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894B1 -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 Google Patents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894B1
KR101710894B1 KR1020160037068A KR20160037068A KR101710894B1 KR 101710894 B1 KR101710894 B1 KR 101710894B1 KR 1020160037068 A KR1020160037068 A KR 1020160037068A KR 20160037068 A KR20160037068 A KR 20160037068A KR 101710894 B1 KR101710894 B1 KR 10171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industrial
heat
aram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6003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A41D31/0022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6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against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oxic or hostile environments; ABC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특수복 원단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직물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일측면에 하나의 섬유층을 제공하고, 중공을 갖는 중공사로 이루어진 단일의 에어 메쉬 원단으로 구성되어 통기공 및 탄성을 제공하는 제 3 레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 1 레이어 및 제 3 레이어의 특성에 의해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이루어진 산업용 특수복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FABRIC FOR INDUSTRIAL PECIAL CLOTHES AND INDUSTRIAL SPECIAL CLOTHES THEREBY}
본 발명은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특수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과 같은 산업용 특수복에 적용이 가능한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특수복에 해당하는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은 화재로부터의 강한 열이나 호스에서 계속하여 뿜어져 나오는 수증기 및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로부터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하게 된다.
전술한 소방복의 경우, 내열섬유로 제조되어 서로 중첩되거나 부착되는 겉감이나 안감으로 구성되며, 때에 따라서는 겉감이나 안감 사이에 중간감이 추가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소방복의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선출원된 한국특허등록 제10-0930511호의 "화기차단용 특수복의 안감 및 이에 의한 특수복"(선행기술1)이 있다. 선행기술1에 따른 소방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두건(1), 방열작업복(10), 방열장갑(2) 및 방열슈즈(3)로 이루어지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10a)과 중간감(10b) 및 안감(10c)으로 구성된다.
상기 겉감(10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11)이 증착된 내열원단(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11)에 의해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한다. 상기 중간감(10b)은 방수성 멤브레인(14)이 부착된 부직포(13)로 구성되며, 부직포(13)에 의해 열기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멤브레인(14)에 의해 방수된다.
상기 안감(10c)은 펠트원단(15)에 누빔처리되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라고도 함)와 같은 난연성 섬유로 제조된 난연재 원단(16)으로 구성되며, 상기 펠트원단(15) 및 상기 난연재 원단(16)을 통해 열을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소방복은 겉감(10a)과 중간감(10b) 및 안감(10c)이 알루미늄(11) 증착된 내열원단(12), 멤브레인(14)이 부착된 부직포(13), 펠트원단(15) 및 난연재 원단(16)으로 구성되므로 피복의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피복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가 원활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안감(10c)을 구성하는 펠트원단(15)의 두께로 인하여 착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 멤브레인(14)이 안감(10c)의 펠트원단(15)과 직접적으로 마찰되면서 마모되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화학보호복의 경우 내화학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되어 화생방지역이나 유해성 화학물질로 오염된 산업현장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화학보호복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보호층이 코팅된 아라미드나 나일론과 같은 원단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화학보호복의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선출원된 한국특허등록 제10-0929207호의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화학보호복"(선행기술2)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2의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재 직물(A), 직물(A)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B), 부틸고무층(F), 불소계 폴리머층(D)과, 직물(A)의 이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B), 불소계 폴리머층(D) 및 화학보호필름(E)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2의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직물(A)의 양면에 클로로프렌 고무층(B)이 제각기 적층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며, 직물(A)의 양면에 고무층이 구비되므로 화학 보호복을 제조할 경우 너무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2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필름층(E)이 평면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충격에 의해 쉽게 찢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화학보호복으로 제조된 경우 필름층(E)의 찢어진 틈을 통해 화학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낮은 열전도율에 의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며 고온에서도 착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높은 습도에서도 부드럽고 탁월한 건조성능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과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서 착용자의 피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통기 및 단열을 위한 에어셀을 제공할 수 있는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물이나 액상 또는 기상의 화학물질에 특히 강화된 내화학성을 발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등방성의 신축력에 의해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땀을 원활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열기나 화학물질을 단계로 단열 내지 차단하여 착용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직물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일측면에 하나의 섬유층을 제공하고, 중공을 갖는 중공사로 이루어진 단일의 에어 메쉬 원단으로 구성되어 통기공 및 탄성을 제공하는 제 