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546B1 -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 Google Patents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546B1
KR101403546B1 KR1020110107799A KR20110107799A KR101403546B1 KR 101403546 B1 KR101403546 B1 KR 101403546B1 KR 1020110107799 A KR1020110107799 A KR 1020110107799A KR 20110107799 A KR20110107799 A KR 20110107799A KR 101403546 B1 KR101403546 B1 KR 10140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nk
water
offset printing
rub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739A (ko
Inventor
전찬경
Original Assignee
전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찬경 filed Critical 전찬경
Priority to KR102011010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5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20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20Details
    • B41F7/24Damping devices
    • B41F7/32Ducts, containers, or like supply devices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r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옵셋인쇄기가 평판판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인쇄중에 계속 변동되어 일정하지 않아 인쇄 품질이 안정되지 못하고, 잉크가 물에 번져 선명한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고, 공급되는 물, IPA, H액이 혼입되어 발생되는 폐액은 pH12 이상의 강알칼리성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쳐 처리비용이 많이 들고, 기기의 작동 및 마찰로 인해 상승하는 잉크롤러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해주고 pH의 농도를 관리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옵셋인쇄하우징, 잉크공급장치, 인쇄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습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 고무층을 사용하여 인쇄가 이루어지고, 잉크가 번지지 않고 인쇄의 작은 점 하나하나가 선명하게 재현되어 고농도, 고정밀의 인쇄품질을 인쇄의 시작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얻을 수 있고, 기존의 습수를 이용한 옵셋인쇄기에 비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 부드러운 인쇄가 가능하며, 인쇄불량을 최소화하여 불량으로 낭비되는 종이와 잉크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발생되는 물은 수냉식의 용도로 사용되어 일반 하수에 흘려보낼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습수의 양이나 pH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작업부담을 감소시키며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Waterless offset printing presses capable of printing using silicone rubber layer equipped printing cylinder}
본 발명은 습수를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로터리 조인트를 통해 수냉장치를 연결하여 잉크롤러부의 상승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옵셋인쇄기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옵셋인쇄기란 판의 화상을 직접 종이에 전달시키지 않고 먼저 고무 블링킷에 전사한 후 종이에 인쇄하는 간접인쇄방법으로서, 인쇄하고자 하는 도안을 디자인하고 별도의 기계를 이용해 필름으로 출력하고 인쇄를 찍기 위해 내쇄력이 강한 소부판에 옮겨준 후 필름을 올려놓고 빛에 빠르게 반응하는 산화제를 도포한 후, 위에 필름을 얹은 뒤 빛을 비춰 빛에 노출되는 부분이 빠르게 부식되며 필름의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면과 인쇄면 외의 공백공간인 비인쇄면으로 나누어 지는데 판 전용 현상기를 통해 필요없는 부분을 씻겨내고 불필요한 부분을 수정하는 소부작업을 거친 얇은 인쇄판의 잉크가 블랑켓에 화상이 전달되고, 그 화상이 종이로 전달되는 과정을 거쳐 인쇄된다.
하지만, 기존의 옵셋인쇄기는 편평한 판면에 물과 기름의 반발력을 이용한 친수부와, 친유부로 나뉘어 인쇄되는 방식으로, 감광액이 미리 도포되어있는 평판판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인쇄중에 계속 변동되어 일정하지 않아 인쇄 품질이 안정되지 못하고, 잉크가 물에 번져 선명한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고, 물을 공급하는 조정기계가 멈추어 습수의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습수의 양이 많으면 잉크가 흘러 블랑켓에 종이가 달라붙고, 적으면 비화선부에까지 잉크가 올라가거나 종이가 뜯기는 현상이 발생되어 습수의 양을 적당하게 맞추고 유지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물 막대기를 통해 습수의 양을 체크하여 조절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IPA(Isopropyl Alcohol)와 같은 유기용제를 대량으로 사용하면 공급되는 물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규제물질이므로 사용하기 힘들고, 공급되는 물, IPA, H액이 혼입되어 발생되는 폐액은 pH12 이상의 강알칼리성으로 특별관리 산업 폐기물로 회수가 의무화되어 있어 처리비용이 많이 들고, 기기의 작동 및 마찰로 인해 상승하는 잉크롤러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해주고 pH의 농도를 관리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습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잉크가 번지지 않고 인쇄의 작은 점 하나하나가 선명하게 재현되어 고농도, 고정밀의 인쇄품질을 인쇄의 시작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얻을 수 있고, 기존의 습수를 이용한 옵셋인쇄기에 비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 부드러운 인쇄가 가능하며, 인쇄불량을 최소화하여 불량으로 낭비되는 종이와 잉크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발생되는 물은 수냉식의 용도로 사용되어 일반 하수에 흘려보낼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습수의 양이나 pH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작업부담을 감소시키며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옵셋인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는 습수장치의 대안으로 친환경적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방식으로
기본 골격으로 형성되어 옵셋인쇄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옵셋인쇄하우징과,
