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021B1 - 압출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압출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021B1
KR101409021B1 KR1020087025821A KR20087025821A KR101409021B1 KR 101409021 B1 KR101409021 B1 KR 101409021B1 KR 1020087025821 A KR1020087025821 A KR 1020087025821A KR 20087025821 A KR20087025821 A KR 20087025821A KR 101409021 B1 KR101409021 B1 KR 10140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coating
rti
ethylene
reactor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032A (ko
Inventor
마르셀리누스 구일리암 마리에 네이렌
자코부스 크리스티누스 조세푸스 프란시스쿠스 탁스
피터 니우테붐
기르트 이멜다 발레리 본테
Original Assignee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5640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090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0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압출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반응이 관형 반응기에서 300℃ 내지 350℃ 사이의 피크(peak) 온도에서 일어나고 공 단량체가 이작용기성 α,ω-알카디엔인 공정에서 수득된다.
압출 코팅 조성물, 에틸렌 공중합체, 이작용기성 α,ω-알카디엔, 관형 반응기

Description

압출 코팅 조성물{AN EXTRUSION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에틸렌 중합체를 함유하는 압출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제조공정은 앤드류 피콕(Andrew Peacock)의 폴리에틸렌 핸드북 (2000; 데커(Dekker); ISBN 0824795466) 페이지 43-66에 요약되어 있다. 많은 타입의 폴리에틸렌이 존재한다. 다른 종류의 폴리에틸렌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이 있다.
LDPE 응용의 중요한 기술분야는 압출 코팅부분(segment)이다. 압출 코팅 공정시 중합체 및 기질은 결합해서 특정한 상승 특성을 갖는 생성물을 형성한다. 증가하는 가공 및 생성물 요구조건 및 품질 요구사항은 압출 코팅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예로는 모서리 웨이빙(edge waving), 모서리 인열, 웹 파단(web break), 겔, 번개, 레이싱(lacing), 수송 두께 변화, 기계 두께 변화 및 금형 퇴적물(die deposit)이 있다.
압출 코팅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레올로지(rheology) 관련 현상은 예컨대 웹 안정성, 넥-인(neck-in) 및 드로우-다운(draw-down)이다. 웹 안정성은 금형 출구와 냉각롤 사이에 몇몇의 경쟁하는 힘들이 결합해서 웹냉각공정을 뒤얽히게 하기 때문에 막공정과 관련된 문제점이다. 넥-인은 막 너비가 감소하는 것이다. 이는 기질위에 코팅되지 않은 영역을 초래한다. 넥-인은 용융 탄성이 높다면 줄어든다. 드로우-다운은 파단하지 않고 박막으로 드로우되는 용융력이고 LDPE 웹이 파단할 때의 최대 라인속도(line speed)이다. 탄성적이기보다 점성이 있는 용융물이 드로우-다운에 유리하다.
압출 코팅시, 용융된 중합체 박막이 기질위에 코팅된다. 고속의 압출 코팅시에는, 용융 웹에 아주 작은 방해(disturbance)마저도 큰 품질문제를 초래해서 아주 순식간에 많은 양의 폐기물이 되게 한다. 그러므로, 중합체는 중합체 모서리 불안정성 및 웹 파단때문에 생기는 낭비를 피하고자 고품질 및 동일품질이 요구된다.
오늘날, 고압의 가압용기(autoclave) 기술을 사용해서 제조된 LDPE는 압출성형응용으로의 용도를 위해 상업적으로 적용된 폴리에틸렌이다. 가압용기 공정으로 수득된 LDPE는 중합체의 분자조성물(넓은 분포, 긴 사슬 가지치기)과 관련한 공정성(웹 안정성, 드로우-다운 및 넥-인)때문에 압출 코팅에 적용되기에 적합한다.
