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688B1 - 화학보호복용 원단 - Google Patents

화학보호복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688B1
KR101407688B1 KR1020130152170A KR20130152170A KR101407688B1 KR 101407688 B1 KR101407688 B1 KR 101407688B1 KR 1020130152170 A KR1020130152170 A KR 1020130152170A KR 20130152170 A KR20130152170 A KR 20130152170A KR 101407688 B1 KR101407688 B1 KR 10140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base layer
chemical resistance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3015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688B1/ko
Priority to PCT/KR2014/012043 priority patent/WO2015088216A1/ko
Priority to CN201480068375.XA priority patent/CN10606227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6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against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oxic or hostile environments; ABC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보호복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110)과; 상기 베이스층(110)의 외측면에 박막의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을 구성하면서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에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표면층(100)과; 상기 베이스층(110)의 내측면이나, 상기 표면층(100) 및 상기 베이스층(11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성에 의해 신축변형되며, 박막의 두께를 갖는 신축변형층(120); 및 상기 신축변형층(120)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필름층(130);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변형층(120)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학보호복용 원단{TEXTILES FOR CHEMICAL PROOF CLOTHES}
본 발명은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유해성을 갖는 액체 또는 기체의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격리시켜 보호할 수 있는 화학보호복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보호복은 내화학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되어 화생방지역이나 유해성 화학물질로 오염된 산업현장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화학보호복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보호층이 코팅된 아라미드나 나일론과 같은 원단으로 제조된다.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선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9207호에 개시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화학보호복이 있다.
선행기술(이하 '제1 종래기술'이라 함)의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재 직물(1), 직물(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12), 부틸고무층(14), 불소계 폴리머층(16)과, 직물(1)의 이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12), 불소계 폴리머층(16) 및 화학보호필름(2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직물(1)의 양면에 클로로프렌 고무층(12)이 제각기 적층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며, 직물(1)의 양면에 고무층이 구비되므로 화학보호복을 제조할 경우 너무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1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22)이 평면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충격에 의해 쉽게 찢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화학보호복으로 제조된 경우 필름층(22)의 찢어진 틈을 통해 화학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기술을 개발한 후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등록 제10-1286338호(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로 등록받은 바가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선행특허(이하 '제2 종래기술'이라 함)는, 섬유재로 형성된 섬유층(50) 이 섬유층의 일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는 고무층(60) 및 전술한 섬유층(50)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유독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나 요철로 이루어진 압출문양(71)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7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2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은, 원단을 구성하는 필름층(70)의 표면에 일직선 형태의 압출문양(71)이 형성되므로 필름층의 강성이 보강되어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종래기술 및 제2 종래기술은 직물(1)의 양면에 고무층(12)이 적층되고, 고무층(12)에 필름층(22)이 다시 적층되거나, 섬유층(50)의 양면에 고무층(60) 및 필름층(70)이 적층되므로 원단이 너무 뻣뻣하거나 뻐덕뻐덕 해지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탄력성을 갖는 고무층(12, 60)에 탄력성이 없는 필름층(22, 70)이 부착되므로 탄성력에 의한 고무층(12, 60)의 신장률을 필름층(22, 70)이 억제하기 때문이다. 특히, 제1 종래기술 및 제2 종래기술은 원래부터 섬유층(50)이 뻣뻣한 재질이었으나, 이러한 섬유층(50)에 고무층(12) 및 필름층(70)이 결합됨에 따라 더욱더 원단이 뻣뻣해지거나 뻐덕뻐덕 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종래기술 및 제2 종래기술에 의한 원단으로 화학보호복을 제조할 경우 착용감이 매우 나쁘며, 이로 인하여 활동이 매우 불편하다.
KR 10-929207 KR 10-128633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방성의 탄성력을 갖는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여 적층된 소재간의 상대적 유동을 허용하여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고강도의 섬유재에 의해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성의 액상 화학물질이나 기체형태의 기상 화학물질에 특히 강화된 내화학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화학보호복용 원단을 제공한다.
