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158B1 -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 Google Patents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158B1
KR101408158B1 KR1020127023905A KR20127023905A KR101408158B1 KR 101408158 B1 KR101408158 B1 KR 101408158B1 KR 1020127023905 A KR1020127023905 A KR 1020127023905A KR 20127023905 A KR20127023905 A KR 20127023905A KR 101408158 B1 KR101408158 B1 KR 10140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lid
container
mounting portion
contain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767A (ko
Inventor
구니히코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구라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6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staurant servic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8Food-conveying devices for tables; Movable or rotary food-serving devi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치대에 대한 용기의 재치 내지 재치대로부터의 용기의 반출이, 재치대나 뚜껑에 손을 대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점포 내의 각 좌석에 음식물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를 구비한 음식물 반송장치의 상기 반송로에 실려서 반송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로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재치하기 위한 용기재치부(62)를 구비하는 재치대(6)와, 이 재치대(6)의 용기재치부(62) 상을 덮기 위하여 용기재치부(6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재치대(6)에 부착된 뚜껑(7)과, 용기재치부(62) 상에 대한 접시의 재치에 따라 뚜껑(7)을 폐쇄동작시킴과 아울러 용기재치부(62) 상으로부터의 접시의 반출에 따라 뚜껑(7)을 개방동작시키기 위한 개폐기구(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HOLDER FOR CONVEYING FOODS AND/OR BEVERAGES}
본 발명은, 점포 내의 음식물 반송장치(飮食物 搬送裝置)에 사용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飮食物 搬送用 收容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초밥이라고 불리는 음식점에는, 손님좌석을 따라 순환하면서 이동하는 반송로(搬送路)를 구비한 음식물 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음식점에서는, 조리사가 초밥 등의 음식물을 용기 예를 들면 접시에 올려놓은 후에, 음식물을 올려놓은 접시를 음식물 반송장치의 반송로 상으로 이동시켜서 손님좌석으로 순차적으로 반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고객은, 순차적으로 반송되어 오는 초밥 등의 음식물이 실린 접시를 취향에 따라 반송로 상에서 적절하게 꺼내서 음식물을 먹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반송로 상의 초밥은, 접시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반송되기 때문에 건조되기 쉽고, 다른 손님이 잘못하여 접촉할 수 있는 것도 생각된다. 이 때문에 초밥의 건조를 방지하는 것이나 초밥을 위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초밥이 담긴 접시에 커버부재를 씌운 후에, 그 접시가 반송장치의 반송로 상으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299553호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조리사가 커버부재를 직접 손으로 잡고 접시 위에 씌운 후에, 접시를 커버부재와 함께 반송로 상에 올려놓아야만 한다. 또한 고객은, 반송되어 온 접시를 커버부재와 함께 반송로 상에서 꺼낸 후에, 커버부재를 직접 손으로 잡고 접시에서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커버부재의 부착 또는 제거에 있어서, 조리사가 고객이 그때마다 손으로 커버부재를 잡고 접시에 커버부재를 부착하거나, 접시로부터 커버부재를 제거하거나 하기 때문에 커버부재가 더러워진다는 불편이 있다. 또한 접시로부터 제거된 커버부재가 손님좌석의 테이블 위에 남기 때문에, 테이블 위가 좁아진다는 불편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재치대(載置臺)에 대한 용기의 재치(載置) 또는 재치대로부터의 용기의 반출이, 재치대 또는 이 재치대를 덮는 뚜껑에 손이 닿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점포 내의 각 좌석에 음식물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搬送路)를 구비한 음식물 반송장치(飮食物 搬送裝置)의 상기 반송로에 실려서 반송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飮食物 搬送用 收容體)로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용기재치부(容器載置部)를 구비하는 재치대(載置臺)와, 이 재치대의 용기재치부 상을 덮기 위하여 상기 용기재치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재치대에 부착된 뚜껑과, 상기 용기재치부 상에 대한 접시의 재치에 따라 상기 뚜껑을 폐쇄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용기재치부 상으로부터의 접시의 반출에 따라 상기 뚜껑을 개방동작시키기 위한 개폐기구(開閉機構)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 개폐기구는, 용기재치부에 대한 용기의 재치에 따라 상기 용기가 접촉하여 상기 용기재치부에 대하여 작동하는 작동체(作動體)와, 이 작동체와 상기 뚜껑을 연결하여 상기 작동체의 작동을 상기 뚜껑에 전달하여 폐쇄동작을 시키는 연결수단(連結手段)과, 상기 뚜껑을 개방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加壓手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 음식물 반송장치에 설치된 읽기장치에 의하여 읽혀지는 식별부재(識別部材)가, 뚜껑의 개폐동작에 연동(連動)되어 상기 읽기장치에 의한 읽기가능위치와 읽기불능위치로 위치가변(位置可變)이 되도록 재치대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용기가 용기재치부 상에 재치됨에 따라 읽기위치로 위치가 변경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가 용기재치부 상으로부터 반출됨에 따라 읽기불능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에서부터 청구항3까지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인접하는 재치대가, 연결수단을 통하여 근접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신축성을 구비하는 끈모양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6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에서부터 청구항5까지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 뚜껑이 닫혀 있는 시간을 검출하기 위한 시간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7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에서부터 청구항6까지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 뚜껑에 의하여 덮이는 용기재치부 상을 보냉(保冷) 또는 보온(保溫)하는 보냉재(保冷材) 또는 보온재(保溫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收容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재치대 상에 대한 용기의 재치에 의하여 용기 상의 음식물이 뚜껑에 의하여 자동으로 덮어지기 때문에, 용기 상에 올려놓은 음식물이 원하지 않게 건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객이 잘못하여 음식물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재치대에 대한 용기의 재치 또는 반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용기의 가장자리 부분을 손으로 