문헌 ["Vacuum control of web stability improves sheet yield" (British Plastics and Rubber; January 01, 1993; pages 4-5]에 기술된 바, 웹 안정성 또는 웹 너비 변화는 금형 출구 및 냉각롤 사이에, 다수의 경쟁하는 힘들이 결합해서 웹 냉각공정을 뒤얽히게 하기 때문에 막공정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점이다. 이 막은 보통 금형에서 완성된 형태일 때보다 훨씬 더 두껍게 존재하고 용융상태일 때 늘려야 한다. 신장 비율(elongation ratio)은 특정값 사이 범위일 수 있고, 모든 중합체는 더이상 균일하게 늘어나지 않는 제한된 한계를 갖는다. 이 드로우 공명 또는 용융 공명은 웹, 특히 금형 말단주변에 주기적인 두꺼운/얇은 패턴으로 특성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 코팅 공정시 웹 안정성을 강화하면서 다른 소기의 특성도 수득하는 LDPE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코팅 조성물은 에틸렌 및 공 단량체의 중합반응이 관형 반응기에서 300℃ 내지 350℃사이의 피크(peak) 온도에서 일어나고, 공 단량체가 이작용기성 α,ω-알카디엔인 중합반응 공정으로 수득된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압출코팅 공정에서 수득된 에틸렌 중합체의 사용은 개선된 웹 안정성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이작용기성 α,ω-디엔은 6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보유한다.
이작용기성 α,ω-알카디엔의 적합한 예는 예컨대, 1,5-헥사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및 1,13-테트라테카디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공 단량체는 단량체 총량 대비 0.01 mol% 내지 0.5 mol% 사이의 양이 사용된다.
이작용기성 디엔의 바람직한 양은 생성물의 최종 성능을 결정하는 소기의 분자 구조를 갖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이 중합반응은 310℃ 내지 340℃사이의 피크 온도에서 일어난다.
게다가, 이 중합체는 우수한 웹 너비 변화, 넥 인 (LDPE 웹 너비의 감소) 및 드로우 다운 (LDPE 웹이 파단할 때 최대 라인속도)을 규명하는 소기의 레올로지 특성을 보유한다.
예상하지 못한 우수한 웹 안정성, 넥-인 및 드로우 다운, 점착, 인쇄 적성, 베리어 특성, 핫 텍(hot tack) 및 열 봉합성능(heat-sealing performance)의 결합이 수득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특성은 관형 공정에서 수득된 LDPE로 수득된다.
이 중합반응의 생성물은 수율이 높다.
또한, 이렇게 수득된 중합체는 중합체의 모서리 불안정성 및 웹 파단으로 인한 낭비를 피하기 위해 고속의 코팅시 고품질 및 동일 품질의 중합체가 된다.
상기 개선 및 이점은 특정 피크 온도에서의 중합반응, 특정 공 단량체군 및 선택된 특정 공 단량체의 특정량의 사용과 같은 관형 반응기에서 중합반응을 하는 특정 특성의 결합으로 수득된다.
압출 코팅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고압의 가압용기에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만이 압출 코팅응용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간주한다. 매우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중합반응 공정은 압출 코팅 공정에 적용되기에 매우 적합한 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이 반응기의 입구 압력은 100 MPa 내지 350 MPa 사이의 범위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단계의 긴 사슬 가지치기 및 개선된 웹 안정성을 갖게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은 에틸렌의 용매 능력을 감소시키고, 더 많은 에틸렌-LDPE 디믹싱(demixing)을 주고, 반응기 벽주변에 더 많은 LDPE 침전물을 남기고, 열전달의 감소가 더 발생할 것이며, 더 낮은 전환이 수득된다. 그러므로, 반응기 입구압력의 최적조건이 선택되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응기입구압력은 150 MPa 내지 300 MPa 사이에 이른다.
중합반응온도는 예컨대 유기 과산화물과 같은 개시제 또는 이 개시제들의 혼합물을 하나의 주입포인트(injection point) 또는 서로 다른 주입포인트에 계량처리해서 최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적합한 개시제 또는 개시제 혼합물, 이 개시제의 농도 및 사용되기 가장 적합한 주입 포인트을 결정해야 한다.
