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401A -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및 겹쳐입기용 의복군 - Google Patents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및 겹쳐입기용 의복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401A
KR20130083401A KR1020130002188A KR20130002188A KR20130083401A KR 20130083401 A KR20130083401 A KR 20130083401A KR 1020130002188 A KR1020130002188 A KR 1020130002188A KR 20130002188 A KR20130002188 A KR 20130002188A KR 20130083401 A KR20130083401 A KR 20130083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complementary
layer
inner layer
lay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타로 가나야마
Original Assignee
파인트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인트랙 filed Critical 파인트랙
Publication of KR2013008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41D31/125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5층 겹쳐입기 구조에 추가로 겹쳐입기시켜 외측 2층의 웨어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층 겹쳐입기 구조에 추가로 겹쳐입기하기 위한 보완 웨어는 상기 5층 겹쳐입기 구조 안의 최외층인 아우터 웨어(5)의 바로 내측에 착의되는 제1 보완 웨어(10)를 가지고 6층 겹쳐입기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웨어(5)의 바로 외측에 착의되는 제2 보완 웨어(20)를 가지고 7층 겹쳐입기 구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및 겹쳐입기용 의복군{Complement wear for layering and garments group for layering}
본 발명은 5층 겹쳐입기 구조에 추가로 겹쳐입기하기 위한 보완 웨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고산 등 극히 저온도의 혹독한 환경에서의 등산, 극지 탐험 작업 등의 활동에 이용되는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레이어링(layering, 겹쳐 입는 것)은 아웃도어 스포츠에서 자주 이용되고 있었다. 레이어링의 많은 사례로서, 3층 겹쳐입기 구조가 운동성 유지, 겹쳐입기 구조의 두께·중량면에서 일반적이고, 또한 많은 아웃도어 제조업체에서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면 피부측 베이스 웨어, 중간층의 미들 웨어(두꺼운 안솜 보온 웨어), 최외층의 아우터 웨어(두꺼운 방수 웨어)의 3층 겹쳐입기 구조이다. 그리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베이스 웨어 혹은 미들 웨어를 2장 중복하여 입는 경우나, 미들 웨어 위에, 예를 들면 깃털, 합성섬유 혹은 천연섬유의 안솜식, 또는 파일(pile), 기모 등 두꺼운 천의 베스트나 쟈켓을 더 껴입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3층 겹쳐입기 구조(혹은 4층 겹쳐입기 구조)로는 더욱 혹독한 환경하에서 운동 성능이나 체온 유지 기능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없고, 특히 눈산에서 조난된 경우나 장시간 움직일 수 없는 상황하에서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3층 구조의 경우, 바깥 공기와의 극심한 온도차에 의해 아우터 웨어 내부에서 발생한 결로나 땀으로 안솜 보온 웨어가 젖어 보온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그리고 한 번 젖은 안솜 보온 웨어는 잘 마르지도 않고 젖은 채로 오히려 추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5층 겹쳐입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5층(장)의 겹쳐입기로 함으로써 안쪽에 이중창과 같은 구조가 되어 결로를 대폭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낚시용 아웃도어 레저에서의 겹쳐입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겹쳐입기 시스템에서는 이너 웨어와 미들 웨어와 아우터 웨어(조끼 타입과 긴소매 타입)를 겹쳐입기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2002-30503호 공보
그러나 극지방이나 고산 등 극히 저온도의 혹독한 환경하에서는 5층 겹쳐입기 구조로도 완전하지 않은 경우가 추측된다. 예를 들면, -10℃를 밑도는 저온 환경이나 눈보라, 강풍하에서 체온을 현저히 빼앗기는 경우에는 5층 겹쳐입기로는 불충분하다고 추측된다. 또 5층 겹쳐입기 구조를 구성하는 각 층은 각각 기능이 있는데, 외측 2층에서는 방수, 내수, 투습, 보온, 결로 억제 등의 기능이 있고, 내층 3층에서는 내구 발수, 땀흡수 확산·증산(蒸散), 보온 등의 기능이 있다. 그리고 특히 외측 2층의 기능을 보완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한편 5층을 초과하여 겹쳐입기함으로써 운동성 저하가 문제가 된다. 겹쳐입기의 장수에 비례하여 총중량이나 두께도 증가하고 운동 성능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운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5층 겹쳐입기 구조에 더 겹쳐입기시켜 외측 2층의 웨어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5층 겹쳐입기 구조에 추가로 겹쳐입기하기 위한 보완 웨어로서,
