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210B1 -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210B1
KR101407210B1 KR1020070064457A KR20070064457A KR101407210B1 KR 101407210 B1 KR101407210 B1 KR 101407210B1 KR 1020070064457 A KR1020070064457 A KR 1020070064457A KR 20070064457 A KR20070064457 A KR 20070064457A KR 101407210 B1 KR101407210 B1 KR 101407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map
specific point
destina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410A (ko
Inventor
조재국
최용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2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4Landmark guidance, e.g. using POIs or conspicuous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3Labelling using text of road map data items, e.g. road names, POI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지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네비게이션 기능의 정보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지점에 대한 경로 주기를 지도 축척별로 화면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로 주기를 선택하여 정확한 최종 지점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네비게이션, 텔레매틱스, 정보 단말기, 목적지, GPS, LBS, POI

Description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estination using a navig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이 적용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목적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목적지의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검색된 경로 주기를 텍스트 정보로 표시한 화면, 그리고
도 7은 목적지의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검색된 경로 주기를 지도 정보로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정보 단말기 120 : 통신망
122 : GPS 위성 130 : 위치 측정 센터
140 : 위치 결정 센터 150 : LBS 서버
160 : 네비게이션 서버 310 : GPS 수신기
320 : 지도 데이터 저장부 330 : 입력부
340 : 방송 수신 모듈 350 : 메모리
360 : 신호 처리부 362 : 디스플레이
364 : 앰프 370 : 제어부
380 : 이동 통신부 390 : 버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정보 단말기 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네비게이션 기능은 정보 단말기의 대표적인 기능으로서, 차량의 출발지 또는 현재 위치에서 원하는 지점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지도 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하여 주행 경로를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각 축척별로 지도 주기(주요 기물)가 다른 멀티 레벨용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기존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이나 조그 스틱 등의 방법으로 단말기의 화면상의 지도를 이동한 후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주기 명칭"을 기준으로 원하는 특정 지점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화면에 표시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있는 주기를 경위도 좌표를 기준으로 상세레벨부터 광역레벨까지 검색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해 있는 주기를 최종 지점으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주기 명칭을 근간으로 특정 지점을 선택했을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상의 주기가 실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내부적으로 결정된 주기와 다른 위치의 주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광역레벨의 지도 이미지에서 '강남역'을 터치 스크린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경우를 가정하자.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각 축척별 레벨의 지도를 검색하여 강남역을 목적지로 인식할 수도 있으나, 강남역 근방의 '뉴욕제과','역삼세무소','한국산업' 등의 다른 주기를 목적지로 다르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가진 정보 단말기에서 특정 축척의 지도 화면 상에서 특정 지점을 입력할 경우, 입력한 지점에 근접한 주기를 축척별로 다르게 지도를 저장하고, 이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적지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은, 네비게이션 기능에 따라 특정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에 인접해 있는 경로 주기들을 검색하여 상기 경로 주기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경로 주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주기를 최종 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네비게이션 기능에 따라 특정 지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특정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입력받은 특정 지점에 근접해 있는 경로 주기들을 검색하여 상기 경로 주기들을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경로 주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주기를 상세 지점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이 적용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정보 단말기(110), 통신망(12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122), 위치 측정 센터(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130), 위치 결정 센터(MPC:Mobile Positioning Center)(140),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150) 및 네비게이션 서버(160)를 포함한다.
정보 단말기(110)는 GPS 위성(122)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주기를 검색하여 지도 축척별로 주기를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정보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점을 입력받으며, 특정 지점의 경도와 위도 좌표를 기준으로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검색하여, 특정 지점에 가장 근접해 있는 주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정보 단말기(110)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나 이동 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GPS 수신기가 장착된 단말기 또는 단말기에 외장형 GPS 수신기를 장착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기(110)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에, 정보 단말기(110)는 차량의 운행 속도를 감안하여, 차량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탐지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위치 측정 센터(PDE; 13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GPS 위성(122)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통신망(120)은 정보 단말기(110)가 위치측정 센터(130) 및 위치결정 센터(14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정보 단말기(110)는 GPS 위성(122)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신망(120)을 통해 위치 측정 센터(130)로 전송한다.