중합반응공정시 소기의 피크 온도를 수득하기 위해서 당업자는 개시제(혼합물) 및 개시제의 양, 및 예컨대,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아세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tert.-아밀퍼피벨레이트, 큐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피벨레이트, tert.-부틸퍼말레이네이트, tert.-부틸퍼이소노나노에이트, tert.-부틸퍼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d-tert. 부틸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노나노일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퍼옥사이드, 큐몰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메틸 이소부틸 케톤 하이드로퍼옥사이드, 2,2-비스-(tert.-부틸퍼옥시)-부탄 및/또는 3,4-디메틸-3,4-디페닐헥산과 같은 예컨대 퍼옥시에스테르, 퍼옥시케톤, 퍼옥시케탈 및 퍼옥시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적합한 유기 과산화물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두개의 작용기 또는 그 이상의 작용기를 가진 과산화물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과산화물은 이작용기성 과산화물이다.
적합한 이작용기성 과산화물은 예컨대,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tert.-퍼옥시헥신-3,6,9-트리에틸-3,6,9-트리메틸-1,4,7-트리퍼옥소노난, 3,3,6,6,9,9-헥사메틸-1,2,4,5-테트라옥사사이클로노난, n-에틸-4,4-디-tert.-부틸퍼옥시벨러레이트, 1,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에틸-3,3-디-tert.-부틸퍼옥시부티레이트, 1,1-디-tert-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 2,2-디-tert.-부틸퍼옥시부탄-에틸-3,3-디-tert.-아밀퍼옥시부티레이트, 2,2-디-4,4-디-tert.-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실프로판, 메틸-이소부틸-퍼옥사이드, 1,1-디-tert.-아밀퍼옥시사이클로헥산, 1,1-디-tert.-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 2,5-디-메틸-2,5-디-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및/또는 1,4-디-tert.-부틸퍼옥시카보사이클로헥산을 포함하고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시제 농도는 에틸렌의 양대비 0.5 ppm (중량) 내지 100 ppm사이의 범위이다.
또한, 중합반응시 예컨대 반응억제제, 정화제 및/또는 사슬 조절기(예컨대 알콜, 알데히드, 케톤 또는 지방족 탄화수와 같은 것)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우 적합한 사슬 조절기는 이소프로필 알콜, 프로판, 프로필렌 및 프로피온 알데히드다.
공 단량체는 반응기 관의 축방향에서 하향류(downstream)의 하나의 주입포인트 및 서로 다른 주입포인트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공 단량체는 반응기 관의 축방향의 하향류의 서로 다른 주입포인트에 첨가된다. 여러 주입포인트의 사용은 중합체의 소기의 분자구조를 생성하고, 더욱이 최소화된 겔생성 및 최적화된 공정성 및 최적의 특성을 갖게 한다.
반응기는 예컨대 WO 2005/065,818 에 따라 설계된 반응기의 내부표면을 갖는 관형 중합반응 반응기일 수 있다. 이 측면도(profile)는 관 세그먼트(segment) 및 관 세그먼트 사이 커플링(coupling)에 공급될 수 있다. 이 측면도는 고체 및 관 세그먼트 및/또는 커플링을 갖는 접적체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수득된 LDPE의 밀도는 910 kg/m3 및 935 kg/m3 (ISO 1183에 따른) 사이의 범위이고, 용융지수는 0.10 dg/min 및 100 dg/min (ASTM D 1133에 따른) 사이 범위에 이른다.
공중합체는 그 밖에 이작용기성 디엔, 특정 요구된 특성을 수득할 수 있는 다른 특정한 공 단량체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 단위 및 이작용기성 디엔 단위로 구성된다. 불포화 및 가교량은 가능한 낮아야 한다.
에틸렌 공중합체는 압출 코팅 공정을 적용한 후에 하기 막특성을 갖는다:
웹 안정성은 0 내지 3.10-3 m 사이이고;
넥 인은 0 내지 120.10-3 m 사이이며;
드로우 다운은 300 m/min보다 높다.