상기 5층 겹쳐입기 구조 안의 최외층인 아우터 웨어의 바로 안쪽에 착의되는 제1 보완 웨어 또는,
상기 아우터 웨어의 바로 바깥쪽에 착의되는 제2 보완 웨어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보완 웨어는 상기 제1 보완 웨어 및 상기 제2 보완 웨어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5층 겹쳐입기 구조에서 4층째와 5층째 웨어 사이에 보완 웨어를 더 겹쳐입기시킴으로써 5층(장) 구조의 겹쳐입기의 이점(예를 들면, 결로방지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추가로 보온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4층째 웨어 기능(예를 들면 내수성, 보온성, 방풍성, 결로방지성)을 보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보완 웨어로서 예를 들면 깃털, 합성섬유 혹은 천연섬유의 안솜식 구조, 또는 겹쳐입기시의 압력에도 입체를 유지하는 공기실(또는 공기층)을 구비한 구조, 파일, 기모 등의 두꺼운 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온성이 우수한 구조의 보완 웨어를 겹쳐입기해도 결로나 땀에 의해 젖는 것을 대폭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결로방지성을 유지시키면서 보온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 5층 겹쳐입기 구조에서 5층째 웨어 밖에 보완 웨어를 더 겹쳐입기시킴으로써 5층째 웨어 기능(예를 들면 방수성, 보온성, 방풍성)을 보완할 수 있다. 아우터 웨어를 2중으로 겹쳐입기하게 되므로 2중 아우터 웨어간의 배리어성(방수성)을 강화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기능(결로방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5층 겹쳐입기 구조에서 상기 제 1 보완 웨어 및 제2 보완 웨어를 더 겹쳐입기시킴으로써 5층(장) 구조의 겹쳐입기의 이점(예를 들면, 결로방지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추가로 보온성을 강화할 수 있고, 또한 배리어성(방수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 제1 보완 웨어 또는 제2 보완 웨어는 스트레치성을 가진 천구조가 있다. 이로써 운동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에서 상기 5층 겹쳐입기 구조가 피부측 제1 내층 웨어와 해당 제1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2 내층 웨어와, 해당 제2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3 내층 웨어와, 해당 제3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4 내층 웨어와, 해당 제 1 보완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아우터 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피부에서 발생한 땀을 제1 내층 웨어에서 재빨리 투과시키고(내구 발수성을 위해 땀이나 비에 다시젖음을 방지), 땀이 제2 내층 웨어에서 흡수 확산되고, 또한 제3 내층 웨어의 땀흡수 증산성으로 기화된다. 기화된 땀은 제4 내층 웨어 및 제1 보완 웨어, 아우터 웨어(및 제2 보완 웨어)에서 투습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예를 들면 피부면에 직접 닿는 제1 내층 웨어를 발수성 천으로 구성하고, 그 위에 착의되는 제2 내층 웨어와 제3 내층 웨어를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조습성(調濕性) 등의 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은 피부측 제1 내층 웨어와, 해당 제1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2 내층 웨어와, 해당 제2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3 내층 웨어와, 해당 제3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4 내층 웨어와, 해당 제4 내층 웨어의 위쪽에 겹쳐입기되는 아우터 웨어로 구성되어 있는 5층 겹쳐입기 구조에서,
상기 제4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고, 또한 상기 아우터 웨어의 바로 안쪽에 착의되는 제1 보완 웨어 또는 상기 아우터 웨어의 바로 바깥쪽에 착의되는 제2 보완 웨어를 가지고 6층 겹쳐입기 구조를 형성하고, 또는 상기 제1 보완 웨어 및 상기 제2 보완 웨어를 가지고 7층 겹쳐입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쳐입기용 의복군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6층 겹쳐입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2의 7층 겹쳐입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3의 6층 겹쳐입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형태 1: 6층 겹쳐입기 구조)
도 1에 6층의 겹쳐입기 구조를 도시한다. 제1 내층 웨어(1)는 피부에 직접 착의된다. 제1 내층 웨어(1)는 발수성이 있어 땀을 재빨리 통과시키고 또한 다시 젖음을 방지한다. 제1 내층 웨어(1)는, 예를 들면 발수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천이다.