3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이어는 아라미드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PBI(Polybenzimidazole)와 파라아라미드(Para-Aramid)로 혼방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3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고, 방수가능한 재질로 구성된 박막의 제 2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레이어는 예컨대,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레이어의 일측면을 수밀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에 의해 신축변형되는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레이어와 동일한 재질의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3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제 3 레이어에 중첩되어 상기 제 3 레이어를 차폐하는 제 4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및 제 3 레이어 사이에 공기층의 단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3 레이어에 중첩되어 상기 제 3 레이어에 단열층을 제공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 5 레이어;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3 레이어는, 상기 에어 메쉬 원단의 제조시 함께 제조되어 동일체를 이루는 박형의 직물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물층은, 상기 제 3 레이어의 통기공 직경에 대응되거나 상이한 직경을 갖는 그물망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3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3 레이어 사이를 수밀하는 필름;을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상기 필름은 표면에 열기를 반사하는 금속성 도막(8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레이어는, 상기 에어 메쉬 원단이 복수의 중공사에 의해 다발형태로 이루어진 원사에 의해 메쉬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레이어의 외측면을 방수가능하게 차폐하는 제 6 레이어;를 더 포함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에 의해 제조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이루어진 산업용 특수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직물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어가 고온의 열기를 차단하고, 에어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진 제 3 레이어가 통기공 및 탄성을 제공하여 습기나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면서 유연성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므로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 3 레이어가 중공사의 중공 및 메쉬를 형성하는 통기공을 통해 제 1 레이어를 투과한 열기를 단열하는 에어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레이어가 내열성과 난연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아라미드 섬유 또는 파라아라미드가 혼합된 섬유로 구성되므로 고열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뾰족한 물건의 관통을 최대한 억제하여 화재 또는 화학물질로 오염된 공간에서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제 1 레이어 및 제 3 레이어 사이에 방수가능한 재질의 제 2 레이어가 구비되므로 제 2 레이어를 통해 습기나 물 또는 액상이나 기상의 화학물질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층 구조에 의해 열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 2 레이어가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져서 방수와 방풍 및 투습성이 우수하면서 고무상의 탄성에 의해 등방의 신축성을 갖는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경우 전체적인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습기 배출 및 착용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이어(아라미드)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 4 레이어가 제 1 레이어 및 제 3 레이어(에어 메쉬 원단) 사이에 구비되거나 제 1 레이어의 일측면(속면)에 배치된 제 3 레이어를 차폐할 경우 다중으로 열기를 차단할 수 있고, 제 4 레이어에 의해 차폐된 제 3 레이어가 중공사의 중공 및 통기공을 통해 제 1 레이어 및 제 4 레이어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 1 레이어(아라미드), 제 3 레이어(에어 메쉬 원단) 및 제 2 레이어(테프론계 수지 멤브레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기층의 단열공간이 형성될 경우 단열공간을 통해 추가적으로 열기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열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 3 레이어(에어 메쉬 원단)의 겉면이나 속면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 5 레이어가 구비될 경우 제 5 레이어를 통해 추가적으로 열기를 단열할 수 있으므로 열방호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 3 레이어(에어 메쉬 원단)의 일측면에 박형이 직물층이 구비될 경우, 통기공에 의해 표면적이 실질적으로 감소된 제 3 레이어의 표면적을 사실상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제 3 레이어를 다른 레이어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직물층에 제 3 레이어의 통기공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그물망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될 경우 직물층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공을 통해 공기나 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덧붙여, 제 1 레이어(아라미드) 및 제 3 레이어(에어 메쉬 원단) 사이 또는 제 3 레이어의 속면에 필름이 구비될 경우 필름을 통해 방수를 도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필름에 금속성 도막이 코팅될 경우 도막을 통해 열기를 반사하여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제 3 레이어(에어 메쉬 원단)가 다발의 중공사로 이루어진 원사에 의해 제조될 경우 중공사 다발에 의한 다수의 중공에 의해 추가적인 단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이어(아라미드)의 표면이 방수가능한 제 6 레이어에 의해 차폐될 경우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원단에 의해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이루어진 산업용 특수복이 제조될 경우,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특성에 의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된 산업용 특수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에어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져서 통기성 및 건조력이 우수한 제 3 레이어의 특성에 의해 특수복이 세탁 후 신속히 건조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특수복용 원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는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메쉬 원단의 중공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메쉬 원단을 도시한 사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중공사를 도시한 사진;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직물층을 도시한 사진; 및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직물층의 또 다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 및 제 3 레이어(300)를 포함한다.
