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300B1 -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300B1
KR101411300B1 KR1020140023092A KR20140023092A KR101411300B1 KR 101411300 B1 KR101411300 B1 KR 101411300B1 KR 1020140023092 A KR1020140023092 A KR 1020140023092A KR 20140023092 A KR20140023092 A KR 20140023092A KR 101411300 B1 KR101411300 B1 KR 10141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construction vehicle
body frame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준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 filed Critical (주)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2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차량의 세척된 차륜을 이동과정에서 털어줌과 동시에 차륜을 향해 고압의 에어를 송풍하여 차륜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차륜에 묻어있는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건조함을 제공하도록, 건설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요철수단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및 바닥면에 장착되고 내측에 송풍로를 형성하는 송풍배관과, 상기 송풍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송풍배관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여 상기 송풍로를 향해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한쪽 바닥면에 장착되고 건설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페달식센서부;를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Washing Water Dry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Vehicle}
본 발명은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차량의 세척된 차륜을 이동과정에서 털어줌과 동시에 차륜을 향해 고압의 에어를 송풍하여 차륜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차륜에 묻어있는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건조하는 것이 가능한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현장이나 토목공사현장, 골재채취장, 쓰레기매립장 등과 같이 각종 오염물질, 분진, 먼지, 토사 등 이물질이 발생되는 공사현장의 출입구에는 공사현장으로 출입하는 대형의 건설차량에 묻은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설차량용 세륜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세륜기의 경우 건설차량의 차륜을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단순히 세륜만을 실시하기 때문에 세척수로부터 차륜이 젖은 상태에서 바로 도로를 주행함에 따라 오염된 세척수가 도로에 떨어진 후 건조되면서 결국 도로를 오염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륜기로부터 세척된 건설차량에 대해 세척 후 세척수를 건조할 수 있는 송풍기를 세륜기와 함께 설치하여 건설차량의 차륜을 세척하면서 건조할 수 있는 기술과 함께 건설차량에 건조작업만을 도모할 수 있는 건조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세척된 건설차량의 차륜을 건조할 수 있는 기술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665688호(2006.12.29.)에는 몸체의 상단 좌우측에 다수개의 로울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울러의 측면, 전방 및 후방에 살수관이 형성되며, 상기 살수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펌프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단에는 토사를 배출할 수 있는 토사배출덕트가 형성된 일반적인 세륜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송풍관으로 연결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구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송풍팬과 송풍관으로 연결되고, 로울러의 전방, 후방 및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구가 각각 형성된 전/후/중간송풍관으로 구성됨에 따라 건설차량의 세척된 바퀴를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능이 부가된 덤프트럭용 세륜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차량의 하부 바퀴만을 중점으로 건조하기 때문에 차륜의 양쪽 측면 세척에 따른 건조설비가 부재하여 건조효율이 미비하고, 나아가 차량에 대한 세척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로 세척환경에 적합할 뿐 온전한 건조환경을 구축하기 어려워 건조효과가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80029호(2013.06.24.)에는 대형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터널 형태를 이루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행과 열을 이루어 다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통과하는 대형차량을 향해 송풍시키는 다수의 송풍팬으로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에는 진입하는 대형차량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센서가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대형차량의 높이 사이의 상기 송풍팬만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차체와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대형차량용 건조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단순히 송풍팬만을 행과 열로 배치하여 바람만으로 건조하기 때문에 풍력이 사방으로 분사됨은 물론 풍압이 낮아 세척수에 대한 제거 및 건조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다수의 송풍팬을 설비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설비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설비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된 건설차량으로부터 이물질과 물기를 털어줌과 동시에 고압의 에어가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차륜에 잔존하는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세척수에 대한 건조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에어를 생성시키는 송풍수단의 풍압으로부터 강한 압력의 에어를 토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송풍효율은 유지하면서 송풍수단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설비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는 건설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요철수단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및 바닥면에 장착되고 내측에 송풍로를 형성하는 송풍배관과, 상기 