도 1의 부호A는 땀의 이동으로서, 땀이 제1 내층 웨어(1)에서 아우터 웨어(5)까지 순서대로 통과(투습 성능)하여 가는 것을 나타낸다. 부호B는 다시 젖음(땀 혹은 비)을 방지(방수 성능)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2 내층 웨어(2)는 제1 내층 웨어(1) 위에 착의된다. 제2 내층 웨어(2)는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및 조습성을 가지고 제1 내층 웨어(1)로부터의 땀을 흡수하여 확산한다. 제2 내층 웨어(2)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나 울, 비단, 면 등의 천연섬유 혹은 이들의 혼방으로 만들어진 천이다. 도 1의 부호C는 땀흡수 확산성, 증산성을 나타낸다.
제3 내층 웨어(3)는 제2 내층 웨어(2) 위에 착의된다. 제3 내층 웨어(3)는 보온성 및 땀흡수 확산성, 증산성을 가지고 땀을 기화시킨다. 제3 내층 웨어(3)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나 울, 비단, 면 등의 천연섬유 혹은 이들의 혼방으로 만들어진 천이다. 도 1의 부호C는 땀흡수 확산성, 증산성을 나타낸다.
제4 내층 웨어(4)는 제3 내층 웨어(3) 위에 착의된다. 제4 내층 웨어(4)는 방풍성, 보온성 및 방수 투습성을 가지고 기화된 땀을 외부로 투습(투과)시킨다. 제4 내층 웨어(4)는, 예를 들면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 불소 피막 또는 폴리우레탄 피막,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의 3층 구조이다.
아우터 웨어(5)는 후술하는 제1 보완 웨어(10) 위에 착의된다. 아우터 웨어(5)는 방한성, 방풍성, 방수 투습성, 내우성(耐雨性)을 가지고 기화된 땀을 외부로 투습(투과)시킨다. 아우터 웨어(5)는, 예를 들면 스트레치성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 불소 피막 또는 폴리우레탄 피막,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의 3층 구조이다. 아울러 각 웨어는 상기 기능을 갖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기능을 생략하고 별도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제1 보완 웨어(10)는 제4 내층 웨어(4) 위에 또한 아우터 웨어(5) 아래에 착의된다. 제1 보완 웨어(10)는 방풍성, 보온성, 투습성 및 소수성을 가진다. 이로써 5층(장) 구조의 겹쳐입기의 이점(예를 들면, 결로방지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추가로 보온성을 강화한다. 제1 보완 웨어(10)는, 예를 들면 깃털, 합성섬유 혹은 천연섬유의 안솜식 구조, 또는 겹쳐입기시의 압력에도 입체를 유지하는 공기실(또는 공기층)을 구비한 구조, 파일, 기모 등의 두꺼운 천이다. 제1 보완 웨어(10)의 전중량은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착용시에 운동 성능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을 억제한다.
(실시형태 2: 7층 겹쳐입기 구조)
도 2에 7층 겹쳐입기 구조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1(도 1)과 다른 것은 제2 보완 웨어(20)가 겹쳐입기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보완 웨어(20)는 아우터 웨어(5) 위에 착의된다. 제2 보완 웨어(20)는 방한성, 방풍성, 방수 투습성, 내우성을 가진다. 이로써 2중 아우터 웨어에 의해 배리어성(방수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결로방지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추가로 보온성도 강화된다. 제2 보완 웨어(20)는 상정한 것 외의 극한 상태에서는 보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보완 웨어와 같은 안솜식 구조나 파일, 기모 등 공기층을 구비한 구조의 천을 가진 구성이어도 좋다. 또 제2 보완 웨어(20)는, 예를 들면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 불소 피막 또는 폴리우레탄 피막, 나일론(또는 폴리에스테르)의 3층 구조를 가진 구성이어도 좋다. 또 제2 보완 웨어(20)는 상기 3층 구조와, 상기 안솜식 구조 및/또는 공기층을 구비한 구조를 모두 가진 구성이어도 좋다. 제2 보완 웨어(20)는 통상 경량이면서 스트레치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7층으로 겹쳐입기해도 실질적으로 운동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억제한다.
