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798B1 -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798B1
KR101410798B1 KR1020127016481A KR20127016481A KR101410798B1 KR 101410798 B1 KR101410798 B1 KR 101410798B1 KR 1020127016481 A KR1020127016481 A KR 1020127016481A KR 20127016481 A KR20127016481 A KR 20127016481A KR 101410798 B1 KR101410798 B1 KR 10141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access
elevator
floor
desired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050A (ko
Inventor
마이클 피. 플린
게리 피사르스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2009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통한 빌딩 내 층으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내에서 승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하는 승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객의 입력의 층으로부터 나올 때, 승객들에게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 및 상기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접근을 허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접근이 허용될 경우 승객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수송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ELEVATOR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빌딩 내의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승객들을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승객의 호출이 발생되어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승차하기를 희망하는 층을 지시하면, 엘리베이터가 응답한다. 통상적으로, 승객은 호출을 발생시킬 때나 또는 응답하는 엘리베이터로 들어갈 때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한다. 그 다음, 엘리베이터는 승객을 원하는 목적지 층까지 수송한다.
몇몇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빌딩의 몇몇 층 또는 모든 층에 대한 접근이 규제되는 빌딩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들 층에 접근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에 대한 인증이 요구된다. 특정 사람들만이 이들 층에 대한 접근이 허용될 경우, 원하는 특정 목적지 층들에 대한 접근을 수락하거나 거부하는 데 이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들 방법들 중 몇몇은 그 승객이 엘리베이터로부터 특정 층에 접근하도록 인증된 사람인지의 여부를 엘리베이터가 인식하는 식별 시스템의 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몇몇 시스템에서는, 식별 카드가 이용되거나, 또는 규제된 층에 대한 승객의 접근을 허용하는 보안 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시스템들에서는, 엘리베이터들이 승객들을 모든 층으로 수송할 수 있고, 규제된 층에 도달할 시에, 승객은 승객의 접근을 수락하거나 거부하기 위한 다른 타입의 보안 시스템과 만나게 된다. 심지어, 몇몇 시스템들은 특정 엘리베이터들을 규제되지 않은 층들에 대해서만 지정하며, 인증된 승객들이 규제된 층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세트의 엘리베이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를 통한 빌딩 내의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은, 엘리베이터 내에서 승객이 이동하기를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하는 승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객의 입력의 층으로부터 나올 때, 승객들에게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 및 상기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접근을 허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접근이 허용될 경우 승객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수송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빌딩 내의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엘리베이터,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 층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에 의한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은, 승객의 입력의 층으로부터 나올 때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토대로 하여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을 갖는 다중-층 빌딩의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 빌딩을 위한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매트릭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을 위한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매트릭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무실 빌딩을 위한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매트릭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multi-function) 빌딩을 위한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매트릭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학 빌딩을 위한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매트릭스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통한 빌딩 내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특정 층들로의 접근이 규제되는 경우, 보안은 목적지를 토대로 한다. 승객의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은, 승객 인식(passenger recognition), 식별 카드들, 및/또는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들어가기 위해 인증되어야 할 보안 코드들의 입력을 포함하는 1 이상의 인증 방법들을 토대로 하여 수락되거나 또는 거부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승객이 나오려는 층을 토대로 하여 승객의 접근이 수락되는 층들을 나타내는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엘리베이터를 통해 빌딩 내의 원하는 목적지 층에 대한 접근을 수락하거나 또는 거부한다.
도 1은 빌딩(12) 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빌딩(12)은 총 20 개 층(F1 내지 F20)을 포함하며, 도면을 페이지에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층 F3와 층 F19 사이의 층들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그룹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3 개의 엘리베이터들(14a, 14b, 및 14c)을 포함하며, 그들 각각은 빌딩(12) 내의 층들 중 여하한의 층으로 승객들을 수송하도록 작동가능하다. 3 개의 엘리베이터들(14a 내지 14c)과 20 개의 층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여하한의 수의 층들에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하한의 수의 엘리베이터들을 구비한 목적지 입장 그룹 엘리베이터 시스템들(destination entry group elevator systems)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룹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차체 제어기들(16a 내지 16c), 그룹 제어기(20), 통신 루프(18), 통신 라인들(22), 및 원하는 목적지 입력 장치들(30)을 더 포함한다.