위치 측정 센터(130)는 정보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정확한 위치를 계산한다. 예컨대, 정보 단말기(110)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에, 위치 측정 센터(130)는 정보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위도 및 경도로부터 계산한 위치 정보와 기지국과의 지연 정보, 파일럿 위상 정보 등을 근거로 하여 정보 단말기(110)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게 된다.
위치 결정 센터(140)는 통신망(120)과 LBS 서버(150) 간의 게이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 LBS 서버(150)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정보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LBS 서버(150)로 전송한다.
LBS 서버(150)는 위치 결정 센터(140)로부터 수신한 정보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에 활용하게 된다.
네비게이션 서버(160)는 정보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한 경로 정보 및 지도 정보와, 대중 교통수단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경로 정보는 주소 정보, 주요 지형지물 정보(POI:Point Of Interest)를 포함하며, 대중 교통수단 관련 정보는 지하철 및 버스의 운행 정보, 지하철과 버스의 연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정보 단말기(110)에서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메뉴를 선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보 단말기(110)는 통신망(120)을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150)에 접속한다(S202).
네비게이션 서버(150)는 접속된 정보 단말기(110)에게 지도 데이터와 더불어 특정 지점(특히 출발지 또는 목적지)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S204).
사용자는 정보 단말기(110)의 화면 상에 제공된 입력란을 통해 출발지를 입력하거나, 화면을 통해 표시된 지도 상에서 출발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란을 통해 목적지를 입력하거나, 화면을 통해 표시된 지도 상에서 목적지를 지정하여 입력한다(S206). 도 5는 목적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서버(150)로부터 제공받은 목적지를 입력하는 화면은 목적지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문구(510)와, 목적지를 텍스트로 입력하는 입력란(520) 및 목적지를 지도 상에서 지정하여 선택하기 위한 지도 이미지(5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단말기(110)를 통해 표시된 화면에서 입력란(520)을 통해 예컨대, "강남역"이란 목적지를 텍스트로 입력하거나, 지도 이미지(530)에서 강남역을 지정하여 목적지를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정보 단말기(110)를 통해 목적지가 입력되거나, 지도 상에서 목적지가 지정되어 입력되면, 네비게이션 서버(150)는 입력되거나 지정된 목적지에 대응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경로 주기를 검색한다(S208).
이때, 네비게이션 서버(150)는 각 축척별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하고, 각 축척별 지도 데이터를 근거로 목적지의 위치 정보 주변의 경로 주기를 검색하게 된다(S210).
이어, 네비게이션 서버(15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받은 목적지, "강남역"을 중심으로 목적지의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검색된 경로 주기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정보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경로 주기를 선택하도록 한다(S212).
도 6은 목적지의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검색된 경로 주기를 텍스트 정보로 표시한 화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주기를 텍스트 정보로 표시한 화면은 상세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문구(610)와, 각 경로 주기별 상세 목적지 선택란(6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단말기(110)를 통해 광역 목적지 "강남역"에 대한 상세 목적지로 예컨대, "뉴욕제과"를 선택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서버(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의 상세 레벨 부터 광역 레벨까지 검색된 경로 주기를 지도 정보로 표시한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경로 주기를 지도 정보로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주기를 지도 정보로 표시한 화면은 광역 목적지(530)와 함께 제1 상세 목적지(710), 제2 상세 목적지(720) 및 제3 상세 목적지(730)를 표시한다. 즉, 광역 목적지, "강남역"을 중심으로 제1 상세 목적지(710)로 뉴욕제과, 제2 상세 목적지(720)로 "역삼 세무서", 제3 상세 목적지(730)로 "한국산업"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지도 이미지 상에서 축척별로 경로 주기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서 하이라이트 또는 인라지에 의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원하는 경로 주기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에 의해 경로 주기 선택에 따른 상세 목적지가 선택되면(S214), 네비게이션 서버(150)는 정보 단말기(110)의 최종 목적지로 경로 주기 선택에 따른 상세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목적지로 설정하게 된다(S216).
