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114B1 -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 Google Patents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114B1
KR101394114B1 KR1020130122770A KR20130122770A KR101394114B1 KR 101394114 B1 KR101394114 B1 KR 101394114B1 KR 1020130122770 A KR1020130122770 A KR 1020130122770A KR 20130122770 A KR20130122770 A KR 20130122770A KR 101394114 B1 KR101394114 B1 KR 10139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onwoven fabric
reflective sheet
cush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3012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난연성 섬유나 필름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표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화기를 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시트(111) 및 상기 반사시트(111)에 적층되어 화기를 단열하도록 하는 난연재로 이루어진 부직포(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시트(111)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직포(112)가 착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겉감(110)과; 상기 겉감(110)에 중첩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중간감(120); 및 상기 중간감(120)에 중첩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 및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이중구성되어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이 착용자의 신체와 인접하는 안감(130);을 포함하고, 상기 겉감(110)은 상기 알루미늄이 겉면(OT) 및 속면(IN)에 각기 증착되어 양면에서 각기 화기를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반사시트(111)의 상기 겉면(OT) 및 상기 속면(IN)에 각기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상기 겉면(OT)의 상기 알루미늄이 균열되어도 상기 속면(IN)의 상기 알루미늄이 화기를 반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Layer construction of material for heatproof clothes}
본 발명은 화기나 복사열로부터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겉감의 표면에 증착되어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하는 알루미늄막이 균열되어도 겉감의 내측에서 복사열을 다시 반사할 수 있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에 관한 것이다.
열 차단복은 복사열 차단기능을 갖는 특수복으로서, 화기와 근접상태로 사용되는 방열복이나 화기와 다소 원거리에서 사용되는 방화복이 있으며, 화재현장이나 고온의 작업장 등과 같은 지역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내열섬유로 제조된다.
상기 열 차단복용은 상기와 같은 내열섬유로 제조되어 서로 중첩되거나 부착되는 겉감이나 안감으로 구성되며, 때에 따라서는 겉감이나 안감 사이에 중간감이 추가되어 구성된다.
작업자는 상기 열 차단복용의 옷감이 상기와 같이 여러 층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열 차단복용을 착용한 상태로 고온의 화기나 열기속에서 일정시간 동안 원활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열 차단복용 중에서 상기 방열복의 경우 한국특허등록 제10-930511(주식회사 산청)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두건(1), 방열작업복(10), 방열장갑(2) 및 방열슈즈(3)로 이루어지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10a)과 중간감(10b) 및 안감(10c)으로 구성된다.
상기 겉감(10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11)이 증착된 내열원단(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11)에 의해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한다.
상기 중간감(10b)은 방수성 멤브레인(14)이 부착된 부직포(13)로 구성되며, 부직포(13)에 의해 열기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멤브레인(14)에 의해 방수된다.
상기 안감(10c)은 펠트원단(15)에 누빔처리되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라고도 함)와 같은 난연성 섬유로 제조된 난연재 원단(16)으로 구성되며, 상기 펠트원단(15) 및 상기 난연재 원단(16)을 통해 열을 차단한다.
상기한 방화복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구성이 상기 방열복과 동일하고 다만 표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는 것이 다른 점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방열복이나 방화복과 같은 일반적인 화기차단기능을 갖는 특수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겉감(10a)과 상기 중간감(10b) 및 상기 안감(10c)이 상기 알루미늄(11)이 증착된 상기 내열원단(12), 상기 멤브레인(14)이 부착된 상기 부직포(13), 상기 펠트원단(15) 및 상기 난연재 원단(16)으로 구성되므로 피복의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피복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가 원활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안감(10c)을 구성하는 상기 펠트원단(15)의 두께로 인하여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작업시 상기 멤브레인(14)이 상기 안감(10c)의 상기 펠트원단(15)과 직접적으로 마찰되면서 마모되거나 훼손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겉감(10a)이 사용시 접혀지거나 구겨질 경우 상기 알루미늄(11)에 균열이 발생하여 화기가 상기 겉감(10a)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겉감(10a)이 구성이 단순하여 거의 화기를 반사하는 용도로만 작용하고, 화기를 단열하는 용도로는 작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겉감(10a)의 구성이 단순한 이유는 상기 겉감(10a)에 별개의 부재를 추가할 경우 무게증가와 화기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의 선택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등록특허는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겉감(10a)이나 중간감(10b) 또는 안감(10c)에 박막의 멤브레인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상기 안감(10c)의 원단에 기모를 형성하여 공기층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등록특허는 상기 알루미늄(11)을 통과한 복사열과 같은 화기의 차단 성능이 원하는 만큼 충분하지 못하다.
