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389B1 -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389B1
KR101409389B1 KR1020120128978A KR20120128978A KR101409389B1 KR 101409389 B1 KR101409389 B1 KR 101409389B1 KR 1020120128978 A KR1020120128978 A KR 1020120128978A KR 20120128978 A KR20120128978 A KR 20120128978A KR 101409389 B1 KR101409389 B1 KR 10140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amber
separated
blocking wal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344A (ko
Inventor
박홍일
구자옥
김종균
Original Assignee
에스엠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3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유 탱크에서 플로트를 사용하여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일부 절삭유를 유수분리 챔버로 흡입한 다음 비중차에 의해 유수분리되도록 하고, 오일 스키머를 이용하여 오일을 제거하며, 폐오일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일 스키머에서 추가 분리 포켓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폐오일의 분리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절삭유 탱크에 설치되어 호스로 연결된 펌프의 구동력으로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관으로 공급하는 플로트와; 상측에 유입관이 설치되며 제1 차단벽으로 분리되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와 분리챔버가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챔버와; 상기 유입챔버와 제1 차단벽으로 분리되며 재공급 챔버와 제2 차단벽으로 분리되어 비중에 의해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부분에 오일 오버플로우를 형성한 분리챔버와; 상기 제2 차단벽의 하측으로 오일 이송통로가 형성되며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절삭유 오버플로우를 형성한 재공급 챔버와; 상기 분리챔버의 한쪽에 설치하며 소형모터와 연결한 분리 휠이 분리챔버에 일부가 잠겨 부유된 오일을 수거하고 상기 분리 휠의 한쪽에서 스크레이퍼가 접촉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챔버는 플로트를 연결한 호스가 펌프를 통하여 상측의 유입관에 연결되며 제2 차단벽에 배기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Oil-water separation devices using float}
본 발명은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유 탱크에서 플로트를 사용하여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일부 절삭유를 유수분리 챔버로 흡입한 다음 비중차에 의해 유수분리되도록 하고, 오일 스키머를 이용하여 오일을 제거하며, 폐오일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일 스키머에서 추가 분리 포켓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폐오일의 분리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을 가공하는 경우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금속 공작물을 자르거나 깎아내어 소정의 형태를 갖도록 가공하게 되며 금속 공작물과 공구의 마찰 저항을 줄여 열을 식혀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금속표면의 부식을 방지하며, 공작물의 가공면에 남아 있는 미세 칩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절삭유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절삭유는 주성분이 포화 탄화수소가 주성분인 파라핀계, 나프텐계 또는 방향족계의 기유 20∼80 중량%와 물 10∼70 중량% 및 유지 지방산, 계면활성제, 소포제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공작기계의 사용시에는 물에 10∼80배 희석하여 다량의 물에 소량의 유분이 함유된 에멀젼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희석된 절삭유는 주로 금속가공시 공작기계 이송부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습동유(이하 "오일"이라 칭함)가 일부 혼합되어 기계의 하부에 위치한 절삭유 탱크에 모아지고, 모아진 절삭유는 펌프에 의해 다시 가공중인 가공물에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삭유와 오일이 절삭유 탱크에서 장시간 혼합되면 비중차에 의해 오일(완전 기름)은 절삭유(수용성) 상부에 부유되므로 절삭유는 공기(산소)가 차단되어 부패 및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절삭유의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재사용시에는 이물질의 다량 함유로 인해 작업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를 재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할 경우 심각한 수질 및 토양 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즉, 폐오일은 다량의 물에 미세유적이 분산된 에멀젼 상태이므로 효율적인 분리가 곤란하기 때문에 폐기물 업체를 이용한 처리도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격벽으로 챔버를 단순 등분한 유수분리기를 이용하여 금속가공시 발생된 절삭유의 오일을 제거해 재사용함으로써 배출되는 양을 최소화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유수분리기의 경우 일측 챔버로 오일이 포함된 절삭유를 유입하고 하부 연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절삭유가 인접 챔버로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수분리기는 유입된 절삭유가 하강하는 것 이외에는 유체이동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절삭유 사이에 일부 포함된 오일까지 제거하지 못하므로 유수분리기에 의해 수취한 절삭유의 순도가 낮은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수용성 절삭 냉각제(coolant) 중의 습동유, 모터유, 기계작동유 등 액체상태의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유수분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유수분리 장치는, 오일이 포함된 수중에 설치되는 하측 롤러와 유수분리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상측 롤러와 하측 롤러 및 상측 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평벨트로 구성되며, 평벨트에 오일을 점착시켜 유수분리장치로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물에서 오일을 분리하고 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60767호(2002. 1. 3.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839828호(2008. 6. 13. 등록) 문헌 3. 특허공개번호 제2011-0071892호(2011. 6. 29. 공개)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937580호(2010. 1. 11. 