원하는 목적지 입력 장치들(30)은 통신 라인들(22)을 통해 그룹 제어기(20)에 연결된다. 또한, 입력 장치들(30)은 무선일 수 있다[그리고, 이때 통신 라인들(22)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룹 제어기(20)는 통신 루프(18)를 통해 차체 제어기들(16a 내지 16c)에 연결된다. 차체 제어기(16a)는 차체(14a)에 연결되고, 차체 제어기(16b)는 차체(14b)에 연결되며, 차체 제어기(16c)는 차체(14c)에 연결된다.
원하는 목적지 입력 장치들(30)은 각 층 상의 엘리베이터들 옆에 배치되며, 승객에 의해 이동하기를 바라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하는 데 이용된다. 그룹 제어기(20)는 통신 라인들(22)을 통해 전달되는 이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그 다음, 그룹 제어기(20)는, 차체 제어기들(16a 내지 16c)에 수신되는 목적지 입력 정보 및 원하는 목적지 입력이 개시된 층으로부터 나올 때 승객들에게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도시 안됨)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차체 제어기들(16a 내지 16c)은 그룹 제어기(20)로부터 수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정보를 토대로 하여 엘리베이터들(14a 내지 14c)을 각각 제어한다. 제어기(20)가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원하는 목적지 입력이 개시된 층으로부터 나올 때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결정하는 경우, 제어기(20)는 차체 제어기들(16a 내지 16c) 중 하나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을 수송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접근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제어기(20)는 차체 제어기들(16a 내지 16c) 중 하나에 정보를 전송하여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을 수송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한다(이는: 엘리베이터가 호출에 반응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가 층들 사이에서 이동하지 않고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층에서 엘리베이터 차체의 도어들을 개방해 놓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이 수락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그룹 제어기(20)에 의하여 이행되지만, 그룹 제어기(20)와 접속하는(interface) 보안 시스템과 같은 상이한 시스템에 의해 이행될 수도 있다.
원하는 목적지 입력부(30)는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 층을 입력하는 장치이거나, 또는 단순히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 층의 방향을 표시하는 데 이용하는 종래의 업 앤드 다운 홀 콜 버튼들(up and down hall call buttons)일 수 있다. 원하는 목적지 입력부가 종래의 업 앤드 다운 홀 콜 버튼들인 경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이 수락될 것인지의 결정은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승차하여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하기 위해 버튼을 누를 때 내려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하는 승객의 입력이 수신된 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접근되어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원하는 목적지 층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2 피스의 정보: 즉 엘리베이터가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입력이 개시된 층으로부터 승객들을 수송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특정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접근하도록 인증되었는지의 여부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는 개별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정보는 도 2 내지 도 6에 예시되어 있으며, 매트릭스는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수송을 "N", "O", 또는 "AA"로 지정하고 있다. 지정 "N"은 차체가 입력 개시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들을 수송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O"는 차체가 추가 인증에 대한 필요없이 입력 개시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들을 수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A"는 차체가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 층에 접근하도록 인증받은 경우에만 입력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들을 수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호출이 개시된 층(뿐만 아니라 인증)을 토대로 하여 원하는 목적지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한다. 이는 은행, 병원, 사무실 빌딩, 다-기능 빌딩 및 대학 빌딩을 포함하는, 보안 및 상이한 접근 수준들과 관련된 여러 적용례들에 있어 유용할 수 있다.