KR 10-930511
본 발명은 이중으로 화기를 반사할 수 있고, 다단으로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할 수 있으며,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할 수 있는 겉감과 겉감에 순차적으로 중첩되는 중간감 및 안감으로 이루어진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거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접착제에 의해 부재들이 부착되고, 이에 더하여 화기를 반사하는 부재에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친환경적인 접착제로 구성되거나 공기층을 형성하는 난연재로 구성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연성 섬유나 필름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표면에 알루미늄이 박막형태로 구비되어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에 적층되어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도록 하는 난연재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시트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직포가 착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겉감; 상기 겉감에 중첩된 상태로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중간감; 및 상기 중간감에 중첩된 상태로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 및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에 의해 이중으로 구성되며,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이 착용자의 신체와 인접하는 안감;을 포함하고, 상기 겉감은 상기 알루미늄이 겉면 및 속면에 각기 박막형태로 구비되어 양면에서 각기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부직포는 불소고무가 함유된 불소계 접착제나 실리콘이 함유된 실리콘계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착제에 의해 일면이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속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부직포 사이 또는 착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상기 부직포의 후면에 부착되어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고,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속면의 표면적을 따라 쿠션을 제공하는 난연재로 이루어진 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트는 실리콘이 함유된 실리콘계 접착제나 우레탄이 함유된 우레탄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속면 및 상기 부직포 사이 또는 상기 부직포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감은 상기 겉감에 일면이 중첩되고, 난연재로 이루어진 니들펀치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감은 상기 중간감에 일면이 중첩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져서 쿠션을 갖는 쿠션원단; 및 상기 쿠션원단에 밀착되어 상기 쿠션원단을 차폐하는 직물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로 제조된 직물이나 레이온 직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난연성 직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는 겉감을 이루는 반사시트의 양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되므로 겉감의 겉면측 알루미늄이 균열되어도 속면의 알루미늄이 화기를 반사하여 화기의 침투를 억제하고, 반사시트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추가로 화기를 단열하여 향상된 단열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겉감의 부직포가 불소계 접착제로 반사시트에 부착될 경우 실리콘계 접착제보다 내열성은 다소 저하되지만 요구되는 내열성을 충족하면서 실리콘계 접착제보다 저가이면서 중량이 저감되므로 제조비용 및 겉감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달리 부직포가 실리콘계 접착제로 부착될 경우 불소계 접착제보다 우수한 내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니트가 겉감에 추가로 구성될 경우 자체 신축성을 통해 반사시트에 쿠션을 제공하므로 착용시 알루미늄이 증착된 반사시트가 유연하게 절곡됨에 따라 알루미늄의 균열이나 균열에 의한 박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니트가 실리콘계 접착제로 반사시트나 부직포에 부착될 경우 실리콘에 의해 우수한 내열성을 제공하며, 니트가 우레탄계 접착제로 반사시트나 부직포에 부착될 경우 친환경적이면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간감이 니들펀치 부직포로 구성될 경우 니들펀치에 의한 다공을 통해 단열을 실시할 수 있고,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구성될 경우 니들펀치 부직포 보다 밀도가 조밀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들펀치 부직포보다 얇은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안감이 부직포로 이루어진 쿠션원단 및 박막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커버로 구성되므로 쿠션원단을 통해 단열을 추가로 실시하고, 커버가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므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커버가 난연성의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라고도 함)로 이루어진 직물이나 레이온으로 이루어진 직물로 구성되므로 커버를 통해서도 단열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방화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에 의해 제조된 시료들을 시험하여 수득한 시험결과표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110), 중간감(120) 및 안감(130)을 포함한다.
