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328B1 -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 Google Patents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328B1
KR101404328B1 KR1020120073584A KR20120073584A KR101404328B1 KR 101404328 B1 KR101404328 B1 KR 101404328B1 KR 1020120073584 A KR1020120073584 A KR 1020120073584A KR 20120073584 A KR20120073584 A KR 20120073584A KR 101404328 B1 KR101404328 B1 KR 10140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otective film
waterproof protective
concret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649A (ko
Inventor
박환갑
Original Assignee
박환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갑 filed Critical 박환갑
Priority to KR102012007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3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발열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콘크리트 타설 시공 후 공기층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표면 평활화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과,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과, 상기 방수 보호막의 일 측 상부에 방수 보호막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Sealed heating unit for wet process of construction having exothermic film}
본 발명은 발열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전 및 파손의 위험이 없는 방수기능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직접적인 습식 시공이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발열필름은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없이도 단열을 위해 바닥에 깔기만 하면 되므로 간편하고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시공이 가능하며, 얇고 가벼워 운반이 쉽고,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리모델링 시공시 대대적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매우 간편하고 설치 후에도 손질이나 정비를 할 필요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필름(또는 발열시트)과 같은 발열체는 열효율이 높아 건축 난방용이나, 비닐하우스, 축사 등 농, 축산업 난방용으로 종래 보일러 및 전열선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발열체는 선상 발열체와 면상 발열체로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에 단열재를 부착한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참고로 도 1, 2는 발열필름 중 선상 발열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같이, 발열필름(100)은 일 측의 제 1 합성수지재(PET) 필름(200a) 내면으로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은페이스트(120b) 및 동(120a)으로 각각 배치된 동선(120)과, 상기 양측의 동선(120) 사이를 가로로 일정간격마다 병렬로 배치한 탄소성분을 갖는 발열부(110)와, 그리고 상기 동선(120) 및 발열부(110) 상부에 위치하여 열 압착을 통해 상기 제 1 합성수지재 필름(200a)과 도포되는 제 2 합성수지재 필름(200b)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발열필름을 갖는 발열체는 도 2와 같이, 발열필름(100)의 동선(120)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120)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120) 사이에 연결된 발열부(110)를 발열시키기 위한 커넥터 단자(130)와, 발열부(110)의 일 측면의 합성수지재 필름(200b) 하부 표면에 적층 부착되어 건축난방 시공 후 발열부(11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장시간 보온성을 유지하기 위한 일정 두께를 갖는 단열재(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부(110)는 전류가 흐르면 쉽게 발열하는 탄소성분을 포함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의 구조로 구성되는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가 서로 연결되어 롤(roll) 형태로 제조되며, 시공시에 현장에서 설치되는 면적을 감안하여 규격에 맞게 재단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양 측면을 재단함에 따라, 동선(120)이 외부로 노출되어 방수에 취약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롤 형태로 제공되므로 시공할 때마다 재단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별도의 커넥터(130)를 동선(120)에 연결하는 작업이 필연적으로 수반됨에 따라, 커넥터(130) 연결 후 테이핑을 하더라도 누전의 염려가 항상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수제를 사용하거나 방수 보호 필름을 동선(120) 또는 발열체(100) 전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시공시에 재단하는 방식으로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가 사용됨에 따라 재단된 부분으로 그 틈이 발생되는 것을 어쩔 수가 없게 되어 완전한 방수성을 갖는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방수성이 떨어짐에 따라 선상 및 면상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는 습식에서의 시공이 불가능하여 건식 시공에만 한정하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의 난방 시공 시 물기가 있는 공사에서는 물기를 제거하거나 마른 후에 작업을 하여야 하고, 시멘트나 콘크리트 상하부에 타설하는 방식에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건축물의 난방시공 시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식으로는 파이프 관을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하고, 파이프 관을 통해 온수를 이동시킴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파이프 관 내부에 열선을 위치시키는 초절전 온수관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파이프 관 내부에 전열선을 삽입하여 파이프 관 내부 물의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난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파이프 관의 경우 수명이 짧고, 누수가 결로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파이프 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파이프 관을 부식시켜 오염물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절전 온수관의 경우도 파이프 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고여 있어 물이 썩거나, 전열선에 스케일(scale : 물때)이 끼어서 전열선이 끊어지는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건축물의 난방시공 시에 많은 문제를 갖는 파이프 관의 사용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대체품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재단 없이 우레탄 등 소재의 방수보호막을 이용하여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및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방수 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하도록 발열체를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난방시공 시에 습식 콘크리트 타설 가능한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기능과 함께 변형이 적고 휘어짐(flexible)이 좋아 높은 하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습식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가능한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형 발열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콘크리트 타설 시공 후 공기층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표면 평활화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배출부를 구비한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형 