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338B1 -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 Google Patents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338B1
KR101286338B1 KR1020120107144A KR20120107144A KR101286338B1 KR 101286338 B1 KR101286338 B1 KR 101286338B1 KR 1020120107144 A KR1020120107144 A KR 1020120107144A KR 20120107144 A KR20120107144 A KR 20120107144A KR 101286338 B1 KR101286338 B1 KR 10128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layer
fabric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2010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6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against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oxic or hostile environments; ABC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butyl or halobuty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9/00Synthetic rubbe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섬유재로 형성된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일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는 고무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유독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나 요철로 이루어진 압출문양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상기 원단에 의해 제조된 화학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단을 구성하는 필름층의 표면에 일직선 형태의 압출문양이 형성되므로 필름층의 강성이 보강되어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화학보호복을 구성하는 보호복본체가 전술한 원단들의 재봉을 통해 형성되면서 인접된 원단들의 압출문양이 재봉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보호복본체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으며, 만약 어느 한부분의 원단이 찢어진 경우에도 찢어짐이 다른 원단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TEXTILES FOR CHEMICAL PROTECTIVE SUITS AND CHEMICAL PROTECTIVE SUITS MADE OF SUCH TEXTILES}
본 발명은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유해성을 갖는 액체 또는 기체의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격리시켜 보호할 수 있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보호복은 내화학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되어 화생방지역이나 유해성 화학물질로 오염된 산업현장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화학보호복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보호층이 코팅된 아라미드나 나일론과 같은 원단으로 제조된다.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선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9207호에 개시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화학보호복이 있다.
선행기술의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재 직물(1), 직물(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12), 부틸고무층(14), 불소계 폴리머층(16)과, 직물(1)의 이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는 클로로프렌 고무층(12), 불소계 폴리머층(16) 및 화학보호필름(2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직물(1)의 양면에 클로로프렌 고무층(12)이 제각기 적층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재료비가 많이 소요된다.
특히, 선행기술의 화학보호복용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22)이 평면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충격에 의해 쉽게 찢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화학보호복으로 제조된 경우 필름층(22)의 찢어진 틈을 통해 화학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다.
KR 10-929207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섬유층의 일면에 고무층이 적층되고 섬유층의 타측면에 필름층이 적층됨에 따라 고무층이 중복되지 않으며, 특히 필름층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보강될 수 있는 화학보호복용 원단을 제공하기 위함이 하나의 목적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원단들의 재봉을 통해 보호복본체를 형성하면서 인접된 원단들의 요철방향을 상이하게 배치하여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는 화학보호복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하나의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학복용 원단은, 섬유재로 형성된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일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는 고무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유독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나 요철로 이루어진 압출문양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을 포함한다.
상기 필름층은 예컨대, 상기 압출문양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에 타측면이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제1필름; 및 상기 제1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필름의 일측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1필름의 압출문양과 상이한 방향의 압출문양이 표면에 형성된 제2필름;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층은 예컨대, 상기 섬유층의 일측면에 피막형태로 도포되며,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진 클로로프렌 고무층이나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부틸 고무층 또는 불소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불소계 폴리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화학보호복은, 섬유재로 형성된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일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는 고무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유독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나 요철로 이루어진 압출문양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원단; 상기 원단으로 재단 및 재봉되면서 신체의 하체와 상체 및 머리를 제각기 차폐하는 하체부, 상체부 및 후드부가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부의 일부분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절개부가 마련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방에 따라 신체에 착용되며, 상기 후드부의 전방에 개방구가 마련되어 안면을 노출시키는 보호복본체; 상기 