등록)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여러 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유수분리장치를 설치하여 플로트를 통하여 절삭유 탱크에서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절삭유를 공급하여 비중차이로 유수분리되도록 하고, 절삭유에서 유수분리된 오일이 오일 스키머를 통하여 다시 한번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오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오일 스키머를 통하여 분리된 오일과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절삭유를 추가 분리 포켓에 공급하여 한번 더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오일의 분리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삭유 탱크에 설치되어 호스로 연결된 펌프의 구동력으로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관으로 공급하는 플로트와; 상측에 유입관이 설치되며 제1 차단벽으로 분리되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와 분리챔버가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챔버와; 상기 유입챔버와 제1 차단벽으로 분리되며 재공급 챔버와 제2 차단벽으로 분리되어 비중에 의해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부분에 오일 오버플로우를 형성한 분리챔버와; 상기 제2 차단벽의 하측으로 오일 이송통로가 형성되며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절삭유 오버플로우를 형성한 재공급 챔버와; 상기 분리챔버의 한쪽에 설치하며 소형모터와 연결한 분리 휠이 분리챔버에 일부가 잠겨 부유된 오일을 수거하고 상기 분리 휠의 한쪽에서 스크레이퍼가 접촉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챔버는 플로트를 연결한 호스가 펌프를 통하여 상측의 유입관에 연결되며 제2 차단벽에 배기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분리챔버는 제1 차단벽의 하측에서 제1 이송통로가 절반 높이로 형성되며, 제2 차단벽의 하측에서 절삭유 이송통로가 바닥에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절삭유를 비중차이로 유수 분리하여 절삭유는 절삭유 이송통로로 공급되도록 설치하는 것과;
삭제
상기 오일 스키머는 분리챔버에 연결한 모터커버의 내부에 소형모터를 설치하여 분리 휠이 3∼10rpm으로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분리 휠의 측면에 오일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설치하는 것과;
상기 분리챔버는 오일 오버플로우의 안쪽에 하측으로 추가연결 통로를 형성한 추가분리 포켓을 더 설치하고, 오일 스키머의 스크레이퍼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공급되어 절삭유와 비중차이로 유수분리 되도록 설치하는 것과;
상기 분리챔버는 고정고리를 연결하며 배출부에서 배출하는 오일을 수거하는 폐오일 탱크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유수분리장치를 설치하여 플로트를 통하여 절삭유 탱크에서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챔버에 공급한 후 분리챔버에 공급하여 비중차이로 유수분리되도록 하고, 절삭유에서 유수분리를 통해 부유된 오일을 오일 스키머의 회전을 통한 스크레이퍼를 통하여 다시 한번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폐 오일을 제거하는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일 스키머를 통하여 분리챔버에서 부유된 오일과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절삭유를 제거한 후 추가 분리 포켓에 공급하여 한번 더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오일의 분리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절삭유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의 제거를 통해 절삭유에 산소가 공급되면서 절삭유의 부패와 악취를 제거하므로서 작업장 환경 개선 및 작업자 안전보건에 큰 도움이 되며, 산업 폐기물 발생량이 감소됨에 따라 절삭유 교체 및 산업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과 생산성 향상 및 절삭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측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오일 스키머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오일 스키머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폐오일 탱크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일 스키머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일 스키머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류의 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유 탱크(30)로부터 플로트(32)를 통하여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일부 절삭유(31)를 공급하여 비중차이를 통한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수분리장치(10)와; 상기 유수분리장치(10)의 분리챔버(14) 한 부분에 설치되어 비중차이를 통한 유수분리가 이루어진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스키머(20)와; 상기 오일 스키머(20)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배출하여 저장하는 폐오일 탱크(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유수분리장치(10)는 유수분리를 위한 기름 또는 절삭유 탱크(30)에 있는 절삭유(31)를 플로트(32)에 연결한 호스(34)를 통하여 펌프(33)로 유입챔버(11)의 상측에 설치한 유입관(35)에 공급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유입챔버(11)는 제2 차단벽(17)의 상측에서 수위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기홀(11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차단벽(12)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갖고 오일과 절삭유를 공급받도록 하며, 상기 제1 차단벽(12)의 하측에는 전체 수위의 절반 정도의 위치에 제1 이송통로(13)가 형성되어 분리챔버(14)와 연결되어 오일과 절삭유가 이송된 후 비중차이를 통한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분리챔버(14)에는 제2 차단벽(15)이 형성되어 재공급 챔버(17)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측에는 절삭유 이송통로(16)가 바닥에서 가깝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재공급 챔버(17)는 절삭유 오버플로우(18)가 형성되어 절삭유 탱크(30)에 유수분리된 절삭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유수분리장치(10)는 하측으로 돌출부(19)가 사면에 돌출되어 높이조절 볼트(19a)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분리챔버(14)는 한 부분에서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 오버플로우(52)에 배출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부(53)에 분리챔버(14)에서 유수분리된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20)를 설치한다.