제 1 레이어(100)는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직물로 구성된다. 제 1 레이어(100)는 예컨대, 아라미드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아라미드섬유는 방향촉 폴리아미드 섬유로 메타 아라미드섬유 또는 파라 아라미드섬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아라미드섬유는 내열성, 난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인장강도로 인하여 5mm 정도 굵기의 가느다란 원사가 2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제 1 레이어(100)는 경우에 따라 PBI(Polybenzimidazole) 40% 및 파라아라미드(Para-Aramid) 60%로의 혼방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PBI는 섬유자체에 화염 저항성과 열 안전성을 지닌 섬유로 화염과 고온에 노출되어도 수축 또는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층으로 열을 전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레이어(100)는 소방복 내지 화학보호복 등과 같은 특수복의 겉감으로 사용될 경우 이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활동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 1 레이어(100)는 소방복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표면이 발수처리될 수도 있다. 즉, 제 1 레이어(100)는 발수처리된 아라미드 원단 또는 전술한 혼방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레이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의 속면을 이루는 일측면에 배치되어 제 1 레이어(100)의 일측면에 하나의 섬유층을 제공한다. 제 3 레이어(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의 메쉬를 형성하는 통기공(300a)이 촘촘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공(P)을 갖는 중공사로 이루어진 에어 메쉬 원단으로 구성된다. 제 3 레이어(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장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제 3 레이어(30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소망하는 두께에 따라 에어 메쉬 원단이 복수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3 레이어(300)는 요구되는 단열성능이나 착용감 등에 의해 적층된 에어 메쉬 원단의 수량이 결정된다.
제 3 레이어(300)는 구성된 통기공(300a) 및 기공(氣孔)을 제공하는 중공(P)에 의해 통기성 및 건조력이 향상되며, 에어셀 역할을 하는 중공(P)을 통해 단열효과를 제공하거나 습기를 순환시켜서 쾌적함을 제공한다.
