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419B1 -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419B1
KR101408419B1 KR1020070046747A KR20070046747A KR101408419B1 KR 101408419 B1 KR101408419 B1 KR 101408419B1 KR 1020070046747 A KR1020070046747 A KR 1020070046747A KR 20070046747 A KR20070046747 A KR 20070046747A KR 101408419 B1 KR101408419 B1 KR 10140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image
coordinates
boundary
frequency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716A (ko
Inventor
한승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7004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41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7Function evaluation by approximation methods, e.g. inter- or extrapolation, smoothing, least mean square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4Inclin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등과 같은 매체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체가 스캔되면, 그 매체 이미지에 대한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한다. 상기 경계라인 좌표를 참조하여 매체 높이 도수 분포를 작성한다. 이때 스캔된 매체 이미지에 훼손 등과 같은 단속이 없는 부분만을 그 대상으로 도수 분포가 작성된다. 상기 작성된 도수 분포에서 최빈수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매체 이미지에서 상기 검색된 최빈수에 해당하는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와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가 검색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경계좌표에서 매체 이미지에 대해 'X'축 방향으로 검색된 4개의 좌표 중 2개의 좌표를 소정 식에 대입하는 연산과정을 통해 매체 기울기를 추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훼손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매체 기울기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고, 매체 기울기 추정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매체, 지폐 이미지, 도수 분포, 최빈수, 기울기.

Description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F MEDIUM SKEW, APPARATUS FOR MEDIUM RECOGNIZING}
도 1a 및 도 1b는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종래 기술로서, 2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
도 2는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종래 기술로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기울기 추정 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의 기울기 추정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폐 기울기 추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실제 지폐가 적용되고 있는 상태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지폐 기울기 추정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지폐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이미지 센서 104 : 좌표추출부
106 : 도수분포 작성부 108 : 최빈수 검색부
110 : 경계좌표 검색부 112 : 지폐기울기 추정부
본 발명은 매체의 기울기(Skew) 추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체 이미지와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매체의 기울기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이의 매체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우선 매체의 기울기 추정은 매체의 인식에 정확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기울기 추정에 따른 결과로서 일정 기준을 갖는 기울기 값보다 심하게 매체가 기울어져서 공급되는 경우 지폐처리장치 등에서 매체가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울기 값을 갖는 매체는 이송 과정에서 매체를 회수하게 되었다. 또 매체 인식장치에서 매체 종류, 매체의 위조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서 실시되기도 한다. 즉 기울기 추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매체의 인식에 있어 정확도와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작업을 수반하기도 한다.
도 1과 도 2에는 이와 같은 지폐의 기울기 추정을 위한 종래 기술이 제시되 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종래 기술로서, 2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1a와 같이 지폐(1)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2개의 센서(3)(5)가 설치된다. 그래서 도 1a과 같이 지폐(1)가 비스듬한 상태로 이송되게 되면, 어느 하나의 센서 즉 제1센서(3)가 상기 지폐(1) 경계면과 먼저 접촉하여 감지하기 때문에, 현재 이송된 지폐(1)가 기울기가 있음을 추정한다. 즉 제1센서(3)와 제2센서(5)에 도착하는 지폐(1)의 도착시간 차를 이용하여 지폐 기울기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센서(3)와 제2센서(5)가 일직선으로 배열 위치되고 있기 때문에, 도 1b와 같이 지폐(1a)의 일부분이 훼손된 경우에는 지폐 기울기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지폐 기울기가 있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제1센서(3)와 제2센서(5)가 동시에 지폐(1a) 경계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지폐(1a)가 기울기 없이 이송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종래 기술로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지폐의 기울기를 추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2의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방법은, 우선 이송되는 지폐의 이미지를 스캔한다(S10). 그리고 상기 지폐의 경계 라인 좌표를 추출한 다음 최소자승법에 의해 지폐 기울기를 추정한다(S12)(S14).
상기 최소자승법은 다음 식(1)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7035522491-pat00001
------식(1)
그러나, 상기 최소자승법은 상기 식(1)과 같이 복잡한 수식 처리로 인하여 지폐 기울기 추정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지폐 기울기 추정이 지연되면 지폐처리장치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의 일부분이 훼손되었더라도 그 훼손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매체의 기울기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의 기울기 추정을 빠른 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의 기울기 추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매체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매체 이미지에 대한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경계라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에 대한 좌표별 높이 도수 분포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높이 도수 분포에서 최빈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경계좌표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 경계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의 기울기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경계라인 좌표는 이진화가 수행된 매체 이미지의 Y축 좌표가 스캐닝될 때, 그 스캐닝 결과에 따라 색이 변경되는 좌표들이다.