특히, 신축성 소재가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내열성 및 내화학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화학보호복용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신축성 소재의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및 신축성과 내화학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다단계로 화학물질을 방어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화학보호복용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외측면에 박막의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을 구성하면서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표면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내측면이나 상기 표면층 및 상기 베이스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성에 의해 신축변형되며, 박막의 두께를 갖는 신축변형층; 및 상기 신축변형층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에스테르계의 섬유나 아라미드계열의 섬유 또는 나일론계열의 섬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되는 고무나,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변형층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테프론계 수지나 불소계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변형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내측면이나 상기 표면층 및 상기 베이스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고, 내화학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플라스틱랩; 및 상기 플라스틱랩에 부착되고, 상기 멤브레인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 및 신축성을 제공하는 추가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층은 오직 하나의 내화학 필름에 의해 단층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내화학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내화학 필름이 적층된 복합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층은 상기 복합필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내화학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압출에 의해 표면에 줄무늬가 형성된 내화학성의 압출필름으로 구성되고, 나머지가 표면에 줄무늬가 없는 무무늬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층은 상기 신축변형층에 부착되고, 압출에 의해 줄무늬가 표면에 형성된 내화학성의 메인 압출필름; 및 상기 메인 압출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메인 압출필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표면에 줄무늬를 가지며, 표면의 줄무늬가 상기 메인 압출필름의 줄무늬와 교차하는 상태로 적층되는 내화학성의 서브 압출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층이나 필름층의 유동시 등방성의 탄성력을 갖는 박막형의 신축변형층이 원활하게 신축하면서 베이스층이나 필름층의 상대적 유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원단에 유연성을 제공하여 화학보호복으로 사용될 경우 종래 보다 착용감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김에 의한 필름층의 절첩시 필름층의 절곡부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필름층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술한 유연성 및 탄성력에 의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신축변형층이 테프론계 수지나 불소계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므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우수한 신축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멤브레인에 미세한 다공이 형성될 경우 멤브레인의 장력을 완화시켜서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박막형의 신축변형층이 표면층 및 베이스층에도 마련될 경우 더욱더 우수한 유연성을 원단에 제공할 수 있으며, 신축변형층이 멤브레인 및 플라스틱랩으로 구성될 경우 신축변형층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멤브레인의 인장강도나 인열강도 및 신축성과 내화학성을 더욱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이 고강도의 폴리에스테르계나 아라미드계열의 섬유로 구성되므로 내구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관통을 억제할 수 있고, 표면층이 고무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되므로 고상이나 분말 형태의 화학물질 뿐만아니라 액상이나 기상의 화학물질과 같은 다양한 화학물질에도 우수한 내화학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단수 또는 복수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된 필름층에 의해 베이스층의 내측에서도 다양한 화학물질을 방어할 수 있고, 필름층에 줄무늬가 형성된 압출필름이 구성될 경우 필름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원단의 절첩에 의해 필름층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관통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압출필름을 복수로 구성하여 적층시킬 경우 필름층의 내구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종래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학보호복의 필름층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110), 표면층(100), 신축변형층(120) 및 필름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110)은 부직포나 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강도의 폴리에스테르계의 섬유나 아라미드계열의 섬유 또는 나일론계열의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층(110)은 고강도를 가지면서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PBO(Poly-phenylene benzobisoxazole)나 파라아라미드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이스층(110)은 다양한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나,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아라미드계열의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PBO나 파라아라미드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10)의 외측면에 박막의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을 구성한다. 상기 표면층(100)은 내화학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에 내화학성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층(100)은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에 코팅되는 고무 또는 상기 베이스층(110)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층(100)은 고무로 구성될 경우 다양한 화학성분을 방어하도록 클로로프렌 고무층, 부틸고무층 및 불소계 폴리머층 등의 다양한 박막의 고무재에 의해 다양한 복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층(100)은 예를 들어, 액상이나 콤파운드형태(고상)의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고무 및 불소계 폴리머가 피막 및/또는 필름형태로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에 하나씩 적층되어 박막의 복합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술한 고무 및 폴리머가 혼합된 후 반복해서 피막 및/또는 필름형태로 적층됨에 따라 복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클로로프렌 고무와 부틸고무 및 불소계 폴리머는 모두 내화학성과 내열성과 난연성 및 내수성(방수성)이 우수하지만, 특히 클로로프렌 고무는 접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부틸고무는 절연성과 연신율 및 기체차단성이 우수하며, 불소계 폴리머는 용제나 화학약품에 대한 내화학성과 내수성, 내열성(열안정성), 내구성, 그리고 고무와 고무가 서로 부착되려는 고무 특유의 점착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성이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 상기 부틸고무는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액상피막제를 이용하여 박막의 부틸고무필름을 제조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클로로프렌 고무에 부착할 수 있다. 