잡고 용기를 재치대에 재치하거나 또는 재치대로부터 반출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용기의 출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출납에 있어서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직접 손을 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가 뜻하지 않게 더러워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용기재치부에 대한 용기의 재치에 따라 작동체가 작동하여 뚜껑을 폐쇄위치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재치대로부터의 용기의 반출에 의하여 작동체가 가압수단을 통하여 작동되어 뚜껑이 개방위치로 확실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전체로서 뚜껑의 개폐동작이 한층 더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용기가 재치대에 재치된 시점에서 읽기장치에 의한 식별부재의 읽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용기가 재치대로부터 반출된 시점에서 읽기장치에 의한 식별부재의 읽기가 불능으로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용기 자체에 식별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의 선도관리(鮮度管理) 등을 적절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가 배열되고, 인접하는 재치대가 연결수단을 통하여 근접상태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1∼청구항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손님좌석으로 연장되는 반송로의 도중에 이 반송로를 도중에 단락시키기 위한 단락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연결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가 메인의 반송로로부터 단락기구의 단락반송로를 통과한 후에, 다시 메인의 반송로로 되돌아가는 경우에도, 재치대에 있어서의 용기의 반출구측을 항상 고객측 즉 테이블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객은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로부터의 용기의 반출을 한층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연결된 복수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내 예를 들면 뒤쪽에 위치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가 반송로나 단락반송로에 걸렸을 경우에, 끈모양 부재가 일시적으로 신장된 텐션에 의하여 뒤쪽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를 앞쪽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로 가까이 당기는 힘이 발생하여, 반송로에 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걸림이 자동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뚜껑이 닫혀져 있는 시간을 검출하기 위한 시간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청구항1∼청구항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재치대에 실린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음식물을 판별할 수 있어, 음식물의 선도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뚜껑에 의하여 덮인 용기재치부 상을 보냉 또는 보온하기 위한 보냉재 또는 보온재의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1∼청구항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재치대 상의 음식물의 품질열화가 보다 더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가 사용되는 초밥점포 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구성도이다.
도2는, 상기 음식물 반송장치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3은,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열려서 접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평면도이다.
도5는,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측 단면을 포함하는 요부의 측면구성도이다.
도6은,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내에 접시가 수용되어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6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평면도이다.
도8은,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의 뚜껑의 측면도이다.
도9는,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의 개폐기구를 구성하는 작동체의 측면도이다.
도10은, 상기 작동체의 평면도이다.
도11은,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의 식별부재의 연동수단의 측면도이다.
도12는, 상기 식별부재의 연동수단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상기 다른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측 단면을 포함하는 요부의 측면구성도이다.
도15는, 상기 다른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저면도이다.
도16은, 상기 다른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및 재치대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측 단면을 포함하는 요부의 측면구성도이다.
도17은, 상기 다른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가 구비하는 제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제어 블럭도이다.
도18은, 2개의 상기 다른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를 나열하여 연결된 수용체조가 반송되는 태양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이다.
도19는, 상기 수용체조가 반송되는 반송장치의 단락기구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20은, 상기 수용체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21은, 상기 수용체조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인 끈모양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측 단면을 포함하는 요부의 측면구성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측 단면을 포함하는 요부의 측면구성도이다.
도24는,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의 저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있어서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飮食物 搬送用 收容體)를 사용한 초밥점포 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초밥점포 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구성도이고, 도2는 상기 음식물 반송장치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초밥점포는,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S1)의 각 손님좌석에 설치된 카운터 테이블(1a) 및 복수의 다리달린 테이블(1b)과, 주방(S2)의 앞면으로부터 각 테이블(1a, lb)을 따라 배치된 구획 하우징(區劃 housing)(2)과, 이 구획 하우징(2) 상에 설치된 음식물 반송장치(飮食物 搬送裝置)(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음식물 반송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음식물인 초밥(F)이 놓인 용기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수용하여, 주방(S2) 내로부터 각 좌석 즉 각 테이블(1a, lb)로 순환시키면서 반송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초밥이 놓인 용기로서 접시(4)(도3 등의 도면에 나타내는 것)가 사용된다.