상기 겉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는 반사시트(111) 및 부직포(112)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포(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시트(111)에 직결상태로 부착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니트(113)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반사시트(1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겉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시트(111)가 화기와 대향하도록 외측에 배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112)가 착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도록 내측에 배치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반사시트(111)는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라고도 함)나 카본섬유 또는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난연성 섬유 또는 난연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표면에 알루미늄(111a, 111b)이 표층을 구성하여 화기를 반사하되, 상기 알루미늄(111a, 111b)이 박막형태로 각기 겉면(OT) 및 속면(IN)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양면에서 각기 화기 및 복사열을 반사한다.
상기 알루미늄(111a, 111b)은 통상의 증착에 의해 상기 반사시트(111)의 겉면(OT) 및 속면(IN)에 각각 박막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111)는 상기 알루미늄(111a, 111b)이 적어도 일측면에 증착된 필름(미도시)이 난연성 섬유재로 이루어진 원단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반사시트(111)는 화기를 향하는 전면에만 상기 알루미늄(111a)이 증착된 상기 필름(미도시)을 상기 난연성 섬유재로 이루어진 원단의 전면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미도시)이 부착된 원단의 후면에 상기 알루미늄(111b)을 증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부직포(112)는 상기 반사시트(111)와 동일하게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나 카본섬유 또는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내열원단으로 구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시트(111)에 직결상태로 적층되거나 상기 니트(113)에 의해 상기 반사시트(111)와 이격상태로 적층되어 화기를 단열한다.
상기 부직포(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시트(111)에 직결상태로 부착될 경우 불소고무가 함유된 불소계 접착제나 실리콘이 함유된 실리콘계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착제(B)에 의해 일면이 상기 반사시트(111)의 상기 속면(IN)에 부착되어 상기 반사시트(111)와 동일체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B)는 불소계로 구성될 경우 내열성과 내화학성 및 인열성이 우수하고, 실리콘계 접착제로 구성될 경우 불소계보다 내열성이 더욱 우수하다.
상기 접착제(B)는 상기 반사시트(111)의 후면이나 상기 부직포(112)의 전면에 도포되며, 상기 반사시트(111)의 유연성 및 중량 감소를 위해 도트 도포(점형 도포) 또는 그라비아 도포(사선 또는 격자형 도포)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전면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B)는 전면도포될 경우 상기 겉감(110)의 자중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부직포(112)를 상기 반사시트(111)에 동일체로 견고하게 부착시켜서 화기를 안정적으로 차단시키는 장점이 있으므로 도트 도포나 그라비아 도포보다는 전면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겉감(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트(113)가 추가로 부착되어 화기를 단열할 수 있다.
상기 니트(113)는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나 카본섬유 또는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난연재로 구성되어 화기를 단열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시트(111)에 부착된 상기 부직포(112)의 후면, 즉 착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니트(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이 함유된 전술한 바와 같은 실리콘계 접착제 또는 우레탄이 함유된 우레탄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접착제(B)에 의해 상기 부직포(112)의 후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전술한 우레탄계 접착제는 솔벤트가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적인 접착제이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트(113)가 인체와 근접할 경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우레탄계 접착제는 상기 니트(11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상기 중간감(120)이나 상기 안감(130)에 근접할 경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니트(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겉감(110)의 상기 부직포(112)에 부착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시트(111) 및 상기 부직포(112) 사이에 전술한 상기 접착제(B)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니트(113)는 내열성이 우수한 전술한 실리콘계 접착제(B)에 의해 전면이 상기 반사시트(111)에 부착되고, 친환경적인 전술한 우레탄계 접착제(B)에 의해 후면이 상기 부직포(112)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니트(113)는 열기가 사실상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전면이 실리콘계 접착제(B)에 의하여 상기 반사시트(111)에 부착되고, 인체와 근접하는 후면, 즉 화기의 위치와 반대되어 전면보다 화기와 이격되는 후면이 우레탄계 접착제(B)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112)에 부착된다.