보호복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원단의 재봉부위를 따라 융착되어 상기 보호복본체를 실링하는 심테이프; 상기 보호복본체를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소통수단; 상기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복본체에 일측이 재봉되면서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절개부의 폐쇄에 따라 타측이 상기 절개부를 차폐하는 차폐날개; 및 상기 차폐날개가 상기 절개부를 차폐한 상태로 상기 차폐날개의 타측을 상기 보호복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복본체는, 상기 원단들의 재봉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원단들의 필름층들이 내면을 형성하고, 재봉부위를 중심으로 인접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필름층들의 요철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통수단은 예컨대, 상기 보호복본체에 마련된 상기 후드부의 개방구를 투시가능하게 차폐하여 상기 보호복본체를 밀폐시키는 투명체의 투시창; 상기 투시창에 의해 밀폐된 상기 보호복본체에 마련되고,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탱크의 연결을 허용하여 상기 보호복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밸브; 및 상기 보호복본체에 소통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보호복본체의 내부공기를 상기 보호복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상기 소통수단은 예컨대, 상기 보호복본체에 마련된 상기 후드부의 개방구를 통해 안면에 씌워지면서 공기를 공급하는 마스크; 및 상기 후드부의 개방구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의 테두리에 밀착되면서 상기 마스크와 함께 상기 보호복본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예컨대, 상기 개방구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되어 상기 마스크의 테두리와 밀착되며, 상기 마스크와 소통하는 소통공이 관통형성된 탄성재의 고무막; 및 상기 고무막의 재봉부위를 따라 부착되어 상기 고무막의 테두리를 실링하는 심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무막의 내측테두리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테두리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상기 고무막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차폐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폐날개의 타측에 마련되는 암형 벨크로테이프; 및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호복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암형 벨크로테이프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형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에 의하면, 원단을 구성하는 필름층의 표면에 일직선 형태의 압출문양이 형성되므로 필름층의 강성이 보강되어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필름층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면서 필름층들의 압출문양들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되므로 필름층의 강성이 더욱 보강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고무층이 섬유층의 일측면에 피막형태로 도포되면서 클로로프렌 고무층이나 부틸고무층 또는 불소계 폴리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므로 다양한 화학성분에 대항할 수 있다.
그리고, 화학보호복을 구성하는 보호복본체가 전술한 원단들의 재봉을 통해 형성되면서 인접된 원단들의 압출문양이 재봉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보호복본체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으며, 만약 어느 한부분의 원단이 찢어진 경우에도 찢어짐이 다른 원단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소통수단이 투시창과 공급밸브 및 배출밸브로 구성될 경우, 보호복본체의 내부 전체에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착용자가 호흡마스크 없이도 자유로이 호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통수단이 마스크 및 실링부재로 구성될 경우, 보호복본체의 후드부에 일체로 마련된 실링부재가 마스크의 테두리를 실링하므로 방독면이나 공기호흡기 등과 같이 다양한 마스크의 착용이 가능하다.
특히, 실링부재를 구성하는 고무막이 탄성력을 통해 마스크의 테두리와 밀착되면서 소통공을 통해 마스크와 소통하므로 보호복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호복본체를 착용할 수 있다.
더욱이, 고무막의 내측테두리에 보강테가 마련되므로 마스크와의 밀착부위를 더욱 안정적으로 실링할 수 있으며, 고무막의 강성이 증가되므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또, 패스너를 구성하는 벨크로테이프가 차폐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마련되므로 보호복본체의 절개부 전체를 차폐함으로써 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보호복용 원단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름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보호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폐날개 및 패스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호복본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소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보호복용 원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층(110), 고무층(120) 및 필름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섬유층(110)은 원단의 베이스를 제공하는 부재로써, 내열성과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라미드섬유나 나일론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층(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층(110)의 일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섬유층(110)에 내화학성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고무층(120)은 섬유층(110)에 피막형태로 도포되면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달리 박막형태로 제조되어 미도시된 접착제에 의해 섬유층(110)에 접착되거나 고주파 또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섬유층(11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고무층(120)은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진 클로로프렌 고무층이나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부틸 고무층 또는 불소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불소계 폴리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클로로프렌 고무과 부틸고무 및 불소계 폴리머는 모두 내화학성과 내열성 및 내수성(방수성)이 우수하지만, 특히 클로로프렌 고무는 접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부틸고무는 절연성과 연신율 및 기체차단성이 우수하며, 불소계 폴리머는 용제나 화학약품에 대한 내화학성과 내수성, 내열성(열안정성), 내구성, 촉감이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
필름층(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층(110)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액체상태나 기체상태의 유독화학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일자형의 압출문양(131)이 형성된다.
