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159B1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159B1
KR101405159B1 KR1020097002740A KR20097002740A KR101405159B1 KR 101405159 B1 KR101405159 B1 KR 101405159B1 KR 1020097002740 A KR1020097002740 A KR 1020097002740A KR 20097002740 A KR20097002740 A KR 20097002740A KR 101405159 B1 KR101405159 B1 KR 10140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connecting member
wiper blade
end cap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785A (ko
Inventor
이베스 얀시스
크리스티안 빌름스
후버트 페렐스트
디르크 헤린크스
다비드 판 베렌
허베 브라테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4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made in two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94End caps having a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8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ex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2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to prevent longitudinal sliding of squeegee in support,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윈도우의 표면에 대하여 오목하게 구부러지고 길게 늘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레일(26), 와이퍼 스트립(12) 그리고 연결 부재(70)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와 관련이 있고, 상기 연결 부재의 양 측면에는 스포일러 부품(28, 30)이 세로 방향(50)으로 연결되며, 이 경우 스포일러 부품(28, 30) 안에는 리세스(38, 88)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세스(38, 88)는 주로 스포일러 부품(28, 30)의 외부 단부 영역(98) 안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로부터 출발한다.
DE 103 40 140 A1호에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가 공지되어 있다. 스포일러 부품은 보어, 노치(notch) 등의 형태로 된 리세스 외에 자신의 외부 단부에 단부 캡을 구비한다. 연결 부재 및/또는 스포일러의 영역에 있는 개구에 의해서는 유입의 경우에 스포일러 후면에서의 억압이 감소하고 와이핑 결과가 개선되는데, 그 이유는 물의 후퇴가 피해지기 때문이다. 개구들은 스포일러의 길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배되거나 또는 연결 부재 쪽으로 가면서 점차 간격이 감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 198 01 058 A1호에는 평탄 빔 구조로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밴드 형태로 길게 늘어진 스프링 레일은 플라스틱 외피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상기 플라스틱 외피 상에는 스포일러 프로파일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레일의 탄성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외피 및 스포일러 프로파일은 가로 슬롯(slot)을 가지며, 상기 가로 슬롯은 외부 커버 벽에 의해서 스프링 레일의 영역 내부까지 뻗는다. 상기 플라스틱 외피는 중간 영역이 나누어져 있다. 나누어진 부분들은 단부의 조립시에 스프링 레일 위를 커버하고,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등에 의해 맞댐 장소에서 서로 연결된다. 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외피 부분들 중에 한 외피 부분에서 다른 외피 부분을 향하고 있는 단부 상에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록킹 노우즈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 노우즈는 다른 외피 부분의 단부에 있는 구멍과 함께 하나의 클립 연결부를 형성한다. 상기 플라스틱 외피의 높이 뿐만 아니라 폭도 외부 단부로부터 연결 부재 쪽으로 가면서 점차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세스는 주로 스포일러 부품의 외부 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무엇보다도 고속에서의 와이핑 품질은 와이퍼 시스템의 디자인 측면에서 그리고 치수 설계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다. 특히 와이핑 동작 중에 와이퍼의 유입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와이퍼를 차량 윈도우로부터 들어올리고자 하는 파워는 와이퍼를 차량 윈도우를 향해 압착하는 파워보다 우세하다. 이와 같은 과정은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부에서 관찰되고, 특히 다른 무엇보다도 윈도우 와이퍼의 한 회전 축 바로 다음에 배치된 단부에서 관찰된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부의 하중을 경감시킴으로써, 상기 작동 영역에서의 와이핑 품질은 현저하게 악화된다. 리세스를 주로 스포일러 부품의 단부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영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임계적인 작동 영역에서도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부는 충분한 압착력에 의해 바람막이 창에 접하게 된다.