상기 니트(113)는 신축성을 갖는 망사형태의 섬유재로 구성되어 다공을 가지므로 상기 접착제(B)의 전면도포로 부착되는 것보다는 상기 접착제(B)의 도트 도포나 그라비아 도포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니트(113)는 상기 접착제(B)가 전면도포된 상태로 상기 반사시트(111)나 상기 부직포(112)에 부착될 수 있으나, 도트 도포나 그라비아 도포로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니트(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망사형태의 섬유재이므로 상기 반사시트(111)의 후방에서 상기 반사시트(111)에 쿠션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니트(113)는 상기 반사시트(111)에 구성된 상기 속면(IN)의 표면적을 따라 쿠션을 제공하여 상기 반사시트(111)에 전체적으로 쿠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니트(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112)의 후면에 부착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시트(111) 및 상기 부직포(112) 사이에 개재될 경우, 롤형태로 감기는 상기 겉감(110)에 망사형태의 자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니트(113)는 상기 부직포(112)에 차폐되므로 상기 겉감(110)이 롤형태로 감겨도 망사형태의 자국이 상기 겉감(110)의 상기 반사시트(111) 표면에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반사시트(111)는 망사형태의 자국에 의한 요철로 인해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중간감(1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감(110)에 일면이 중첩된 상태로 화기를 단열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감(120)은 상기 겉감(110) 및 후술되는 상기 안감(130)에 일면이 접착되거나 이격상태로 중첩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겉감(110) 및/또는 상기 안감(13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감(120)은 화기의 단열이 가능하도록, 난연재로 이루어진 스펀지나 솜형태의 니들펀치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니들펀치 부직포는 니들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형태의 바늘구멍이 공기층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보다 열차단 능력이 우수하다.
이와 달리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상기 니들펀치 부직포보다 열차단 능력은 낮지만, 바늘구멍이 없으므로 상기 니들펀치 부직포보다 부피(두께)가 작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상기 니들펀치 부직포보다 가볍다.
한편, 상기 안감(1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감(120)에 중첩된 상태로 화기를 단열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 및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에 의해 이중으로 구성되며,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이 착용자의 신체와 인접한다.
상기 안감(1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원단(131) 및 커버(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쿠션원단(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감(120)에 일면이 이격상태로 중첩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져서 쿠션을 갖는다.
상기 쿠션원단(131)은 상기 중간감(120)에 일면이 부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감(1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중간감(120)과 이격상태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원단(131)은 화기의 단열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상기 부직포(112)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쿠션원단(131)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나 카본섬유 또는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열원단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쿠션원단(131)은 다공을 통한 단열성능의 향상을 위해 니들펀칭 부직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2)는 직물재로 이루어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원단(131)에 밀착되어 상기 쿠션원단(131)을 차폐한다.
상기 커버(132)는 박막의 난연성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특히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로 제조된 박막의 직물이나 레이온 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2)는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상기 쿠션원단(131)에 재봉실(133)로 고정되며, 퀼트형태로 재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감(110)의 상기 겉면(OT)에 상기 알루미늄(111a)이 증착됨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111a)이 화기를 반사하여 복사열이 상기 겉감(1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
삭제
상기 겉감(110)은 상기 겉면(OT)의 상기 알루미늄(111a)이 균열되어 균열된 틈새로 복사열이 침투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면(IN)에 증착된 상기 알루미늄(111b)이 복사열을 2차적으로 반사하며, 상기 반사시트(111)의 후면에 부착된 상기 부직포(112)가 복사열을 단열하여 화기의 침투를 차단한다.
상기 겉감(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112)의 후면에 상기 니트(113)가 부착될 경우 상기 니트(113)를 통해 복사열을 다시 한번 차단한다.
상기 니트(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감(110)의 상기 반사시트(111) 및 상기 부직포(112) 사이에 개재될 경우 상기 부직포(112)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한다.
상기 니트(113)는 신축성을 상기 겉감(110)에 제공하여 착용자의 활동시 상기 겉감(110)이 유연하게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111a, 111b)의 절곡에 의해 균열되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은 상기 겉감(110)을 통과한 복사열을 순차적으로 차단한다.
이때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은 각각 난연성의 부직포로 구성되므로 자체 두께 및 다공에 의해 복사열을 원활하게 차단한다.