구획 하우징(2)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對向)하는 측벽(側壁)(21, 22)과, 이들 측벽(21, 2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벽(上壁)(23)과, 측벽(21, 2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底壁)(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사용하여 단면이 박스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 구획 하우징(2)은, 주방(S2)의 앞면을 따라 설치되고 주방(S2)과 홀(S1)을 구획(區劃)하는 제1하우징부(2a)와, 제1하우징부(2a)의 길이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굴곡(屈曲)되어 홀(S1) 내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하우징부(2b) 및 제3하우징부(2c)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제3하우징부(2b, 2c)에 있어서의 측벽(21, 22)의 외측쪽에는, 상기의 카운터 테이블(1a)과 다리달린 테이블(1b)이 설치되어 있다. 음식물 반송장치(3)는, 구획 하우징(2)의 상벽(23)에 하측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부(31)와, 이 오목부(31) 내에 배치되어 있고 모터구동에 의하여 순환하면서 이동하는 무한 모양의 플랫체인 콘베이어(flat chain conveyor)(3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의 플랫체인 콘베이어(33)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반송로(搬送路)를 구성한다. 그리고 플랫체인 콘베이어(33)의 하방의 구획 하우징(2) 내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식별부재(識別部材)(9)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읽기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 반송장치(3)에서는, 초밥(F)을 담은 접시(4)가, 플랫체인 콘베이어(33) 상에 순차적으로 실려서 주방(S2)으로부터 홀(S1) 내의 각 테이블(1a, lb)을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각 테이블(1a, lb)의 손님은, 원하는 초밥(F)이 담긴 접시(4)를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로부터 적절하게 꺼내어 초밥(F)을 먹는다. 이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용기로서의 접시(4)는,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형의 접시판(41)과, 이 접시판(41)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원통 모양의 고대(高臺)(4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열려서 접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평면도, 도5는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부측 단면을 포함하는 요부의 측면구성도, 도6은 상기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내에 접시가 수용되어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7은 도6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는, 상기의 음식물 반송장치(3)의 플랫체인 콘베이어(33) 상에 실려서 반송되는 것이다.
도3∼도5에 있어서, 부호5로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는, 기본적으로 상기의 접시(4)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용기재치부(容器載置部)(62)를 구비하는 재치대(載置臺)(6)와, 이 재치대(6)의 용기재치부(62) 상을 덮기 위한 뚜껑(7)과, 용기재치부(62) 상에 대한 접시(4)의 재치에 따라 뚜껑(7)을 폐쇄동작시킴과 아울러 용기재치부(60) 상으로부터 접시(4)를 반출함에 따라 뚜껑(7)을 개방동작시키기 위한 개폐기구(開閉機構)(8)로 구성되어 있다.
재치대(6)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통 모양의 베이스 통(base 筒)(61)의 상단에 용기재치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재치부(62)의 상면에 접시(4)가 재치되도록 되어 있다. 용기재치부(62)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재치판(載置板)(63)과, 이 재치판(63)의 하방위치에서 재치판(63)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對向)하여 배치된 대향판(對向板)(64)과, 이들 재치판(63) 및 대향판(64)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원통 모양의 연결판(連結板)(6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판(64)을 평면에서 볼 때에 중앙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베이스 통(61)은, 대향판(64)의 관통구멍(66)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재치판(63)의 상면에는, 접시(4)의 고대(42)의 하단부 외주가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스토퍼(stopper)(6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63a)의 내주면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대(42)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어 접착되는 것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에 만곡(彎曲)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뚜껑(7)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기(空器) 모양으로 형성된 뚜껑본체(71)와, 이 뚜껑본체(7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암편(arm片)(72)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본체(71) 및 암편(72)은 투명한 합성수지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7)은, 상기의 용기재치부(62)의 상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용기재치부(62)에 부착되어 있어, 용기재치부(62)에 재치된 접시(4) 상의 음식물(초밥(F))을 뚜껑본체(71)에 의하여 덮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축(樞軸)(73)이 암편(72)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재치부(62)의 상면의 후단부에는, 암편(72)의 외측위치에서 암편(72)과 대향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편(支持片)(67)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편(67)의 상부에는, 결합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67)의 결합구멍(68)에 대한 추축(73)의 결합에 의하여 뚜껑본체(71)가 용기재치부(62)에 대하여 추축(73)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한 뚜껑본체(71)의 후단부에는 추(balance weight)(7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추(74)는, 뚜껑본체(71)가 용기재치부(62)에 재치된 접시(4) 상의 음식물을 덮는 위치 즉 뚜껑본체(71)의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회전을 원활하게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추(74)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개폐기구(8)는, 도5,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재치대(6)의 용기재치부(6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 모양의 작동체(作動體)(81)와, 이 작동체(81)를 용기재치부(62)의 전방방향을 향하여 가압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coil spring)(8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코일스프링(82)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가압수단(加壓手段)을 구성한다. 작동체(81)에는, 그 하면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부재(guide 部材)(83)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83)는, 용기재치부(62)의 재치판(63)에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63b)에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다. 