웹 안정성, 넥 인 및 드로우 다운은 로마에서 2003년 5월 12-14일에 열린 2003 TAPPI 9th European PLACE conference에서 마르셀 네일렌(Marcel Neilen)이 발표한 "분자량 분포 및 압출 코팅 공정성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통계모델" 에서 발표한 사빅 파이롯 압출 코팅 라인(SABIC Pilot Extrution Coating Line)을 사용해서 측정됐다. 넥-인은 내부 금형너비와 비교해서 LDPE 웹 너비의 축소다.
겔 총수는 600.10-6 보다 큰 m2 당 5 입자미만이다.
겔 총수는 "DSM K 겔 총수 측정 2245" (혼합부품이 없는 고프퍼트(Gottfert) 단일 스크류 장치, 30 mm의 내부 실린더지름을 갖는 L/D 20, 150℃, 180℃, 220℃, 260℃, 260℃의 기계의 온도 프로파일(profile); 압출기 헤드온도 260℃, 260℃, 260℃; 320 mm의 케스트막 코트 헹거 금형(cast film coat hanger die), 260℃의 금형 온도, 120 RPM의 스크류 상수 및 50. 10-6 m의 필름 두께를 사용해서)에 따라 측정된다.
놀랍게도, 웹 안정성, 넥 인 및 겔 총수의 이러한 값은 LDPE 관형 생성물로 수득될 수 있다.
수득된 LDPE는 예컨대 종이, 보드(board), 피륙 및 알루미늄과 같은 다양한 기질에 코팅하기 위한 압출 코팅응용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코팅은 예컨대, 매우 우수한 점착, 열 봉합성능 및 기질에 수분베리어을 제공한다. 적합한 응용분야는 예컨대, 액체포장상자, 무균포장, 식품포장, 테이프, 종이컵, 식품상자저장, 냉동식품 및 이중오븐이 가능한 트레이, 파우치, 다중벽 가방(multi wall bags), 박리지 및 예컨대 잉크젯 종이와 같은 인화지이다.
에틸렌의 고압 중합반응 공정은 앤드류 피콕의 폴리에틸렌 핸드북 (2000; 데커(Dekker); ISBN 0824795466) 페이지 43-53에 기술된다. 이 책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첫번째 제조는 제조공정의 참신한 혁신이었다. 관형 및 가압용기 반응기는 예컨대 다른 방식의 온도조절을 요구하는 전혀 다른 프로파일(profile)때문에 매우 다른 기술시스템이다. 이 두 다른 반응기의 형상은 다른 조절조건을 필요로하는 유일하게 다른 화학적 엔지니어링 문제를 내포한다. 관형 반응기에서 필수적인 혼합부족 및 가압용기에서 높은 수준의 혼합사이의 차이는 반응조건을 다르게 조절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시하므로 생성물들의 분자구조는 다르다. 따라서, 이 중합체의 최종특성은 완전히 다르다.