이후, 네비게이션 서버(150)는 정보 단말기(110)의 이동에 따라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 상에 또는 음성 데이터로 안내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네비게이션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경로 주기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최종 목적지로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에서 지도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세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정보 단말기(110)는 차량에서의 설치 형태에 따라 2가지 타입, 즉 인데시 타입(In dash Type)과 온데시 타입(On Dash Type)으로 구분된다. 인데시 타입의 정보 단말기는 차량의 데시 보드(Dash Board) 내에 할당된 일정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형태이다. 온데시 타입은 차량의 데시보드 위에 거치되거나 또는 그 근처에 일정한 지지대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형태로서 탈착이 가능하므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휴대할 수 있어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Portable Navigation Device)라고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단말기(110)는 이러한 인데시 타입과 온데시 타입의 차량용 정보 단말기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 내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122)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를 모두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단말기(110)는 GPS 수신기(310),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 입력부(330), 방송 수신 모듈(340), 메모리(350), 신호 처리부(360), 디스플레이(362), 앰프(364), 제어부(370) 및 이동 통신부(38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구성 요소는 버스(390)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GPS 수신기(310)는 GPS 위성(122)이 송신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항법 메시지를 GPS 수신기(310)에 연결된 GPS 안테나(311)를 통해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정보 단말기(110)는 항법 메시지에 기초하여 정보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는, GPS 수신기(310)가 정보 단말기(110)에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GPS 수신기(310)는 별개의 장치로 차량 내에 별도로 탑재되어 정보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된 지역 단위로 각각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지역 구분은 차량 운행 중 멀티미디어 재생에 관한 규제와 관련된 법규의 제정이 서로 독립된 지역, 예를 들면 국가, 또는 미주의 경우에는 주 단위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분된 각 지역별, 예를 들면 국가별 또는 주별 지도 데이터에 지역 코드 즉, 국가 또는 주 코드(ID)를 부여함으로써 지도 데이터 검색 및 로딩(Loading)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는 각 축척별 지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다.
입력부(330)는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멀디미디어 재생 기능 등 정보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 또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정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는 터치 패드(Touch Pad), 차량용 정보 단말기의 조작 편의를 위해 차량 내의 운전대 등에 설치할 수 있는 리모콘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40)은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등 각종 규격에 따른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서비스,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데이터 서비스 등을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를 안테나(341)를 통해 수신하여 정보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메모리(350)는 정보 단말기(11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정보 단말기(11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350)의 비휘발성 메모리는 각종 포맷의 정지영상, 동영상, 영화 파일 등의 비디오 파일과 각종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한다.
신호 처리부(360)는 GPS 수신기(310)에서 수신된 항법 메시지에 따라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로부터 검색되어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70)에 나타낼 수 있는 포맷으로 신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370) 상에 표시하거나, 안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앰프(380)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60)는 방송 수신 모듈(340) 또는 메모리(35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 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검출하여 분리하고 각각 신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370)와 앰프(380)로 각각 출력한다.