즉, 부틸고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틸고무 액상피막제에 의해 피막식으로 클로로프렌 고무에 도포되지 않고, 필름형태로 제조되어 접착제로 클로로프렌 고무에 합포된다. 이렇게 부틸고무를 필름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부틸고무가 필름으로 구성될 경우 화학보호층의 인성(질긴 성질)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 표면층(100)은 박막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될 경우 단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방어하도록 다양한 내화학재로 이루어진 필름들에 의해 전술한 고무와 같이 복합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표면층(10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박막필름과 나일론 박막필름 및/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등의 베리어필름들이 교번상태로 부착된 복합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표면층(100)은 적층구조를 갖는 폴리에틸렌 박막층 및 나일론 박막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100)은 폴리에틸렌 박막층 및 나일론 박막층에 의해 내화학성을 갖는다. 상기 표면층(100)은 상기 폴리에틸렌이나 상기 나일론 박막층에 의해 다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면층(100)은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될 경우 내화학 필름에 안료가 혼합되어 안료의 색상이 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적용이 가능하지만, 화학보호복으로 제조될 경우 식별이 우수하도록 노랑이나 초록 또는 주황의 형광색 또는 백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1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성에 의해 신축변형되는 박막재이다. 즉,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지며, 어느 한 방향이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신축되는 박막이다. 이러한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신축성이 우수한 테프론계 수지나 불소계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10)의 내측면, 그리고 상기 표면층(100) 및 상기 베이스층(110) 사이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상기 베이스층(110)의 양측(상부 및 하부)에서 내화학성 및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상기 표면층(100) 및 상기 베이스층(110) 사이에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층(110)의 외측면에서 내화학성 및 신축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오직 하나의 박막 멤브레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도 6에 확대된 바와 같이 복합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박막의 멤브레인(120a), 박막의 플라스틱랩(120b) 및/또는 박막의 추가 멤브레인(120c)을 적층시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20a)은 전술한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10)의 내측면이나 상기 표면층(100) 및 상기 베이스층(11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된다. 상기 플라스틱랩(120b)은 도 6에 확대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120a)에 부착되며, 내화학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플라스틱랩(120b)은 식품을 포장하는 가정용 랩과 거의 동일하거나, 이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되며, 두께로 인하여 가정용 랩과 같이 유연하다. 하지만, 상기 플라스틱랩(120b)은 전술한 내화학 필름을 얇게 박막으로 가공한 것이므로 가정용 랩 보다는 약간 더 강한 강도의 인성(질긴성질)을 나타낸다. 상기 추가 멤브레인(120c)은 전술한 멤브레인(120a)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플라스틱랩(120b)에 부착된다.
상기 멤브레인(120a), 상기 플라스틱랩(120b) 및/또는 상기 추가 멤브레인(120c)은 용이한 제조 및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습기경화형 접착제를 도트 또는 메쉬형태로 도포하여 동일체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멤브레인(120a)은 예컨대, 신축성과 내화학성 및 방수성 등이 우수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통상의 고어텍스와 같이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멤브레인(120a)은 상기 베이스층(110)의 외측면 화학물질을 방어할 수 있으면서 미세한 다공에 의해 장력이 완화되므로 신축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필름층(130)은 박막재로 구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변형층(120)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층(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되어 단층을 구성하거나, 도 3에 확대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내화학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내화학 필름이 적층된 복합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필름층(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박막필름이나 나일론 박막필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단층을 구성하거나, 폴리에틸렌 박막필름이나 나일론 박막필름이 교번상태로 부착되어 서로 다른 내화학성을 갖는 복합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층(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시 압출방향으로 줄무늬(131a, 131b, 131c)가 형성된 내화학성의 압출필름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필름층(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된 전술한 압출필름(130a, 130b, 130c)들이 확대된 바와 같이 줄무늬(131a, 131b, 131c)가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적층된 복합필름에 의해 다층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층(130)은 압출시 형성되는 요철에 의해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가 형성된다. 상기 필름층(130)은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에 의해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와 교차되는 방향의 인성이 강화된다. 따라서, 상기 필름층(130)은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가 교차될 경우 평면상 사방의 인성이 향상됨에 따라 내구성이 강화된다.
상기 필름층(130)은 상기 폴리에틸렌 박막필름 및 상기 나일론 박막필름, 복수의 상기 압출필름(130a, 130b, 130c)이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되어 적층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나, 고주파나 초음파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층(130)은 적층상태로 부착되므로 한장의 필름으로 제조된다.
