102599808B (zh) 2011-11-21 2012-03-06 具有防止泡沫溢出功能的电饭煲及其防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70A KR20130101970A (ko) 2013-09-16
KR101411724B1 true KR101411724B1 (ko) 2014-06-25

Family

ID=4948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378A KR101411724B1 (ko) 2012-03-06 2012-10-22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8199B (zh) * 2014-05-12 2018-02-0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及电饭煲的控制方法
CN106913227A (zh) * 2015-12-25 2017-07-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蒸汽口结构以及设置有该蒸汽口结构的电饭煲
CN107884032B (zh) * 2016-09-30 2024-04-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和用于其的防溢出检测装置
CN107960850B (zh) * 2016-10-20 2023-08-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上盖
CN108236384B (zh) * 2016-12-26 2024-02-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阀以及电饭煲
CN108294649B (zh) * 2018-04-18 2024-05-03 广东小厨科技有限公司 一种排气防溢降噪杯盖及破壁机
CN114052490B (zh) * 2020-07-30 2023-02-2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烹饪装置的防溢锅盖组件及烹饪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816A (ja) 1999-07-01 2001-01-16 Osaka Gas Co Ltd 炊飯器
JP2002065458A (ja) * 2000-08-29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ャー炊飯器
JP2005160808A (ja) * 2003-12-03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7135730A (ja) 2005-11-16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816A (ja) 1999-07-01 2001-01-16 Osaka Gas Co Ltd 炊飯器
JP2002065458A (ja) * 2000-08-29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ャー炊飯器
JP2005160808A (ja) * 2003-12-03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7135730A (ja) 2005-11-16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70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24B1 (ko)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 내부의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JP5743989B2 (ja) 電気炊飯器及び電気炊飯器からの泡の溢れ出しを防止する方法
TWI583335B (zh) Vacuum electric conditioner
US8109714B2 (en) Sewage pump
CN203789740U (zh) 微压防溢蒸汽阀
WO2017181838A1 (zh) 真空食品粉碎搅拌机
WO2018014226A1 (zh) 高速食物料理机及其搅拌杯
KR101270551B1 (ko) 습식 공기 청정장치
CN202604557U (zh) 一种电饭煲的防溢装置
CN103016361B (zh) 低吸水水泵
CN104398147A (zh) 具有防止泡沫溢出功能的电饭煲及其防止方法
CN107041681B (zh) 带旋转破泡件的蒸汽阀
CN114044556A (zh) 一种基于气浮的离心式餐饮废水油水分离机
CN207056704U (zh) 一种新型厨余机
CN104398146A (zh) 电饭煲
CN203987618U (zh) 豆浆机
CN103536219A (zh) 家用果酱机
CN203815252U (zh) 一种防溢电饭锅
CN206761338U (zh) 进水组件、物料清洗装置、防溢组件及烹饪器具
CN216393870U (zh) 一种防溢可靠的食品加工机
KR20080085296A (ko)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208085570U (zh) 一种危险品运输车降温喷淋装置
WO2013058555A3 (ko) 수돗물 절수장치
JP2009270579A (ja) 排水ポンプ
CN205923823U (zh) 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