송풍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송풍배관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여 상기 송풍로를 향해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한쪽 바닥면에 장착되고 건설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페달식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양측방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건설차량의 이동경로로부터 상기 송풍부의 풍압에 의한 세척수나 이물질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벽체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쪽 측단에 수직으로 기립하여 건설차량의 양쪽 측면에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배관과, 한 쌍의 상기 사이드배관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 상에 장착되는 언더배관으로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기 분사노즐에 따른 분사영역이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영역구조를 이루되 상층영역에서 하층영역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개수의 상기 분사노즐을 구비토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영역별로 상기 송풍수단과의 연결이 각각 분할된 구조를 이루도록 각각 연결결합하고, 상기 사이드배관의 내측 송풍로에는 상층, 중층, 하층의 영역별로 상호 구획하는 경계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배관의 한쪽 벽면에 상기 분사노즐을 감싸도록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토출된 에어의 분사방향이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풍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분사노즐을 기준으로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5~1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언더배관의 분사노즐은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면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해 35~55°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중 상기 사이드배관은 상기 언더배관으로부터 상호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기 언더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동형송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형송풍수단은 상기 사이드배관 상에 설치되고 건설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와, 상기 언더배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배관의 전후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사이드배관에 직선운동에 대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달식센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페달부재와, 상기 페달부재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동가능하되 복원스프링으로부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형성되는 회전감지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식센서부보다 앞서 건설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광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상에 장착하되 상기 분사노즐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고 건설차량이 출입하는 이동경로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에어의 분사경로를 안내하는 근접분사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근접분사패드는 상기 송풍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일체형이나 상기 송풍배관의 상층, 중층, 하층의 구분된 영역별 나눠진 구조를 갖는 분리형 중 선택적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근접분사패드에는 상기 분사노즐마다 끼움 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토출된 에어를 건설차량의 근접한 위치까지 안내하는 연장토출구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접하여 열풍으로 전환될 수 있게 가열하는 열풍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후로 길이를 연장하여 연결가능하게 배치하되 상기 본체프레임과 동일한 바닥면의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의 보조요철수단을 구비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분사공을 구비한 송풍파이프와, 상기 송풍파이프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송풍파이프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선단에 연결되되 내측이 상기 송풍파이프에 연통하도록 연결 결합하고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보조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회전형송풍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토록 지반에 매설되고 건설차량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 내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이물제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에 의하면 건설차량의 이동경로에 요철수단과 함께 강한 압력의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부를 구성하므로, 차륜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세척수를 충분히 털어주면서 강한 압력의 풍력으로 불어주어 이물질이나 세척수의 제거 및 건조효능을 대폭 향상시키고, 나아가 이물질이나 세척수로 인한 2차적인 도로오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는 송풍수단에서 생성된 에어를 균일한 압력으로 강하게 분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송풍수단의 개수를 줄임에 따른 설비의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설비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는 건설차량의 좌우 측면에 대응되는 사이드배관과 함께 차륜의 하부를 지향하는 언더배관으로부터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세척된 차륜의 측면과 하부 모두를 효과적으로 건조가능하고, 나아가 세척완료된 차륜에 대한 건조작업만을 도모토록 구성하므로 최적의 건조환경을 조성하여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의 언더배관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송풍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페달센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페달센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있어서 근접분사패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있어서 근접분사패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있어서 