(실시형태 3: 6층 겹쳐입기 구조)
도 3에 실시형태 3의 6층 겹쳐입기 구조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1(도 1)과 다른 것은, 제1 보완 웨어(10)를 겹쳐입기하지 않고 제2 보완 웨어(20)를 겹쳐입기하는 점에 있다.
제2 보완 웨어(20)는 아우터 웨어(5) 위에 착의된다. 제2 보완 웨어(20)는 방한성, 방풍성, 방수 투습성, 내우성을 가진다. 이로써 2중 아우터 웨어간의 배리어성(방수성)을 강화할 수 있고 또한 결로방지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별도의 실시형태)
각 웨어는 상반신용 의복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반신용 의복이어도 좋다. 하반신용의 경우, 예를 들면 아우터 웨어로서 방한성, 방풍성, 방수성 등이 있는 바지나, 내층 웨어로서 예를 들면 타이즈, 레깅스, 하프 팬츠 등을 들 수 있다.
또 의복을 구성하는 각 웨어의 실 재료, 봉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또 각종 가공 처리(예를 들면 발수 가공, UV컷 가공 등)도 적절히 시행되어 있어도 좋다.
또 체온 조정을 재빨리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제3 내층 웨어(3), 제4 내층 웨어(4), 아우터 웨어(5), 제1 보완 웨어(10), 제2 보완 웨어(20) 각각에 벤트 기능을 가진 개폐 자유로운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웨어에서의 개구부는 겹쳐입기된 두께 방향(단면 방향)으로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고, 착용시에는 상하 웨어층과 같은 위치(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각 개구부가 옆구리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 제1 내층 웨어
2 제2 내층 웨어
3 제3 내층 웨어
4 제4 내층 웨어
5 제5 내층 웨어
10 제1 보완 웨어
20 제2 보완 웨어

Claims (4)

  1. 5층 겹쳐입기 구조에 추가로 겹쳐입기하기 위한 보완 웨어로서,
    상기 5층 겹쳐입기 구조 내의 최외층인 아우터 웨어의 바로 내측에 착의되는 제1 보완 웨어 또는,
    상기 아우터 웨어의 바로 외측에 착의되는 제2 보완 웨어를 가지는 보완 웨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완 웨어 및 상기 제2 보완 웨어를 가지는 보완 웨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5층 겹쳐입기 구조가 피부측 제1 내층 웨어와, 해당 제1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2 내층 웨어와, 해당 제2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3 내층 웨어와, 해당 제3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4 내층 웨어와, 해당 제 1 보완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아우터 웨어로 구성되어 있는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4. 피부측 제1 내층 웨어와, 해당 제1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2 내층 웨어와, 해당 제2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3 내층 웨어와, 해당 제3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는 제4 내층 웨어와, 해당 제4 내층 웨어의 위쪽에 겹쳐입기되는 아우터 웨어로 구성되어 있는 5층 겹쳐입기 구조에서,
    상기 제4 내층 웨어 위에 겹쳐입기되고, 또한 상기 아우터 웨어의 바로 안쪽에 착의되는 제1 보완 웨어 또는 상기 아우터 웨어의 바로 바깥쪽에 착의되는 제2 보완 웨어를 가지고 6층 겹쳐입기 구조를 형성하고, 또는 상기 제1 보완 웨어 및 상기 제2 보완 웨어를 가지고 7층 겹쳐입기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쳐입기용 의복군.
