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99Y1 - 오일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99Y1
KR200497099Y1 KR2020210000669U KR20210000669U KR200497099Y1 KR 200497099 Y1 KR200497099 Y1 KR 200497099Y1 KR 2020210000669 U KR2020210000669 U KR 2020210000669U KR 20210000669 U KR20210000669 U KR 20210000669U KR 200497099 Y1 KR200497099 Y1 KR 200497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oil
receiver
side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166U (ko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한영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영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0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9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03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thermal effects on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측벽부를 포함하며, 절삭유를 수용하는 수용기, 측벽부의 제1측에서 제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분리하며,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슬릿을 정의하는 분리판, 수용기에 연결되며, 절삭유 중 폐유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배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수용기에 연결되며,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여, 폐유, 이물질 등의 제거 성능이 증대되고, 정화된 절삭유의 회수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분리 장치{THE OIL SKIMMER}
본 고안은 오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유로부터 폐유 등을 제거하고,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하는 성능을 개선한 오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등의 가공 시, 절삭 공구와 피삭재 사이에 마찰로 인한 열이 발생되어 절삭 공구 및 피삭제가 열변형되어 수명이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절삭 공구와 피삭제 간에 표면이 거칠어져 가공 품질이 떨어진다. 이에 금속 등의 가공 시 절삭유가 사용된다. 절삭유는 가공 시 냉각제로 사용되며, 절삭공구 면을 부드럽게 하여 수명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절삭유는 비소, 카드뮴, 납, 6가크롬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한다. 또한, 염소, 화파라핀, 나프탈렌 비누,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처, 방청제, 인산염 등 화학성분도 함유한다. 따라서, 금속 가공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절삭유에 접촉되거나, 오일 미스트를 흡입하는 등의 이유로 천식, 과민성 폐렴, 피부염 등의 질병에 노출된다. 따라서, 절삭유의 관리는 중요하다.
또한, 절삭유는 공업 유화제와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오일 성분이 부패되어 폐유로 변질된다. 이러한 폐유는 절삭유제를 분리시키거나, 절삭유의 부패를 가속화시켜 절삭유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부패된 폐유 등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폐유를 제거하고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하는 성능을 개선한 오일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는,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측벽부를 포함하며, 절삭유를 수용하는 수용기, 측벽부의 제1측에서 제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분리하며,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슬릿을 정의하는 분리판, 수용기에 연결되며, 절삭유 중 폐유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배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수용기에 연결되며,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벽부의 제3측에서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된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며, 배출부는 폐유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유입구에서 유출구를 향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판은 배출부의 유출구에서 유입구를 향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부의 유입구는 가이드판의 최상면 보다 낮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용기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용기로 절삭유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부는, 회전하는 회전휠, 및 회전휠의 외주면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부에 배치되며, 회전휠의 측면에 접촉되어 절삭유를 스크랩하는 스크랩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패된 폐유나 이물질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정화된 절삭유의 회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급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가진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가 단수로 표현된 경우,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1)는 소재 가공에 사용되는 절삭유 중 폐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1)는 수용기(10), 분리판(20), 배출부(30) 및 회수부(40)를 포함한다.
수용기(10)는 내부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바닥부(100)와 측벽부(110)를 포함한다. 바닥부(100)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10)는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측벽부(110)는 바닥부(10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리판(20)은 측벽부(110)의 제1측에서 제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분리한다. 배출부(30)는 수용기(10)에 연결되며, 절삭유 중 폐유를 배출한다. 회수부(40)는 배출부(30)로부터 이격되어 수용기(10)에 연결된다. 회수부(40)는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한다. 회수된 절삭유는 금속(소재) 가공에 재사용된다.
분리판(20)은 바닥부(100)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분리판(20)과 바닥부(100)의 사이에 슬릿(S)을 정의한다. 분리판(20)은 바닥부(100)로부터 제1높이 만큼 이격될 수 있다. 부패된 폐유는 절삭유 상에 부유한다. 즉, 부패된 폐유는 부유되고, 정화된 절삭유는 폐유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정화된 절삭유는 분리판(20)의 슬릿(S)을 통해 이동된다. 부패된 폐유와 이물질 등은 절삭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점차 수용기(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부패된 폐유 및 이물질은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된다. 분리판(20)의 슬릿(S)을 통해 이동한 정화된 절삭유도 점차 수위가 상승하여 회수부(40)를 통해 회수된다.