근접분사패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있어서 송풍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건설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요철수단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및 바닥면에 장착되고 내측에 송풍로를 형성하는 송풍배관과, 상기 송풍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송풍배관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여 상기 송풍로를 향해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한쪽 바닥면에 장착되고 건설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페달식센서부;를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양측방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건설차량의 이동경로로부터 상기 송풍부의 풍압에 의한 세척수나 이물질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벽체를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쪽 측단에 수직으로 기립하여 건설차량의 양쪽 측면에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배관과, 한 쌍의 상기 사이드배관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 상에 장착되는 언더배관을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기 분사노즐에 따른 분사영역이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영역구조를 이루되 상층영역에서 하층영역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개수의 상기 분사노즐을 구비토록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영역별로 상기 송풍수단과의 연결이 각각 분할된 구조를 이루도록 각각 연결결합하고, 상기 사이드배관의 내측 송풍로에는 상층, 중층, 하층의 영역별로 상호 구획하는 경계벽을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배관의 한쪽 벽면에 상기 분사노즐을 감싸도록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토출된 에어의 분사방향이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풍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분사노즐을 기준으로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5~1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더배관의 분사노즐은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면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해 35~55°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중 상기 사이드배관은 상기 언더배관으로부터 상호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기 언더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동형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형송풍수단은 상기 사이드배관 상에 설치되고 건설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와, 상기 언더배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배관의 전후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사이드배관에 직선운동에 대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달식센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페달부재와, 상기 페달부재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동가능하되 복원스프링으로부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형성되는 회전감지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식센서부보다 앞서 건설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광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상에 장착하되 상기 분사노즐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고 건설차량이 출입하는 이동경로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에어의 분사경로를 안내하는 근접분사패드를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분사패드는 상기 송풍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일체형이나 상기 송풍배관의 상층, 중층, 하층의 구분된 영역별 나눠진 구조를 갖는 분리형 중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분사패드에는 상기 분사노즐마다 끼움 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토출된 에어를 건설차량의 근접한 위치까지 안내하는 연장토출구를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접하여 열풍으로 전환될 수 있게 가열하는 열풍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후로 길이를 연장하여 연결가능하게 배치하되 상기 본체프레임과 동일한 바닥면의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의 보조요철수단을 구비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분사공을 구비한 송풍파이프와, 상기 송풍파이프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송풍파이프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선단에 연결되되 내측이 상기 송풍파이프에 연통하도록 연결 결합하고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보조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회전형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토록 지반에 매설되고 건설차량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 내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이물제거수단을 더 포함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과, 송풍부(20)와, 페달식센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들(송풍부(20) 및 페달식센서부(30) 등)이 개개의 위치상에 장착될 수 있게 지지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지면에 고정 장착되고 전후로 개방된 구조를 이루어 건설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출입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건설차량의 진입에 따른 하중을 지지가능하게 구성되고, 일반적인 건설차량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이동경로를 향한 건설차량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단에는 건설차량의 잘못된 진입에 따른 설비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상부에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 방지턱(13)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전원의 인가 여부를 조작설정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 및 상기 페달식센서부(30)의 신호로부터 상기 송풍부(20)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판이 내측게 구비된 컨트롤박스(19)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양쪽 측방에 각각 벽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차단벽체(18)를 구성한다.