상기 높이 도수 분포는 상기 매체 이미지의 X축 좌표의 높이 도수 분포이다.
상기 높이 도수 분포는 상기 매체 이미지의 접힘, 찢어짐, 구멍과 같은 단속이 없는 부분만을 대상으로 작성한다.
상기 이미지 경계 좌표는, 상기 최빈수에 해당하는 상기 매체 이미지의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 및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이다. 그리고 상기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 및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는 각각 2개씩 검색되며, X축 좌표방향으로 동일하게 검색된 좌표들을 이용하여 상기 매체 기울기를 추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에서 인입되는 매체에 대한 이미지를 스캔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스캔된 매체 이미지의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 상기 추출된 경계라인 좌표에 대해 매체 높이의 도수 분포를 작성하는 도수분포 작성부; 상기 작성된 도수 분포로부터 검색된 최빈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에서 상기 최빈수에 해당하는 이미지 경계좌표를 검색하는 경계좌표 검색부; 그리고, 상기 검색된 경계좌표를 이용하여 매체 기울기를 추정하는 매체기울기 추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좌표추출부는, 상기 매체 이미지에 대해 Y축 좌표로 스캔하면서 색이 변경되는 부분을 상기 경계라인 좌표로 추출한다.
상기 도수분포 작성부는, 상기 매체 이미지에 대해 X축 좌표별로 매체 높이의 도수 분포를 작성하며, 상기 도수 분포는 상기 매체 이미지에서 상기 매체 이미지의 접힘, 찢어짐, 구멍과 같은 단속이 없는 부분만을 대상으로 작성한다.
상기 이미지 경계좌표는, 상기 최빈수에 해당하는 상기 매체 이미지의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 및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이다.
상기 경계좌표 검색부는, 상기 매체 이미지의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 및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는 각각 2개가 제공되며, 상기 매체 이미지의 X축 좌표방향으로 동일하게 검색된 좌표들을 이용하여 상기 매체 기울기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한 구성을 갖는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와; 상기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에 의해 기울기 추정된 값을 참조하여 상기 매체의 크기 측정과 매체 인식을 수행하도록 매체 인식부가 포함되는 매체 인식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훼손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기울기 추정을 수행할 수 있고, 또 기울기 추정 시간이 최소화되고 정확도/정밀도는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가지는 매체인식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폐 이미지와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지폐의 기울기 값을 추정하는 발명이다. 이러한 지폐 기울기 값은 지폐의 기울기 값만을 추정하는 기기 또는 그 추정된 기울기 값을 보정하는 기기 및 이를 이용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 등을 판단하는 인식 장치 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 기울기 추정 장치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모듈(103)에 의하여 소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지폐(1)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100)와, 상기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반사되는 상기 지폐(1)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이미지 센서(102)가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102)에 의해 리드(read)된 지폐 이미지에서 그 지폐 이미지의 경계 라인 좌표 추출을 수행하는 지폐경계라인좌표추출부(이하 '좌표추출부'라 약칭함)(104)가 구비된다. 상기 좌표추출부(104)는 상기 지폐 이미지에서 색(Color)이 변경되는 부분을 경계라인 좌표로 추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표추출부(104)는 상기 스캔된 지폐 이미지를 특정 한계(Threshold) 값에 따라 이진화를 수행한 다음, 본 실시 예의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지폐 이미지의 Y축 좌표를 스캐닝(scanning)한다. 상기 Y축 좌표를 스캐닝하는 이유는 지폐 이미지 의 X축 좌표별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최빈수 정보는 통계집단(統計集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변량(變量)의 값을 말한다.
상기 지폐 이미지의 경계 라인 좌표가 추출되면, 지폐 이미지의 각 X 좌표별로 지폐의 높이 도수 분포를 산출하는 도수분포 작성부(106)가 구비된다. 상기 도수분포 작성부(106)는 상기 지폐 이미지에서 단속이 없는 부분만을 그 대상으로 도수 분포를 작성한다. 상기 단속이 없는 부분은 지폐 이미지에서 훼손이 없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지폐(1)는 일 부분이 접혀있거나, 찢어져 있거나, 구멍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도수분포 작성부(106)는 상기한 훼손된 부분을 제외하고 도수 분포를 작성하는 것이다. 상기 도수분포 작성부(106)에 의해 도수분포가 작성된 예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다시 후술하는 도수분포표로 정리된다.