압출문양(131)은 필름의 압출시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일자형의 무늬나 주름과 같은 요철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름층(130)은 폴리에틸렌(PE)이나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등의 내화학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름형태로 성형되면서 표면에 압출문양(131)들이 형성되어 섬유층(110)의 표면에 고주파나 초음파융착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달리, 필름층(130)은 미도시된 접착제에 의해 섬유층(110)에 접착될 수도 있다.
즉, 필름층(130)은 표면에 압출문양(131)이 형성됨에 따라 강성이 보강되어 특히 압출문양(131)과 직교하는 방향의 찢어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섬유층(110)은 필름층(130)의 압출문양(131)에 의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층(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압출문양(131a)이 형성된 제1필름(130a)과, 제1필름(130a)의 일측면에 부착되면서 제1필름(130a)의 압출문양(131a)과 상이한 방향의 압출문양(131b)을 갖는 제2필름(130b)으로 구성되어 적층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제1필름(130a) 및 제2필름(130b)의 압출문양(131a)(131b)과 상이한 방향의 압출문양(131c)을 갖는 제3필름(130c)이 적층될 수도 있다. 즉, 필름층(130)은 복수의 필름(130a)(130b)(130c)이 적층되면서 압출문양들(131a)(131b)(131c)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층되는 크로스라미네이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층(130)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문양들(131a)(131b)(131c)의 방향이 제각기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되므로 강성이 더욱 강화되어 어느 방향의 충격에 의해서도 찢어지지 않는다.
한편, 원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층(110)과 필름층(130)의 사이에 부직포층(150)이 마련될 수도 있다.
부직포층(150)은 원단(100)의 내열성 및 난연성을 향상시키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아라미드 섬유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층(150)은 접착제에 의해 섬유층(110) 및 필름층(130)과 접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양면에 도트형태나 메쉬형태로 접착제가 도포되면서 접착된다. 또한, 부직포층(150)은 견고한 접착을 위하여 표면에 기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엠보나 퀼트형 홈과 같은 요철이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단(100)은 전술한 부직포층(150) 대신에 섬유로 직조된 니트층이나 휄트층이 마련될 수도 있다. 니트층은 예컨대 아라미드 니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직조에 따른 섬유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원단(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 및 재봉되면서 화학보호복(10)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보호복(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원단(100), 보호복본체(200), 심테이프(300), 소통수단(400), 차폐날개(500) 및 패스너(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복본체(200)는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써, 전술한 복수의 원단(100)들의 재단 및 재봉에 의해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체부(210)와 상체부(220) 및 후드부(230)가 단일체로 형성되면서 하체와 상체 및 머리를 제각기 차폐한다. 즉, 보호복본체(200)는 통상의 우주복과 같이 원피스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복본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부(220)의 일부분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절개부(240)가 개방됨에 따라 신체에 착용되며, 후드부(230)의 전방에 개방구(231)가 마련되어 안면을 노출시킨다. 여기서, 절개부(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가 마련되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복본체(200)는 복수의 원단(100)의 재봉에 의해 형성되면서 전술한 고무층(120)이 겉면을 형성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00)의 필름층(130)들이 내면을 형성한다. 이때, 필름층(130)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압출문양(131)이 재봉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보호복본체(200)는 원단(100)들의 압출문양(131)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며, 인접한 원단(100)들의 압출문양(131)이 서로 상이한 상태로 재봉되어 하체부(210)와 상체부(220) 및 후드부(230)를 형성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심테이프(3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복본체(200)의 내부에서 원단(100)들의 재봉부위에 부착되어 재봉부위를 실링한다. 이러한 심테이프(300)는 전술한 필름층(13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봉부위에 고주파나 초음파융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부착되거나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소통수단(400)은 신체에 착용된 보호복본체(200)를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밀폐시키는 수단으로써,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창(410), 공급밸브(420) 및 배출밸브(4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투시창(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230)에 부착되어 개방구(231)를 투시가능하게 차폐한다. 이러한 투시창(410)은 투명필름으로 구성되어 개방구(231)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다. 이에 따라, 보호복본체(200)는 투시창(410)에 의해 밀폐된다.