상기 차단벽체(18)는 상기 송풍부(20)의 풍압에 의한 세척수나 이물질의 외부유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단벽체(18)는 건설차량의 이동경로로부터 상기 송풍부(20)의 풍압이 가해짐에 따라 건설차량에 묻어있는 세척수나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무방비로 비산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요철수단(15)을 구비한다. 즉 상기 요철수단(15)은 이동경로인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바닥면이 울퉁불퉁하게 돌출되어 건설차량에 묻은 세척수가 털어질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요철수단(15)은 도 1에서처럼 "∧" 단면형상을 이루고, 도 1 및 도 3에서처럼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복수 개가 건설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요철수단(15)을 구성하게 되면, 세척수 건조를 위해 진입된 건설차량이 이동하면서 세척수가 자연히 털리므로 상기 송풍부(20)와 더불어 세척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후방(출구)에는 소정의 거리(2~3m)를 두고 위치하여 상기 송풍부(20)에 의한 충분한 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차량건조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차단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부(2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이동경로 상에 진입된 건설차량을 향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된 차륜의 세척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송풍부(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송풍로(22)를 형성하는 송풍배관(21)과, 상기 송풍배관(21) 상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3)과, 상기 송풍배관(21)에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송풍부(20)의 구성들(송풍배관(21), 분사노즐(23), 송풍수단(25) 등)은 건설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열(도 3에서는 2열)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배관(21)은 상기 송풍로(22)를 따라 에어가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측 및 바닥면에 각각 장착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송풍배관(21)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배관(21a)과, 상기 본체프레임(10) 바닥면 상에 장착되는 언더배관(21b)으로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배관(21a)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방향을 기립하여 건설차량의 양쪽 측면에 대응되도록 장착하고 차륜의 측면 일정한 높이까지 상기 분사노즐(23)에 따른 차륜건조가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언더배관(21b)은 한 쌍의 상기 사이드배관(21a)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언더배관(21b)은 한 쌍의 상기 사이드배관(21a)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사이드배관(21a)의 내측 송풍로(22)와 상기 언더배관(21b)의 내측 송풍로(22)가 상호 연통하여 하나의 상기 송풍수단(25)으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상기 사이드배관(21a)과 함께 상기 언더배관(21b)으로 공급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송풍배관(21)을 따라 이동된 에어가 건설차량을 향해 강한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송풍배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토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송풍배관(21) 중 상기 사이드배관(21a)의 연장된 길이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장착되고, 상기 언더배관(21b)의 연장된 길이방향인 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장착된다.
상기 분사노즐(23)은 사이드분사형과 언더분사형으로 각각 구분된 형상 및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사이드배관(21a) 상에 소폭 돌출연장된 구조를 이루되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사이드분사형과, 상기 언더배관(21b) 상에 돌출된 구조를 이루되 각파이프 형상을 갖는 언더분사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배관(21a)에는 상기 분사노즐(23)에 따른 분사영역이 상하로 구분된 영역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사이드배관(21a) 상의 분사노즐(23)은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분사영역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사이드배관(21a)의 분사노즐(23)은 상층의 분사영역에서 하층의 분사영역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개수의 상기 분사노즐(23)을 구비토록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처럼 상층영역에 3개의 분사노즐(23)을 구비하되 중층영역에는 4개의 분사노즐(23)을 구비하고 하층영역에는 5개의 분사노즐(23)을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언더배관(21b)의 분사노즐(23)은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를 상향 분사가능하게 형성되되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에 대응하여 사선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언더배관(21b)의 분사노즐(23)은 도 5에 나타낸 바처럼, 일면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해 35~55°의 각도(β)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건설차량의 좌우 측면에 대응되는 사이드배관(21a)과 함께 차륜의 하부를 지향하는 언더배관(21b)으로부터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세척된 차륜의 측면과 하부 모두를 효과적으로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송풍수단(25)은 상기 송풍배관(21)을 향해 공급할 에어를 생성시키되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송풍배관(21)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여 상기 송풍로(22)를 향해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송풍수단(25)은 하나의 상기 송풍배관(21)에 대해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여 2개의 상기 송풍수단(2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송풍수단(25)은 모터와 팬 등으로 구성되어 공기조화시스템이나 각종 흡배기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송풍기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송풍수단(25)에서 