도 2는 입력이 개시된 층을 토대로 하여 특정의 원하는 목적지 층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 실시예(본 명세서에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표시됨)이다. 이 데이터 매트릭스는 층들(F1 내지 F20)을 포함하는 은행 빌딩에 대한 승객(P), 즉 은행 직원의 접근 수준을 나타낸다. 층 F1은 은행 지하금고(bank vault), F2는 로비, 그리고 F8은 승객 "P"가 근무하는 층이다. 수직방향의 "출발 층" 측은 입력이 개시된 층(승객이 이동을 요구하는 층)을 나타낸다. 수평방향의 "목적지 층" 측은 승객의 원하는 목적지 층 입력으로부터 표시되는 바와 같은 승객의 원하는 목적지 층(승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나타낸다. 매트릭스에서 "AA"는 인증 및 허용을 나타내며, 이는 승객(P)이 그 층으로 들어가기 위한 인증을 가지며 상기 층으로 가도록 허용됨을 의미한다. "N"은 불허를 나타내며, 이는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 있는 층으로부터 특정 층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O"는 개방을 나타내며, 이는 입장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이동이 허용됨을 의미한다. 인증은 특정인들이 층에 대한 접근이 허용될 때에만 이용되며, 원하는 목적지 입력이 개시된 층으로부터 나올 때 엘리베이터를 통한 승객들의 접근을 허용하는 층과 관련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접근을 수락하는 시스템과 더불어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층들에 대한 접근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인증은, 식별 배지의 스캐닝 또는 보안 코드 입력을 포함하며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 많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승객이 적절한 인증을 가질 경우, 상기 층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다. 승객이 인증을 갖지 않을 경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은 불허된다.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기를 바라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하는 승객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 데이터 매트릭스(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됨)가 접근된다. 상기 매트릭스는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을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승객의 입력이 개시된 층은 매트릭스의 수직방향의 "출발 층" 측에 배치된다. 원하는 목적지 층은 매트릭스의 수평방향의 "목적지 층" 측에 배치된다. 매트릭스에서 "출발" 층이 "목적" 층과 교차하는 정사각형은 엘리베이터를 통해 입력 개시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이 허용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정사각형이 "O"를 포함할 경우 접근이 허용되며, 엘리베이터는 입력 개시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을 수송하도록 제어된다. 정사각형이 "N"을 포함할 경우 접근은 수락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는 입력 개시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을 수송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정사각형이 "AA"를 포함할 경우, 엘리베이터가 입력 개시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승객을 수송하도록 제어되기 전에 적절한 인증이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2는 구체적으로 층 F8에서 근무하는 승객(P)에 대한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매트릭스에서 알 수 있듯이, 승객(P)은 인증을 받고, 근무를 위해 로비 F2에서 F8로 수송되도록 허용된다. 또한, 승객(P)은 인증을 받고, 엘리베이터를 통해 은행의 어떠한 다른 층으로부터도 자신의 근무 층(F8)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매트릭스 내의 정사각형이 자신의 근무 층으로부터 로비(F2)로의 엘리베이터를 통한 이동에 인증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O"를 포함하므로, 승객(P)은 자신의 근무 층(F8)(또는 여하한의 다른 층)으로부터 로비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하지만, 승객(P)은 로비에서 지하금고로, 또는 지하금고에서 로비로 이동할 수 없는데, 이는 지하금고는 승객이 로비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목적지가 아니며, 로비는 ("N"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하금고(F1)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목적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승객(P)은 그가 그 층에 가도록 정상적으로 인증을 받는다 하더라도 지하금고에서 자신의 근무 층(F8)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는 지하금고로부터 특정 층들(예컨대 보안 층)로 그리고 특정 층들로부터 지하금고로의 이동만을 허용함으로써 은행 지하금고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돕는다. 