또 상기 안감(130)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쿠션원단(131)에서 복사열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커버(132)에서 복사열을 2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커버(132)는 박막의 직물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므로 신체에 부드러운 감촉을 전달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는 상기 겉감(110)을 이루는 상기 반사시트(111)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111a, 111b)이 증착되므로 겉감(110)의 겉면(OT)측 상기 알루미늄(111a)이 균열되어도 속면(IN)측의 상기 알루미늄(111b)이 화기를 반사하여 화기의 침투를 억제하고, 상기 반사시트(111)에 상기 부직포(112)가 부착되어 추가로 화기를 단열하므로 향상된 단열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열 차단용 옷감의 적층구조는 상기 겉감(110)이나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의 구성 및 상기 접착제(B)의 종류에 따라 단열성 및 내열성의 성능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상이한 중량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겉감(110) 및 상기 접착제(B), 그리고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은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성능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겉감(110) 및 상기 접착제(B), 그리고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겉감 (4종류로 구성: ㉮-㉱)
㉮ 상기 반사시트(111)/ 상기 불소계 접착제(B)/ 상기 부직포(112)/ 상기 우레탄계 접착제(B)/ 상기 니트(113)→ 3층 구조 및 2종류 접착제 사용
㉯ 상기 반사시트(111)/ 상기 실리콘계 접착제(B)/ 상기 부직포(112)/ 상기 우레탄계 접착제(B)/ 상기 니트(113)→ 3층 구조 및 2종류 접착제 사용
㉰ 상기 반사시트(111)/ 상기 실리콘계 접착제(B)/ 상기 니트(113)/ 상기 우레탄계 접착제(B)/ 상기 부직포(112)→ 3층 구조 및 2종류 접착제
㉱ 상기 반사시트(111)/ 상기 불소계 접착제(B)/ 상기 부직포(112)→ 2층 구조 및 1종류 접착제
* 상기 반사시트(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양면에 알루미늄이 증착)이고, 상기 종류별 접착제(B)는 전면도포되는 구성이며, 상기 니트(113)는 파라 아라미드로 제조됨.
2) 중간감 (2종류로 구성: ⓐ 및 ⓑ)
ⓐ 니들펀치 부직포
ⓑ 스펀레이스 부직포
* 상기 부직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난연재로 제조됨.
3) 안감 (2종류로 구성: ㉠ 및 ㉡)
㉠ 니들펀칭 부직포/ 레이온 원단 커버(132)→ 2층 구조
㉡ 니들펀칭 부직포/ 전술한 바와 같이 난연성 직물로 제조된 박막의 상기 커버(132)→ 2층 구조
* 상기 부직포(쿠션원단)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열원단으로 제조되고, 상기 커버(1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난연성의 직물로 제조되어 퀼트 재봉으로 상기 부직포(쿠션원단)에 부착됨.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겉감(110),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도 6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혼합되어 제1 시료 내지 제12 시료로 제조된 후, ISO 6942 및 EN 1486(방열복 성능시험의 유럽규정)을 기준으로 시험되었으며, 시험에 있어서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시료, 제6 시료, 제9 시료 및 제12 시료는 상기 중간감(120)의 상기 ⓑ형(스펀레이스 부직포)을 2장으로 구성하여 중첩시킨 상태로 시험하였다.
여기서, 전술한 ISO 6942는 열플럭스밀도 40kW/m2가 시험기준이고, 전술한 EN 1486은 시료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405°방향으로 2500회 굴곡시킨 후, 즉 빨래를 짜듯이 시료를 2500회 비틀은 후 시료들을 255℃(±10℃)의 화기에 노출하여 상기 안감(130)의 온도가 24℃가 될 때까지 120초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과,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245℃ 및 265℃에서 각각 5분간 노출시켜서 상기 겉감(110)의 경사 및 위사방향 수축이 5% 이하를 충족하는가 및 녹음이나 박리가 없는가가 시험기준이다.
그리고, 도 6의 표에 기재된 RHT24는 EN 1486에 따라 시험된 상기 안감(130)의 온도가 24℃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제1 내지 제3 시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겉감(110)의 상기 ㉮형(3층 구조 및 2종류 접착제)에 상기 중간감(120)의 상기 ⓐ형(니들펀치 부직포)이나 상기 ⓑ형(스펀레이스 부직포) 및 상기 안감(130)의 상기 ㉠형(부직포+레이온 원단 커버)나 상기 ㉡형(부직포+상기 커버)를 조합한 것이다.