코일스프링(82)은, 가이드 부재(83)의 삽입단부(揷入端部)와, 재치판(63)의 하면 전방측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부착편(附着片)(63c)과의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동체(81)는, 재치판(63) 상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83)를 통하여 가이드 구멍(63b)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체(81)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신장되는 코일스프링(82)의 스프링 반력에 의하여 전방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작동체(81)의 전단면(前端面)(81a)은,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시(4)의 고대(42)의 외주면이 밀착하여 접착되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만곡면(彎曲面)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체(81)의 후단부 양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돌편(突片)(8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편(84)의 외측면에 연결축(連結軸)(85)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연결축(85)은, 암편(72)의 하단부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장공(長孔)(75)에 끼워짐으로써, 작동체(81)의 후방으로의 슬라이드에 따라 뚜껑본체(71)가 폐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작동체(81)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드에 따라 뚜껑본체(71)는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의 돌편(84)과 연결축(85)과 장공(75)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연결수단(連結手段)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재치대(6)에는, 음식물 반송장치(3)에 배치된 읽기장치(30)에 의하여 읽혀지는 식별부재(識別部材)(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식별부재(9)는, 연동수단(連動手段)(90)을 통하여 뚜껑(7)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읽기장치(30)에 의한 읽기가능위치와 읽기불능위치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접시(4)가 용기재치부(62) 상에 재치됨에 따라 식별부재(9)가 읽기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접시(4)가 용기재치부(62) 상으로부터 반출됨에 따라 식별부재(9)가 읽기불능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동수단(90)으로서, 용기재치부(62)를 구성하는 재치판(63)의 하면에 좌우 한 쌍의 지지편(6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편(630)의 하단부에는 회전판(回轉板)(631)이 그 추축(632)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판(631)의 하면에는 RFID 태그로 구성되는 식별부재(9)가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고, 회전판(631)의 좌우에는 연동축(連動軸)(633)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폐기구(8)의 작동체(81)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부재(83)의 삽입단부에는, 재치판(63)의 하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판(8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86)에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가이드 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87)에는 상기의 연동축(633)이 삽입된다. 따라서 작동체(81)가 용기재치부(62)에 대하여 그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판(631) 및 이 회전판(631)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는 식별부재(9)가 거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읽기장치(30)에 의한 읽기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작동체(81)가 용기재치부(62)에 대하여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631) 및 식별부재(9)가 경사져서 읽기장치(30)에 의한 읽기가 불능이 된다. 즉 상기의 가이드판(86) 및 연동축(633)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부재를 뚜껑의 개폐동작에 연동(連動)시키는' 수단을 구성한다. 또 뚜껑본체(71)에 공기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뚜껑본체(71) 내에 쌓인 김 등을 공기류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에 있어서, 접시(4)가 용기재치부(62) 상에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체(81)가 코일스프링(82)의 스프링 반력에 의하여 용기재치부(63)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뚜껑본체(71)는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개방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의 사용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리사가 초밥(F)을 접시(4)의 접시판(41) 상에 담은 후에, 접시판(41)의 가장자리 부분을 손으로 잡고, 반송로(3) 상에 놓인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의 재치판(63) 상에 접시(4)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그 접시(4)를 재치판(63)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압입한다. 이렇게 하면 개폐기구(8)의 작동체(81)가 접시(4)의 고대(42)의 외주면에 의하여 밀려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작동체(81)의 연결축(85)이 뚜껑(7)의 장공(75)을 후방을 향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뚜껑본체(71)가 추축(73)을 중심으로 하여 재치판(63)의 상면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고대(42)의 하단부 앞쪽의 외주면이 스토퍼(63a)에 결합되는 곳까지 접시(4)가 후방으로 이동된 시점에서, 도6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대(42)의 앞쪽부분 및 뒤쪽부분이 용기재치부(62)의 스토퍼(63a)와 작동체(81)의 전단면(81a)에 의하여 협지(挾持)된다. 이에 따라 접시판(41) 상의 초밥(F)이 뚜껑본체(71)에 의하여 덮인 위치에서 접시(4)가 재치대(6) 상에 유지됨과 아울러, 뚜껑본체(71)도 폐쇄위치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뜻하지 않게 열리지 않는다.
한편 고객은, 뚜껑본체(71)의 외주 가장자리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있는 접시판(41)의 가장자리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접시(4)를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작동체(81)와 고대(42)의 접촉이 해제되기 때문에, 뚜껑본체(71)는 추(69)와 코일스프링(85)의 작용에 의하여 열려서 개방상태가 유지되어 뜻하지 않게 닫히지 않는다. 그런데 접시(4)가 재치판(63) 상에 재치된 시점에서, 회전판(631)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부재(9)가 거의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읽기장치(30)에 의한 식별부재(9)의 읽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접시(4)가 재치판(63) 상으로부터 반출된 시점에서, 작동체(81)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식별부재(9)가 경사지기 때문에, 읽기장치(30)에 의한 식별부재(9)의 읽기가 불능이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접시(4) 자체에 식별부재(9)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접시(4) 상에 담긴 초밥(F)의 선도관리(鮮度管理)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초밥(F)의 반송에 있어서 상기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가 사용됨으로써 접시(4)에 담긴 초밥(F)이 뜻하지 않게 건조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잘못하여 초밥(F)에 손 등을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부가하여 접시(4)의 용기재치부(62)에 대한 재치 또는 용기재치부(62)로부터의 반출에 있어서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에 직접 손을 접촉시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가 뜻하지 않게 더러워지는 불량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별부재(9)가, 재치대(6)에 대하여 읽기장치(30)에 의한 읽기가능위치와 읽기불능위치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접시(4)가 용기재치부(62) 상에 재치됨에 따라 식별부재(9)가 읽기위치로 위치가 변경됨과 아울러, 접시(4)가 용기재치부(62) 상으로부터 반출됨에 따라 식별부재(9)가 읽기불능위치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었지만, 식별부재(9)는 반드시 재치대(6)에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뚜껑본체(71)에 의한 접시(4)의 폐쇄 시에, 접시판(41)의 가장자리 부위가 뚜껑본체(71)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접시(4)의 반출에 있어서, 일부 돌출되어 있는 접시판(41)의 가장자리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서 앞쪽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접시판(41)의 상면 전역이 뚜껑본체(71)에 의하여 덮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실시형태 및 식별부재(9)를 재치대에 설치하지 않는 것이 도13∼도25에 나타나 있다. 도13∼도15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에서는, 용기재치부(62A)가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재치판(63A)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재치판(63A)의 하면에 베이스 통(61)이 일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컴팩트화 및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13 등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에서는, 뚜껑본체(71A)에 대한 추(74)의 부착이 생략되어 있다.