승객(P)은 로비(F2)로부터 자신의 근무 층이 아닌 은행 층(F3 내지 F7, 및 F9 내지 F20)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승객(P)은 자신의 근무 층(F8)이나 로비(F2)가 아닌 층으로부터 자신의 근무 층(F8)이나 로비(F2)가 아닌 여타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를 통한 소정 층으로의 접근을 수락할 것인지의 결정(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접근함으로써 이행됨)은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기와 접속하는 다른 시스템, 예컨대 보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수정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이, 개시 층을 토대로 상이한 층들로의 접근을 수락하는 것과 관련된 특정 빌딩의 상이한 요구들에 맞게 쉽게 개정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병원 내 다양한 병원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용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매트릭스를 예시하고 있다. 병원은 20 개 층, 즉 측 F1 내지 F20을 포함한다. 이들은 살균 물질(sterile materials)이 저장되는 청정 층인 F2 ; 살균 물질들만이 허여되는 수술 층(surgery floor)인 F4 - ; 및 오염된 기구들이 보관되는 오염 층(dirty floor)인 F6을 포함한다. 매트릭스의 "출발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곳을 요구하는 층을 나타낸다. "목적지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기를 바라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나타낸다. 매트릭스에서 "AA"는 인증 및 허용을 나타낸다. "N"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매트릭스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인이 층 F2(청정 층)으로부터 F4(수술 층)으로 이동하기를 바랄 경우, 매트릭스는 "AA"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 특정인이 적절한 인증을 가질 경우 F2에서 F4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됨을 의미한다. 청정 층은 살균 물질들을 가지며 수술 층(F4)에서는 살균 물질들만 허용되기 때문에, (적절한 인증에 의한) F2에서 F4로의 이동은 허용된다. 하지만, F2에서 F6(오염 층)으로 이동하기를 희망하는 사람은 매트릭스에서 "N"과 만난다. 이는 F2에서 F6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F2의 살균 물질이 F6으로 가서 오염될 가능성을 막기 위함이다. 역으로, 오염 층(F6)으로부터 청정 층(F2) 또는 수술 층(F4)으로 특정인이 이동하는 것은 불가하다. 이는, 오염 층(F6)의 오염물들로부터의 청정 층(F2) 및 수술 층(F4)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술 층(F4)에서 청정 층(F2)으로의 엘리베이터를 통한 이동은 인증될 경우 허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무실 빌딩용 데이터 매트릭스이다. 사무실 빌딩은 20 개 층, 즉 F1 내지 F20을 갖는다. 층 F1은 주차장이고, F2는 로비이고, F3는 보안실(security)이며, F20에는 중역 실(executive office)이 있다. 매트릭스의 "출발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곳을 요구하는 층을 나타낸다. "목적지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기를 바라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나타낸다. "AA"는 인증 및 허용을 나타낸다. "N"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O"는 개방 층을 나타낸다.
매트릭스에서 알 수 있듯이, 중역 "E"는 주차장(F1) 또는 로비(F2)로부터 보안 층(F3)으로만[또는 주차장(F1)과 로비(F2) 사이에서만{이들 이동들이 "O"를 포함하기 때문임}]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중역(E)은 주차장(F1) 또는 로비(F2)로부터 층 F20에 있는 자신의 사무실로 직접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데, 이는 그녀가 F20으로 진입하기 위한 인증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주차장(F1) 또는 로비(F2)로부터의 엘리베이터를 통한 이동은 허용되지 않기(N) 때문이다. 그녀는 먼저 층 F3에 있는 보안실을 통과해야만 하며, 그 후 층 F20에 있는 자신의 사무실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로비 또는 주차장을 통해) 빌딩에 진입한 사람들을 다른 층들로 가기 전에 보안실에서 먼저 점검하여 보다 안전한 사무실이 되도록 한다.
도 5는 다-기능 빌딩에 적용가능하며 상기 빌딩 내의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매트릭스의 일 실시예이다. 빌딩은 20 개 층을 포함한다. F1은 로비이다. 층들 F2 내지 F5는 사업체 "B1"이고, 층들 F6 내지 F9는 상이한 사업체 "B2"이다. 층 F10은 휘트니스 센터이다. 층들 F11 내지 F19는 호텔인데, F11은 호텔 로비이고, F19는 호텔 풀이다. F20은 레스토랑이다. 매트릭스에서 "O"는 개방형 접근을 나타낸다. "N"은 접근 불가를 나타낸다. "AA"는 접근이 허용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타입의 인증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매트릭스의 "출발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곳을 요구하는 층을 나타낸다. "목적지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기를 바라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나타낸다.
로비(F1), F10의 휘트니스 센터, F11의 호텔 로비, 또는 F20의 레스토랑으로부터 입력이 개시될 때 F2 내지 F5의 B1은 F2 내지 F5 중 어느 곳으로의 접근을 수락한다. B1은 B1으로 오기를 희망하는 모드에 대해 개방형 접근을 허용하는 몇몇 종류의 소매업을 나타낼 수 있다.
