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506B1 -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Google Patents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506B1
KR101410506B1 KR1020120098816A KR20120098816A KR101410506B1 KR 101410506 B1 KR101410506 B1 KR 101410506B1 KR 1020120098816 A KR1020120098816 A KR 1020120098816A KR 20120098816 A KR20120098816 A KR 20120098816A KR 101410506 B1 KR101410506 B1 KR 10141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outer frame
hinged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204A (ko
Inventor
오보환
김지현
성기철
김성계
박현범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5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틀(10)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바 형상의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창호(201)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창호(202)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 사이에 위치하는 블라인드(203)가 구비되되; 상기 내측창호(201)는 외형을 형성하는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상기 내측외곽프레임(211)에 삽입되는 내측윈도우(221)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창호(202)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외곽프레임(212)과, 상기 외측외곽프레임(212)에 삽입되는 외측윈도우(222)로 구성되어, 창호프레임와, 창호프레임을 형성하는 내측창호, 외측창호 및 윈도우가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통해 외부 빛 차단 및 실내 노출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윈도우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블라인드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윈도우 교체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Hinged complex window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창호프레임의 내측창호, 외측창호, 및 윈도우가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하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통해 외부 빛 차단 및 실내 노출을 방지하게 하고, 창호프레임용 윈도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외부의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역할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닫힘 상태에서는 실내와 실외의 열 흐름을 차단시켜서 실내의 냉, 난방 효과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되고, 도시인의 생활수준의 질이 향상되면서, 창호는 종래에 요구되었던 기밀 성능 및 단열 성능의 강화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 또는 실외 익스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것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한편, 사무용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창 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햇빛을 가리거나 외부에서의 시선을 차단시키기 위해 다수의 슬랫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blin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라인드는 창의 내측 부분에 부착형으로 달리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이었으나, 최근에는 외부 창 및 내부 창으로 이루어진 이중 창호의 내측에 자동 제어 가능한 블라인드가 들어가 있는 일체형 시스템으로도 많이 시공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프레임은 창호프레임이 창틀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폐가 될 뿐 창호프레임 차체로는 개폐가 불가능하여 블라인드가 내부에 구비된 창호프레임의 경우 블라인드 고장 및 오염 시 청소, 유지보수 및 교체와 같은 작업이 불가능했으며, 윈도우가 깨진 경우에도 윈도우만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창호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60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창호프레임의 내측창호, 외측창호, 및 윈도우가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하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통해 외부 빛 차단 및 실내 노출을 방지하게 하고, 창호프레임용 윈도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ABS계 소재를 단열패널에 적용하여 기존 창호의 단열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PVC 소재에 비해 화재 시 유독가스와 인체유해성이 없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유리를 쉽게 실내에서 시공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시공비를 줄이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소재와 합성수지 프레임의 결착구조를 기밀성있게 조립하는 동시에 유리 사이에 블라인드를 삽입하여 열교현상 발생이 적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창틀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바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창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창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위치하는 블라인드가 구비되되; 상기 내측창호는 외형을 형성하는 내측외곽프레임과,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 삽입되는 내측윈도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창호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외곽프레임과,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 삽입되는 외측윈도우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내측윈도우가 삽입되는 내측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외측윈도우가 삽입되는 외측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측가이드홈과 외측가이드홈은 내측외곽프레임 및 외측외곽프레임 내부로부터 외부로 개방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내측가이드홈을 커버하는 제1커버가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커버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외측가이드홈을 커버하는 제2커버가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커버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일단에는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바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외곽프레임과 외측외곽프레임의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측외곽프레임과 외측외곽프레임에는 핸들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및 외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핸들과 연동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창틀에는 상기 개폐수단에 대응하는 