제 3 레이어(300)는 제 1 레이어(100)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제 1 레이어(100)와 일체를 이룰 수 있고, 이와 달리 제 1 레이어(100)에 부착된 또 다른 레이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 1 레이어(100)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직접 부착될 경우, 제 3 레이어(300)는 도트 접착 또는 메쉬 접착에 의해 제 1 레이어(100)에 부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와 일체를 이룬다. 하지만, 제 3 레이어(300)는 전술한 바와 달리 테두리만 제 1 레이어(100)에 재봉 등으로 고정되어 제 1 레이어(100)와 이격된 상태로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레이어(300)는 제 1 레이어(100)와 이격됨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왜냐하면, 제 3 레이어(300)는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이루어진 산업용 특수복으로 제조되어 착용될 경우 제 1 레이어(100)와 분리되어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착용자는 활동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전술한 에어 메쉬 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은 중공(P)이 형성되고, 전술한 그물형태의 통기공(300a)이 형성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에어 메쉬로 불리운다. 이러한 에어 메쉬 원단은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중공사가 다발형태로 이루어진 원사(301)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 메쉬 원단은 하나의 원사(301)에 다수의 중공(P)이 구비되므로 단열성 및 통기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에어 메쉬 원단은 열기차단을 위해 제 1 레이어(100)와 같은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에어 메쉬 원단은 아라미드섬유 또는 파라 아라미드섬유로 구성되거나, PBI(Polybenzimidazole)와 파라아라미드(Para-Aramid)의 혼방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는,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직물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어(100)가 고온의 열기를 차단하고, 에어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진 제 3 레이어(300)가 통기공 및 탄성을 제공하여 습기나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면서 유연성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므로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레이어(100)가 내열성과 난연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아라미드 섬유 또는 파라아라미드가 혼합된 섬유로 구성되므로 고열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뾰족한 물건의 관통을 최대한 억제하여 화재 또는 화학물질로 오염된 공간에서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3 레이어(300)가 에어 메쉬 원단으로 구성되어 경량성과 유연성 및 탄력성, 그리고 탁월한 건조성능을 제공하므로 착용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으며, 세탁되거나 화재진압시 물에 젖더라도 신속하게 건조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는 제 1 레이어(100) 및 제 3 레이어(300)에 의해 소방복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방수성 또는 내화학성의 부재가 구비될 경우 화학보호복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1 레이어(100) 및 제 3 레이어(300) 사이에 제 2 레이어(200)가 구비되어 다층으로 구성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레이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 및 제 3 레이어(300)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가능한 재질의 박막재이다. 제 2 레이어(200)는 예컨대, 테프론계 수지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한 작은 구멍을 형성한 얇은 막의 형태를 갖는 고어텍스(Gore-tex), 방수와 방풍 및 투습성을 동시에 갖춘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 액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PE(Polyethylene)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기상의 유독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EVOH(Ethylenevinyl alcohol), 강산성 및 알카리성 화학물질에 대해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갖는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또는 용제 및 화학약품에 우수한 내화학성을 갖는 불소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이나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레이어(200)는 테프론계 수지, PE, EPTFE, PET, PTFE, EVOH, ETFE 및 불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내화학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레이어(200)는 착용감 및 경량화를 위해 전술한 종류들 중에서 탄력성을 갖고 신축변형되는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제 2 레이어(200)는 멤브레인이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이므로 제 1 레이어(100)의 일측면을 수밀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에 의해 신축변형된다. 따라서, 제 2 레이어(200)는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면서 방수성을 제공한다.
제 2 레이어(200)는 제 1 레이어(100)나 제 3 레이어(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도트 접착 또는 메쉬 접착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이어(200)는 제 1 레이어(100)의 일측면, 즉 속면(안쪽)을 방수하면서 화학물질의 투과를 차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는, 제 1 레이어(100) 내지 제 3 레이어(300)에 의해 다층으로 구성되므로 단열성능이 강화되어 열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 2 레이어(200)에 의해 방수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물질로부터 착용자를 좀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레이어(200)가 고어텍스와 같은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경우,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물은 차단하면서 착용자의 땀은 원활하게 방출하므로 착용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착용시의 불편함이 감소되므로 활동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안 작업이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안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레이어(400)가 구비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레이어(400)는 제 1 레이어(100)와 동일한 재질의 직물로 이루어진다. 즉, 제 4 레이어(400)는 아라미드 섬유 또는 전술한 혼방 섬유로 구성된다. 제 4 레이어(40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 및 제 3 레이어(300)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달리, 제 4 레이어(40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또는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전술한 제 2 레이어(200) 및 제 1 레이어(100)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 4 레이어(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에 적층된다. 따라서, 제 4 레이어(400)는 제 1 레이어(100)와 함께 열기를 이중으로 차단한다.