도13, 도14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시판(41)의 상면 전역이 뚜껑본체(71A)에 의하여 덮어지는 구성의 경우에는, 뚜껑본체(71A)의 외주 가장자리에, 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홈(notch)(76)이 형성된다. 접시(4)의 반출에 있어서는, 이 홈(76)의 부분으로부터 손가락을 집어넣어 접시판(41)의 가장자리 부분을 잡는다. 또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에 있어서, 상기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를 구성하는 구성부품과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이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필요한 경우 이외에는 생략한다. 베이스 통(61) 내에서 재치대(63A)의 하면(69)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부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692)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구멍(692)의 좌우 양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691, 69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가이드 구멍(691, 691)에는, 작동체(8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89, 89)가 삽입되어 있어, 작동체(81)의 전후이동 시에 있어서의 가로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가이드 구멍(692)에는, 작동체(8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하강부(88)가 삽입된다. 코일스프링(82)은, 그 일단(一端)이 수직하강부(88)에 걸려 있음과 아울러, 그 타단(他端)이 재치대(63A)의 하면(69)으로부터 돌출된 수직하강부(693)에 걸려 있다. 또한 재치대(63A)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에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관통구멍(632, 6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6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재치대(6A)의 하면측에 지지부재(支持部材)(56)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재치대(6A)가 지지부재(56)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플랫체인 콘베이어(33) 상에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의 방향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지지부재(56)는, 재치대(6A)의 베이스 통(61)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지지통(支持筒)(57)과, 이 지지통(57)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판(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는, 도13 및 도17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7A)의 개폐동작을 검출하여 뚜껑(7A)을 닫았을 때에 온 동작을 하는 작동검출기(作動檢出器)(51)와, 작동검출기(51)의 온 동작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을 시작하는 타이머(timer)(52)(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시간측정수단의 예)와, LED 램프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기(表示器)(53)와, 이들의 기기(52, 53)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54)와, 각 기기(51, 52, 53, 5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뚜껑(7A)의 폐쇄에 따르는 작동검출기(51)의 온 동작에 의하여 타이머(52)가 시간측정을 시작하고, 타이머(52)에 의하여 계측한 시간이 미리 컨트롤러(54)에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였을 때에 컨트롤러(54)가 표시기(53)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재치대(6A)에 실린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음식물(F)을 판별할 수 있어, 음식물(F)의 선도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의 컨트롤러(54)를 구비하는 제어구성으로 변경하여, 뚜껑(7A)의 개폐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래시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뚜껑(7A)에 설치되어, 뚜껑(7A)을 닫은 후의 시간경과를 모래시계가 계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 통(61) 내에 2개 형성된 통 모양의 저장부(617, 617) 내에는, 뚜껑본체(7A)가 열릴 때의 관성력에 의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의 튀어오름을 저지하기 위한 추(619)가 각각 수납되어 있고, 각 저장부(617)의 하면 개구는 각각 밀봉뚜껑(618)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한편 도18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송로(A)의 도중에 단락기구(E)를 구비한 음식물 반송장치(3)에서 사용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는, 재치대(63A)로부터 접시(4)의 반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락기구(E)의 단락반송로(短絡搬送路)(B)를 통과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의 재치대(63A)의 접시반출측(홈(76)이 배치되어 있는 측)이, 고객측(테이블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 5A)가 가로배열로 나란하게 되어, 인접하는 재치대(6A, 6A)끼리가 연결수단에 의하여 근접상태에서 연결됨으로써 수용체조(收容體組)(50)가 구성된다. 이 경우에 재치대(6A)의 전방측이 동일한 방향을 향한 상태, 바꾸어 말하면 용기재치부(62A)에 있어서의 접시의 삽입 내지 반출측이 동일한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재치대(6A, 6A)끼리가 연결수단에 의하여 근접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단락기구(E)는, 도18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랫체인 콘베이어(33)로 구성되는 음식물 반송장치(3)에 있어서의 메인의 반송로(A) 도중에, 이 메인의 반송로(A)의 일부(선단측)를 단락(短絡)시키기 위한 단락반송로(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단락반송로(B)의 입구측에는, 메인의 반송로(A)에 의하여 반송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를 단락반송로(B)로 갈아타게 하기 위한 제1가이드체(C)가 설치되어 있다. 