또, 제4 내지 제6 시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겉감(110)의 상기 ㉯형(3층 구조 및 2종류 접착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을 조합한 것이다.
또한, 제7 내지 제9 시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겉감(110)의 상기 ㉰형(3층 구조 및 2종류 접착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을 조합한 것이다.
그리고, 제10 내지 제12 시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겉감(110)의 상기 ㉱형(2층 구조 및 1종류 접착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감(120) 및 상기 안감(130)을 조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1 내지 제12 시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시료, 제6 시료, 제9 시료 및 제12 시료의 경우 상기 중간감(120)의 상기 ⓑ형이 2장으로 구성됨에 따라 다른 시료들보다 중량이 무겁다.
즉 제3 시료는 제1 및 제2 시료보다 무겁고, 제6 시료는 제4 및 제5 시료보다 무거우며, 제9 시료는 제7 및 제8 시료보다 무겁고, 제12 시료는 제10 및 제11 시료보다 무겁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 1486을 충족하는 시료, 즉 RHT24의 시간이 120초를 초과하는 시료는 제3 내지 제6 시료만이 해당된다.
따라서, 제3 내지 제6 시료만을 살펴보면, 제3 시료 및 제6 시료는 상기 중간감(120)이 2장으로 구성되므로 제4 및 제5 시료보다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제4 시료는 제5 시료보다 빨리 상기 안감(130)의 온도가 24℃에 도달하므로 제5 시료보다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다.
따라서, 제5 시료가 중량 및 RHT24의 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 가장 우수하였다.
여기서, 제5 시료가 가장 우수하였던 이유는 상기 겉감(110)의 상기 ㉯형(3층 구조 및 2종류 접착제)에 적용된 상기 실리콘계 접착제(B)가 전술한 상기 불소계 접착제(B) 보다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으로 추측되며, 상기 중간감(120)의 상기 ⓑ형을 구성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및 상기 안감(130)의 상기 ㉡형을 구성하는 부직포 및 상기 커버(132)의 단열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결론적으로, 제4 내지 제6 시료가 상기 불소계 접착제(B) 보다 비중이 무거운 상기 실리콘계 접착제(B)를 사용함에 따라 제1 내지 제3 시료보다 중량은 다소 가중되었으나, 내열성이 더 우수함에 따라 RHT24의 시간을 모두 충족시켰다.
그리고, 제3 시료는 RHT24의 시간을 충족하기는 하였으나 상기 중간감(120)을 구성하는 상기 ⓑ형의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2장으로 구성됨에 따라 전술한 제4 내지 제6 시료보다 다소 둔감한 착용감을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겉감 111; 반사시트
112; 부직포 113; 니트
120; 중간감 130; 안감
131; 쿠션원단 132; 커버

Claims (7)

  1. 난연성 섬유나 필름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표면에 알루미늄이 박막형태로 구비되어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하도록 하는 반사시트(111) 및, 상기 반사시트(111)에 적층되어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도록 하는 난연재로 이루어진 부직포(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시트(111)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직포(112)가 착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겉감(110);
    상기 겉감(110)에 중첩된 상태로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중간감(120); 및
    상기 중간감(120)에 중첩된 상태로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고, 쿠션을 갖는 패드형태의 원단 및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에 의해 이중으로 구성되며, 직조물로 이루어진 원단이 착용자의 신체와 인접하는 안감(130);을 포함하고,
    상기 겉감(110)은 상기 알루미늄이 겉면(OT) 및 속면(IN)에 각기 박막형태로 구비되어 양면에서 각기 화기나 복사열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12)는 불소고무가 함유된 불소계 접착제나 실리콘이 함유된 실리콘계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착제(B)에 의해 일면이 상기 반사시트(111)의 상기 속면(IN)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반사시트(111) 및 상기 부직포(112) 사이 또는 착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상기 부직포(112)의 후면에 부착되어 화기나 복사열을 단열하고, 상기 반사시트(111)의 상기 속면(IN)의 표면적을 따라 쿠션을 제공하는 난연재로 이루어진 니트(1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니트(113)는 실리콘이 함유된 실리콘계 접착제나 우레탄이 함유된 우레탄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접착제(B)에 의해 상기 반사시트(111)의 상기 속면(IN) 및 상기 부직포(112) 사이 또는 상기 부직포(112)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감(120)은 상기 겉감(110)에 일면이 중첩되고, 난연재로 이루어진 니들펀치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안감(130)은 상기 중간감(120)에 일면이 중첩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져서 쿠션을 갖는 쿠션원단(131); 및