개폐홈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 작동에 따라 상기 내측창호 및 외측창호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또는 외측외곽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의 상부 일단이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또는 외측외곽프레임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는 전동식 블라인드로 구비되며, 전동식 블라인드와 연동되어 블라인드의 상하 길이 및 차양을 조절하는 버튼이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ACRYLONITRILEB BUTADIENE STYRENE) 또는 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ASA: CRYLATE STYRENE ACRYLONITRILE)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재질은 합성수지의 발포체로 AZO계 화합물, Nirtoso 화합물, Sulfonyl 화합물 및 Tetrazol 화합물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한 ABS계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와, 창호프레임을 형성하는 내측창호, 외측창호 및 윈도우가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통해 외부 빛 차단 및 실내 노출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윈도우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블라인드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윈도우 교체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친환경 소재인 ABS계 소재를 단열패널에 적용하여 기존 창호의 단열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PVC 소재에 비해 화재 시 유독가스와 인체유해성이 없는 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다양한 종류의 유리를 쉽게 실내에서 시공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시공비를 줄이는 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알루미늄 소재와 합성수지 프레임의 결착구조를 기밀성 있게 조립하는 동시에 유리 사이에 블라인드를 삽입하여 열교현상 발생이 적으며 단열성능이 우수한 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창호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창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내측가이드홈과 외측가이드홈을 커버하기 이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내측가이드홈과 외측가이드홈을 커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고정바를 통한 내측외곽프레임과 외측외곽프레임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고정바를 통한 내측외곽프레임과 외측외곽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창호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창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내측가이드홈과 외측가이드홈을 커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서 고정바를 통한 내측외곽프레임과 외측외곽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창호(201) 및 외측창호(202)와, 내측창호(201) 및 외측창호(202) 사이에 구비되는 블라인드(203)로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내측창호(201) 및 외측창호(202)의 회동을 통해 블라인드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윈도우 교체도 용이하게 하여 작업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창호(201) 및 외측창호(202)와,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 사이에 위치하는 블라인드(203)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메인프레임(100)은 창틀(10)에 힌치 체결되어 창틀(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창호(201)는 메인프레임(100)의 전단부(도 3의 (a)에서 도면상 좌측)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외측창호(202)는 메인프레임(100)의 후단부(도 3의 (a)에서 도면상 우측)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블라인드(203)는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장착되며,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 사이에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내측창호(201)는 외형을 형성하는 내측외곽프레임(211)과, 내측외곽프레임(211)에 삽입되는 내측윈도우(221)로 이루어지며, 외측창호(202)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외곽프레임(212)과, 외측외곽프레임(212)에 삽입되는 외측윈도우(222)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인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는 내측외곽프레임(211)과 내측윈도우(221)로 이루어지는 내측창호(201), 그리고 외측외곽프레임(212)과 외측윈도우(222)로 이루어지는 외측창호(202)를 포함하는 2중 창호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블라인드(203)는 그 상부 일단이 내측외곽프레임(211) 또는 외측외곽프레임(212)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블라인드(203)는 내측외곽프레임(211) 또는 외측외곽프레임(212) 중 어느 하나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호 분리되는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를 개방함으로써 블라인드(203)의 상하방향 길이 및 차양 조절, 그리고 블라인드(203) 청소 및 교체가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203)는 수동식 일반 블라인드(203)가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전동식 블라인드가 구비될 수도 있게 한다. 이처럼, 전동식 블라인드가 적용되는 경우 전동식 블라인드의 상하 길이 및 차양을 조절하는 버튼(B)이 내측외곽프레임(211)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를 개방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동식 블라인드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외곽프레임(211) 일단에는 내측외곽프레임(211)을 관통하여 외측외곽프레임(212)을 연결하는 고정바(213)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바(213)를 통해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외측외곽프레임(212)의 연결 및 해제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213)를 눌러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외측외곽프레임(212)을 연결시키게 되면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가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과 함께 창틀(10)로부터 회동하여 개폐된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213) 일부를 이탈시켜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외측외곽프레임(212)의 연결을 해제시키게 되면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가 각각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회동하게 된다.
한편,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외측외곽프레임(212)에는 핸들(221b,222b)이 형성되도록 하여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내측창호(201)과 외측창호(202)를 개폐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한다.