발열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공기층으로 인한 내부 온도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제거하여, 결로현상에 따른 누설전류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의 특징은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과,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과, 상기 방수 보호막의 일 측 상부에 방수 보호막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배출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방수 보호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부에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방수 보호막 상부에 타설 시공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보다 높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타설 시공시 상기 공기 배출부가 위치하는 반대 방향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의 다른 특징은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과,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압착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으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방수 보호막의 압착 밀봉은 방수 보호막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롤러를 밀착시켜 이동하면서, 방수 보호막 내부에 있는 공기를 일 측으로 밀어낸 후 밀봉 처리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필름은 선상 발열필름 또는 면상 발열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필름의 동선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 사이에 연결된 발열부를 발열시키기 위한 전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선은 방수 보호막에 의해 발열필름과 함께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되어 내부 전기선과 외부 전기선 간에 서로 방수 처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선은 양측 동선 각각에 집게 형태로 연결된 커넥터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선과 양측 동선은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필름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 내부는 진공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열선용 발열시트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화기나 모터가 없어서 안전하며 조용한 난방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복사열로 전기 효율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기존에 건축물의 난방 시공시 이용되고 있는 파이프 관 및 초절전 온수관과 같이 물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파, 누수의 위험이 없으며, 오염물의 발생과, 파이프 관의 부식을 통한 수명의 단축 등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초절전 온수관이 갖는 파이프 관 안에 발생되는 스케일이나 물이 썩어 전열선이 끊어지는 현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셋째, 방수기능을 통해 습식시공이 가능하여 간편하고 단기간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저렴한 공사비용을 갖는 효과가 있다.
넷째, 높은 하중에도 변형이 적고 휘어짐(flexible)이 좋은 우레탄 등 소재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습식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설물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건축 내부 바닥의 난방은 물론 결빙 도로, 지붕 위에 쌓이는 눈을 녹이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밀폐형 발열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콘크리트 타설 시공 후 공기층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표면 평활화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콘크리트 타설 시공과 동시에 밀폐형 발열체의 내부 공기를 제거할 수 있어, 콘크리트 표면의 평활화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콘크리트 표면의 평활화를 유지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시공 후 발생되는 표면 평활화를 위한 추가 덧칠(씌우기) 작업 및 덧칠 작업을 통해 발생되는 균열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밀폐형 발열체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공기층으로 인한 내부 온도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제거하여, 결로현상에 따른 누설전류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타설 등의 경우에도 정밀한 평활성 유지가 가능하여 그 상부에 배치하게 될 마감재로 장판, 데코타일, 온돌마루, 돌, 대리석 등 하드하거나 소프트한 모든 마감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번째, 발열필름, 커넥터, 전선이 포함하는 발열체 구조를 PET 및 우레탄과 같이 두께가 있는 코팅재로 밀폐시킬 수 있어 방수용으로 보다 확실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롤 형태로 제조되는 발열필름 및 발열체를 촬영한 사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제 1 실시예
도 7a 내지 도 7c는 콘크리트 표면의 평활화를 유지하지 못한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밀한 평활성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나타낸 제 2 실시예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평활성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나타낸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나타낸 제 1 실시예이다.
도면과 같이, 밀폐형 발열체는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100)과, 방수를 위해 우레탄 등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필름(100)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및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410)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필름(100)은 선상 발열필름 또는 면상 발열필름 등 가능한 모든 형태의 발열필름으로 구성되며, 방수 보호막(400)은 두께의 제한은 없으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3mm 이상의 두께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필름(100) 중 선상 발열필름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일 측의 제 1 합성수지재(PET) 필름(200a) 내면으로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은페이스트(120b) 및 동(120a)으로 각각 배치된 동선(120)과, 상기 양측의 동선(120) 사이를 가로로 일정간격마다 병렬로 배치한 탄소성분을 갖는 발열부(110)와, 그리고 상기 동선(120) 및 발열부(110) 상부에 위치하여 열 압착을 통해 상기 제 1 합성수지재 필름(200a)과 도포되는 제 2 합성수지재 필름(200b)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발열필름(100)의 동선(120)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120)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120) 사이에 연결되어 발열부(110)를 발열시키기 위한 커넥터 단자(130)는 도 6과 같이 발열필름(100)과 함께 고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압착 밀봉(410)되어 내부 전기선과 외부 전기선 간에 서로 방수 처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 단자(130)는 발열필름(100)과 방수 보호막(400)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구성됨에 따라 동선(120) 별도의 전기선을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수 보호막(400)내부에서 상기 발열필름(100)이 움직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열필름(100)과 상기 방수 보호막(400) 사이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는 발열필름(100) 위에 접착제를 접착한 후 방수 보호막(400)을 위에 위치시킨 후, 열 선로에서 열을 가해서 발열필름(100)과 방수 보호막(400)을 서로 접착 시키게 된다.