상기 오일 스키머(20)는 모터커버(21)가 분리챔버(14)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커버(21)의 내부에 저속으로 구동하는 소형모터(22)에 연결되어 분리챔버(14)에 하측의 일부가 잠겨 회전하면서 오일을 외피면에 흡착 수거하여 이송하는 분리 휠(24)을 설치하고, 상기 분리 휠(24)의 한쪽에서 분리챔버(14)에서 비중차이로 유수분리된 오일을 배출부(53)의 상측에 배출하는 스크레이퍼(23)를 설치하되;
상기 스크레이퍼(23)는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단부가 분리 휠(24) 보다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배출부(53)의 하측에 오일을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폐오일 탱크(40)는 양쪽에 손잡이(42)가 형성되어 있고 분리챔버(14)에 조립 및 분리되어 비중차이로 유수분리된 오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면부호 36은 펌프(33)의 구동과, 소형모터(2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를 표기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폐오일탱크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유수분리장치(10)의 분리챔버(14)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고정고리(41)를 형성하는 폐오일 탱크(40)는 배출부(53)를 통하여 유수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고, 소정의 높이로 저장되면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수분리장치(10)는 분리챔버(14)의 한 부분에서 오일 오버플로우(52)의 안쪽으로 추가분리 포켓(50)을 형성하여 분리챔버(14)에서 유수 분리된 오일을 오일 스키머(20)로부터 공급하여 비중차이를 통해 한번 더 유수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하측에는 추가 연결통로(51)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 오버플로우(52)는 분리챔버(14)의 수위와 같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수분리장치(10)는 다양한 공작기계와 같이 절삭유를 사용하는 기계에 설치된 절삭유 저장탱크(30) 한쪽에 설치하거나 유수분리를 위한 절삭유를 저장한 장소에서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절삭유 탱크(30)에는 플로트(32)를 설치하고 공급되는 절삭유와 오일이 비중차에 의해 부유된 상태이므로 플로트(32)는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31)의 공급이 펌프(33)의 구동력을 통하여 상기 플로트(32)와 연결된 호스(34)에서 유입관(35)에 공급되므로 결국 오일과 절삭유(31)는 유입챔버(11)에 공급된다.
유입챔버(11)에 공급된 오일과 절삭유(31)는 제1 차단벽(12)에 의해 분리챔버(14)와 곧바로 혼합되지 않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13)를 통하여 분리챔버(14)로 이송된다.
분리챔버(14)로 이송된 오일과 절삭유는 비중차이에 의해 수용성인 절삭유는 하측으로 가라앉고, 오일은 부유되어 상측으로 떠오르게 되면서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유수분리된 절삭유는 제2 차단벽(15)의 하측에 형성한 절삭유 이송통로(16)를 통하여 재공급 챔버(17)로 이동되어 소정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재공급 챔버(17)로 이송된 절삭유는 절삭유 오버플로우(18)를 통하여 절삭유 탱크(30)에 정화된 상태로 재공급되어 금속 공작물과 공구의 마찰 저항을 줄여 열을 식히고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금속표면의 부식을 방지하며, 공작물의 가공면에 남아 있는 미세 칩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절삭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분리챔버(14)에서 유수분리에 의해 오일이 상측으로 떠오르게 되면 오일 스키머(20)의 소형모터(22)를 통하여 분리 휠(24)이 약 3∼10rpm으로 구동되어 상기 오일이 회전 휠(24)의 표면에 흡착되어 회전하게 된다.