단락반송로(B)의 출구측에는, 이 단락반송로(B)에 의하여 반송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를 메인의 반송로(A)로 갈아타게 하기 위한 제2가이드체(D)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손님이 적을 때에 단락반송로(B)가 구동됨과 아울러, 양쪽 가이드체(C, D)에 의하여 메인의 반송로(A)의 일부를 단락시켜서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단락반송로(B)는, 도19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병행(竝行)하는 2개의 오목부(31, 31)의 사이에 설치된 기대부(基臺部)(B3)와, 기대부(B3)에 회전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회전롤러(B1, B1)와, 이들 회전롤러(B1, B1)의 사이에 무한 모양으로 걸쳐있는 반송벨트(B2)와, 일방의 회전롤러(B1)를 회전시키는 모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부(B3)의 입구측 상면에는, 제1가이드체(C)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체(C)의 길이방향의 일단부(一端部)가 축체(軸體)(B4)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대부(B3)의 출구측 상면에는, 제2가이드체(D)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가이드체(D)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축체(B4)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각 가이드체(C, D)는 각각 가는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21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 연결수단은, 신축성을 구비하는 끈모양 부재(9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끈모양 부재(91)의 재질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이다. 끈모양 부재(91)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끈본체(92)와, 이 끈본체(92)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뿔대 모양의 제1빠짐방지돌기(93)와, 끈본체(9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반구 모양의 제2빠짐방지돌기(94)로 구성되어 있다. 제1빠짐방지돌기(93)의 외주면은, 재치부(63A)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632)에 제1빠짐방지돌기(92)를 통과시킬 때의 가이드용의 테이퍼면(taper面)(93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끈모양 부재(91)에 의하여 2개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 5A)가 연결되는 경우에, 끈본체(92)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관통구멍(632)에 삽입되고, 그 삽입단부(揷入端部)(92A)를 손으로 잡고 강제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1빠짐방지돌기(93)가 테이퍼면(931)의 탄성변형(압축변형)을 받으면서 관통구멍(632)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빠짐방지돌기(94)가 일방(一方)의 재치부(63A)의 하면(631)에서 결합되고, 제1빠짐방지돌기(93)가 타방(他方)의 재치부(63A)의 하면(631)에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한 쌍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 5A) 중 예를 들면 뒤쪽에 위치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가 반송로(A)의 가까이 설치된 장해물 등에 걸렸을 경우에, 끈모양 부재(91)가 일시적으로 신장되어, 뒤쪽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를 전방으로 끌어당기는 텐션(tension)이 끈모양 부재(91)에 발생하여,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의 걸림이 자동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 5A)가 끈모양 부재(91)에 의하여 근접상태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락기구(E)에 의한 단락운전 시에 사용할 때에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에 있어서의 용기재치부(62)의 용기반출구측(홈(76)측)을 항상 손님좌석측(테이블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메인의 반송로(A) 및 단락반송로(B)에 있어서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 5A)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끌어당기게 함으로써, 이들 한 쌍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 5A)는 용기재치부(63A)에 있어서의 용기반출구측이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자세로 항상 유지되기 때문에, 용기반출구측이 진행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체조(50)가 메인의 반송로(A)로부터 단락기구(E)의 단락반송로(B)를 통과한 후에 다시 메인의 반송로(A)로 되돌아간 후에도, 재치대(6A)에 있어서의 용기반출구측(홈(76)측)은 항상 손님좌석측(테이블측)으로 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일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를 메인의 반송로(A)로 반송시킨 후에 단락반송로(B)를 거쳐서 다시 메인의 반송로(A)로 되돌렸을 경우, 반송로(A)로부터 단락반송로(B)로 이행할 때 및 단락반송로(B)로부터 반송로(A)로 이행할 때 모두 단일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가 끌어 당겨지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도18에 있어서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와 같이 거의 동일한 방향인 상태이다. 그 결과 단락반송로(B)로부터 반송로(A)로 되돌아간 단일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는, 재치대(6A)에 있어서의 용기반출구측이 손님좌석측과는 반대방향을 향한다.
그런데 도22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B)의 뚜껑(7B)과 같이 보냉재(保冷材) 또는 보온재(保溫材) 등의 피수용부재(N)를 수용하는 수용부(收容部)(78)가 뚜껑(7B)에 설치됨과 아울러, 이 수용부(78)의 상부 개구에 상측뚜껑(79)이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수용부(78) 내의 저벽에 관통구멍(781)이 형성되어, 보냉재의 냉기나 보온재의 따뜻한 기운이 수용부(78)로부터 관통구멍(781)을 거쳐서 뚜껑(7B) 내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2에 나타나 있는 구조가 채용됨으로써 수용되는 초밥 등의 음식물(F)의 품질열화가 보다 더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다. 또 보냉재 또는 보온재 등의 수용부가 재치대(6A)측에 설치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뚜껑본체(71A) 내의 초밥 등의 음식물을 냉각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23 및 도24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C)의 뚜껑(7C)과 같이 뚜껑본체(71A)의 내면측에 분리벽(711)에 의하여 형성된 충전실(充塡室)(713) 및 연락통로(712, 712A)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충전실(713)은 평면에서 볼 때 거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연락통로(712, 712, 712, 712A)는, 일단부가 상기의 충전실(713)의 가장자리 부분과 통하고 타단부가 뚜껑본체(71A)의 가장자리 하단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C)에 의하면, 충전실(713)에 수용된 물을 미리 얼림으로써, 그 얼음의 냉열(冷熱)에 의하여 뚜껑본체(71A) 내를 냉각할 수 있다. 충전실(713) 내의 물을 냉동고(冷凍庫) 등에서 얼릴 때에는, 뚜껑본체(71A)의 상측과 하측을 완전히 뒤집어서 반대로 한 상태에서 냉동실에 수용하면,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충전실(713) 내에서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된다. 그리고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C)의 사용에 따라 충전실(713) 내의 얼음이 녹으면, 발생한 물이 연락통로(712, 712, 712, 712A) 내에 점점 쌓인다. 이에 따라 연락통로(712, 712, 712, 712A) 내에 쌓인 물의 양은 투명한 뚜껑본체(71A)를 투과하여 외부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C)의 사용시간을 대강 알 수 있다. 그 결과 재치대(6A)에 실려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음식물인가 아닌가가 판별될 수 있다.