상기 방수 보호막(400) 내부에 발열필름(100)이 밀봉되어 구성되는 발열체의 구조는 도 3의 일반적인 발열체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롤(roll) 형태로 제조된 후, 시공시에 설치되는 면적의 길이에 맞게 현장에서 재단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될 공간의 크기에 따라 미리 주문 생산하여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경우 방수 보호막(400)으로 우레탄 등 소재를 발열필름(100) 외부를 밀봉하여 구성함으로써, 높은 하중에도 변형이 적고 휘어짐(flexible)이 좋아 직접적인 습식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설물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발열필름(100)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400)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에서 상기 발열필름(1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에 공기가 있는 경우 발열필름(100)에서 이루어지는 전류의 흐름에 장애요인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방수 보호막(400) 내부의 공기층으로 내부열과 공기층으로 인한 결로 현상으로 습기가 발생하여 누설전류가 흐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폐형 발열체 상부에 직접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공을 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을 일 측 또는 양 측으로 순차적으로 타설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필름(100)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400) 내부에 공기가 있는 경우에는 순차적인 콘크리트 타설 시공에 따라 방수 보호막(400) 전체에 분포하던 공기가 일 측으로 쏠리면서 도 7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한곳으로 모여 공기층(510)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수 보호막(400)과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500) 사이에 상기 공기층(510)이 위치하게 되어 도 7a와 같이 공기층(510)이 위치한 상부의 콘크리트(500)의 두께가 다른 위치의 콘크리트(500)의 두께보다 얇게 시공되게 된다.
그리고 이후, 공기층(510)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방수 보호막(400) 전체로 서서히 확산되는데, 이에 따라 도 7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공기층(510)이 위치한 상부에 시공된 콘크리트(500)가 함몰(520)되게 되어 콘크리트의 표면 평활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 시공 이후에 콘크리트 표면의 평활화를 위해 도 7c와 같이 콘크리트가 함몰된 부분(520)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덧칠하여 씌우거나, 또는 도 7d와 같이 전체 영역에 덧칠하여 씌우는(530) 추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도 7c와 같이 함몰된 부분만 새로운 콘크리트(530)를 덧칠하는 경우는 하부에서 열을 가하거나 또는 바닥의 충격 등으로 인해 덧씌운 콘크리트(530)가 치고 올라오는 크랙(crack)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7d와 같이 전체 영역에 콘크리트를 덧칠(540)하는 경우에는 도 7c에서 발생되는 크랙 현상은 해소할 수 있지만, 굳는 정도가 서로 다른 2중 구조(500,540)를 나타내게 됨에 따라, 2중 구조의 콘크리트 간(500)(540)의 서로 늘어나는 치수가 달라져서 2중 구조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바닥으로의 충격 등으로 인한 균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상기 발열필름(100)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400)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밀폐형 발열체의 효율을 물론 콘크리트 타설 시공 후 발생되는 평활성 유지를 위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평활성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나타낸 제 2 실시예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방수 보호막(400)의 일 측 방수 보호막(400)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700)를 추가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공기 배출부(700)는 대롱이나 파이프의 형태를 갖는 방수 보호막(40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덮개를 포함한다. 도 8a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상의 공기 배출부(700)을 도시하고 있으나 단면이 원형 이외의 다각형인 파이프 형상의 공기 배출부(700)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700)의 높이는 상기 방수 보호막(400) 상부에 타설 시공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보다 높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밀폐형 발열체 상부에 직접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공을 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은 일 측 또는 양 측으로 순차적으로 타설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도 8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순차적인 콘크리트 타설 시공에 따라 방수 보호막(400) 전체에 분포하던 공기가 일 측으로 쏠리면서 공기 배출부(700)가 위치하는 방수 보호막(400)의 일 측 방향으로 유도한다. 즉, 방수 보호막(400) 위에 콘크리트 타설 시공을 하는 경우에 공기 배출부(700)가 위치하는 반대 방향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을 시공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타설 시공의 시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 배출부(700)가 위치되도록 방수 보호막(400)을 설치함으로써, 공기층(510)이 발생되는 위치를 공기 배출부(700)가 구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손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방수 보호막(400) 전체에 분포하던 공기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은 하중으로 타설되는 반대방향으로 쏠리면서 발생되는 공기층(510)이 공기 배출부(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방수 보호막(400)의 내부에 있는 공기는 콘크리트의 높은 하중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기 배출부(700)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높이로 절단하고 덮개를 막거나, 또는 공기 배출부(700)를 우레탄 컴파운드 등 밀봉재로 충진하여 마감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평활성 기능을 제공하는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나타낸 제 3 실시예이다.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방수 보호막(400)을 제조하기 위해 방수를 위해 우레탄을 이용하여 상기 발열필름(100)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및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압착 밀봉(410) 처리할 때, 방수 보호막(40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롤러(600)를 밀착시켜 이동시킨다.