상기 필름층(130)은 특정 내화학성의 방어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도 4에 확대된 바와 같이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가 없는 무무늬 필름 및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있는 상기 압출필름(130a, 130b, 130c)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필름(130a, 130b, 130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압출필름(130a), 서브 압출필름(130b) 및 추가 압출필름(130c)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압출필름(130a)은 상기 신축변형층(120)에 부착된다. 상기 서브 압출필름(130b)은 상기 메인 압출필름(130a)에 부착된다. 상기 추가 압출필름(130c)은 상기 서브 압출필름(130b)에 부착된다. 상기 메인 압출필름(130a), 서브 압출필름(130b) 및 추가 압출필름(130c)은 인성이 서로 보완되도록 확대된 바와 같이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가 교차되는 상태로 적층되어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8에 확대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변형층(120)이 중간층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표면층(100) 및 상기 베이스층(110)이 화살표 방향(좌측방향 화살표)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필름층(130)이 화살표 방향(우측방향 화살표)으로 유동할 경우, 이들의 유동에 의해 상기 신축변형층(120)이 방향과 상관없이 유동하는 방향으로 신축한다. 즉,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등방성의 탄성력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신축한다. 특히,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경우 더욱더 넓게 신축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상기 표면층(100) 및 상기 베이스층(110)이나 상기 필름층(130)이 상대적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유연성을 제공한다.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위치에서 신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더욱더 유연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도 6에 확대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120a), 상기 플라스틱랩(120b) 및 상기 추가 멤브레인(120c)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플라스틱랩(120b)에 의해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인성(질긴 성질)이 강화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변형층(120)은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표면층(100)은 고무로 구성될 경우 우수한 내수성 및 발수성을 제공하고, 단층 또는 서로 다른 내화학성을 갖는 다층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될 경우 기상의 화학물질을 고무 보다 좀더 확실하게 방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학물질을 방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층(130)은 단층이나 다층의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층(110)의 내측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층(110)의 내측으로 화학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기 필름층(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줄무늬가 형성된 압출필름으로 구성될 경우 내구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필름층(130)은 상기 메인 압출필름(130a), 서브 압출필름(130b) 및 추가 압출필름(130c)이 도 5에 확대된 바와 같이 상기 줄무늬(131a, 131b, 131c)가 교차되는 상태로 합지될 경우 내구성이 더욱더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표면층 110; 베이스층
120; 신축변형층 120a; 멤브레인
120b; 플라스틱랩 120c; 추가 멤브레인
130; 필름층 130a; 메인 압출필름
130b; 서브 압출필름 130c; 추가 압출필름

Claims (6)

  1.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외측면에 박막의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을 구성하면서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표면층;
    상기 베이스층의 내측면이나, 상기 표면층 및 상기 베이스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성에 의해 신축변형되며, 박막의 두께를 갖는 신축변형층; 및
    상기 신축변형층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변형층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테프론계 수지나 불소계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에스테르계의 섬유나 아라미드계열의 섬유 또는 나일론계열의 섬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보호용 원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되는 고무나, 상기 베이스층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4. 삭제
  5.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외측면에 박막의 두께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을 구성하면서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표면층;
    상기 베이스층의 내측면이나, 상기 표면층 및 상기 베이스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성에 의해 신축변형되며, 박막의 두께를 갖는 신축변형층; 및
    상기 신축변형층에 부착되어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변형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내측면이나 상기 표면층 및 상기 베이스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고, 내화학재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박막의 플라스틱랩; 및
    상기 플라스틱랩에 부착되고, 상기 멤브레인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내화학성 및 신축성을 제공하는 추가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오직 하나의 내화학 필름에 의해 단층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내화학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내화학 필름이 적층된 복합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KR1020130152170A 2013-12-09 2013-12-09 화학보호복용 원단 KR10140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70A KR101407688B1 (ko) 2013-12-09 2013-12-09 화학보호복용 원단
PCT/KR2014/012043 WO2015088216A1 (ko) 2013-12-09 2014-12-09 화학보호복용 원단
CN201480068375.XA CN106062272B (zh) 2013-12-09 2014-12-09 化学保护服用原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70A KR101407688B1 (ko) 2013-12-09 2013-12-09 화학보호복용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688B1 true KR101407688B1 (ko) 2014-06-13

Family

ID=5113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170A KR101407688B1 (ko) 2013-12-09 2013-12-09 화학보호복용 원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07688B1 (ko)