관형 반응기에서 폴리에틸렌 고압공정시, 폴리에틸렌은 초임계 에틸렌에서 라디컬 중합반응으로 제조된다. 예컨대, 라디컬로 분해되는 유기 과산화물, 아조디카복실산 에스테르, 아조디카복실산 디니트릴 및 탄화수소와 같은 개시제를 처리해서 중합반응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산소 및 공기도 개시제 용도로 적합하다. 반응기 관을 흐르는 소기의 압력으로 압축된 에틸렌은, 반응시 생성된 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수가 벽을 통해 흐르는 재킷(jacket)을 갖는 외면으로 공급된다. 이 반응기는 예컨대 1,000 미터 내지 3,000 미터 사이의 길이를 보유하고, 내경은 예컨대 0.01 미터 내지 0.10 미터 사이다. 공급된 에틸렌이 먼저 개시제의 분해온도로 가열되고, 개시제용액이 계량처리된 후 중합반응이 시작된다. 개시제의 양을 조절해서 중합반응시 최대온도인 소기의 피크(peak) 온도를 달성한다. 그 후에, 혼합물이 냉각되고, 온도가 충분히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후에 개시제가 개시제 주입포인트중 하나를 통해 한번 이상 다시 계량처리된다. 반응기 하향류(downstream)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은 예컨대, 압출, 분리 및 건조후에 생성물 사일로스(silos)로 수송된다. 반응의 발열특성때문에, 반응이 최대 피크 온도로 진행됨에 따라 온도가 증가하고, 상당한 열이 방출된다. 일반적으로 반응기의 반응존(zone)의 온도는 40℃ 내지 375℃사이 범위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반응기 입구 압력은 50 MPa 내지 500 MPa 사이 범위이고, 여기서 반응기 입구 압력은 공급물 흐름이 압축기를 떠나서 반응기로 들어갈 때의 (총)압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기 제한적이지 않는 실시예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A
표 1에 지시된 중합반응 피크 온도 및 양으로 1,9-데카디엔의 존재하에 에틸렌을 관형 반응기에서 중합시켜서 에틸렌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사슬이동제 프로필렌을 주요 압축기가 용융흐름지수(MFI)를 표 1에 지시된 값으로 조절하기 전에 저압 재순환에 첨가했다.
개시제를 반응기 관의 축방향의 주입포인트 하향류에 첨가했다. 반응기 입구압력은 250 MPa에 해당하고, 출구압력은 200 MPa에 해당했다. 총 반응기 길이는 2500 m에 이르고, 내부 관지름은 0.05 m였다.
수득된 생성물의 순수한 모노층을 사빅(SABIC)의 ER-WE-PA 압출 코팅라인으 로 가공했다. 이 코팅 라인은 로마에서 2003년 5월 12-14일에 열린 2003 TAPPI 9th European PLACE conference에서 마르셀 네일렌(Marcel Neilen)의 "분자량 분포 및 압출 코팅 공정성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통계모델" 발표로 공개됐다.
압출기 작업량은 200 m/min의 점도 및 하기 조건에서 0.01 kg/m2 으로 고정됐다:
- 기질 너비: 8.10-1 m
- 금형 온도: 300℃
- 라인 속도:1,000 m/min 이하
- 금형 갭(gap): 6.10-3 m
수득된 특성을 표 1에 요약했다.
표 1
실시예 1,9데카디엔
양 mol%
피크 온도
웹 안정성
10-3 m
넥-인
10-3 m
드로우
다운
m/min
겔 총수 MFI
dg/min
1 0.1 300 6 135 300 6.0 4.8
A 0 300 8 177 600 3.1 4.9
웹 안정성, 넥 인 및 드로우 다운은 로마에서 2003년 5월 12-14일에 열린 2003 TAPPI 9th European PLACE conference에서 마르셀 네일렌(Marcel Neilen)이 발표한 "분자량 분포 및 압출 코팅 공정성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통계모델" 에서 공개된 사빅(SABIC) 파이롯 압출 코팅 라인으로 측정했다.
겔 총수는 "DSM K 겔 총수 측정 2245" (혼합부품이 없는 고프퍼트(Gottfert) 단일 스크류 장치, 30 mm의 내부 실린더지름을 갖는 L/D 20, 150℃, 180℃, 220℃, 260℃, 260℃의 기계의 온도 프로파일(profile); 압출기 헤드온도 260℃, 260℃, 260℃; 320 mm의 케스트막 코트 헹거 금형(cast film coat hanger die), 260℃의 금형 온도, 120 RPM의 스크류 상수 및 필름 두께 50. 10-6 m을 사용해서)에 따라 측정된다.