KR1020130002188A 2012-01-12 2013-01-08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및 겹쳐입기용 의복군 KR201300834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4250A JP2013142213A (ja) 2012-01-12 2012-01-12 重ね着用の衣服および重ね着用衣服群
JPJP-P-2012-004250 2012-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401A true KR20130083401A (ko) 2013-07-22

Family

ID=4766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188A KR20130083401A (ko) 2012-01-12 2013-01-08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및 겹쳐입기용 의복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80026A1 (ko)
EP (1) EP2614735A3 (ko)
JP (1) JP2013142213A (ko)
KR (1) KR20130083401A (ko)
CN (1) CN103202549A (ko)
CA (1) CA2801542A1 (ko)
TW (1) TW2013408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5557A (zh) * 2014-11-05 2015-01-28 江苏大唐世家服饰有限公司 一种轻质透气保暖型夹克
US10631580B2 (en) * 2017-01-17 2020-04-28 Nike, Inc. Waistband with support panel
CN112644130B (zh) * 2020-09-22 2022-09-06 南通衣依衬布有限公司 一种防风透湿保温复合衬及其生产工艺
CN115845284B (zh) * 2022-11-11 2023-08-15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间歇式消防救援冷却降温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9878A1 (de) * 1981-12-16 1983-06-23 W.L.Gore & Co. GmbH, 8011 Putzbrunn Bekleidungsstueck mit einer wasserdichten und wasserdampfdurchlaessigen funktionsschicht
JPS5959903A (ja) * 1982-09-28 1984-04-05 中路 信義 十二単
JP2815052B2 (ja) * 1990-05-02 1998-10-27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防寒被服セット
US7147911B2 (en) * 1996-11-12 2006-12-12 Solidawater Holdings Waterproof/breathable technical apparel
JP2002030503A (ja) * 2000-07-21 2002-01-31 Shimano Inc アウトドアレジャーにおける重ね着システム
JP3081326U (ja) * 2001-04-24 2001-11-02 由紀子 中村 ボタン着物
US6645887B2 (en) * 2001-05-17 2003-11-11 Burlington Industries, Inc. Durable waterproof breathable laminate
US7013489B1 (en) * 2002-06-13 2006-03-21 Mcgrath Diverse Products, L.L.C. Liner and garment ensemble for thermal wear and anti-exposure suits
US20090205116A1 (en) * 2005-09-30 2009-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laminate and associated methods
JP3138876U (ja) * 2007-11-05 2008-01-24 株式会社Mic レーシーベルト
ES2427643T5 (es) * 2008-11-13 2018-03-14 Otmar Schneider Estructura de tejidos para una ropa de protección
CN201888266U (zh) * 2010-11-16 2011-07-06 东华大学 一种野外作业用全天候可识别多功能服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42213A (ja) 2013-07-22
US20130180026A1 (en) 2013-07-18
EP2614735A2 (en) 2013-07-17
CA2801542A1 (en) 2013-07-12
EP2614735A3 (en) 2013-11-06
CN103202549A (zh) 2013-07-17
TW201340899A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819A (en) Garment with moisture vapor transmissive wind barrier panels
US6427242B1 (en) Garment lining system characterized by localized performance properties
KR101753814B1 (ko)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KR102123340B1 (ko) 통기성 의복
US5021280A (en) Waterproof sweat-transmitting clothing insulation
CA2853056C (en) Multi-layered garment
WO2011063472A1 (en) Waterproof breathable stretchable composite material
US20120023631A1 (en) Water-sport garment with breathable fabric panels
CN1395892A (zh) 一种衣服的透气系统
KR20130083401A (ko) 겹쳐입기용 보완 웨어 및 겹쳐입기용 의복군
JP5944286B2 (ja) 保温透湿性機能衣料
KR101614873B1 (ko)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US20060217020A1 (en) Single-layer waterproof insulating system
JPH08302506A (ja) 低温用の保護衣類
US20160135529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garment
CN111772255A (zh) 兼具抗结冰和保暖性能的消防员灭火防护服
KR940003450B1 (ko) 방한복
US20190133225A1 (en) Wetness indicator article
TWI726372B (zh) 潛水衣及其複合布
CN210617517U (zh) 一种双面膜复合结构的无纺布
KR101710894B1 (ko) 산업용 특수복 원단 및 이에 의한 산업용 특수복
JP2815052B2 (ja) 防寒被服セット
Mathur et al. Protective clothing for extreme cold region
KR101614875B1 (ko) 소방복 및 화학보호복의 특수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특수복
CN212697745U (zh) 一种兼具抗结冰和保暖性能的消防员灭火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