이와 또 달리, 제 4 레이어(40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레이어(300)에 중첩되어 제 3 레이어(300)의 속면을 차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레이어(300)는 제 1 레이어(100) 및 제 4 레이어(400) 사이에 단열작용을 하는 공기층을 실질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 4 레이어(400)는 제 3 레이어(300)의 속면에서 열기를 차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제 4 레이어(400)는 제 1 레이어(100)나 제 2 레이어(200) 또는 제 3 레이어(300)에 전술한 방식으로 부착되거나 재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 4 실시예는 제 1 레이어(100) 및 제 4 레이어(400)에 의해 내열성 및 난연성이 뛰어난 아라미드섬유가 2중 구조를 형성하므로 고온의 열로부터 착용자를 더욱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 레이어(400)가 제 3 레이어(300)의 속면을 차폐할 경우, 제 3 레이어(300)가 공기층을 제공하므로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층을 형성하는 제 5 레이어(500)가 구비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5 레이어(500)는 예컨대, 단열이 가능하면서 탄성을 제공하는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제 5 레이어(500)는 내열성 및 내구성을 위해 고강도의 폴리에스테르계의 섬유나 아라미드 계열의 섬유 또는 나일론계열의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5 레이어(500)는 고강도를 가지면서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한 PBO(Poly-phenylene benzobisoxazole)나 메타 또는 파라아라미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제 5 레이어(500)는 다양한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나,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아라미드계열의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PBO나 파라아라미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 5 레이어(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레이어(300)에 중첩되어 제 3 레이어(300)에 단열층을 제공한다. 제 5 레이어(50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레이어(300)에 중첩되어 제 1 레이어(100)에 적층되거나,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레이어(200)에 적층될 수도 있다. 제 5 레이어(500)는 제 3 레이어(300)에 재봉이나 본딩으로 부착되어 제 3 레이어(300)와 동일체를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 4 실시예는 제 5 레이어(500)가 단열층을 제공하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착용자를 고온의 열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공간(S)이 구비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공간(S)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되는 전술한 각 레이어들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공간(S)은 제 1 레이어(100)와 제 2 레이어(200) 및 제 3 레이어(300)의 테두리가 전술한 방식으로 본딩 또는 봉재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봉재 또는 본딩됨에 따라 제 1 레이어(100) 내지 제 3 레이어(300)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열공간(S)은 제 1 레이어(100)와 제 2 레이어(200) 사이에 스페이서(미도시)를 마련하여 제 1 레이어(100)와 제 2 레이어(200)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는 예컨대, 제 1 레이어(100)와 제 2 레이어(200) 사이에 단열공간(S)이 형성되도록, 제 2 레이어(200)를 이루는 테프론계 수지를 도트 형태로 돌출시킨 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 5 실시예는 단열공간(S)이 공기층을 제공하여 열기를 단열한다. 따라서, 제 5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고온의 열로부터 착용자를 더욱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의 표면에 제 6 레이어(600)가 구비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6 레이어(6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 1 레이어(100)의 외측면을 방수가능하게 차폐한다. 제 6 레이어(600)는 고무 또는 테프론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6 레이어(600)는 고무나 테프론계 수지가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제 1 레이어(100)의 외측면을 차폐한다. 따라서, 제 6 레이어(600)는 제 1 레이어(100)의 표면을 방수하면서 화학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이상과 같은 제 6 실시예는 제 6 레이어(600)를 통해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므로 화학보호복에 이용될 수 있다.
<제 7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층(700)이 구비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물층(70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의 원단으로 구성된다. 직물층(700)은 제 3 레이어(300)를 구성하는 에어 메쉬 원단의 제조시 함께 제조되어 제 3 레이어(300)와 동일체를 이룬다. 즉, 직물층(700)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메쉬 원단과 일체를 이룬다.