디스플레이(36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표시장치로 구현되어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362)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기능 뿐만 아니라 정보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메뉴 구조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이용한 터치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앰프(Amplifier)(364)는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부(330)를 통해 선택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시 음향의 임장감을 위해 오디오 신호를 복수 개의 채널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경우, 앰프(364)는 분리된 복수 개의 채널 신호를 각각 별도로 증폭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정보 단말기(1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70)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선택된 경우 GPS 수신기(310)에 의해 수신된 항법 메시지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 출발지, 목적지 등의 각종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로부터 검색하고 신호 처리부(360)에 의해 비디오 신호 및 음성 안내를 위한 오디오 신호로 처리되도록 한 후 디스플레이(362)와 앰프(364)로 각각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70)는 정보 단말기(110)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GPS 수신기(310)를 통해 수신한 현재 위치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방송 수신 모듈(340)을 통해 위치 정보에 대응된 채널로 전환하여, 전환된 채널의 방송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예컨대, 광역 목적지를 입력받 은 경우, 입력된 광역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에서 주변 경로 주기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362) 상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로 주기에 해당하는 상세 목적지를 최종 목적지로 설정한다.
이동 통신부(380)는 정보 단말기(110)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콜 센터 서버(Call Center Server, 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명령을 무선으로 송출한다. 또한, 이동 통신부(380)는 정보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SMS 메시지로 콜 센터 서버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3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정보 단말기(11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 가운데 네비게이션 메뉴를 선택한다(S402).
사용자에 의해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면(S402-YES), 정보 단말기(110)에서 제어부(370)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선택하는 입력 화면 또는 지도 화면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62) 상에 표시한다(S404).
여기서, 출발지는 정보 단말기(110)가 현재 위치해 있는 지점의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거나, 지도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정보 단말기(110)가 현재 위치해 있는 지점의 위치 정보는 GPS 수신기(310)를 통해 GPS 위성(122)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3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형태로 목적지를 입력받거나, 지도 이미지 상에서 예컨대, "강남역"을 지정받아 목적지(530)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는 광역 목적지에 해당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30)를 통해 목적지가 입력되면(S406-YES), 제어부(370)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로부터 각 축척별 지도 이미지 가운데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가장 근접해 있는 경로 주기들을 검색한다(S408).
즉, 제어부(370)는 광역 목적지로 입력된 "강남역"의 위도와 경도에 관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이 위치 정보에 가장 근접해 있는 위도와 경도를 갖는 상세 목적지를 포함하는 경로 주기들을 검색하는 것이다.
이어, 제어부(370)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320)로부터 검색된 경로 주기들을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62)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S410).
즉, 제어부(370)는 사용자가 입력한 광역 목적지 "강남역"에 가장 근접해 있는 경로 주기들로서, 뉴욕제과, 역삼 세무서, 한국산업, 삼성중공업 등의 상세 목적지를 도 6의 텍스트 정보로 표시하거나, 도 7의 지도 이미지로 표시해 준다.
이는 디지털 멀티레벨 지도의 각 축척 레벨에 따라 확장해서 각 레벨별로 목적지에서 근접한 주기들을 화면 상에 표시해 주는 것이다.
사용자는 입력부(330)를 통해 다수의 경로 주기 가운데 예컨대, "뉴욕제과"를 포함하는 경로 주기를 선택한다(S412). 여기서, 입력부(330)는 조그스틱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도 6의 경로 주기를 텍스트 정보로 표시하는 화면에서 상세 목적지로 "뉴욕제과"를 선택하거나, 도 7의 경로 주기를 지도 이미지로 표시하는 화면에서 제1 상세 목적지(710)에 해당하는 "뉴욕제과"를 지정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62)가 터치 입력이 가능할 경우에, 경로 주기를 텍스트 정보로 표시하는 화면이나, 경로 주기를 지도 이미지로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바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해당 목적지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선택된 경로 주기에 해당하는 목적지의 위치를 최종 목적지로 설정하고, 그 최종 목적지로 설정된 상세 목적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메모리(350)에 저장한다(S414). 여기서, 상세 목적지에 대한 위치 정보는 위도와 경도의 좌표값을 포함하거나, 상세 목적지가 포함된 주변 지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정보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로부터 이동하여 최종 목적지를 포함하는 경로 주기를 따라 광역 목적지 뿐만 아니라 상세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경로 주기를 지도 축척별로 화면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로 주기를 선택하여 정확한 최종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기에서 특정 지점에 대한 경로 주기를 선택하여 최종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광역 지점 뿐만 아니라 상세 지점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1 축척에 따라 주요 기물을 포함하는 지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에서 특정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특정 지점에 대하여 제2 축척으로 작성된 지도 이미지에서 선택 가능한 주요 기물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상기 제1 축척에 따라 표시된 주요 기물과 구별되도록 상기 제1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축척 및 제2 축척에 따라 표시되는 주요 기물들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주요 기물을 상기 특정 지점으로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특정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하이라이트 또는 인라지에 의해 상기 제1 축척에 따라 표시된 주요 기물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특정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지도 