    상기 쿠션원단(131)에 밀착되어 상기 쿠션원단(131)을 차폐하는 직물재 커버(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커버(132)는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로 제조된 직물이나 레이온 직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난연성 직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KR1020130122770A 2013-10-15 2013-10-15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KR10139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770A KR101394114B1 (ko) 2013-10-15 2013-10-15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770A KR101394114B1 (ko) 2013-10-15 2013-10-15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114B1 true KR101394114B1 (ko) 2014-05-14

Family

ID=5089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770A KR101394114B1 (ko) 2013-10-15 2013-10-15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1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4661A (zh) * 2015-01-29 2015-04-29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一种激光防护面料及其制作方法、用途
CN104544662A (zh) * 2015-02-10 2015-04-29 南安市荣兴专利技术转移中心有限公司 一种双层复合美肤纤维面料
US10485281B2 (en) * 2016-01-14 2019-11-26 Southern Mills, Inc. Flame resistant thermal liners and garments made with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318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파이로 방열복의 피복 적층구조
KR20130044515A (ko) * 2011-10-24 2013-05-03 (주)아림인더스트리 산업용 난연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86338B1 (ko) 2012-09-26 2013-07-15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318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파이로 방열복의 피복 적층구조
KR20130044515A (ko) * 2011-10-24 2013-05-03 (주)아림인더스트리 산업용 난연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86338B1 (ko) 2012-09-26 2013-07-15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4661A (zh) * 2015-01-29 2015-04-29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一种激光防护面料及其制作方法、用途
CN104544662A (zh) * 2015-02-10 2015-04-29 南安市荣兴专利技术转移中心有限公司 一种双层复合美肤纤维面料
US10485281B2 (en) * 2016-01-14 2019-11-26 Southern Mills, Inc. Flame resistant thermal liners and garments made with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9381B2 (en) Fire-resistant composite lining for a garment
RU2470788C2 (ru) Огнестойкие ламинаты и изделия, изготовленные из них
JP6037837B2 (ja) 積層耐熱防護衣
US5727401A (en) Fire resistant fleece fabric and garment
JPH02217238A (ja) 耐火性並びに耐水性を有する複合布帛とこれで構成された衣服並びにシート
JP5090178B2 (ja) 熱防護服用多層材
KR101394114B1 (ko) 열 차단복용 옷감의 적층구조
MX2008016513A (es) Colchones que tienen panel resistente al fuego.
WO2006134748A1 (ja) 耐熱性布帛とこれを用いた衣類及び耐熱手袋
CA2881104C (en) Flame resistant fiber blends and flame resistant yarns, fabrics, and garments formed thereof
US20130065470A1 (en) Flame Resistant Fiber Blends and Flame Resistant Yarns, Fabrics, and Garments Formed Thereof
JPS59500309A (ja) 複合断熱材
CA2561418A1 (en) Sheet structure for combination flash flame and chemical splash protection garment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100930511B1 (ko) 화기차단용 특수복의 안감 및 이에 의한 특수복
CA3011354A1 (en) Improved flame resistant thermal liners and garments made with same
JPH0740140U (ja) 消防用耐熱布
JP5336243B2 (ja) 耐熱性布帛および耐熱性防護服
US20040092187A1 (en) Thermal protection fabric
JP5390347B2 (ja) 軽量耐熱防護服
JP3888861B2 (ja) 耐熱性防護服
JP2009263809A (ja) 耐熱性積層構造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耐熱性防護服
US20210227906A1 (en) Moisture wicking aluminized safety gear
KR101640433B1 (ko) 단열 피복
JP2008062594A (ja) 生地及び該生地を用いた製品
JP2017115251A (ja) 耐熱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