직물층(700)은 도 12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레이어(300)에 형성된 통기공(300a)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그물망 형태의 관통공(700a)에 의해 메쉬 원단으로 구성된다. 직물층(700)은 관통공(700a)이 구비될 경우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 3 레이어(300)의 통기공(300a)과 함께 통기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직물층(700)은 메쉬가 없는 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직물층(700)은 제 3 레이어(30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제 3 레이어(300)와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직물층(700)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2 레이어(200) 또는 제 1 레이어(100)에 부착될 수 있다. 직물층(700)은 통기공(300a)에 의해 표면적이 실질적으로 감소된 제 3 레이어(300)의 표면적을 사실상 확장시킨다. 따라서, 제 3 레이어(300)는 제 2 레이어(200) 또는 제 1 레이어(100)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와 달리, 직물층(700)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레이어(300)가 제 1 레이어(100)나 제 2 레이어(200)를 향할 경우 제 1 레이어(100) 또는 제 2 레이어(20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직물층(700)은 또 다른 레이어가 부착되거나, 우수한 촉감(부드러움)을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속감으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제 7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레이어(300)의 중량을 크게 가중시키지 않으면서 제 3 레이어(300)의 표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시키며, 관통공(700a)을 통해 통기성을 제공한다.
<제 8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801) 및/또는 금속성 도막(803)으로 구성된 추가 레이어(800)가 구비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가 레이어(8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필름(801)으로 구성되어 제 1 레이어(100) 및 제3 레이어(300) 사이에 개재된다. 필름(801)은 전술한 접착방식에 의해 예컨대, 제 1 레이어(100)나 제 3 레이어(300) 또는 전술한 직물층(700)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진 전술한 제 4 레이어(400)에 부착되어 제 1 레이어(100) 및 제 3 레이어(30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필름(801)은 제 1 레이어(100) 및 제 3 레이어(300) 사이를 수밀한다.
필름(80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도막(803)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도막(803)은 은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803)은 제 1 레이어(100)의 속면으로 유입되는 열기를 반사하여 착용자를 열기로부터 보호한다.
이상과 같은 제 8 실시예는 필름(801)을 통해 수밀이 가능하고, 도막(803)을 통해 열기를 반사할 수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은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이루어진 산업용 특수복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경우, 특수복 원단은 소방복 또는 화학보호복의 겉감이나 외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안감이나 내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특수복 원단은 겉감으로 사용될 경우 제 1 레이어(100)가 외부의 열기에 노출되는 표층면으로 사용되고, 제 3 레이어(300)가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하는 내측면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에 의해 제조된 산업용 특수복은 전술한 레이어 등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우수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 그리고 우수한 착용감 및 경량화를 제공하며, 우수한 통기성 및 건조력을 제공함에 따라 세탁 후 신속히 건조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제 1 레이어 200 : 제 2 레이어
300 : 제 3 레이어 300a : 통기공
301 : 중공사 400 : 제 4 레이어
500 : 제 5 레이어 600 : 제 6 레이어
700 : 직물층 800 : 추가 레이어
P : 중공 S : 단열공간

Claims (8)

  1. 내열성이나 난연성의 직물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어(100); 및
    상기 제1 레이어(100)의 일측면에 하나의 섬유층을 제공하고, 중공(P)을 갖는 중공사로 이루어진 단일의 에어 메쉬 원단으로 구성되어 통기공 및 탄성을 제공하는 제 3 레이어(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이어(100)는 아라미드섬유로 구성되거나, PBI(Polybenzimidazole) 및 파라아라미드(Para-Aramid)로 혼방 제조되며,
    상기 제 1 레이어(100) 및 상기 제 3 레이어(300) 사이에 개재되고, 방수가능한 재질로 구성된 박막의 제 2 레이어(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레이어(300)는,
    상기 에어 메쉬 원단의 제조시 함께 제조되어 동일체를 이루는 박형의 직물층(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직물층(700)은,
    상기 제 3 레이어(300)의 통기공 직경에 대응되거나 상이한 직경을 갖는 그물망 형태의 관통공(700a)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레이어(300)에 중첩되어 상기 제 2 레이어(200) 및 상기 제 3 레이어(30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3 레이어(300)에 단열층을 제공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 5 레이어(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레이어(500)는,