다수의 경우에는 리세스가 바람직하게 윈도우 와이퍼의 회전 축에 이웃하는 단부 캡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 캡의 빗 모양 부재 안에 삽입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리세스는 정면 폐쇄 벽을 포함한 상기 빗 모양 부재의 전체 프로파일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리세스의 작용을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단부 캡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가 자신의 빗 모양 부재에 마찬가지로 리세스를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단부 캡은 스포일러 부품을 외부 단부 쪽으로 폐쇄하며, 이 경우 연장부는 스포일러 부품 위를 세로 방향으로 덮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대략 나머지 단부 캡의 길이에 상응한다. 하지만, 필요시에는 상기 연장부가 더 길게 구현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부 캡 및 상기 단부 캡의 연장부를 해당 스포일러 부품상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의 작용은 리세스의 형상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다. 리세스는 절개부(kerf)인 경우가 바람직한데, 다시 말하자면 스포일러 부품의 빗 모양 부재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고, 그 상호 간격이 스포일러 부품의 단부 쪽으로 가면서 작아지는 절개부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리세스의 형상 및 치수 설계가 스포일러 부품의 탄력성을 높일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탄력성은 스프링 레일의 압착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적은 저항으로 맞서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스포일러 부품의 높이 및/또는 폭 및/또는 재료 두께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부 쪽으로 가면서 줄어드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스포일러 부품을 간단히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스포일러 부품은 와이퍼 스트립 및 스프링 레일의 단부에 의해서 또는 스프링 레일에 의해서 위로 슬라이딩 된다. 스포일러 부품은 상호 마주 보는 폐쇄 벽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록킹 수단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스포일러 부품이 상호 마주 보는 폐쇄 벽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측벽 영역에 있는 한 접합선에 측면으로 돌출하는 캠을 갖고, 상기 캠이 연결 부재의 한 리세스 안에 피팅됨으로써, 스포일러 부품은 연결 부재에 의해서 록킹된다. 연결 부재는 자신의 측에서 록킹용 후크를 갖는 스프링 설형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설형부는 연결 부재의 정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윈도우 내부에 조립할 때에 스포일러 부품의 폐쇄 벽 안으로 맞물림 결합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스포일러 부품에 대하여 가이드 리브(rib) 및 슬롯을 통해 가이드 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 및 슬롯은 스포일러 부품의 폐쇄 벽에 또는 연결 부재의 정면에 제공되어 있다.
추가의 장점들은 다음의 도면 설명부에서 나타난다. 도면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상세한 설명부 그리고 청구의 범위는 다수의 특징을 조합된 형태로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특징들을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도 고려할 것이고, 함축적인 추가의 조합으로 통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간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스포일러 부품이 장착된 도 1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과 같이 화살표 Ⅳ의 방향으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용 단부 캡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와이퍼 립(14)을 갖는 와이퍼 스트립(12)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 립은 전환 브리지(16)를 통해 헤드 스트립(18)에 연결되어 있다. 헤드 스트립(18)은 자신의 세로 측에 종방향 그루브(20)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그루브는 서로의 사이에 하나의 브리지(22)를 형성한다. 상기 브리지는 외부로 향하는 후방 스트립(24)을 헤드 스트립(18)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한다. 상기 종방향 그루브(20) 내에는 스프링 레일(26)이 각각 하나씩 삽입되어 있다. 종방향 그루브(20)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상기 스프링 레일(26)의 부분 상에서는 스포일러 부품(28, 30)이 가이드 레일(32)에 의해서 약간의 간극을 두고 가이드 된다. 상대 바람(주행풍)의 유입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2)에는 빗 모양의 부재(36)에 이르기까지 유동 프로파일(34)이 연결된다. 스포일러 부품(28, 30)의 횡단면 프로파일은 자신의 외부 단부 쪽으로 가면서 점차 높이(46) 및 폭(48)이 감소한다(도 4). 또한, 스포일러 부품(28, 30)의 재료 두께도 상기 단부 쪽으로 가면서 마찬가지로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치에 의해 스포일러 부품(28, 30)의 유연성이 개선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와이퍼 스트립(12)의 단부에는 스프링 레일(26)의 최대 압착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4로부터 드러나는 바와 같이, 스포일러 부품(28, 30)의 횡단면 프로파일은 세로 중앙 평면(40)에 대하여 대칭으로 구성되었다.