생성된 에어를 균일한 압력으로 강하게 분사할 수 있게 송풍부(20)를 구성하게 되면, 송풍수단(25)의 개수를 줄임에 따른 설비의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설비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풍부(20)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영역별로 이루어진 상기 사이드배관(21a)에 대해 상기 송풍수단(25)과의 연결이 각각 분할된 구조를 이루도록 상중하로 각각 나뉘어 연결결합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송풍수단(25)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풍압이 150kg/㎡라면 상기 사이드배관(21a)의 상층, 중층, 하층에 대한 각 영역의 풍압으로 50kg/㎡씩 나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배관(21a)의 내측 송풍로(22)에는 상층, 중층, 하층의 영역별로 상호 구획하는 경계벽(27)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사이드배관(21a)과 송풍수단(25) 간에 영역별 상호 분할연결된 구조를 이루되 영역별로 상호 구획하는 경계벽(27)을 구성하게 되면, 상중하 전체적으로 강한 풍압을 갖는 에어를 균등하게 분사하여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풍부(20)의 제3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배관(21a)의 한쪽 벽면에 상기 분사노즐(23)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배관(21a)의 길이방향인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재(2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29)는 상기 분사노즐(23)로부터 토출된 에어의 분사방향이 건설차량의 진입방향 즉 건설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풍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9)는 상기 분사노즐(23)을 기준으로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5~15°의 경사각(α)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송풍부(20)의 사이드배관(21a) 상에 가이드부재(29)를 구성하게 되면, 분사노즐(23)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의 풍향을 안내하여 효율적인 건조작업을 도모하고 에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조능률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풍부(20)의 제4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송풍배관(21) 중 상기 사이드배관(21a)이 상기 언더배관(21b)으로부터 상호 분리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사이드배관(21a)과 상기 언더배관(21b)을 각각 분리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상기 송풍수단(25)으로부터 연결되는 연결관은 자바라 형태의 연결관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중의 연결관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사이드배관(21a)은 건설차량을 향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사이드배관(21a)에는 상기 언더배관(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동형송풍수단(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형송풍수단(60)은 상기 사이드배관(21a) 상에 설치되고 건설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61)와, 상기 언더배관(21b)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배관의(21a) 전후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63)과,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배관(21a)에 직선운동에 대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65)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구동실린더(65)는 로드를 신장운동토록 구동함에 따라 상기 사이드배관(21a)을 전후로 이동시키되 상기 구동실린더(65)의 구동은 상기 센서부재(61)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65)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사이드배관(21a)이 건설차량을 향해 이동하되 상기 사이드배관(21a)이 건설차량에 최대한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재(61)가 감지하여 상기 구동실린더(65)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유동형송풍수단(60)을 통해 사이드배관(21a)이 이동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건설차량에 대해 탄력적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페달식센서부(30)는 건설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페달식센서부(3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되 건설차량이 진입하는 입구의 한쪽 바닥면에 장착되어 건설차량의 바퀴에 눌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페달식센서부(3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페달부재(31)와, 상기 페달부재(31)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부재(31)의 회전에 의해 회동가능하되 복원스프링(34)으로부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형성되는 회전감지부재(33)와,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감지부재(33)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부(20)에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35)로 구성한다.
상기 페달식센서부(30)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감지부재(33)에 대한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지지단턱(37)을 구비한다.
상기 페달식센서부(30)의 작동관계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프레임(10)을 향한 건설차량의 진입으로 바퀴가 상기 페달부재(31)를 밟으면, 상기 페달부재(31)의 축이 회동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33)를 회전시키고 상기 감지센서(35)가 상기 회전감지부재(33)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박스(19)의 제어판을 거쳐 상기 송풍부(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식센서부(30)와 함께 건설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광센서부(3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센서부(39)는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식센서부(30)보다 앞서 건설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광센서부(39)는 건설차량을 1차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송풍부(20) 중 가장 앞쪽 열에 위치한 상기 송풍부(20)만을 가동토록 신호하고, 이후 건설차량의 바퀴가 진입하여 상기 페달식센서부(30)가 2차적으로 건설차량을 감지하므로 상기 송풍부(20)가 모두 가동토록 신호한다.