공급밸브(420)는 보호복본체(2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부재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복본체(200)에 마련되어 미도시된 공기탱크와 연결되면서 공기탱크의 공기를 보호복본체(200)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밸브(420)는 보호복본체(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탱크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착용자가 공기탱크와 함께 보호복본체(200)를 착용함에 따라 보호복본체(200)의 내부에서 공기탱크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밸브(420)는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복본체(200)의 내부에서 하체부(210)나 후드부(230)로 연장되는 공기튜브(420a)와 연결되어 공기탱크의 공기를 보호복본체(200)의 내부에 골고루 공급할 수도 있다.
배출밸브(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복본체(200)에 마련되어 보호복본체(20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배출밸브(430)는 통상의 공기호흡기에 사용되는 체크밸브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보호복본체(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호복본체(20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보호복본체(200)는 투시창(410)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공급밸브(420) 및 배출밸브(430)에 의해 공기가 소통되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며, 착용자가 공기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호흡할 수 있다.
한편, 소통수단(400)은 전술한 바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440) 및 실링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통수단(400)은 전술한 공급밸브(420) 및 배출밸브(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마스크(4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복본체(200)의 후드부(230)에 형성된 개방구(231)를 통해 안면에 씌워지면서 공기를 공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마스크(440)는 방독면으로 구성되어 외부공기를 정화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기탱크에 연결된 공기호흡기로 구성되어 공기탱크의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실링부재(4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231)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어 마스크(440)의 테두리에 밀착되면서 마스크(440)와 함께 보호복본체(200)를 밀폐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실링부재(450)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막(451) 및 심테이프(4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무막(451)은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231)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되어 마스크(440)의 테두리와 밀착되면서 마스크(440)의 밀착부위를 실링하며, 중앙에 형성된 소통공(453)을 통해 마스크(440)와 보호복본체(200)를 소통시킨다.
심테이프(4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막(451)의 재봉부위를 따라 부착되어 고무막(451)의 재봉부위를 실링한다.
따라서, 마스크(440)는 고무막(451)에 밀착되면서 보호복본체(200)를 밀폐하며, 고무막(451)의 소통공(453)을 통해 공기를 소통시켜서 착용자를 호흡시킨다.
여기서, 마스크(440)는 고무막(451)이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보호복본체(200)가 신체에 착용된 후 후드부(230)의 바깥쪽에서 안면에 착용될 수 있음은 물론, 안면에 착용된 상태로 후드부(230)의 안쪽에서 고무막(451)과 밀착상태로 착용될 수도 있다.
즉, 마스크(440)는 후드부(230)의 바깥쪽에서 착용될 경우 테두리의 내면이 고무막(451)의 바깥면과 밀착되면서 실링되고, 후드부(230)의 안쪽에서 착용될 경우 테두리의 바깥면이 고무막(451)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실링된다.
한편, 고무막(45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테두리를 따라 보강테(455)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테(455)는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막(451)의 내측테두리 두께를 증가시키면서 내측테두리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테(455)는 고무막(451)의 강성을 보강하여 고무막(451)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돌출상태로 마스크(440)에 밀착됨에 따라 마스크(440)의 테두리를 더욱 견고하게 씰링한다.