수용기(10)는 소재를 가공하는데 사용된 절삭유를 수용한다. 소재를 가공하는데 사용된 절삭유는 지속적인 사용 과정에서 점차 부패 등에 의해 폐유로 변질된다. 이러한 폐유는 절삭유의 부패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절삭유의 품질을 저하시켜 수명을 단축시킨다. 수용기(10)는 절삭유 상에 부유된 폐유와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할 수 있다.
절삭유는 수용성 절삭유일 수 있다. 수용성 절삭유는 공업 유화제를 넣어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된다. 수용성 절삭유는 금속 절삭 공구로 금속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냉각제로 사용된다. 수용성 절삭유는 금속 절삭 공구로 금속을 절삭할 때, 절상공구 면을 부르럽게 하고 공구의 수명 효과를 높여 가공성을 좋게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용기(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용기(1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용기(10)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용기(10)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측벽부(110)는 제1측벽부(111), 제2측벽부(112), 제3측벽부(113) 및 제4측벽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벽부(111)는 제4측벽부(114)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측벽부(112)는 제3측벽부(113)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즉, 제1측벽부(111), 제2측벽부(112), 제3측벽부(113) 및 제4측벽부(114)는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1)는 가이드판(5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판(50)은 측벽부(110)의 제3측에서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된다. 한편, 배출부(30)는 폐유의 유입구(320)와 유출구(330)를 가진다. 또한, 배출부(30)는 유입구(320)에서 유출구(330)를 향하는 일 방향(X)으로 연장된다. 가이드판(50)은 배출부(30)의 유출구(330)에서 유입구(320)를 향하는 타 방향(Y)으로 연장된다.
가이드판(50)은 평면상 제4측벽부(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동을 차단한다. 배출부(30)의 유입구(320)에서는 유속이 빨라진다. 따라서, 배출부(30)의 유입구(320)에서 유속에 의해 폐유 외에도 절삭유도 함께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평면상 가이드판(50)의 일단은 제4측벽부(114)에 결합되고, 가이드판(50)의 타단은 다른 측벽부(110)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판(50)은 수용기(10)에서 절삭유가 가이드판(50)을 따라 배출부(30)의 유입구(320)로 천천히 유동하게 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판(50)의 배출부(30)에서 폐유 중심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30)의 유입구(320)는 가이드판(50)의 최상면 보다 낮게 위치한다. 또한, 배출부(30)의 유입구(320)는 측벽부(110)의 최상면 보다 낮게 위치한다. 즉, 배출부(30)의 유입구(320)는 가이드판(50) 및 측벽부(110)의 최상면에서 바닥부(100)를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폐유, 이물질 등은 배출부(30)의 유입구(320)의 높이에서 자연적으로 배출된다.
가이드판(50)은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슬릿을 형성한다. 가이드판(50)은 절삭유가 바로 배출부(30)의 유입구(320)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가이드판(50)의 슬릿을 통해 정화된 절삭유를 유입시킨다. 이에 의해, 절삭유는 점차 그 수위를 상승시켜, 절삭유 상층에 부유된 폐유, 이물질 등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50)은 바닥부(100)로부터 제2높이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높이는 제1높이 보다 크다(높다). 이에 의해, 수용기(10)에 공급된 절삭유는 소정 수위 범위에서 가이드판(50)의 슬릿 보다 분리판(20)의 슬릿(S)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수부(40)의 유입구(420)는 분리판(20)의 최상면 보다 낮게 위치한다. 또한, 회수부(40)의 유입구(420)는 측벽부(110)의 최상면 보다 낮게 위치한다. 즉, 회수부(40)의 유입구(420)는 분리판(20) 및 측벽부(110)의 최상면에서 바닥부(100)를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정화된 절삭유는 회수부(40)의 유입구(420)의 높이에서 자연적으로 회수된다.
일 실시 예로, 배출부(30)는 배출플레이트(300)와 배출플레이트(300)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배출측벽(310)을 포함한다. 배출플레이트(300)는 수용기(10)에서 멀어질수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회수부(40)는 회수플레이트(400)와 회수측벽(410)를 포함한다. 회수측벽(410)은 회수플레이트(400)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회수플레이트(400)은 수용기(10)에서 멀어질수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급부(7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 분리 장치(1)는 이송부(60)와 공급부(70) 및 스크랩퍼(80)를 더 포함한다. 이송부(60)는 수용기(10)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송부(60)는 수용기(10)로 절삭유를 이송한다. 이송부(60)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절삭유가 자연적으로 수용기(10)로 유동되게 한다.
공급부(70)는 이송부(60)로 절삭유를 공급한다. 공급부(70)는 회전휠(700)과돌기(710) 및 제어부(720)를 포함한다. 회전휠(700)은 회전하게 배치된다. 회전휠(700)은 이송부(60)를 관통하여 회전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휠(700)은 그 외면에 부착된 절삭유를 이송부(60)로 공급한다.