이때, 핸들(221b,222b)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며, 내측외곽프레임(211) 및 외측외곽프레임(212)에는 핸들(221b,222b)과 연동되는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창틀(10)에는 개폐수단에 대응하는 개폐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 결과, 핸들(221b,222b) 회동에 따라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외측외곽프레임(212)에 형성된 개폐수단(미도시)이 창틀(10)에 형성된 개폐홈(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출입하게 되어 창틀(10)으로부터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외측외곽프레임(212)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내측창호(201)와 외측창호(202)의 개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내측외곽프레임(211)에 내측윈도우(221)가 삽입되는 내측가이드홈(211H)이 형성되며, 외측외곽프레임(212)에는 외측윈도우(222)가 삽입되는 외측가이드홈(212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내측가이드홈(211H)과 외측가이드홈(212H)은 내측외곽프레임(211) 및 외측외곽프레임(212) 내부로부터 외부로 개방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내측가이드홈(211H)과 외측가이드홈(212H)을 통해 내측윈도우(221)와 외측윈도우(222)를 출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외곽프레임(211)에는 내측가이드홈(211H)을 커버하는 제1커버(211C)가 구비되며, 외측외곽프레임(212)에는 외측가이드홈(212H)을 커버하는 제2커버(212C)가 구비되도록 하여 내측가이드홈(211H)과 외측가이드홈(212H)에 삽입된 내측윈도우(221)와 외측윈도우(22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커버(211C)는 내측외곽프레임(211)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제1커버(211C) 내측면에는 걸림돌기(211P)가 형성되도록 하며, 또한 내측외곽프레임(211)에는 걸림홈(211S)이 형성되어 제1커버(211C)가 선택적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제2커버(212C)도 외측외곽프레임(212)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제2커버(212C) 내측면에는 걸림돌기(212P)가 형성되도록 하며, 외측외곽프레임(212)에는 걸림홈(212S)이 형성되어 제2커버(212C)가 선택적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내측외곽프레임(211)과 외측외곽프레임(212)에 형성된 제1커버(211C)와 제2커버(212C)를 통해 내측윈도우(221)와 외측윈도우(222) 착탈이 가능하게 하여 윈도우 교체 시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동시에 윈도우 훼손으로 인해 프레임 전체를 교체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메인프레임(100)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ACRYLONITRILEB BUTADIENE STYRENE) 또는 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ASA: CRYLATE STYRENE ACRYLONITRILE)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메인프레임(100)의 재질은 합성수지의 발포체로 AZO계 화합물, Nirtoso 화합물, Sulfonyl 화합물 및 Tetrazol 화합물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한 ABS계 소재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메인프레임(100)의 재질인 ABS수지, ASA수지 및 ABS계 소재는 이미 공지된 것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ABS계 소재를 단열패널에 적용하여 기존 복합 창호의 단열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PVC 소재에 비해 화재 시 유독가스와 인체 유해성이 없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유리를 쉽게 실내에서 시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공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소재와 합성수지 프레임의 결착구조를 기밀성있게 조립하는 동시에 폴리아미드 단열바 및 유리 사이에 블라인드를 삽입하여 열교현상 발생이 적고 단열 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는 창틀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바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창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창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위치하는 블라인드가 구비되되; 상기 내측창호는 외형을 형성하는 내측외곽프레임과,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 삽입되는 내측윈도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창호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외곽프레임과,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 삽입되는 외측윈도우로 구성되어 창호프레임와, 창호프레임을 형성하는 내측창호, 외측창호 및 윈도우가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시켜 상기 블라인드를 통해 외부 빛 차단 및 실내 노출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윈도우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블라인드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윈도우 교체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창틀 100 : 메인프레임
201 : 내측창호 202 : 외측창호
203 : 블라인드 203 : 블라인드
211 : 내측외곽프레임 212 : 외측외곽프레임
221 : 내측윈도우 222 : 외측윈도우

Claims (12)

  1. 창틀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바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창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창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창호와 외측창호 사이에 위치하는 블라인드가 구비되되;