차폐날개(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호복본체(200)의 절개부(240)를 차폐하는 부재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보호복본체(200)의 상체부(220)에 재봉되면서 절개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절개부(240)가 폐쇄됨에 따라 타측이 절개부(240)의 외측을 차폐한다. 이러한 차폐날개(500)는 보호복본체(200)와 동일한 원단(10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너(600)는 차폐날개(500)의 타측을 보호복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 차폐날개(500)가 절개부(240)를 차폐한 상태로 차폐날개(500)를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패스너(600)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날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암형 벨크로테이프(610) 및 절개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암형 벨크로테이프(6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형 벨크로테이프(620)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차폐날개(500)는 타측에 마련된 암형 벨크로테이프(610)가 수형 벨크로테이프(620)에 결합됨에 따라 절개부(240)를 차폐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암형 벨크로테이프(610) 및 수형 벨크로테이프(620)는 차폐날개(500)의 전체에 마련되므로 차폐날개(500)를 들뜨거나 벌어짐이 없이 고정한다. 따라서, 절개부(240)는 빈틈없이 차폐되어 화학물질이 침투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학보호복(1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링(700) 및 벨트(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걸림링(7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복본체(200)의 내부에 링형태로 마련되고, 하체부(210)와 상체부(220)의 재봉부위를 따라 부착된다. 이러한 걸림링(700)은 전술한 원단(10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수로 구성되어 관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고리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벨트(8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링(700)에 삽입되어 걸리며, 양단부가 미도시된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면서 보호복본체(200)를 신체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보호복본체(200)는 공기탱크와 함께 착용될 수 있기 때문에 큰 부피와 중량으로 형성되어 활동성을 저하시킨다. 벨트(800)는 걸림링(700)에 의해 보호복본체(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결속됨으로써 보호복본체(200)를 신체에 밀착시킴으로써 활동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보호복본체(200)는 절개부(240)를 통해 상체부(220)가 개방됨에 따라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의 전체부위를 차폐하며, 걸림링(700)에 걸린상태로 마련된 벨트(800)의 결속에 의해 신체에 밀착상태로 착용된다.
그리고, 절개부(240)는 폐쇄된 상태로 차폐날개(500)에 의해 차폐된다. 이때, 차폐날개(500)는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610)(620)의 결합에 의해 타측이 보호복본체(200)에 고정되면서 절개부(240)를 빈틈없이 차폐한다.
한편, 보호복본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230)에 투시창(410)이 마련된 경우, 공급밸브(420)를 통해 공기탱크에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공급받으며, 배출밸브(430)를 통해 내부공기를 배출하면서 공기를 소통시킨다.
다른 한편, 보호복본체(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230)에 실링부재(450)가 마련된 경우, 방독면이나 공기호흡기의 마스크(440)가 안면에 착용됨에 따라 공기가 소통된다. 이때, 마스크(4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막(451)에 테두리가 밀착됨에 따라 기밀이 유지된다.
그리고, 보호복본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을 구성하는 필름층(130)의 압출문양(131)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어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압출문양(131)들이 재봉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여러 방향의 충격에도 찢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보호복용 원단(100) 및 화학보호복(10)은, 원단(100)을 구성하는 필름층(130)의 표면에 일직선 형태의 압출문양(131)이 형성되므로 필름층(130)의 강성이 보강되어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필름층(130)이 복수층(130a)(130b)(130c)으로 형성되면서 필름층(130)들의 압출문양들(131a)(131b)(131c)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되므로 필름층(130)의 강성이 더욱 보강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고무층(120)이 섬유층(110)의 일측면에 피막형태로 도포되면서 클로로프렌 고무층이나 부틸고무층 또는 불소계 폴리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므로 다양한 화학성분에 대항할 수 있다.