상기 광센서부(39)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을 향해 건설차량이 진입되는 방향을 지향토록 장착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건설차량이 진입하여 상기 페달식센서부(30)로부터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송풍부(20)의 송풍수단(25)이 구동하여 에어를 상기 송풍배관(21)의 송풍로(22)에 공급하고, 상기 송풍배관(21) 중 사이드배관(21a) 및 언더배관(21b)을 따라 에어가 이동된 후 각각의 분사노즐(23)을 통해 건설차량의 양쪽 측면과 하부에 강하게 분사하여 세척수를 건조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에 의하면 건설차량의 이동경로에 요철수단(15)과 함께 강한 압력의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부(20)를 구성하므로, 차륜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세척수를 충분히 털어주면서 강한 압력의 풍력으로 불어주어 이물질이나 세척수의 제거 및 건조효능을 대폭 향상시키고, 나아가 이물질이나 세척수로 인한 2차적인 도로오염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세척완료된 차륜에 대한 건조작업만을 도모토록 구성하므로 최적의 건조환경을 조성하여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송풍부(20)의 송풍배관(21) 상에 장착하되 상기 분사노즐(23)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고 건설차량이 출입하는 이동경로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에어의 분사경로를 안내하는 근접분사패드(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근접분사패드(40)는 소정의 탄성과 연성으로부터 건설차량이 접촉하여도 손상이 없는 소재(예를 들면 고무 등)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근접분사패드(40)에 있어서도 상기 가이드부재(29)처럼 상기 송풍배관(21) 상에 건설차량이 진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접분사패드(40)는 도 14에서처럼 상기 송풍배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일체형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5에서처럼 상기 송풍배관(21)의 상층, 중층, 하층의 구분된 영역별로 나눠진 구조를 갖는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근접분사패드(40)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3)로부터 토출된 에어를 건설차량의 근접한 위치까지 안내하는 연장토출구(45)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장토출구(45)는 상기 분사노즐마다 끼움 결합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장토출구(45)에 있어서도 상기 근접분사패드(40)와 동일하게 소정의 탄성과 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제2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에어의 외부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건설차량에 대한 근접분사를 도모하여 고효율의 건조작업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제3실시예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송풍부(20)의 송풍배관(21) 내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수단(25)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접하여 열풍으로 전환될 수 있게 가열하는 열풍생성수단(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풍생성수단(50)은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이 이루어지는 공지된 다양한 히터봉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풍생성수단(50)은 상기 송풍배관(21) 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성한다.
즉 상기한 제3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에어를 열풍으로 전환한 후 분사하여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제4실시예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후로 길이를 연장하여 연결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프레임(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프레임(70)에도 상기 본체프레임(10)과 동일한 바닥면의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보조프레임(70)에는 바닥면이 울퉁불퉁하게 돌출되어 건설차량에 묻은 세척수를 털어낼 수 있는 구조로서, 복수 개의 보조요철수단(7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한 보조요철수단(75)은 상기 요철수단(15)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한 제4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보다 긴 이동경로를 거쳐 세척수를 털어주므로 세척수의 제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제5실시예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송풍부(20)와 함께 에어를 분사하여 건설차량을 건조할 수 있는 회전형송풍부(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형송풍부(80)는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분사공(82)을 구비한 송풍파이프(81)와, 상기 송풍파이프(81)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송풍파이프(81)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83)과, 상기 구동수단(83)의 선단에 연결되되 내측이 상기 송풍파이프(81)에 연통하도록 연결 결합하고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보조송풍수단(85)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파이프(81)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자 형상을 이루면 연장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한 제5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건설차량의 고른 면적으로 에어를 분사함은 물론 지속적인 에어분사로부터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제6실시예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설차량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침전조(91)와, 상기 침전조(91) 내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93)로 구성되는 이물제거수단(9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침전조(91)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지반에 매설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인컨베이어(93)는 상기 침전조(91)의 바닥면을 긁으면서 이물질의 배출경로를 향해 무한궤도방식으로 구동하여 상기 침전조(91) 내에 수용된 이물질을 배출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한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본체프레임 13 : 방지턱 15 : 요철수단