돌기(710)는 회전휠(7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710)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돌기(710)는 회전휠(7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돌기(710)는 회전휠(70)에 의한 절삭유 공급량을 증대시킨다. 또한, 돌기(710)는 절삭유 외에 절삭된 금속 칩의 분리 성능을 증대시킨다. 제어부(720)는 회전휠(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돌기(7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랩퍼(80)는 이송부(60)에 배치된다. 스크랩퍼(80)는 회전휠(7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스크랩퍼(80)는 회전하는 회전휠(70)의 측면을 스크랩하여 절삭유를 회전휠(70)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스크랩퍼(80)는 회전휠(70)로부터 절삭된 금속 칩을 분리할 수 있다. 스크랩퍼(80)는 탄성 재질의 고무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오일 분리 장치
10 : 수용기
100 : 바닥부
110 : 측벽부
20 : 분리판
30 : 배출부
40 : 회수부
50 : 가이드판
60 : 이송부
70 : 공급부
80 : 스크랩퍼

Claims (6)

  1.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측벽부를 포함하며, 절삭유를 수용하는 수용기;
    상기 측벽부의 제1측에서 제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분리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슬릿을 정의하는 분리판;
    상기 측벽부의 제3측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된 가이드판;
    상기 수용기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판에 의해 가이드된 절삭유 중 폐유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용기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판의 슬릿을 통해 이동된 정화된 절삭유를 회수하는 회수부;
    상기 수용기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기로 절삭유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회전하는 회전휠 및 회전휠의 외주면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다른 구성과 맞물리지 않도록 구비되는 오일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폐유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유출구에서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 오일 분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유입구는 상기 가이드판의 최상면 보다 낮게 위치한 오일 분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휠의 측면에 접촉되어 절삭유를 스크랩하는 스크랩퍼를 더 포함하는 오일 분리 장치.
KR2020210000669U 2021-03-03 2021-03-03 오일 분리 장치 KR200497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69U KR200497099Y1 (ko) 2021-03-03 2021-03-03 오일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69U KR200497099Y1 (ko) 2021-03-03 2021-03-03 오일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66U KR20220002166U (ko) 2022-09-14
KR200497099Y1 true KR200497099Y1 (ko) 2023-07-27

Family

ID=8327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69U KR200497099Y1 (ko) 2021-03-03 2021-03-03 오일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9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44540A1 (en) * 2015-08-26 2018-08-30 Control Of Grease Removal Equipment Via Cell Phone App Control of grease removal equipment via cell phone app
KR102092366B1 (ko) * 2019-11-08 2020-03-24 강수동 절삭유 기름 정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44540A1 (en) * 2015-08-26 2018-08-30 Control Of Grease Removal Equipment Via Cell Phone App Control of grease removal equipment via cell phone app
KR102092366B1 (ko) * 2019-11-08 2020-03-24 강수동 절삭유 기름 정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66U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4473B (zh) 机床
KR101409389B1 (ko) 플로트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CN105413291B (zh) 分流式切削液过滤装置
CN104245205A (zh) 冷却剂回收和废料分离系统
KR200497099Y1 (ko) 오일 분리 장치
US20200122282A1 (en) Cutting fluid tank for machine tool
KR102384397B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회수 장치
KR101517366B1 (ko) 폐절삭유 여과 장치
KR20180005494A (ko) 공작기계용 칩 처리장치
KR101163152B1 (ko) 공작기계용 유수분리장치
CN208083954U (zh) 带有除屑装置的数控车床
KR200489987Y1 (ko) 진공을 이용한 공작기계 절삭유 정화 회수 장치
CN115485099A (zh) 机床的微细切屑处理装置
JP2001137743A (ja) クーラントの浄化、回収装置
KR101142966B1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20130067545A (ko) 스크류 타입 오일 스키머
US11224987B1 (en) Abrasive-collecting container of a waterjet system and related technology
KR101476676B1 (ko) 자유 구동 방식의 아이들 드럼을 구비하는 오일 스키머
JP5470657B2 (ja) 処理液浄化装置
CN211053227U (zh) 一种钻尾机用油污收集装置
JP6893547B2 (ja) 油分離回収装置
KR101759882B1 (ko) 고성능 절삭유 슬러지 분리장치
KR20170000631A (ko) 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화이바글라스 벨트와 벨트 양면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벨트타입 스키머
JP4346447B2 (ja) クーラント濾過装置
JP2015231644A (ja) スラッジ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