분리 휠(24)의 회전으로 흡착된 오일을 스크레이퍼(23)가 분리 휠(24)의 한쪽에 접촉되어 제거하는 것으로, 분리 휠(24)의 표면에 흡착된 오일은 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스크레이퍼(23)가 분리하여 하측의 배출부(53)에 공급하게 되고, 배출부(53)에 공급된 오일은 오일 저장탱크(40)로 공급되어 유수분리에 의한 오일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 저장탱크(40)는 고정고리(41)를 통하여 분리챔버(14)에 걸어 보관하는 것이며, 일정 수위에 이르게 되면 손잡이(42)를 통하여 분리시켜 폐기물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수분리장치(10)는 절삭유를 계속해서 공급해 분리챔버(14)에서 비중차이로 인해 분리된 후 절삭유는 재공급 챔버(17)를 통한 절삭유 오버플로우(18)에서 공급이 이루어지고, 분리챔버(14)에서 떠오른 오일은 오일 스키머(20)를 통하여 표면에서 흡착 회전으로 공급하면 스크레이퍼(23)가 연속해서 제거하여 오일의 분리작업이 연속해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일 스키머(20)를 통하여 연속해서 오일을 제거하여 배출부(53)로 배출하는 경우 오일에는 유수분리되지 않은 절삭유의 극히 일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분리챔버(14)의 한 부분에서 배출부(53)의 일측에 추가 분리 포켓(50)을 더 설치하여 오일 스키머(20)를 통하여 스크레이퍼(23)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추가 분리 포켓(50)에 공급되도록 한다.
추가 분리 포켓(50)에 공급된 오일은 다시 한번 비중차이를 통하여 오일은 떠오르고 절삭유는 가라앉아 추가연결 통로(51)를 통하여 분리챔버(14)에 공급되는 것이며, 비중차이로 부유된 오일은 오일 오버플로우(52)를 통하여 배출부(53)로 배출되어 오일 저장탱크(40)로 이송하는 과정을 통하여 한번 더 유수분리를 통해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완벽한 분리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수분리장치(10)는 절삭유 탱크(3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공작기계 등의 절삭유를 수거하여 유수 분리를 통해 오일을 분리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은 상기에 기재된 범위에서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통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실시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삭유를 사용하는 다양한 공작기계에서 발생하는 오일과 절삭유를 플로트와 오일 스키머 및 오일 저장탱크를 사용하여 유수분리를 통한 오일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완벽한 폐오일 분리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유수분리장치 11 : 유입챔버
11a : 배기홀 12 : 제1 차단벽
13 : 제1 이송통로 14 : 분리챔버
15 : 제2 차단벽 16 : 오일 이송통로
17 : 재공급 챔버 18 : 절삭유 오버플로우
19 : 돌출부 19a : 높이조절 볼트
20 : 오일 스키머 21 : 모터커버
22 : 소형모터 23 : 스크레이퍼
24 : 분리 휠 30 : 절삭유 탱크
31 : 절삭유 32 : 플로트
33 : 펌프 34 : 호스
35 : 유입관 40 : 폐오일 탱크
41 : 고정고리 42 : 손잡이
50 : 추가분리 포켓 51 : 추가연결 통로
52 : 오일 오버플로우 53 : 배출부

Claims (6)

  1. 절삭유 탱크(30)에 설치되어 호스(34)로 연결된 펌프(33)의 구동력으로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관(35)으로 공급하는 플로트(32)와; 상측에 유입관(35)이 설치되며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13)와 분리챔버(14)가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챔버(11)와; 상기 유입챔버(11)와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며 재공급 챔버(17)와 제2 차단벽(15)으로 분리되어 비중에 의해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부분에 오일 오버플로우(52)를 형성한 분리챔버(14)와;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측으로 오일 이송통로(16)가 형성되며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절삭유 오버플로우(18)를 형성한 재공급 챔버(17)와; 상기 분리챔버(14)의 한쪽에 설치하며 소형모터(22)와 연결한 분리 휠(24)이 분리챔버(14)에 일부가 잠겨 부유된 오일을 수거하고 상기 분리 휠(24)의 한쪽에서 스크레이퍼(23)가 접촉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20)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챔버(11)는 플로트(32)를 연결한 호스(34)가 펌프(33)를 통하여 상측의 유입관(35)에 연결되며 제2 차단벽(17)에 배기홀(11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2. 삭제