F6 내지 F9의 B2는 보다 보안이 필요한 사업체이다. (B2 내에 있지 않은 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를 통한 B2로의 접근은 로비로부터 F6으로 올 때에만 허용된다. F6은 B2에 근무하는 사람들만 B2의 다른 층들(F7 내지 F9)로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몇몇 종류의 접수처(reception desk) 또는 보안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B2 내의 층으로부터 승객의 입력이 개시될 경우에는, B2 내의 다른 층(F6 내지 F9)에 대한 개방형 접근이 허용된다.
F10은 일반 회원(public membership)에게 개방된 휘트니스 센터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승객의 호출이 어느 다른 층에서 개시되는 경우에도 F10에 대한 접근은 개방되어 있다. F11의 호텔 로비, 및 F20의 레스토랑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어느 다른 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를 통한 이들 층들로의 접근도 허용한다.
F11 내지 F19의 호텔은 F11의 호텔 로비, F12 내지 F18의 객실들, 및 F19의 호텔 풀을 포함한다. 호텔 내에 있지 않은 층(F1 내지 F10, 및 F20)으로부터 올 때 모든 다른 호텔 층들로의 접근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투숙객들은 먼저 F11의 호텔 로비에서 호텔로 들어가야 한다. 일단 호텔 로비에서는, 엘리베이터를 통한 호텔 풀로의 접근은 개방되어 있다. 객실들(F12 내지 F18)을 포함하는 층들로의 접근은 상기 층의 객실에서 상기 투숙객이 머무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몇몇 종류의 인증을 필요로 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어떻게 엘리베이터를 통한 상기 빌딩 내의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다-기능 빌딩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증명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은 승객의 입력이 개시되는 층으로부터 나올 때 승객들의 접근이 허용되는 층이 어떤 층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함으로써 빌딩 내의 상이한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한다. 데이터 매트릭스는 빌딩 및 빌딩 세입자들의 요구가 변할 때는 쉽게 수정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각각의 사업체가 보안을 이유로 자체 소유의 엘리베이터들의 세트를 보유할 경우 여러 세트의 엘리베이터들을 설치해야 할 필요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6은 대학 빌딩에 적용가능하며 상기 빌딩 내의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 매트릭스의 일 실시예이다. 빌딩은 10 개 층을 포함하는데; F1은 로비이고; F2 및 F3는 강당들이고; F4는 실험실이고; F5 내지 F7은 학부실들(faculty offices)이며; F8 내지 F10은 도서관이다. 매트릭스의 "출발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곳을 요구하는 층을 나타낸다. "목적지 층" 측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하기를 바라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나타낸다. "O"는 개방형 접근을 나타낸다. "N"은 접근 불가를 나타낸다. "AA"는 접근을 위해서는 인증을 필요로 함을 나타낸다(인증의 설명 및 필요한 인증의 예들에 대해서는 위의 도 2 참조).
매트릭스에서 알 수 있듯이, 엘리베이터를 통해 로비로부터 나올 때, 강당들(F2 내지 F3), 실험실(F4), 및 도서관 1층(F8)에 대한 접근은 개방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학생들이 빈번하게 찾는 목적지이며,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통해 그곳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른 층들(F1 내지 F4, 및 F8)로부터 학부실들(F5 내지 F7)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인증이 요구된다. 이는 적절한 인증을 갖는 사람들에게만 다른 층으로부터 F5 내지 F7로의 이동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이미 F5 내지 F7에 있는 교수(또는 다른 사람들)는 매번 인증을 수행할 필요없이 F5 내지 F7 사이에서 엘리베이터를 통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서관은 도서들의 보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책을 가지고 떠나는 사람이 그 도서를 적절하게 체크 아웃할 수 있도록 도서관에 대해 흔히 하나의 입구 및 출구가 존재한다. 이 시스템은 F8에 보안형 도서관 입구 및 출구를 가능하게 한다. 엘리베이터를 통한 F8(도서관 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접근은 어떠한 층에서 오더라도 개방되어 있다. 도서관에서 다른 층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F8에서 먼저 멈추어야 한다. F9 또는 F10으로 직접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접근은 허용되지 않는다. 일단 F8에 오고나면, F9 및 F10에 대한 접근은 개방되어 있다. 도서관에서 나가기를 희망할 때에는, 사람들은 먼저 F8로 이동해야 하며, 아마 보안형 도서관 출구를 나간 다음(도서들을 체크 아웃함), 엘리베이터를 통한 다른 층들로의 접근이 허용된다. F9 또는 F10의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경우에는 F8 아래의 층에 대한 접근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는 엘리베이터를 통한 대학 빌딩 내의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개시 층 기반의 방법(origination floor based method)을 가능하게 한다. 대학 빌딩들은 많은 인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다른 영역들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특정 영역들에 대해 변화무쌍한 학생 집단(ever-changing student body)에 대한 접근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대한 고유한 요구를 갖는 경향이 있다.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이 개시 층 기반 방법은 항상-변하는 학생 집단(always-changing student body) 내의 각각의 학생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근을 수락해야 할 필요없이 학생들이 빈번하게 찾는 영역들에 대한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의 허용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학부실들 및 도서관과 같은 개별 영역들의 고유한 보안상의 요구에 대한 간단한 해법을 제공한다.