이처럼, 방수 보호막(400)은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롤러(600)의 하중으로 인해 압착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방수 보호막(400) 내부에 있는 공기가 일 측으로 쏠리면서 자연스럽게 진공상태를 유지시킨 후, 압착 밀봉(410)을 처리한다.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방법은 상기 방수 보호막(400)을 압착 밀봉(410) 처리할 때, 롤러(600)를 이용한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추가함으로써 상기 발열필름(100)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400)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측에 매립되어 사용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에 있어서,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과,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과,
    상기 방수 보호막의 일 측 상부에 방수 보호막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공기 배출부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내측에 매립되는 발열체 내부의 공기층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표면이 평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방수 보호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그 상부에 추가로 구성된 덮개를 이용하여 밀봉되거나 밀봉재를 이용하여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4. 삭제
  5.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측에 매립되어 사용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에 있어서,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과,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압착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으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방수 보호막의 압착 밀봉은 방수 보호막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롤러를 밀착시켜 이동하면서, 방수 보호막 내부에 있는 공기를 일 측으로 밀어낸 후 밀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필름의 동선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 사이에 연결된 발열부를 발열시키기 위한 전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선은 방수 보호막에 의해 발열필름과 함께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되어 내부 전기선과 외부 전기선 간에 서로 방수 처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필름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 내부는 진공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KR1020120073584A 2012-07-06 2012-07-06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KR101404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584A KR101404328B1 (ko) 2012-07-06 2012-07-06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584A KR101404328B1 (ko) 2012-07-06 2012-07-06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49A KR20140005649A (ko) 2014-01-15
KR101404328B1 true KR101404328B1 (ko) 2014-06-09

Family

ID=5014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584A KR101404328B1 (ko) 2012-07-06 2012-07-06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375B1 (ko) * 2015-07-03 2015-11-12 엔디티엔지니어링(주) 고분자 ptc 정온발열잉크를 이용한 습식용 면상발열체 제조 방법
KR101593983B1 (ko) * 2015-07-03 2016-02-15 엔디티엔지니어링(주) 고분자 ptc 정온발열잉크를 이용한 습식용 면상발열체
US9668301B2 (en) 2015-07-03 2017-05-30 Ndt Engineering & Aerospace Co., Ltd. Wet-use plane heater using PTC constant heater-ink polymer
CN109565909A (zh) 2016-06-22 2019-04-02 Ndt工程航天有限公司 加热元件
WO2020085577A1 (ko) * 2018-10-23 2020-04-30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면상 발열 시트 조립체
KR102229180B1 (ko) * 2020-01-10 2021-03-17 주식회사 창민테크론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피복부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810A (ja) * 1999-04-21 2000-11-02 Komatsu Ltd 温度制御用プレ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810A (ja) * 1999-04-21 2000-11-02 Komatsu Ltd 温度制御用プレ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49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328B1 (ko)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RU2441119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CN109098479B (zh) 一种轻型电磁屏蔽室的施工工艺
KR102419365B1 (ko) 융설 기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융설 시스템
CN205897316U (zh) 一种智能温控发热墙纸
CN106016428A (zh) 一种智能温控发热墙纸及其制备方法
KR101459289B1 (ko) 공기층 단열을 이용한 복합·복층·단열방수공법
CN104763111B (zh) 一种防水保温一体化系统的施工工艺
CA2834039C (en) A composite insulating panel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1243270B1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24206Y1 (ko) 벽체형 탈기관
KR101404336B1 (ko)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KR101552674B1 (ko) 바닥 난방장치
CN104453108A (zh) 一种轻钢屋面柔性防水施工方法
EP2210991A1 (en) External wall insulation system
CN108978927B (zh) 一种钢管束与页岩砖外墙连接结构的施工方法
JP5358477B2 (ja) 防水シート施工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0161711U (zh) 一种丙烯酸聚合物现场成型高分子卷材
JP2015190113A (ja) ピンホール検査可能な蓄熱槽
WO2014198454A1 (en) Insulated corrugated fiber cement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215760041U (zh) 一种彩钢瓦屋顶防水结构
JP575932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加熱装置
KR101004750B1 (ko)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CN212866668U (zh) 一种倒置式屋面天沟雨水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