또한 도25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D)의 뚜껑(7D)과 같이 뚜껑본체(71B)의 외주 가장자리에, 뚜껑본체(71B)의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701)를 구성하는 구획벽(區劃壁)(70)이 형성되어, 이 오목부(701) 내에서 접시판(41)의 가장자리 부분이 손가락으로 잡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13 등에 나타나 있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A)의 뚜껑(7A)과 같이 뚜껑본체(71A)에 홈(7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홈(76)의 부분을 통하여 뚜껑(7A)의 내부가 외부로 통한다. 이에 대하여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5C)와 같이 구획벽(7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홈(76)이 형성되는 경우보다 뚜껑(7D)의 내부와 외부가 더 확실하게 분리되어, 뚜껑(7D)의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한층 더 차단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균제(抗菌劑)가 혼입된 합성수지 재료로 뚜껑 및 재치대가 구성되거나 또는 뚜껑의 내면이나 재치대의 재치면에 항균도료(抗菌塗料)가 도포되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용기로서 접시(4)가 예시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기로서는 접시 이외에 예를 들면 공기나 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용기에 수용하는 음식물로서 초밥이 예시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음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국수류나 된장국, 아이스크림 혹은 숏 케이크 등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뚜껑본체가 재치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재치대에 대하여 뚜껑본체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 상하방향으로의 직선적 이동(승강)에 의하여 뚜껑본체가 용기재치부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폐기구가, 용기재치부의 상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체와, 이 작동체를 용기재치부에 대하여 전방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작동체가 용기재치부에 대하여 이 용기재치부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또는 직선적 이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작동체가 상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즉 작동체 상에 접시가 실림에 따라, 접시의 무게에 의하여 작동체가 코일스프링의 스프링 반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 또는 직선적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접시가 용기재치부 상으로부터 반출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체가 상방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뚜껑본체가 열리도록 구성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뚜껑이 재치대로부터 용이하게 반출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가 채용됨으로써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를 세정할 때에, 별개로 된 뚜껑과 재치대가 세세한 부분에 걸쳐서 정성스럽게 세정될 수 있어, 높은 위생적 효과가 얻어진다.
3 : 음식물 반송장치
30 : 읽기장치
33 : 플랫체인 콘베이어(반송로)
4 : 접시(용기)
41 : 접시판
42 : 고대
5, 5A, 5B, 5C, 5D :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52 : 타이머(시간측정수단)
6, 6A : 재치대
62 : 용기재치대
7, 7A, 7B, 7C, 7D : 뚜껑
71, 71A, 71B : 뚜껑본체
78 : 수용부
8 : 개폐기구
81 : 작동체
82 : 코일스프링(가압수단)
9 : 식별부재
90 : 연동수단
91 : 끈모양 부재(연결수단)
F : 초밥(음식물)
N : 피수용부재
S1 : 홀
S2 : 주방

Claims (7)

  1. 점포 내의 각 좌석에 음식물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搬送路)를 구비한 음식물 반송장치(飮食物 搬送裝置)의 상기 반송로에 실려서 반송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飮食物 搬送用 收容體)로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용기재치부(容器載置部)를 구비하는 재치대(載置臺)와, 이 재치대의 용기재치부 상을 덮기 위하여 상기 용기재치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재치대에 부착된 뚜껑과, 상기 용기재치부 상에 대한 접시의 재치에 따라 상기 뚜껑을 폐쇄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용기재치부 상으로부터의 접시의 반출에 따라 상기 뚜껑을 개방동작시키기 위한 개폐기구(開閉機構)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개폐기구는, 용기재치부에 대한 용기의 재치에 따라 상기 용기가 접촉하여 상기 용기재치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작동하는 작동체(作動體)와, 이 작동체와 상기 뚜껑을 연결하여 상기 작동체의 작동을 상기 뚜껑에 전달하여 상기 뚜껑을 폐쇄동작시키는 연결수단(連結手段)과, 상기 뚜껑을 개방위치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작동체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加壓手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뚜껑의 개폐동작에 연동(連動)되어, 상기 용기가 용기재치부 상에 재치되는지와 상기 용기가 용기재치부 상으로부터 반출되는지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재가 상기 재치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의 인접하는 재치대가, 근접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는 끈모양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뚜껑을 닫았을 때에 온 동작을 하는 작동검출기와,