상술된 이들 예시들(은행 빌딩, 병원, 사무실 빌딩, 다-기능 빌딩, 및 대학 빌딩)은 엘리베이터를 통한 빌딩 내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저장된 데이터 및 승객이 나오고 있는 층을 토대로 엘리베이터를 통한 특정 층들로의 접근을 수락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은, 운동선수들 및 팀원들(team personnel)에게는 상이한 수준의 접근성이 수락되고 팬들과는 다른 개시 층들로부터 나오는 경기장, 및 신도와 다른 성직자(church personnel)가 승객의 입력이 개시되는 곳을 토대로 상이한 영역들에 대한 접근이 수락되는 교회에서의 상황들을 포함하는 여러 다른 상황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을 수락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접근되는) 저장된 데이터를 쉽게 수정하기 위한 능력은 본 발명이 빌딩 용도에 있어 보다 많은 융통성을 허여함을 의미한다. 낮은 보안성의 사무실로 이용되었던 빌딩이, 보다 높은-보안의 세입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엘리베이터 또는 보안 시스템을 부가할 필요없이 보다 높은-보안의 세입자들을 수용하는 다-목적 빌딩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들이 가해질 수 있으며, 그들의 요소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등가적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본 발명의 개시내용에 맞게 특정한 상황이나 재료를 개정하기 위한 많은 수정들이 가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후속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Claims (19)

  1. 엘리베이터들을 통한 빌딩 내의 층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내에서 승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원하는 목적지 층을 지시하는 승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객 입력이 행해진 층으로부터 데이터가 나올 때, 상기 승객에게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단계(accessing);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 및 상기 데이터를 토대로 접근의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접근이 허용될 경우 상기 승객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수송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의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 입력이 행해진 층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승객의 원하는 목적지 층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과, 상기 승객 입력이 행해진 층을 토대로 상기 승객의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이, 상기 승객이 상기 승객 입력이 행해진 층으로부터 접근하도록 허용되는 층들 중 하나일 경우,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접근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승객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수송하지 않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수정될 수 있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승객에 대한 승객 정보를 제공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승객 정보는 상기 승객이 특정 층들에 접근하도록 허용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의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하여 이행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의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엘리베이터 제어기와 접속하는 보안 시스템에 의하여 이행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은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때 원하는 목적지 층을 입력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은 상기 엘리베이터로 들어간 후에 원하는 목적지 층을 입력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동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 도어들이 호출 층에서 개방되어 유지되는 방법.