Claims (5)

  1. 에틸렌 및 이와 공중합반응할 수 있는 공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반응은 관형 반응기에서 300℃ 내지 350℃사이의 피크(peak) 온도에서 일어나는 에틸렌 및 공 단량체(co monomer)의 중합반응이며,
    상기 공 단량체가 이작용기성 α,ω-알카디엔이고, 단량체 양 대비 0.01 mol% 내지 0.5 mol%의 양으로 적용되는,
    기질 위에 코팅되는 압출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이작용기성 α,ω-알카디엔은 1,5-헥사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및 1,13-테트라데카디엔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작용기성 α,ω-알카디엔인 것이 특징인 압출 코팅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중합반응이 310℃ 내지 340℃ 사이의 피크(peak) 온도에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인 압출 코팅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 단량체가 반응기 관의 축방향 하향류(downstream)의 여러 주입포인트(different injection point)에 첨가되는 것이 특징인 압출 코팅 조성물.
KR1020087025821A 2006-03-24 2007-02-16 압출 코팅 조성물 KR101409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75723.4 2006-03-24
EP06075723 2006-03-24
PCT/EP2007/001562 WO2007110127A1 (en) 2006-03-24 2007-02-16 An extrusion coating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032A KR20090005032A (ko) 2009-01-12
KR101409021B1 true KR101409021B1 (ko) 2014-06-18

Family

ID=3756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821A KR101409021B1 (ko) 2006-03-24 2007-02-16 압출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90234082A1 (ko)
EP (1) EP1999170B1 (ko)
JP (1) JP5296668B2 (ko)
KR (1) KR101409021B1 (ko)
CN (1) CN101432322B (ko)
AT (1) ATE517131T1 (ko)
BR (1) BRPI0709130A2 (ko)
CA (1) CA2644747C (ko)
DK (1) DK1999170T3 (ko)
EA (1) EA013421B1 (ko)
ES (1) ES2367591T3 (ko)
MX (1) MX2008012199A (ko)
NO (1) NO20084438L (ko)
PL (1) PL1999170T3 (ko)
PT (1) PT1999170E (ko)
WO (1) WO2007110127A1 (ko)
ZA (1) ZA2008086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1685A1 (en) * 2009-01-16 2010-07-22 Basell Polyolefine Gmbh Method for ethylene polymerization in a tubular reactor with reduced output
BRPI1006795B1 (pt) 2009-01-16 2019-12-03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o de preparação de homopolímeros ou copolímeros de etileno em um reator de alta pressão e aparelho para alimentação de misturas de iniciadores a um reator de alta pressão
CN103282391B (zh) 2010-10-29 2016-12-0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基于乙烯的聚合物及其制备方法
EP2655444B2 (en) 2010-12-22 2018-11-21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ylene copolymers in the presence of free-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by copolymerizing ethylene, a bi- or multifunctional comonomer and optionally further comonomers
US9228036B2 (en) 2011-11-23 2016-0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ow density ethylene-based polymers with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s and low extractables
CN104053717B (zh) 2011-11-23 2016-08-3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较低分子量的提取物的低密度的基于乙烯的聚合物
EP2794675B1 (en) 2011-12-22 2016-02-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based polymers with improved melt strength and processes for the same
EP2636691A1 (en) 2012-03-07 2013-09-11 Borealis AG Process and plant for manufacturing polyethylene-diene-copolymers
MY173782A (en) * 2012-04-02 2020-02-20 Borealis Ag Ethylene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an inhibitor
JP6339565B2 (ja) 2012-06-27 2018-06-0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エチレン系ポリマーおよびそのプロセス
EP3087111B1 (en) 2013-12-26 2019-01-3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es to form ethylene-based polymers using asymmetrical polyenes
JP2017502131A (ja) 2013-12-26 2017-01-1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非対称ポリエンを使用して形成されるエチレン系ポリマー
CN105829363B (zh) 2013-12-26 2020-01-14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改进使用不对称多烯制备乙烯类聚合物的反应器稳定性的方法
MX2016017045A (es) 2014-06-27 2017-05-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imeros a base de etileno que comprenden unidades derivadas de monoxido de carbono y un agente de modificacion de reologia.