그리고, 화학보호복(10)을 구성하는 보호복본체(200)가 전술한 원단(100)들의 재봉을 통해 형성되면서 인접된 원단(100)들의 압출문양(131)이 재봉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보호복본체(20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으며, 만약 어느 한부분의 원단(100)이 찢어진 경우에도 찢어짐이 다른 원단(100)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소통수단(400)이 투시창(410)과 공급밸브(420) 및 배출밸브(430)로 구성될 경우, 보호복본체(200)의 내부 전체에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착용자가 호흡마스크 없이도 자유로이 호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통수단(400)이 마스크(440) 및 실링부재(450)로 구성될 경우, 보호복본체(200)의 후드부(230)에 일체로 마련된 실링부재(450)가 마스크(440)의 테두리를 실링하므로 방독면이나 공기호흡기 등과 같이 다양한 마스크(440)의 착용이 가능하다.
특히, 실링부재(450)를 구성하는 고무막(451)이 탄성력을 통해 마스크(440)의 테두리와 밀착되면서 소통공(453)을 통해 마스크(440)와 소통하므로 보호복본체(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440)를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마스크(44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호복본체(200)를 착용할 수 있다.
더욱이, 고무막(451)의 내측테두리에 보강테(455)가 마련되므로 마스크(440)와의 밀착부위를 더욱 안정적으로 실링할 수 있으며, 고무막(451)의 강성이 증가되므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또, 패스너(600)를 구성하는 벨크로테이프(610)(620)가 차폐날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마련되므로 보호복본체(200)의 절개부(240) 전체를 차폐함으로써 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보호복본체(200)의 내부에 마련된 걸림링(700)에 벨트(800)가 삽입되어 걸린상태로 결속되므로, 비교적 큰 부피 및 하중을 갖는 보호복본체(200)를 신체에 밀착시킴으로써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화학보호복 100 : 원단
110 : 섬유층 120 : 고무층
130 : 필름층 131 : 압출문양
200 : 보호복본체 210 : 하체부
220 : 상체부 230 : 후드부
231 : 개방구 240 : 절개부
300 : 심테이프 400 : 소통수단
410 : 투시창 420 : 공급밸브
430 : 배출밸브 440 : 마스크
450 : 실링부재 451 : 고무막
452 : 심테이프 453 : 소통공
455 : 보강테 500 : 차폐날개
600 : 패스너 610,620 : 벨크로테이프
700 : 걸림링 800 : 벨트

Claims (9)

  1. 섬유재로 형성된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일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는 고무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유독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나 요철로 이루어진 압출문양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압출문양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에 타측면이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제1필름; 및
    상기 제1필름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필름의 일측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1필름의 압출문양과 상이한 방향의 압출문양이 표면에 형성된 제2필름;을 포함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은,
    상기 섬유층의 일측면에 피막형태로 도포되며,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진 클로로프렌 고무층이나 부틸고무로 이루어진 부틸 고무층 또는 불소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불소계 폴리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4. 섬유재로 형성된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일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는 고무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측면에 박막형태로 적층되어 유독화학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압출방향으로 결을 이루는 무늬나 요철로 이루어진 압출문양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화학보호복용 원단;
    상기 원단으로 재단 및 재봉되면서 신체의 하체와 상체 및 머리를 제각기 차폐하는 하체부, 상체부 및 후드부가 단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부의 일부분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절개부가 마련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방에 따라 신체에 착용되며, 상기 후드부의 전방에 개방구가 마련되어 안면을 노출시키는 보호복본체;
    상기 보호복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원단의 재봉부위를 따라 융착되어 상기 보호복본체를 실링하는 심테이프;
    상기 보호복본체를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소통수단;
    상기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복본체에 일측이 재봉되면서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절개부의 폐쇄에 따라 타측이 상기 절개부를 차폐하는 차폐날개; 및
    상기 차폐날개가 상기 절개부를 차폐한 상태로 상기 차폐날개의 타측을 상기 보호복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복본체는,
    상기 원단들의 재봉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원단들의 필름층들이 내면을 형성하고, 재봉부위를 중심으로 인접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필름층들의 요철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보호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수단은,
    상기 보호복본체에 마련된 상기 후드부의 개방구를 투시가능하게 차폐하여 상기 보호복본체를 밀폐시키는 투명체의 투시창;
    상기 투시창에 의해 밀폐된 상기 보호복본체에 마련되고,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탱크의 연결을 허용하여 상기 보호복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밸브; 및
    상기 보호복본체에 소통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보호복본체의 내부공기를 상기 보호복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화학보호복.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차폐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폐날개의 타측에 마련되는 암형 벨크로테이프; 및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호복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암형 벨크로테이프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형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는 화학보호복.