  12.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빌딩 내의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엘리베이터;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 층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상기 승객에 의한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은, 승객 입력이 행해진 층으로부터 데이터가 나올 때 상기 엘리베이터의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토대로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과, 상기 승객 입력이 행해진 층을 토대로 승객의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접근이 행해지는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들에 의한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기와 접속하는 보안 시스템인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의한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기인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층으로의 접근이 허용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승객을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수송하는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층으로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승객을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수송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승객에 대한 승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된 정보는 상기 승객에게 특정 층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19. 엘리베이터들을 통한 빌딩 내의 층들로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출발 층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승객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출발 층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의 접근의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접근이 허용될 경우, 상기 승객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으로 수송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의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층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과, 상기 출발층을 토대로 승객의 접근을 허용하는 층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원하는 목적지 층이, 상기 승객이 상기 출발층으로부터 접근하도록 허용되는 층들 중 하나일 경우,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27016481A 2009-12-14 2009-12-14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KR101410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9/067899 WO2011075115A1 (en) 2009-12-14 2009-12-14 Elevator securit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050A KR20120096050A (ko) 2012-08-29
KR101410798B1 true KR101410798B1 (ko) 2014-06-23

Family

ID=4416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481A KR101410798B1 (ko) 2009-12-14 2009-12-14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56653B2 (ko)
EP (1) EP2512967A4 (ko)
JP (1) JP2013513536A (ko)
KR (1) KR101410798B1 (ko)
CN (1) CN102666337B (ko)
AU (1) AU2009356730A1 (ko)
BR (1) BR112012013355A2 (ko)
CA (1) CA2780484A1 (ko)
HK (1) HK1175449A1 (ko)
RU (1) RU2537021C2 (ko)
WO (1) WO2011075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1572B1 (de) 2008-04-28 2014-09-10 Inventio AG Verfahren zum benutzen eines aufzugssystems, aufzugssystem für ein solches verfahren und verfahren zur nachrüstung eines solchen aufzugssystems
BRPI0822547B8 (pt) * 2008-04-28 2022-07-12 Inventio Aktiengellschaft Processo para transporte de passageiros, instalação de elevador e processo para reequipar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JP5511811B2 (ja) * 2008-06-30 2014-06-0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安全に基づくエレベータ制御
EP2243737A1 (de) * 2009-04-24 2010-10-27 Inventio AG Verfahren zum ortsabhängigen Personenmanagement in einem Gebäude
CN102666337B (zh) 2009-12-14 2015-06-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保安系统
US9365391B2 (en) 2011-05-18 2016-06-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FI20116170L (fi) * 2011-11-23 2013-05-24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US9799156B2 (en) * 2012-05-09 2017-10-24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ling traffic without integrating with a security vendor
US9463954B2 (en) * 2013-04-10 2016-10-11 Sensormatic Electronics, LLC Access control system for override elevator control and method therefor
KR20160046671A (ko) * 2014-10-21 2016-04-29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행선층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행선층 등록 방법
WO2017090179A1 (ja) * 2015-11-27 2017-06-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CN107274523A (zh) * 2017-06-13 2017-10-20 安徽禹缤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体育场馆用户身份安全系统
EP3835245A1 (en) * 2019-12-12 2021-06-16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Method to improve elevator security
CN113003341B (zh) * 2021-02-22 2022-12-2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提醒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505A (ja) 2004-09-29 2006-04-13 Hitachi Kiden Kogyo Ltd エレベータの行き先階指定運転管理システム
KR200417893Y1 (ko) * 2006-03-14 2006-06-07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보안 운행시스템
JP2006151580A (ja) 2004-11-29 2006-06-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280117A (ja) * 2007-05-09 2008-11-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75210T1 (de) * 1988-05-11 1992-05-15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gesicherten und komfortablen eingabe von steuerbefehlen, insbesondere bei aufzugsanlagen.
US5200583A (en) 1991-10-31 1993-04-06 Otis Elevator Company Adaptive elevator security system
JP3226698B2 (ja) * 1994-02-24 2001-11-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CH693065A5 (de) 1994-08-30 2003-02-14 Inventio Ag Aufzugsanlage.
US5749443A (en) 1995-05-12 1998-05-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ased security system
ATE232502T1 (de) 1997-03-04 2003-02-15 Inventio Ag Auf den stockwerken angeordnete rufregistrier- und anzeigeeinrichtungen für aufzüge
JP3939027B2 (ja) * 1998-06-26 2007-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ZA200001299B (en) 1999-04-01 2000-10-20 Inventio Ag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a transportation system.