18 : 차단벽체 19 : 컨트롤박스 20 : 송풍부
21 : 송풍배관 21a : 사이드배관 21b : 언더배관
22 : 송풍로 23 : 분사노즐 25 : 송풍수단
27 : 경계벽 29 : 가이드부재 30 : 페달식센서부
31 : 페달부재 33 : 회전감지부재 34 : 복원스프링
35 : 감지센서 37 : 지지단턱 39 : 광센서부
40 : 근접분사패드 45 : 연장토출구 50 : 열풍생성수단
60 : 유동형송풍수단 61 : 센서부재 63 : 가이드레일
65 : 구동실린더 70 : 보조프레임 75 : 보조요철수단
80 : 회전형송풍부 81 : 송풍파이프 82 : 분사공
83 : 구동수단 85 : 보조송풍수단 90 : 이물제거수단
91 : 침전조 93 : 베인컨베이어
α : 가이드부재의 경사각 β : 언더배관의 분사노즐 경사각

Claims (19)

  1. 건설차량의 이동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요철수단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 및 바닥면에 장착되고 내측에 송풍로를 형성하는 송풍배관과, 상기 송풍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송풍배관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여 상기 송풍로를 향해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한쪽 바닥면에 장착되고 건설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페달식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양측방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건설차량의 이동경로로부터 상기 송풍부의 풍압에 의한 세척수나 이물질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쪽 측단에 수직으로 기립하여 건설차량의 양쪽 측면에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배관과, 한 쌍의 상기 사이드배관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조를 이루되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 상에 장착되는 언더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기 분사노즐에 따른 분사영역이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영역구조를 이루되 상층영역에서 하층영역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개수의 상기 분사노즐을 구비토록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층, 중층, 하층으로 각각 구분된 영역별로 상기 송풍수단과의 연결이 각각 분할된 구조를 이루도록 각각 연결결합하고, 상기 사이드배관의 내측 송풍로에는 상층, 중층, 하층의 영역별로 상호 구획하는 경계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배관의 한쪽 벽면에 상기 분사노즐을 감싸도록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토출된 에어의 분사방향이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풍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분사노즐을 기준으로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5~1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언더배관의 분사노즐은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가능하게 형성되되 일면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해 35~55°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중 상기 사이드배관은 상기 언더배관으로부터 상호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배관에는 상기 언더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동형송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송풍수단은, 상기 사이드배관 상에 설치되고 건설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와, 상기 언더배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배관의 전후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사이드배관에 직선운동에 대한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식센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페달부재와, 상기 페달부재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동가능하되 복원스프링으로부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형성되는 회전감지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감지부재를 감지하여 상기 송풍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페달식센서부보다 앞서 건설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광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상에 장착하되 상기 분사노즐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고 건설차량이 출입하는 이동경로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에어의 분사경로를 안내하는 근접분사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근접분사패드는 상기 송풍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일체형이나 상기 송풍배관의 상층, 중층, 하층의 구분된 영역별 나눠진 구조를 갖는 분리형 중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근접분사패드에는 상기 분사노즐마다 끼움 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토출된 에어를 건설차량의 근접한 위치까지 안내하는 연장토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의 송풍배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접하여 열풍으로 전환될 수 있게 가열하는 열풍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후로 