KR1020120107144A 2012-09-26 2012-09-26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KR10128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44A KR101286338B1 (ko) 2012-09-26 2012-09-26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44A KR101286338B1 (ko) 2012-09-26 2012-09-26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338B1 true KR101286338B1 (ko) 2013-07-15

Family

ID=4899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144A KR101286338B1 (ko) 2012-09-26 2012-09-26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3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114B1 (ko) 2013-10-15 2014-05-14 주식회사 산청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KR101648522B1 (ko) 2016-03-10 2016-08-16 주식회사 산청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
KR101651973B1 (ko) 2015-12-22 2016-08-30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CN106062272A (zh) * 2013-12-09 2016-10-26 株式会社山凊 化学保护服用原材料
KR20230078388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소프엔티 통기쾌적성을 보유한 바이러스 차단 보호복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577Y1 (ko) 2002-03-26 2002-07-04 화인고무(주) 고무피막섬유
KR100825448B1 (ko) 2007-10-25 2008-04-29 한영택 체중감량용 기능성 원단
KR100929207B1 (ko) 2009-07-31 2009-12-01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그리고 이를 위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1047944B1 (ko) 2010-12-16 2011-07-12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화학방호용 보호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577Y1 (ko) 2002-03-26 2002-07-04 화인고무(주) 고무피막섬유
KR100825448B1 (ko) 2007-10-25 2008-04-29 한영택 체중감량용 기능성 원단
KR100929207B1 (ko) 2009-07-31 2009-12-01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그리고 이를 위한 화학보호복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1047944B1 (ko) 2010-12-16 2011-07-12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화학방호용 보호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114B1 (ko) 2013-10-15 2014-05-14 주식회사 산청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CN106062272A (zh) * 2013-12-09 2016-10-26 株式会社山凊 化学保护服用原材料
KR101651973B1 (ko) 2015-12-22 2016-08-30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KR101648522B1 (ko) 2016-03-10 2016-08-16 주식회사 산청 특수복용 다기능 원단
KR20230078388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소프엔티 통기쾌적성을 보유한 바이러스 차단 보호복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338B1 (ko)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CA2572957C (en) Protective garment ensemble
US10531697B2 (en) Sealing sleeve for waterproof garments
US8201273B2 (en) Protective hood
US4932078A (en) Unitized garment system for particulate control
US20100287688A1 (en) Protective Hood Having a Shielded Elastomeric Gasket/Seal for Sealing Engagement with the Face Piece/Mask of a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or Respirator
TWI584756B (zh) 拉鏈
WO2006019413A1 (en) Chemical and biological protective hood assembly
US20190343201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cbrn or other protection
CN206565345U (zh) 防护服
GB207251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spiratory face masks
WO2013119746A2 (en) Seal for full face mask
KR101047944B1 (ko) 화학방호용 보호복
US8631516B2 (en) Hood for protective garment
EP0157140A1 (en) Protective clothing for particulate control
CA2845138A1 (en) Surgeon gown with sealed slee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547037A (en) Protective suit
JP2017210696A (ja) 防護服
JP2004195984A (ja) 空気透過形の衣類および一体化したエーロゾル濾過機能を有する織物
US7111327B1 (en) Lightweight protective clothing and textile material incorporated therein
CN213281603U (zh) 口罩
US20220184428A1 (en) Chemical and biological protective shirt and hood
JP2021134443A (ja) 防護服
JP3234093U (ja) 化学防護服
JP4653907B2 (ja) X線防護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