US6707374B1 (en) 1999-07-21 2004-03-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cess security
DE10146459B4 (de) * 2001-09-20 2005-03-03 Deutsche Post Ag Verfahren zur Zutrittssicherung, Vorrichtung zur Zutrittskontrolle und Aufzugskabine
SG96697A1 (en) * 2001-09-20 2003-06-16 Inventio Ag System for transportation of persons/goods in elevator installations and/or escalators,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manding such a system
SG124246A1 (en) * 2001-11-26 2006-08-30 Inventio Ag System for security control and/or transportation of persons with a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of operating this system, and method of retro-fitting an elevator installation with this system
RU2310597C2 (ru) * 2002-03-06 2007-11-20 Валерий Иванович Корюнов Способ 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к управлению лифтом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4123330A (ja) * 2002-10-03 2004-04-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サーバ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SG134995A1 (en) 2002-11-06 2007-09-28 Inventio Ag Method of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lift installation with zonal control
KR100643125B1 (ko) 2004-06-21 2006-11-10 주식회사 코락시스템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JP2006016124A (ja) 2004-06-30 2006-01-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06043324A1 (ja) * 2004-10-21 2006-04-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1065312B (zh) 2004-11-30 2010-06-16 奥蒂斯电梯公司 多功能的终点输入乘客界面
EP1666398B1 (de) 2004-12-01 2013-06-19 Inventio AG Verfahren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in einem Gebäude
KR20060081041A (ko) 2005-01-06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서버를 이용한 공동 주택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RU2438960C2 (ru) 2005-08-04 2012-01-10 Инвенцио Аг Способ направл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к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е
JP2007084179A (ja) 2005-09-20 2007-04-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AU2006297003B2 (en) 2005-09-30 2013-10-10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lift users inside a building
JP2008050066A (ja) 2006-08-22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FI120534B (fi) * 2008-04-02 2009-11-30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5511811B2 (ja) * 2008-06-30 2014-06-0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安全に基づくエレベータ制御
CN102257536B (zh) * 2008-12-18 2017-08-08 奥的斯电梯公司 人员输送机控制系统的访问控制系统和访问控制方法
WO2011070622A1 (ja) * 2009-12-11 2011-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02666337B (zh) 2009-12-14 2015-06-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保安系统
US20120228066A1 (en) * 2010-01-20 201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WO2012032649A1 (ja) * 2010-09-10 2012-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EP2692677B1 (en) * 2011-03-30 2018-04-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ssigned elevator notification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505A (ja) 2004-09-29 2006-04-13 Hitachi Kiden Kogyo Ltd エレベータの行き先階指定運転管理システム
JP2006151580A (ja) 2004-11-29 2006-06-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417893Y1 (ko) * 2006-03-14 2006-06-07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보안 운행시스템
JP2008280117A (ja) * 2007-05-09 2008-11-2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1259A1 (en) 2012-09-27
BR112012013355A2 (pt) 2020-12-29
CA2780484A1 (en) 2011-06-23
CN102666337A (zh) 2012-09-12
HK1175449A1 (en) 2013-07-05
US9156653B2 (en) 2015-10-13
JP2013513536A (ja) 2013-04-22
RU2537021C2 (ru) 2014-12-27
AU2009356730A1 (en) 2012-05-31
WO2011075115A1 (en) 2011-06-23
EP2512967A1 (en) 2012-10-24
EP2512967A4 (en) 2018-02-21
CN102666337B (zh) 2015-06-03
KR20120096050A (ko) 2012-08-29
RU2012121389A (ru)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798B1 (ko)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US104532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in an environment
US7581622B2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US8230979B2 (en) Transportation method associating an access story with a destination story
KR101286320B1 (ko) 엘레베이터 시스템에 사용자를 할당하는 방법
FI122063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alvelupyyntöjen antamiseksi kuljetusjärjestelmälle
JP6933296B2 (ja) 呼び登録システム
KR20150009559A (ko)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KR20120016062A (ko) 건물 내 사람들의 위치-종속 관리를 위한 방법
JP200729081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00005871A (ko) 전자카드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행선층 등록 및건물층별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57729B1 (ko)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탑승 내역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JP2007062861A (ja) 利用者避難支援装置
JP2005096945A (j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22012533A (ja) モビリティ支援システム、車両配車装置、エレベータ管理装置、発券装置、設備管理装置およびモビリティ支援プログラム
JPH01317974A (ja) エレベータ防犯システム
WO2014171924A1 (en) Controlling traffic without integrating with a security vendor
JP2015040090A (ja) 優先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