스포일러 부품(28, 30)은 자신의 단부에 단부 캡(44, 84)을 구비하며, 이 경우 도 1에 따른 단부 캡(44)은 스포일러 부품(28, 3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단 부 캡(84)은 별도의 부품으로서 조립시에 스포일러 부품(28, 30) 또는 스프링 레일(26)에 연결될 수 있다. 스포일러 부품(28, 30)은 단부 영역(98)에 리세스(38)를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들의 상호 간격(42)이 스포일러 부품(28, 30)의 외부 단부 쪽으로 가면서 더 작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길이 단위당 리세스(38)의 개수는 단부 쪽으로 가면서 증가하게 된다. 리세스(38)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세로 방향(50)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고, 가이드 레일(32)의 영역으로부터 빗 모양 부재(36)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리세스(38)는 상기 빗 모양 부재(36)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절개부를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은 단부 캡(84)의 빗 모양 부재(86)의 영역에 리세스(88)를 갖는 별도의 단부 캡(84)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별도의 단부 캡은 연장부(90)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세로 방향(50)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 쪽을 향하여 정렬될 수 있다. 연장부(90)는 나머지 단부 캡(84)의 길이에 대략 상응하는 길이(96)를 갖는다. 리세스(88)는 연장부(90)의 영역 안에 있고, 마찬가지로 단부 캡(84)의 정면 벽 영역(94)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단부 캡(84)은 가이드 부재(92)에 의해서 스프링 레일(26) 상에 배치된다.
스포일러 부품(28, 30)은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 폐쇄 벽(52)을 가지며, 상기 폐쇄 벽에는 가이드 레일(32)을 연장시키는 돌출부(58)가 연결된다. 스포일러 부품(28, 30)의 돌출부(58)의 서로 마주 보는 단부에서 하나의 접합선(64)에는 록킹용 후크(66)가 각각 하나씩 존재하며, 상기 록킹용 후크(66)는 각각 다른 스포일러 부품(28, 30)의 돌출부(68)와 함께 클립 연결부(66, 68)를 형성한다. 상기 클 립 연결부(66, 68)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합선(64)에 의해 분리된 캠(62)이 이용되며, 상기 캠은 돌출부(58)의 측벽(60)에 존재한다. 캠(62)의 절반은 리세스(74)에 의해 연결 부재(70)의 측벽(72) 안에서 차단된다. 연결 부재(70)는 와이퍼 블레이드(10)에 대하여 가로로 돌출부(58) 위에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 부재는 스포일러 부품(28, 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폐쇄 벽(52)의 정면에 있는 가이드 리브(54)에 의해서 그리고 상응하는 슬롯(80)에 의해서 상기 연결 부재(70)의 정면 벽 안으로 가이드 된다.
슬롯(80)들 사이에서는 록킹용 후크(78)를 갖는 스프링 설형부(76)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용 후크는 조립시에 폐쇄 벽(52)에 있는 가이드 리브(54)들 사이에서 윈도우(56) 안에 맞물린다. 따라서, 연결 부재(70)는 스포일러 부품들(28, 30) 간의 결합을 영구적으로 보증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0)를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 암에 관절 형태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부재(70)는 허브(82)의 형태로 된 링크 부재를 구비한다.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단지 하나의 단부 캡(44 또는 84)이 윈도우 와이퍼의 회전 축에 이웃하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부에 리세스(38, 88)를 갖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사용례에서는 원하는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리세스(38, 88)를 다소 크기가 큰 단부 영역(98) 위에 전술된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에서 와이핑 품질을 개선하는 등 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1)

  1. 길게 늘어지고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레일(26), 와이퍼 스트립(12) 그리고 연결 부재(7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양 측면에 스포일러 부품(28, 30)이 세로 방향(50)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포일러 부품(28, 30) 안에 리세스(38, 88)가 제공된,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8, 88)는 스포일러 부품(28, 30)의 외부 단부(98) 안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38, 88)는 스포일러 부품(28, 30)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캡(84)의 빗 모양 부재(86)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삭제
  3. 단부 캡(84)은 세로 방향(50)으로 연장부(90)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자신의 빗 모양 부재(86)에 리세스(38, 88)를 가지며, 상기 단부 캡(84)은 스포일러 부품(28, 30)을 외부 단부 쪽으로 폐쇄하고, 상기 연장부(90)는 스포일러 부품(28, 30) 위를 세로 방향(50)으로 덮고,
    스포일러 부품(28, 30)은 서로마주 보는 폐쇄 벽(52)에 돌출부(58)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록킹 수단(66, 68)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90)의 길이(96)는 나머지 단부 캡(84)의 길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8)는 스포일러 부품(28, 30)의 빗 모양 부재(36) 쪽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절개부이고, 상기 절개부들의 상호 간격(42)은 스포일러 부품(28, 30)의 단부 쪽으로 가면서 더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84)은 스포일러 부품(28, 30)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7.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 부품(28, 30)의 높이(46), 폭(48) 또는 재료 두께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부 쪽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삭제