    상기 작동검출기가 온 동작을 하는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뚜껑에 의하여 덮이는 용기재치부 상을 보냉(保冷) 또는 보온(保溫)하는 보냉재(保冷材) 또는 보온재(保溫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收容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KR1020127023905A 2010-12-09 2011-11-10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KR101408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4181 2010-12-09
JP2010274181 2010-12-09
PCT/JP2011/075928 WO2012077454A1 (ja) 2010-12-09 2011-11-10 飲食物搬送用収容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767A KR20130020767A (ko) 2013-02-28
KR101408158B1 true KR101408158B1 (ko) 2014-06-16

Family

ID=4620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905A KR101408158B1 (ko) 2010-12-09 2011-11-10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50229B2 (ko)
EP (1) EP2649912B1 (ko)
JP (1) JP5416288B2 (ko)
KR (1) KR101408158B1 (ko)
CN (1) CN103228186B (ko)
WO (1) WO2012077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2842B2 (ja) * 2012-08-10 2015-05-27 株式会社くらコーポレーション 飲食物管理装置
JP2014091009A (ja) * 2012-11-07 2014-05-19 Kura Corporation:Kk 飲食物搬送用収容体の搬送姿勢変更機構
JP2015100598A (ja) * 2013-11-27 2015-06-04 ジャパン・イマジネーション・フーズ株式会社 食物用保冷カバー
JP7058469B2 (ja) * 2017-03-14 2022-04-22 株式会社 ゼンショー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方法
US11440199B2 (en) 2019-06-18 2022-09-13 Gang Hao Robotic service system in restaurants
CN110482236A (zh) * 2019-09-09 2019-11-22 重庆览汉缘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无轨悬浮自动送餐系统
JP2021177866A (ja) * 2020-05-12 2021-11-18 くら寿司株式会社 回収具及び回収ユニット
TWI723922B (zh) * 2020-07-20 2021-04-01 鴻匠科技工業有限公司 具有可開合保鮮蓋的送餐車
KR102617608B1 (ko) * 2022-04-19 2023-12-27 엄천섭 순환형 음식 제공 매장의 음식 반송용 수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582A (ja) * 1994-03-19 1995-10-09 Ishino Seisakusho:Kk 開閉蓋を備える飲食カウンタ
JP2000023818A (ja) 1998-07-09 2000-01-25 Ishino Seisakusho:Kk 飲食物循環搬送路
JP2009284925A (ja) 2008-05-27 2009-12-10 Kura Corporation:Kk 飲食物搬送用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698A (ja) * 1997-02-20 1998-09-22 Ishino Sangyo Kk 飲食物搬送用のコンベア装置
JP3687766B2 (ja) * 1997-11-19 2005-08-24 株式会社石野製作所 開閉扉を備える飲食物循環搬送路
FR2795710B1 (fr) * 1999-07-02 2001-09-21 Colombus Dispositif de convoyage pour la restauration
JP3396187B2 (ja) * 1999-08-12 2003-04-14 株式会社くらコーポレーション 飲食物搬送装置
EP1125528A3 (en) * 2000-02-14 2001-09-05 Nippon Crescent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rving merchandise items in a restaurant with a rotary catering table system, and merchandise item management system for such restaurants
JP2001299553A (ja) 2000-04-24 2001-10-30 Tomitoshi Ota 回転寿司用皿カバー
JP4827221B2 (ja) * 2004-11-16 2011-11-30 株式会社石野製作所 飲食物用循環搬送装置
JP4099210B1 (ja) * 2007-09-10 2008-06-11 株式会社石野製作所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582A (ja) * 1994-03-19 1995-10-09 Ishino Seisakusho:Kk 開閉蓋を備える飲食カウンタ
JP2000023818A (ja) 1998-07-09 2000-01-25 Ishino Seisakusho:Kk 飲食物循環搬送路
JP2009284925A (ja) 2008-05-27 2009-12-10 Kura Corporation:Kk 飲食物搬送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9912A4 (en) 2016-03-16
EP2649912B1 (en) 2018-08-22
EP2649912A1 (en) 2013-10-16
JP5416288B2 (ja) 2014-02-12
CN103228186B (zh) 2015-12-09
CN103228186A (zh) 2013-07-31
WO2012077454A1 (ja) 2012-06-14
US8550229B2 (en) 2013-10-08
JPWO2012077454A1 (ja) 2014-05-19
KR20130020767A (ko) 2013-02-28
US20120325624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158B1 (ko) 음식물 반송용 수용체
EP2792979B1 (en)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517214B2 (en) Gravity-fed dispenser
US9193535B2 (en) Food management system
JP3396187B2 (ja) 飲食物搬送装置
TWI474797B (zh) Food and beverage delivery
KR20060069407A (ko) 신선과일 자동판매기
TWI518626B (zh) Food and beverage management device
JPH11154266A (ja) 自動販売機
JPH11290193A (ja) 飲食物搬送装置
JP2002019705A (ja) 薬剤分包機
JP4633071B2 (ja) 飲食物収容皿の組み付け部材
JP3754884B2 (ja) 飲食店における容器回収装置
WO2022009993A1 (ja) 収容体
JP2000023818A (ja) 飲食物循環搬送路
JP2022016238A (ja) 収容体
CN217690185U (zh) 售货机
CN217880432U (zh) 送货装置及售货机
JP2015085067A (ja) 飲食物搬送用収容体
KR20220146948A (ko) 커피 음료 제조장치
JP5824373B2 (ja) 飲食物搬送用収容体
JP2022106817A (ja) 物品回収装置
JP5581135B2 (ja) 飲食物搬送用収容体
CN114098358A (zh) 粮食储存装置
CN115909593A (zh) 送货装置及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