상기 산출된 도수분포를 참조하여 최빈수 정보를 검색하는 최빈수 검색부(108)와, 상기 검색된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폐 이미지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와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를 검색하는 경계좌표검색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경계좌표검색부(110)는 통상적으로 상기 지폐 이미지의 왼쪽 상단과 하단 좌표 및 오른쪽 상단과 하단 좌표를 구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 경계좌표가 구해지면, 그 구해진 2개의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 및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 중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하나씩의 왼쪽과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지폐의 기울기 추정값을 추정하는 지폐기울기 추정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기울기 추정부(112)는, 다음 식 (2)에 의해 구해 진다.
기울기 추정 값 = tan-1((Y2-Y1)/(X2-X1)) -----식(2)
상기 기울기 추정부(112)에 의해 추정된 결과에 따라서 지폐(1)가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폐의 기울기 추정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의 기울기 추정방법을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지폐(1)가 공급되면 지폐 기울기 추정을 위해 이송모듈(103)에 의해 이송이 시작된다. 이송이 되면 제 100 단계에서는 상기 이송모듈(103) 경로상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100)는 상기 이송되는 지폐(1)에 빛을 조사하고, 이미지 센서(102)는 상기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반사되는 상기 지폐(1)의 이미지를 스캔한다.
제 102 단계는 상기 스캔된 지폐 이미지에 대해 좌표 추출부(104)가 지폐의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상기 추출과정은 먼저 상기 지폐 이미지를 특정 한계 값에 따라 이진화를 수행하고, Y축 좌표로 스캐닝하면서 색이 변경되는 부분을 경계 라인 좌표로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Y축 좌표를 스캐닝하는 이유는 지폐(1)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실시 예는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지폐(1) 높이가 필요하며 따라서 상기 지폐 이미지의 Y축 좌표를 따라 스캐닝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 104 단계에서 상기 도수분포 작성부(106)는 상기 추출된 지폐 경계라인 좌표를 이용하여 각 X축 좌표별로 지폐(1)의 높이 도수 분포를 작성한다. 이때 도수 분포는 지폐 이미지만을 대상으로 하고, 또 상기 지폐 이미지 내부에 구멍이 있는 것과 같이 훼손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도수 분포가 작성되면 제 106 단계에서 최빈수 검색부(108)는 상기 도수 분포에서 최빈수를 검색하고, 제 108 단계에서 경계좌표 검색부(110)는 상기 검색된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지폐 이미지에서 높이가 최빈수에 해당하는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와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를 검색한다. 상기 왼쪽과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는 상기 지폐 이미지에 대해서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별로 각각 두 개씩의 경계좌표이다.
그러면 제 110 단계에서 지폐기울기 추정부(112)는 상기 이미지 경계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식(2)인 tan-1((Y2-Y1)/(X2-X1))에 적용하고, 제 112 단계에서 상기 식(2)에 의해 지폐기울기 값이 산출된다. 그 산출된 값에 따라 현재 지폐가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폐 기울기 추정과정을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폐 기울기 추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실제 지폐가 적용되고 있는 상태 흐름도이다.
이미지 센서(102)가 지폐(1)를 스캔하면 도 5a와 같이 스캔된 지폐 이미 지(1b)가 제공된다. 도 5a에는 지폐(1)에 대해 스캔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이미지 센서(102)의 기능에 따라 색상이 서로 상이하게 스캔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102)는 상기 지폐(1) 규격보다 큰 영역을 스캔한다. 따라서, 상기 스캔된 이미지(1b)에는 상기 지폐(1)의 이미지와 여백 이미지가 포함된다. 상기 지폐(1) 이미지와 여백 이미지는 그 색상이 상이하게 표시된다.
다음, 도 5a의 스캔된 지폐 이미지(1b)에 대해 좌표 추출부(104)가 지폐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한다. 상기 지폐(1) 이미지와 여백 이미지의 색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좌표 추출부(104)는 Y축 좌표로 스캐닝하면서 색이 변경되는 부분을 경계라인 좌표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기 경계라인 좌표는 도 5b에서 지폐 이미지의 외곽선(A)이 위치하는 좌표가 해당된다.