  9.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 부품(28, 30)은 서로 마주 보는 폐쇄 벽(52)에 돌출부(68)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측벽(60)의 영역에 있는 한 접합선(64)에서 측면으로 돌출하는 캠(62)을 구비하고, 상기 캠은 연결 부재(70)의 한 리세스(74) 안에 피팅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측벽(60)을 통해 폐쇄 벽(52)들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벽(52) 상에는 서로 마주 보는 가이드 리브(54)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연결 부재(70)의 슬롯(80) 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80)들 사이에서는 록킹용 후크(78)를 갖는 스프링 설형부(76)가 연결 부재(70)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설형부는 윈도우(56) 내부에 조립할 때에 폐쇄 벽(52) 안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097002740A 2006-08-18 2007-06-19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05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8828A DE102006038828A1 (de) 2006-08-18 2006-08-18 Wischblatt
DE102006038828.3 2006-08-18
PCT/EP2007/056070 WO2008019903A1 (de) 2006-08-18 2007-06-19 Wischblat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85A KR20090042785A (ko) 2009-04-30
KR101405159B1 true KR101405159B1 (ko) 2014-06-10

Family

ID=3847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740A KR101405159B1 (ko) 2006-08-18 2007-06-19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54277B1 (ko)
JP (1) JP4944959B2 (ko)
KR (1) KR101405159B1 (ko)
CN (1) CN101506011B (ko)
DE (1) DE102006038828A1 (ko)
WO (1) WO2008019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7633A1 (de) 2006-10-09 2008-04-17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EP2106978B1 (en) * 2008-03-31 2017-03-08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DE102008041405A1 (de) * 2008-08-21 2010-02-2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mit einem Anschlusselement
DE102009000860A1 (de) 2009-02-13 2010-08-1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mit einer Adaptereinheit zur Befestigung an einem Wischraum
KR101105340B1 (ko) * 2009-08-21 2012-01-16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금속재 클램프와 바디 스프링의 조립방법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KR101130977B1 (ko) * 2010-09-10 2012-03-29 김인규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30039B1 (ko) * 2010-09-10 2012-03-28 김인규 스포일러를 갖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70905B1 (ko) * 2010-09-10 2012-08-06 김인규 후크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EP2621773B1 (en) * 2010-09-30 2018-06-27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10062274B4 (de) * 2010-12-01 2021-12-2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in Flachbalkenbauweise
DE102010062899A1 (de)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10062910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10062902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WO2012103939A1 (en) * 2011-02-01 2012-08-09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11079530A1 (de) 2011-07-21 2013-01-24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JP5833389B2 (ja) * 2011-09-15 2015-12-16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及び車両用ワイパ
US9174610B2 (en) 2011-09-15 2015-11-03 Asmo Co., Ltd. Wiper blade and wiper for vehicle
US9161612B2 (en) * 2011-11-30 2015-10-20 Grillbot, Llc Surface-cleaning device
CN103183009B (zh) * 2011-12-27 2015-04-08 东莞山多力汽车配件有限公司 具伏贴性非支架式雨刷结构
KR101433220B1 (ko) 2012-06-25 2014-08-2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EP2983952B1 (en) * 2013-04-12 2019-10-02 Federal-Mogul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484062B1 (ko) 2013-06-10 2015-01-20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RU2015129025A (ru) * 2014-07-17 2017-01-20 Валео Систэм Д'Эссюаж Обтекаемая бескаркасная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DE102015214375A1 (de) * 2015-07-29 2017-02-0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JP6104343B2 (ja) * 2015-10-26 2017-03-2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JP7040359B2 (ja) * 2018-08-22 2022-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ブレード及び車両用ワイパ