    상기 내측창호는 외형을 형성하는 내측외곽프레임과,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 삽입되는 내측윈도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창호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외곽프레임과,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 삽입되는 외측윈도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내측윈도우가 삽입되는 내측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외측윈도우가 삽입되는 외측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내측가이드홈을 커버하는 제1커버가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커버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외측가이드홈을 커버하는 제2커버가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커버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이드홈과 외측가이드홈은 내측외곽프레임 및 외측외곽프레임 내부로부터 외부로 개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일단에는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외곽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바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외곽프레임과 외측외곽프레임의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외곽프레임과 외측외곽프레임에는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및 외측외곽프레임에는 상기 핸들과 연동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창틀에는 상기 개폐수단에 대응하는 개폐홈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 작동에 따라 상기 내측창호 및 외측창호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또는 외측외곽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의 상부 일단이 상기 내측외곽프레임 또는 외측외곽프레임에 힌지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전동식 블라인드로 구비되며, 전동식 블라인드와 연동되어 블라인드의 상하 길이 및 차양을 조절하는 버튼이 상기 내측외곽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ACRYLONITRILEB BUTADIENE STYRENE) 또는 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ASA: CRYLATE STYRENE ACRYLONITRILE) 중 어느 하나의 수지로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재질은 합성수지의 발포체로 AZO계 화합물, Nirtoso 화합물, Sulfonyl 화합물 및 Tetrazol 화합물을 사용하여 압출 발포한 ABS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
KR1020120098816A 2012-09-06 2012-09-06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KR10141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16A KR101410506B1 (ko) 2012-09-06 2012-09-06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16A KR101410506B1 (ko) 2012-09-06 2012-09-06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04A KR20140032204A (ko) 2014-03-14
KR101410506B1 true KR101410506B1 (ko) 2014-06-23

Family

ID=5064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16A KR101410506B1 (ko) 2012-09-06 2012-09-06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3060B (zh) * 2021-02-19 2023-09-22 晋盾防护(山西)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双层抗爆窗
CN117090475B (zh) * 2023-10-20 2023-12-19 河北盛和门窗科技有限公司 一种被动式门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01Y2 (ko) * 1979-03-30 1986-02-24
JPH09287359A (ja) * 1996-04-23 1997-11-04 Matsumoto Kenko Kk 昇降ブラインドを窓間に装着した開閉二重窓
KR100773155B1 (ko) * 2006-01-11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KR101136866B1 (ko) * 2009-11-24 2012-04-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01Y2 (ko) * 1979-03-30 1986-02-24
JPH09287359A (ja) * 1996-04-23 1997-11-04 Matsumoto Kenko Kk 昇降ブラインドを窓間に装着した開閉二重窓
KR100773155B1 (ko) * 2006-01-11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KR101136866B1 (ko) * 2009-11-24 2012-04-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중 개폐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04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903Y1 (ko) 옆 바깥열기형 여닫이 창호
JP653260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814449B1 (ko)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KR101410506B1 (ko)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KR101472189B1 (ko) 고층용 환기구조를 구비한 창호
KR101327457B1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101495694B1 (ko) 블라인드
KR200384043Y1 (ko) 이중단열창의 내부창문 및 외부창문 동시개폐구조
ITVI20100113A1 (it) Serramento a taglio termico naturale
KR101410505B1 (ko) 미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101448398B1 (ko) 프로젝트창
EP3353364B1 (en) Sash for doors or windows and door or window obtained with the sash
KR20100086606A (ko)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창호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200281154Y1 (ko) 새시용 방음방풍구조
KR10128626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구조
KR102112223B1 (ko) 슬림형 여닫이창
JP3270377B2 (ja) 複合サッシの換気構造
JP4796989B2 (ja) 折畳み扉装置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JP7041019B2 (ja) 建具
JP7071589B2 (ja) 開き窓が備えられたシステム建具
KR102280618B1 (ko) 복합 창호
KR101182594B1 (ko)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