US10465023B2 (en) 2015-06-24 2019-1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es to prepare ethylene-based polymers with improved melt-strength
EP3317306B1 (en) 2015-06-25 2020-03-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forming ethylene based polymers
EP3313894B1 (en) * 2015-06-25 2019-12-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mproved process to make tubular ethylene based polymers with high g' and broad mwd
US10400046B2 (en) 2015-06-25 2019-09-03 Joseph J. Matsko Portable powered paint system
WO2016209706A2 (en) 2015-06-25 2016-12-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b as ed polymers with low hexane extractables and low densities
KR102577959B1 (ko) 2015-06-25 2023-09-1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낮은 헥산 추출물을 갖는 에틸렌계 폴리머
EP3630853B1 (en) 2017-06-02 2021-03-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based polymers and processes for the same
US11542368B2 (en) 2017-10-31 2023-01-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CO interpolymers and processes to make the same
CN112384540B (zh) 2018-06-28 2024-01-0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改进的熔体强度和热稳定性的乙烯类聚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391B1 (ko) * 1991-10-22 1998-08-17 타파니 알로 불포화 에틸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및 라디칼 중합에 의한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0660B1 (fr) * 1990-04-09 1993-05-21 Norsolor Sa Perfectionnement au procede de fabrication de polymeres radicalaires de l'ethylene utilisables pour l'enduction d'un metal.
JPH0641238A (ja) * 1992-07-21 1994-02-15 Tosoh Corp 押出コ−ティング用エチレン重合体の製造方法
US5670595A (en) * 1995-08-28 1997-09-23 Exxon Chemical Patents Inc. Diene modified polymers
JP2003527474A (ja) * 2000-03-16 2003-09-16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ポリエチレンの製造方法
CN1934146B (zh) * 2004-03-24 2011-03-02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通过受控高压聚合制备乙烯聚合物的方法
US7053163B1 (en) * 2005-02-22 2006-05-30 Fina Technology, Inc. Controlled comonomer distribution along a reactor for copolymer production
ES2335894T3 (es) * 2005-02-28 2010-04-06 Borealis Technology Oy Procedimiento para preparar composiciones polimericas reticuladas.
WO2006094723A1 (en) * 2005-03-09 2006-09-14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ethylene copolymer in a tubular re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391B1 (ko) * 1991-10-22 1998-08-17 타파니 알로 불포화 에틸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및 라디칼 중합에 의한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999170E (pt) 2011-09-05
DK1999170T3 (da) 2011-10-10
CA2644747A1 (en) 2007-10-04
CN101432322B (zh) 2011-01-26
NO20084438L (no) 2008-10-22
ES2367591T3 (es) 2011-11-04
ATE517131T1 (de) 2011-08-15
EA200802040A1 (ru) 2009-02-27
ZA200808654B (en) 2009-06-24
US20090234082A1 (en) 2009-09-17
CN101432322A (zh) 2009-05-13
MX2008012199A (es) 2008-10-02
KR20090005032A (ko) 2009-01-12
PL1999170T3 (pl) 2011-12-30
EA013421B1 (ru) 2010-04-30
EP1999170B1 (en) 2011-07-20
WO2007110127A1 (en) 2007-10-04
JP5296668B2 (ja) 2013-09-25
CA2644747C (en) 2014-05-13
BRPI0709130A2 (pt) 2011-06-28
JP2009531481A (ja) 2009-09-03
EP1999170A1 (en)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021B1 (ko) 압출 코팅 조성물
KR101391511B1 (ko) 튜브형 반응기 내 공정으로 제조된 에틸렌 공중합체
AU2005205120C1 (en) Extrusion coating polyethylene
EP2123707B1 (en) Extrusion coating polyethylene composition
EP2130865B1 (en) Extrusion coating polyethylene composition
EP3877425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ylene homo- or copolymers in a tubular reactor
WO2023117511A1 (en) Laminate with barrier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