축척별로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특정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점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점을 텍스트로 입력받거나, 지도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받은 특정 지점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특정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기물들을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거나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특정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기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특정 지점에 근접해 있는 주요 기물들을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특정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상세 목적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특정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
  8.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제1 축척에 따라 주요 기물을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1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에서 특정 지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특정 지점에 대하여 제2 축척으로 작성된 지도 이미지에서 선택 가능한 주요 기물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상기 제1 축척에 따라 표시된 주요 기물과 구별되도록 상기 제1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축척 및 제2 축척에 따라 표시되는 주요 기물들 중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주요 기물을 상기 특정 지점으로 지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점 또는 상기 주요 기물들에 대한 지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주요 기물들을 지도 축척별로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에 인접해 있는 주요 기물들을 상세 레벨부터 광역 레벨까지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KR1020070064457A 2007-06-28 2007-06-28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407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457A KR101407210B1 (ko) 2007-06-28 2007-06-28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457A KR101407210B1 (ko) 2007-06-28 2007-06-28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10A KR20090000410A (ko) 2009-01-07
KR101407210B1 true KR101407210B1 (ko) 2014-06-12

Family

ID=4048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457A KR101407210B1 (ko) 2007-06-28 2007-06-28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70B1 (ko) * 2010-02-04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송신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CN105222773B (zh) * 2015-09-29 2018-09-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导航方法及装置
CN105259703B (zh) * 2015-11-09 2019-01-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499A (ja) * 1995-12-25 1997-07-11 Toyota Motor Corp 経路情報提供方法及び経路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0227340A (ja) * 1999-02-08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案内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60097836A (ko) *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점검 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499A (ja) * 1995-12-25 1997-07-11 Toyota Motor Corp 経路情報提供方法及び経路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0227340A (ja) * 1999-02-08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案内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60097836A (ko) *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점검 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10A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9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the other party in navigation system
US8626437B2 (en) Selecting route according to traffic information
US118286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stination in navigation terminal
US20070168118A1 (en) System for coordinating the routes of navigation devices
US20110125398A1 (en) Navigation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point of interest data
US84232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 route in navigation system
US8180570B2 (en) Navig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programs
CN101910797A (zh) 使用信使交换彼此位置信息的导航系统和方法
JP607602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407210B1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설정 방법 및 시스템
JP2010210339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014616B2 (en) Alert content reception apparatus, alert content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acquiring alert content
KR2009002021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주변 정보 검색 네비게이션 단말기, 그입력 방법 및 검색방법
JP2012514216A (ja) データを表示するナビゲーション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0139240B2 (en) Navigation device providing path information and method of navigation
KR101015414B1 (ko) 네비게이션 장치, 시스템과 웹지도 검색서버 및 검색어 정보 업데이트 방법
CN101995260A (zh) 导航装置、数据处理装置及地理图像信息应用方法
JP2009025302A (ja) 経路情報提供方法及び装置
KR100408657B1 (ko) 디에이알씨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 방법
JP200704709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音声データ配信方法、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
JP2008128931A (ja) 車載情報端末
KR101190378B1 (ko) 실시간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4572908B2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自動車
KR20110013434A (ko) 휴대용 전자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오류 데이터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재-동조 지연을 줄이는 방법
JP200726379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