상기 경계라인 좌표가 추출되면, 도수분포 작성부(106)는 도 5c에서와 같이 지폐 이미지의 각 X축 좌표별로 지폐의 높이 도수 분포를 작성한다(도면에서는 적색으로 표시됨- 'Z'부분). 이때 지폐 이미지 내부에 구멍(B) 등과 같은 단속이 있는 경우에는 그 단속은 제외하고 도수 분포를 작성한다. 즉 도 5c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 좌표를 (0,0)이라 가정하면 (8,7) 좌표에 단속이 있기 때문에 이 Y축 라인은 제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수 분포는 스캔된 이미지(1b)에서 단속이 없는 부분만을 대상으로 하여 도수 분포를 작성한다.
도 5c에 대하여 도수분포 작성부(106)가 작성한 도수 분포표가 다음 [표 1]에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수 분포표는 도 5c의 그림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의 좌표를 (0,0)으로 가정하여 구해진 값이다.
[표 1]
X좌표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높이
X X 6 6 6 6 7 7 X 7 6 6 6 6 X X
여기서, 상기 스캔된 이미지(1b)와 관계가 없는 여백 이미지와, 상기 스캔된 이미지(1b)에 포함된 훼손과 같은 단속 부분은 각각 'X'로 표시하여 지폐 기울기 추정과정에서 제외되는 부분이다.
상기 [표 1]를 참조하여 다음 [표 2]와 같이 지폐 높이의 도수 분포가 얻어진다.
[표 2]
높이
도수
6
8
7
3
[표 2]는 지폐의 X축 높이가 '6'인 도수가 '8개'이고, X축 높이가 '7'인 도수는 '3개'인 것을 말한다.
따라서 [표 2]를 참조하여 최빈수 검색부(108)가 최빈수 검색을 하게 되면 최빈수는 '도수 8개'인 '6'임을 알 수 있다.
다음, 경계좌표 검색부(110)는 X축 높이가 상기 최빈수에 해당하는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 좌표와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 좌표를 검색한다. 도 5c에서 상기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 좌표는 'C'인 (2,4)와 'D'인 (2,9)로 검색되고, 상기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 좌표는 'E'인 (13,5)와 'F'인 (13,10)로 검색된다.
그러면 상기 지폐기울기 추정부(112)는 상기 검색된 왼쪽 이미지 경계 좌표인 '(2,4)','(2,9)'와 오른쪽 이미지 경계 좌표인 '(13,5)','(13,10)' 중에서 X축 방향으로 동일하게 검색된 2개의 경계 좌표를 이용하여 지폐 기울기를 추정한다.
즉 상기 4개의 경계 좌표 중 (2,4)와 (13,5)를 이용하거나, (2,9)와 (13,10)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2,4)와 (13,5)를 이용하여 지폐 기울기를 추정하는 경우,
식(2)인 tan-1((Y2-Y1)/(X2-X1))에 상기 좌표값을 대입하면,
tan-1((5-4)/(13-2)) 로서 그 결과값은 5.19°임을 알 수 있다.
즉 도 5a에서 공급된 지폐의 기울기는 '5.19°'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식(2)는 두 개의 이미지 경계좌표의 X축 좌표 값의 차에 의해서 계산되는 길이와, Y축 좌표 값의 차이에 의해서 계산되는 길이를 이용하여, 지폐 기울기를 계산하는 식이다.