  3. 절삭유 탱크(30)에 설치되어 호스(34)로 연결된 펌프(33)의 구동력으로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관(35)으로 공급하는 플로트(32)와; 상측에 유입관(35)이 설치되며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13)와 분리챔버(14)가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챔버(11)와; 상기 유입챔버(11)와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며 재공급 챔버(17)와 제2 차단벽(15)으로 분리되어 비중에 의해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부분에 오일 오버플로우(52)를 형성한 분리챔버(14)와;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측으로 오일 이송통로(16)가 형성되며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절삭유 오버플로우(18)를 형성한 재공급 챔버(17)와; 상기 분리챔버(14)의 한쪽에 설치하며 소형모터(22)와 연결한 분리 휠(24)이 분리챔버(14)에 일부가 잠겨 부유된 오일을 수거하고 상기 분리 휠(24)의 한쪽에서 스크레이퍼(23)가 접촉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20)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챔버(14)는 제1 차단벽(12)의 하측에서 제1 이송통로(13)가 절반 높이로 형성되며, 제2 차단벽(15)의 하측에서 절삭유 이송통로(16)가 바닥에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절삭유(31)를 비중차이로 유수 분리하여 절삭유는 절삭유 이송통로(16)로 공급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4. 절삭유 탱크(30)에 설치되어 호스(34)로 연결된 펌프(33)의 구동력으로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관(35)으로 공급하는 플로트(32)와; 상측에 유입관(35)이 설치되며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13)와 분리챔버(14)가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챔버(11)와; 상기 유입챔버(11)와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며 재공급 챔버(17)와 제2 차단벽(15)으로 분리되어 비중에 의해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부분에 오일 오버플로우(52)를 형성한 분리챔버(14)와;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측으로 오일 이송통로(16)가 형성되며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절삭유 오버플로우(18)를 형성한 재공급 챔버(17)와; 상기 분리챔버(14)의 한쪽에 설치하며 소형모터(22)와 연결한 분리 휠(24)이 분리챔버(14)에 일부가 잠겨 부유된 오일을 수거하고 상기 분리 휠(24)의 한쪽에서 스크레이퍼(23)가 접촉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20)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키머(20)는 분리챔버(14)에 연결한 모터커버(21)의 내부에 소형모터(22)를 설치하여 분리 휠(24)이 310rpm으로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분리 휠(24)의 측면에 오일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23)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출부(53)로 배출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5. 절삭유 탱크(30)에 설치되어 호스(34)로 연결된 펌프(33)의 구동력으로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관(35)으로 공급하는 플로트(32)와; 상측에 유입관(35)이 설치되며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13)와 분리챔버(14)가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챔버(11)와; 상기 유입챔버(11)와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며 재공급 챔버(17)와 제2 차단벽(15)으로 분리되어 비중에 의해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부분에 오일 오버플로우(52)를 형성한 분리챔버(14)와;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측으로 오일 이송통로(16)가 형성되며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절삭유 오버플로우(18)를 형성한 재공급 챔버(17)와; 상기 분리챔버(14)의 한쪽에 설치하며 소형모터(22)와 연결한 분리 휠(24)이 분리챔버(14)에 일부가 잠겨 부유된 오일을 수거하고 상기 분리 휠(24)의 한쪽에서 스크레이퍼(23)가 접촉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20)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챔버(14)는 오일 오버플로우(52)의 안쪽에 하측으로 추가연결 통로(51)를 형성한 추가분리 포켓(50)을 더 설치하고, 오일 스키머(20)의 스크레이퍼(23)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공급되어 절삭유와 비중차이로 유수분리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6. 