    파라아라미드 또는 PBO(Poly-phenylene benzobisoxazol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레이어(100)의 외측면을 방수가능하게 차폐하는 제 6 레이어(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6 레이어(600)는,
    상기 제 1 레이어(100)의 외측면에 방수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하도록 고무 또는 테프론계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층(700)은,
    상기 제 3 레이어(300)가 상기 제 2 레이어(200)를 향하여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 1 레이어(100)나 상기 제 2 레이어(200)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며,
    상기 제 1 레이어(100)와 상기 제 2 레이어(200) 및 상기 제 3 레이어(300)는, 테두리가 본딩 또는 봉재되어 서로 간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공하는 단열공간(S)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특수복 원단.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이어(200)는, 고무상 탄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레이어(100)의 일측면을 수밀하면서 등방성의 탄력에 의해 신축변형되는 박막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산업용 특수복 원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100)와 동일한 재질의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레이어(100) 및 상기 제 3 레이어(300) 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제 3 레이어(300)에 중첩되어 상기 제 3 레이어(300)를 차폐하는 제 4 레이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특수복 원단.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원단에 의해 제조된 소방복이나 화학보호복으로 이루어진 산업용 특수복.
KR1020160037068A 2016-03-28 2016-03-28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KR10171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68A KR101710894B1 (ko) 2016-03-28 2016-03-28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68A KR101710894B1 (ko) 2016-03-28 2016-03-28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894B1 true KR101710894B1 (ko) 2017-02-28

Family

ID=5854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068A KR101710894B1 (ko) 2016-03-28 2016-03-28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222A1 (zh) * 2018-06-26 2020-01-02 盐城金弘业服饰有限公司 一种抗寒便于拆卸式服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486A (ja) * 1994-08-29 1996-03-05 Unitika Ltd 軽量保温性繊維布帛
JP2001214318A (ja) * 2000-02-01 2001-08-07 Teijin Ltd 耐熱性防護服
KR100930511B1 (ko) * 2009-06-15 2009-12-09 주식회사 산청 화기차단용 특수복의 안감 및 이에 의한 특수복
KR101407688B1 (ko) * 2013-12-09 2014-06-13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486A (ja) * 1994-08-29 1996-03-05 Unitika Ltd 軽量保温性繊維布帛
JP2001214318A (ja) * 2000-02-01 2001-08-07 Teijin Ltd 耐熱性防護服
KR100930511B1 (ko) * 2009-06-15 2009-12-09 주식회사 산청 화기차단용 특수복의 안감 및 이에 의한 특수복
KR101407688B1 (ko) * 2013-12-09 2014-06-13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222A1 (zh) * 2018-06-26 2020-01-02 盐城金弘业服饰有限公司 一种抗寒便于拆卸式服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926B2 (en) Protective garment with vent features
US8719969B2 (en) Protective garment with thermal liner having varying moisture attraction
CA2903551C (en) Garments made from moisture-insensitive thermally protective materials
KR101614873B1 (ko)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JP5400459B2 (ja) 耐熱性防護服
KR20130116312A (ko) 배리어 특성을 가진 장갑
KR100930511B1 (ko) 화기차단용 특수복의 안감 및 이에 의한 특수복
KR20200037232A (ko) 소방관 및 응급 의료요원을 위한 내염성 통기성 보호 의복
KR101710894B1 (ko)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US20060217020A1 (en) Single-layer waterproof insulating system
KR101648522B1 (ko)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
KR101614875B1 (ko)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KR20130083401A (ko)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및 겹쳐입기용 의복군
CA2879958C (en) Protective garment with elastic thermal barrier portions
JP2006016709A (ja) 耐熱性防護服
JP7379691B2 (ja) テキスタイル複合材料及び履物
JP3120101U (ja) 外衣用の消防用耐熱布
KR20210127855A (ko) 방화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