CN (1) CN106062272B (ko)
WO (1) WO201508821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873B1 (ko) 2015-05-13 2016-04-22 주식회사 산청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KR101614875B1 (ko) 2015-11-16 2016-04-22 주식회사 산청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KR101648522B1 (ko) 2016-03-10 2016-08-16 주식회사 산청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
KR101651973B1 (ko) 2015-12-22 2016-08-30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KR101710894B1 (ko) * 2016-03-28 2017-02-28 주식회사 산청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KR101751474B1 (ko) * 2016-12-06 2017-06-27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고무코팅 조성물,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를 위한 원단의 제조방법
CN107645990A (zh) * 2015-03-24 2018-01-30 安塞尔有限公司 防护性复合材料
KR20200045831A (ko) * 2018-10-23 2020-05-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내열성, 내화학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내화학보호복용 원단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6877A (zh) * 2016-08-31 2017-01-25 芜湖利通新材料有限公司 隔音棉毛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07B1 (ko) * 2009-07-31 2009-12-01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그리고 이를 위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13473U1 (ko) * 1989-11-15 1990-01-04 Tesimax-Altinger Gmbh, 7530 Pforzheim, De
CN2698110Y (zh) * 2004-04-18 2005-05-11 朱国侯 防化涉水服
GB2431375B (en) * 2005-10-24 2011-03-23 Hunt Tech Ltd Chemical barrier fabric
CN101036536A (zh) * 2007-04-20 2007-09-19 东华大学 一种可全面防护多种危害因素的复合织物
CN100521993C (zh) * 2007-12-24 2009-08-05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所 一种高阻隔性防护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86338B1 (ko) * 2012-09-26 2013-07-15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07B1 (ko) * 2009-07-31 2009-12-01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그리고 이를 위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5990A (zh) * 2015-03-24 2018-01-30 安塞尔有限公司 防护性复合材料
EP3274169A4 (en) * 2015-03-24 2018-10-31 Ansell Limited Protective composite materials
KR101614873B1 (ko) 2015-05-13 2016-04-22 주식회사 산청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WO2016182359A1 (ko) * 2015-05-13 2016-11-17 주식회사 산청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KR101614875B1 (ko) 2015-11-16 2016-04-22 주식회사 산청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KR101651973B1 (ko) 2015-12-22 2016-08-30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WO2017155190A1 (ko) * 2016-03-10 2017-09-14 주식회사 산청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
KR101648522B1 (ko) 2016-03-10 2016-08-16 주식회사 산청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
CN108778727A (zh) * 2016-03-10 2018-11-09 株式会社山凊 特殊服装用多功能面料
KR101710894B1 (ko) * 2016-03-28 2017-02-28 주식회사 산청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KR101751474B1 (ko) * 2016-12-06 2017-06-27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고무코팅 조성물,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를 위한 원단의 제조방법
KR20200045831A (ko) * 2018-10-23 2020-05-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내열성, 내화학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내화학보호복용 원단 제조방법
KR102167853B1 (ko) * 2018-10-23 2020-10-2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내열성, 내화학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내화학보호복용 원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2272B (zh) 2018-06-26
WO2015088216A1 (ko) 2015-06-18
CN106062272A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688B1 (ko) 화학보호복용 원단
JP6709017B2 (ja) 立体物体を形成するための多層繊維材料
EP2899017B1 (en) Multilayered textile material in shoes
KR100929207B1 (ko)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그리고 이를 위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1527146B1 (ko) 바이러스 방어용 합지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이러스 방어 의류
CN102958689B (zh) 用于制造柔性膜和其它制品的防水透气复合材料
JP5049519B2 (ja) 伸縮性複合生地、及び延伸多孔質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フィルム
JP2008030478A (ja) 耐久性膜組織及び膜組織の耐久性を向上させる方法
US11518139B2 (en) Stretchable laminates
KR102631149B1 (ko) 신축성 라미네이트
NO20076633L (no) Skuddsikkert laminat og beskyttelsesinnretning
US20060281379A1 (en) Breathable, water resistant fabric
CA2867647A1 (en)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adhesive regions
KR101648522B1 (ko)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
KR101614873B1 (ko)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JP2009072986A (ja) 積層体
CN105593433A (zh) Pvdf纺织品制品
KR101651973B1 (ko)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AU2019217100A1 (en) Tarpaulin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dhesion, and surface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H05131595A (ja) 水膨潤異方性を有するエラストマー成形体
KR101614875B1 (ko)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KR101710894B1 (ko)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KR102453880B1 (ko) 신축 가능한 봉지재
US20070010149A1 (en) Antivirus-resistant and waterproof fabric
TH116958A (th) แผ่นอัดซ้อนเรซิ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