FR3132891A1 (fr) * 2022-02-22 2023-08-2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yage
EP4269188A1 (en) * 2022-04-26 2023-11-01 Danyang UPC Auto Parts Co., Ltd. Wi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9820A (en) * 1973-12-10 1976-03-31 Trico Folberth Ltd Windscreen wiper blades
KR970035828U (ko) * 1995-12-23 1997-07-26 와이퍼암 스포일러로 된 와이퍼 손상방지기구
EP1050441A2 (en) 1999-05-03 2000-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window wiper assembly
DE102004051466A1 (de) 2004-05-28 2005-12-1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172A (ja) * 1985-07-22 1987-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ケジユ−ル機能付電子装置
DE19801058A1 (de) 1998-01-14 1999-07-15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S6108857A (en) * 1998-10-23 2000-08-29 Lee; Albert I. Winter windshield wiper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3940982B2 (ja) * 2000-06-28 2007-07-04 株式会社ワイ・コーポレーション ワイパーブレード装置
DE10130381A1 (de) * 2000-07-27 2002-05-23 Bosch Gmbh Robert Wischerarm, Wischblatt und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139104A1 (de) * 2001-08-09 2003-03-06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blatt, insbesondere Flachwischblatt
CN1671581A (zh) * 2002-07-31 2005-09-21 株式会社美姿把 雨刮片
DE10340140B4 (de) 2003-09-01 2020-07-30 Robert Bosch Gmbh Gelenkfreies Wischblatt
JP2005319964A (ja) * 2004-05-11 2005-11-17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JP4337704B2 (ja) * 2004-10-07 2009-09-30 市光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US20070022556A1 (en) * 2005-07-28 2007-02-01 Walworth Van T Wind deflector with symmetrical geometry
DE202006009435U1 (de) * 2006-06-16 2006-08-17 Fu Gang Co., Ltd., Chungho Scheibenwisc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9820A (en) * 1973-12-10 1976-03-31 Trico Folberth Ltd Windscreen wiper blades
KR970035828U (ko) * 1995-12-23 1997-07-26 와이퍼암 스포일러로 된 와이퍼 손상방지기구
EP1050441A2 (en) 1999-05-03 2000-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window wiper assembly
DE102004051466A1 (de) 2004-05-28 2005-12-1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4277B1 (de) 2014-08-13
JP4944959B2 (ja) 2012-06-06
CN101506011A (zh) 2009-08-12
KR20090042785A (ko) 2009-04-30
WO2008019903A1 (de) 2008-02-21
CN101506011B (zh) 2011-08-03
JP2010500949A (ja) 2010-01-14
EP2054277A1 (de) 2009-05-06
DE102006038828A1 (de)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15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95354B1 (ko) 자동차의 윈도우용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피봇 연결 장치
US20220001840A1 (en) Wiper blade with cover
KR101520032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6000093A (en) Wiper blade assembly
KR1014891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8181307B2 (en) Wiper blade
JP4202940B2 (ja) ワイパブレード
US6966096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arm to a wiper blade and wiper arm and wiper blade using such a device
KR100578703B1 (ko) 자동차 유리창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US9266504B2 (en) Wiper blade and end cap
KR100702826B1 (ko) 자동차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US7228588B2 (en) Wiper blade for cleaning panes,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KR100389595B1 (ko) 와이퍼 블레이드장치
US20070289079A1 (en) Wiper Blade
US9511746B2 (en) Wiper blade
JPS6261862A (ja) ワイパ−ブレ−ド
EP3019373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EP3826889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flat blade type
JP5044250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080093335A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CN212047276U (zh) 刮水器刮臂、刮水器以及机动车辆
RU2587749C2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EP3335945B1 (en) End fitting for a wiper blade and a wiper blade comprising such the end fitting
US9604599B2 (en) Wiper bla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