길이를 연장하여 연결가능하게 배치하되 상기 본체프레임과 동일한 바닥면의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의 보조요철수단을 구비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설차량의 진입방향을 향해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분사공을 구비한 송풍파이프와, 상기 송풍파이프의 한쪽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송풍파이프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선단에 연결되되 내측이 상기 송풍파이프에 연통하도록 연결 결합하고 에어를 공급가능하게 생성시키는 보조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회전형송풍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토록 지반에 매설되고 건설차량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 내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이물제거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KR1020140023092A 2014-02-27 2014-02-27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KR10141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92A KR101411300B1 (ko) 2014-02-27 2014-02-27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92A KR101411300B1 (ko) 2014-02-27 2014-02-27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300B1 true KR101411300B1 (ko) 2014-06-24

Family

ID=5113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092A KR101411300B1 (ko) 2014-02-27 2014-02-27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3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3774A (zh) * 2019-03-12 2019-04-23 湖北沛丰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条加工设备用清洗装置
CN111282898A (zh) * 2020-03-31 2020-06-16 李琳 一种粉尘喷淋处理方法
CN111299228A (zh) * 2020-03-31 2020-06-19 李琳 一种环保节能喷淋除尘降解设备
WO2020177676A1 (zh) * 2019-03-04 2020-09-10 南京林顿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用风干装置
CN112577304A (zh) * 2020-12-02 2021-03-30 浙江驿公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出风口
KR102260543B1 (ko) * 2020-09-29 2021-06-07 고명관 화물차 타이어 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03Y1 (ko) 2002-10-30 2003-02-11 김은희 자동세륜기
KR20060089317A (ko) * 2005-02-03 2006-08-09 경 택 김 조립식 세륜기와 그 작동방법
KR200428362Y1 (ko) 2006-06-30 2006-10-16 대금산업 주식회사 차륜 및 차체하부의 세척장치
JP2012051536A (ja) 2010-09-03 2012-03-15 Fukuda Kogyo Kk タイヤ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03Y1 (ko) 2002-10-30 2003-02-11 김은희 자동세륜기
KR20060089317A (ko) * 2005-02-03 2006-08-09 경 택 김 조립식 세륜기와 그 작동방법
KR200428362Y1 (ko) 2006-06-30 2006-10-16 대금산업 주식회사 차륜 및 차체하부의 세척장치
JP2012051536A (ja) 2010-09-03 2012-03-15 Fukuda Kogyo Kk タイヤ洗浄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7676A1 (zh) * 2019-03-04 2020-09-10 南京林顿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用风干装置
CN109663774A (zh) * 2019-03-12 2019-04-23 湖北沛丰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条加工设备用清洗装置
CN111282898A (zh) * 2020-03-31 2020-06-16 李琳 一种粉尘喷淋处理方法
CN111299228A (zh) * 2020-03-31 2020-06-19 李琳 一种环保节能喷淋除尘降解设备
CN111299228B (zh) * 2020-03-31 2022-01-25 连云港庚德电子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喷淋除尘降解设备
KR102260543B1 (ko) * 2020-09-29 2021-06-07 고명관 화물차 타이어 건조장치
CN112577304A (zh) * 2020-12-02 2021-03-30 浙江驿公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出风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300B1 (ko) 건설차량용 세척수 건조장치
KR101178386B1 (ko) 태양전지판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JP6061540B2 (ja) 洗浄装置
CN107150663B (zh) 车辆去泥清洗装置
CN107878413A (zh) 一种建筑工地运输车辆清洁装置
KR20160106940A (ko) 공기분사 노즐과 흡입구가 일체로 모듈화된 철도궤도 집진청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철도궤도 청소차량
CN208469760U (zh) 一种建筑场地冲洗设备
KR100665688B1 (ko) 건조기능이 부가된 덤프트럭용 세륜기
KR20180024676A (ko) 세차장치
CN105804783A (zh) 隧道除尘方法
KR102402299B1 (ko) 청소차
KR200401767Y1 (ko) 산업용 대차바퀴 세척장치
KR101975411B1 (ko) 터널형세차기용 하부물기제거장치
JP4855243B2 (ja) 車体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車装置
KR101699928B1 (ko) 건식 세륜기
KR20110114258A (ko) 복수개의 스팀공급용 배관을 갖춘 자동 세차기용 브러쉬 회전체
KR101280029B1 (ko) 대형차량용 건조장치
JP2009073357A (ja) 洗車機
KR20170043257A (ko) 흡입 유도장치가 구비된 공기분사 노즐-흡입구 일체형 철도궤도 집진기, 이러한 철도궤도 집진기로 이루어진 철도궤도 청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철도궤도 청소차량
CN105804784A (zh) 隧道除尘车
KR100591986B1 (ko)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JP7154162B2 (ja) 洗車機
JP2000006773A (ja) 洗車装置
KR20070015489A (ko) 자동차 수밀검사의 점검수 제거장치
KR101252876B1 (ko) 세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