절삭유 탱크(30)에 설치되어 호스(34)로 연결된 펌프(33)의 구동력으로 부유된 오일과 절삭유를 유입관(35)으로 공급하는 플로트(32)와; 상측에 유입관(35)이 설치되며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고 하측의 제1 이송통로(13)와 분리챔버(14)가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챔버(11)와; 상기 유입챔버(11)와 제1 차단벽(12)으로 분리되며 재공급 챔버(17)와 제2 차단벽(15)으로 분리되어 비중에 의해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부분에 오일 오버플로우(52)를 형성한 분리챔버(14)와;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측으로 오일 이송통로(16)가 형성되며 유수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절삭유 오버플로우(18)를 형성한 재공급 챔버(17)와; 상기 분리챔버(14)의 한쪽에 설치하며 소형모터(22)와 연결한 분리 휠(24)이 분리챔버(14)에 일부가 잠겨 부유된 오일을 수거하고 상기 분리 휠(24)의 한쪽에서 스크레이퍼(23)가 접촉되어 오일을 분리 배출하는 오일 스키머(20)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챔버(14)는 고정고리(41)를 연결하며 배출부(53)에서 공급하는 오일을 저장하는 폐오일 탱크(4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1020120128978A 2012-11-14 2012-11-14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10140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78A KR101409389B1 (ko) 2012-11-14 2012-11-14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78A KR101409389B1 (ko) 2012-11-14 2012-11-14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44A KR20140062344A (ko) 2014-05-23
KR101409389B1 true KR101409389B1 (ko) 2014-06-20

Family

ID=5089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978A KR101409389B1 (ko) 2012-11-14 2012-11-14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9832A (zh) * 2016-07-20 2016-10-26 洛阳信成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全自动油水分离器
CN107877253B (zh) * 2017-10-19 2019-11-19 常州理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轮毂制造中的切削液回收利用系统
KR101982969B1 (ko) * 2018-04-09 2019-05-28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CN109264820A (zh) * 2018-10-10 2019-01-25 苏州乐吾科技有限公司 一种切削液循环过滤系统的油水分离装置
CN110625436A (zh) * 2019-10-23 2019-12-31 董军 一种具有导向筒的车床冷却液收集桶
KR102450654B1 (ko) 2020-01-30 2022-10-05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항균기능을 갖는 유수분리기용 유수분리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269A (ja) 1998-09-17 2000-06-06 Shinohara Seiki Kk オイルスキマ―
JP2001121141A (ja) * 1999-10-21 2001-05-08 Nippon Rokaki Kk 油回収装置
JP2004321873A (ja) * 2003-04-22 2004-11-18 Norihito Sako 油回収装置
KR20110071892A (ko) * 2009-12-22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절삭유 탱크의 유수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269A (ja) 1998-09-17 2000-06-06 Shinohara Seiki Kk オイルスキマ―
JP2001121141A (ja) * 1999-10-21 2001-05-08 Nippon Rokaki Kk 油回収装置
JP2004321873A (ja) * 2003-04-22 2004-11-18 Norihito Sako 油回収装置
KR20110071892A (ko) * 2009-12-22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절삭유 탱크의 유수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44A (ko)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389B1 (ko)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101327183B1 (ko) 와류를 이용한 공작기계 절삭유 정화장치
KR102019681B1 (ko) 절삭유 복합 쿨런트 장치
KR101517366B1 (ko) 폐절삭유 여과 장치
JP4231901B2 (ja) クーラント清浄装置
KR101163152B1 (ko) 공작기계용 유수분리장치
KR100868891B1 (ko) 오일 분리장치
CN102976442A (zh) 浮油回收设备
KR200489987Y1 (ko) 진공을 이용한 공작기계 절삭유 정화 회수 장치
KR20190051404A (ko) 유수 분리기
CN106039832A (zh) 一种新型全自动油水分离器
JP5099734B2 (ja) 混合液分離装置
KR101727924B1 (ko) 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화이바글라스 벨트와 벨트 양면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벨트타입 스키머
KR20160044126A (ko) 유수분리를 위한 절삭유 흡입용 플로우트
JP6893547B2 (ja) 油分離回収装置
KR101234718B1 (ko) 유수분리기
JPH0621522Y2 (ja) 油分混入水溶液の油分除去槽
KR101939489B1 (ko) 가공유 정화장치
KR200497099Y1 (ko) 오일 분리 장치
US8871101B2 (en) Liquid separator including venturi device
JP2005230943A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CN213416526U (zh) 一种切削液油水分离装置
CN216092598U (zh) 一种切削液净化装置
CN217828971U (zh) 一种除油机
CN213049501U (zh) 油水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