다른 좌표인 (2,9)와 (13,1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울기 값이 나온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지폐 기울기 추정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지폐 종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의 한 곳 이상의 부분에 구멍이 있는 경우(도 6a)(도 6b), 또는 모서리 부분 등이 접힌 경우(도 6c), 또는 모서리가 찢어진 경우(도 6d)에도 본 실시 예에 따른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지폐 기울기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훼손된 지폐에 대 해서 우선 지폐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하고, 다음에 훼손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폐 이미지에 대해 지폐 높이 도수 분포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빈수 검색에 따라 검색된 이미지 경계 좌표를 상기 식(2)에 대입시켜 기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폐 이미지와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보다 정밀하게 지폐 기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체 기울기 추정방법 및 장치는 지폐 인식기, ATM, CDM, 자동판매장치, 환전장치 등 금융 자동화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만일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가 매체 인식장치에 구비되는 경우, 매체 인식장치의 매체 인식부는 보다 정확하게 매체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가지는 매체인식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지폐 등의 매체에서 그 지폐의 일 부분이 접히거나, 찢어지거나, 구멍 등이 있어 지폐가 훼손된 경우에도, 그 훼손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지폐 기울기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캔된 이미지와 최빈수 값을 이용하여 지폐 기울기를 추정하기 때문에, 종래 복잡한 식에 의해 오래 소요된 기울기 추정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추정 시간 최소화로 인하여 지폐 크기 측정이나 인식 과정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2)

  1. 매체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매체 이미지에 대한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경계라인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에 대한 좌표별 높이 도수 분포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높이 도수 분포에서 최빈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최빈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에서 상기 최빈수에 해당하는 이미지 경계좌표를 검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 경계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의 기울기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기울기 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두 개의 이미지 경계좌표에서 X축 좌표 값의 차에 의해서 계산되는 길이와, Y축 좌표 값의 차이에 의해서 계산되는 길이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산출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외부에서 인입되는 매체에 대한 이미지를 스캔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스캔된 매체 이미지의 경계라인 좌표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
    상기 추출된 경계라인 좌표에 대해 매체 높이의 도수 분포를 작성하는 도수분포 작성부;
    상기 작성된 도수 분포로부터 검색된 최빈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에서 상기 최빈수에 해당하는 이미지 경계좌표를 검색하는 경계좌표 검색부; 그리고,
    상기 검색된 경계좌표를 이용하여 매체 기울기를 추정하는 매체기울기 추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추출부는, 상기 매체 이미지에 대해 Y축 좌표로 스캔하면서 색이 변경되는 부분을 상기 경계라인 좌표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수분포 작성부는, 상기 매체 이미지에 대해 X축 좌표별로 매체 높이 의 도수 분포를 작성하며,
    상기 도수 분포는 상기 매체 이미지에서 상기 매체 이미지의 접힘, 찢어짐, 구멍과 같은 단속이 없는 부분만을 대상으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경계좌표는,
    상기 최빈수에 해당하는 상기 매체 이미지의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 및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좌표 검색부는,
    상기 매체 이미지의 가장 왼쪽 이미지 경계좌표 및 가장 오른쪽 이미지 경계좌표는 각각 2개가 제공되며, 상기 매체 이미지의 X축 좌표방향으로 동일하게 검색된 좌표들을 이용하여 상기 매체 기울기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와;
    상기 매체 기울기 추정장치에 의해 기울기 추정된 값을 참조하여 상기 매체의 인식을 수행하도록 매체 인식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인식장치.
KR1020070046747A 2007-05-14 2007-05-14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 KR10140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47A KR101408419B1 (ko) 2007-05-14 2007-05-14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47A KR101408419B1 (ko) 2007-05-14 2007-05-14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16A KR20080100716A (ko) 2008-11-19
KR101408419B1 true KR101408419B1 (ko) 2014-06-17

Family

ID=4028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47A KR101408419B1 (ko) 2007-05-14 2007-05-14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59B1 (ko) * 2013-02-22 2014-09-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3502A (ja) 2004-11-25 2006-06-15 Toshiba Corp 紙葉類検査装置および紙葉類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3502A (ja) 2004-11-25 2006-06-15 Toshiba Corp 紙葉類検査装置および紙葉類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16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8431B2 (en) Character string extraction method and character string extraction device
EP2660787B1 (en) Defect Categorisation in a digital image
US6394256B2 (en) Paper discriminating apparatus
US20050244046A1 (en) Sheet media identification method and sheet media identification apparatus
US20060279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pecific pattern and cop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397905B1 (ko) 매체이미지 검출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매체취급시스템
KR101408419B1 (ko) 매체 기울기 추정 방법 및 그 장치와 이의 매체인식장치
KR101590715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JP3777775B2 (ja) 傾斜画像処理方法
KR101428054B1 (ko) 매체이미지 검출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매체취급시스템
JPH06318246A (ja) 紙葉類認識装置
KR101385388B1 (ko) 매체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매체권종판별방법
CN108010184B (zh) 一种纸币折角的检测方法及装置
JP5054472B2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装置における文字認識方法
JP5249353B2 (ja)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方法
KR101397860B1 (ko) 매체인식장치 및 그 매체 훼손량 추정방법, 그리고 그를이용한 단말장치
JP2598565B2 (ja) 紙葉類認識装置
JP4454397B2 (ja) 紙葉類識別装置
JP7033272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4760258B2 (ja) 印刷品質検査装置および印刷品質検査方法
JPH08305921A (ja) 紙葉類認識装置
KR101958453B1 (ko)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JP2005339095A (ja) 被識別物の中心位置検出方法及び識別装置
JP6525773B2 (ja) 紙葉類識別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JP2003108920A (ja) 宛先認識装置、区分機、宛先認識方法及び区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