인쇄장치의 상단에 위치하여 인쇄실린더에 감겨 장착된 소부판에 잉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잉크공급장치와,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 사이에 양쪽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모터에 의해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피인쇄물을 인쇄시키는 인쇄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습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잉크가 번지지 않고 인쇄의 작은 점 하나하나가 선명하게 재현되어 고농도, 고정밀의 인쇄품질을 인쇄의 시작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얻을 수 있고, 기존의 습수를 이용한 옵셋인쇄기와 비교하여 16%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 부드러운 인쇄가 가능하며, 인쇄불량을 2%이내로 최소화하여 불량으로 낭비되는 종이와 잉크를 대폭 줄일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산업폐기물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발생되는 물은 수냉식의 용도로 사용되어 일반 하수에 흘려보낼 수 있는 물로 친환경적이고, 습수의 양이나 pH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작업부담을 감소시키며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기를 배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기를 좌측에서 바라본 형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기를 우측에서 바라본 형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장치와 인쇄장치의 구성요소의 회전방향과 피인쇄물의 이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부판의 실리콘 고무층과 화선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옵셋인쇄하우징(100), 잉크공급장치(200), 인쇄장치(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하우징(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옵셋인쇄하우징(100)은 옵셋인쇄기(1)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기본골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옵셋인쇄기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가로방향으로 누워진 형태의 직육면체형태로 형성된 하단지지프레임(110)과, 하단지지프레임(110)의 상단의 좌측과 우측면에 직립되어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주보도록 세워져 사이에 잉크공급장치(200)와 인쇄장치(300)의 양쪽을 지지하는 좌측프레임(120), 우측프레임(130)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지지프레임(110)은 정면에 피인쇄물을 공급하는 급지롤러(111-a)가 장착될 수 있도록 양쪽에 대칭이 되는 급지롤러장착부(111)가 형성되고 후면에 인쇄가 이루어진 인쇄물의 자연스러운 배출을 돕는 배지롤러(112-a)가 장착될 수 있도록 양쪽에 대칭이 되는 배지롤러장착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지롤러장착부(111)는 피인쇄물이 말리거나 접히지 않고 인장되어 공급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장치로 피인쇄물(2)이 걸리거나 느슨해지지 않고 인장되어 탄력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옵셋인쇄기의 전면에 형성된 2개의 기둥이 대칭되어 형성되고, 기둥사이에 양쪽으로 고정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말린 피인쇄물(2)을 지지하고 고무블랑켓(320)과 압통(330)이 회전하며 이동되는 피인쇄물의 속도에 따라 회전되며 피인쇄물을 공급하는 급지롤러(111-a)와, 공급되는 피인쇄물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어져 정확한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되는 피인쇄물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회전되고 피인쇄물의 넓이에 따라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111-b)가 이루어진미도시다.
상기 배지롤러장착부(112)는 인쇄가 완료된 인쇄물이 쳐지면서 회전되는 압통(330)의 둘레를 감싸며 하단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옵셋인쇄기의 후면에 형성된 2개의 기둥이 대칭되어 형성되고, 기둥사이에 양쪽으로 고정되어 고무블랑켓(320)과 압통(330)을 통과하는 피인쇄물을 회전되며 배출시키는 배지롤러(112-a)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피인쇄물(2)은 판에서 직접 인쇄되지 않고 고무 블랑켓(320)을 통해 인쇄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종이가 사용 가능하여, 울퉁불퉁한 요철이 많은 종이에도 선명한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프레임(120)은 하단지지프레임의 상단 좌측에 직립되고 우측프레임(130)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잉크공급장치(200)와 인쇄장치(300)를 지지하고 좌측면에 회전되는 잉크롤러(222)의 끝부분과 연결되어 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유니버셜 조인트(121)가 구성된다.
상기 우측프레임(130)은 하단지지프레임의 상단 우측에 직립되고 좌측프레임(120)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잉크공급장치(200)와 인쇄장치(300)를 지지하고 우측면에 수냉장치(3)와 잉크롤러(222)의 사이를 이어주는 로터리 조인트(230)와 기어를 통해 옵셋인쇄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구동부(132)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장치(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잉크공급장치(200)는 인쇄장치(300)의 상단면에 위치하여 3개의 잉크롤러의 회전을 통해 인쇄실린더(310)의 표면에 감겨 설치된 소부판(311)의 친유성을 띈 화선부에 잉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잉크조절부(210), 잉크롤러부(220), 로터리 조인트(230), 유니버셜 조인트(240)로 구성된다.
상기 잉크조절부(210)는 잉크롤러부(212)의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실린더로 구성되어 저장된 잉크의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여 필요한 만큼 잉크롤러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린더를 잡아당기면 공급되는 잉크의 양이 늘어나고 실린더를 밀어넣으면 공급되는 잉크의 양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제어하게된다.
상기 잉크롤러부(220)는 잉크조절부의 하단부분부터 인쇄실린더(310)의 상단에 접촉된 롤러까지 3개의 롤러가 접촉되어 형성되어, 상단에 형성된 잉크롤러(221)를 시작으로 맞닿은 롤러끼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소부판에 맞닿는 잉크롤러(223)까지 순차적으로 주입된 잉크가 일정량으로 고르게 퍼져 인쇄장치(300)의 표면에 감겨있는 소부판(321)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잉크롤러부(220)는 수냉장치(3)의 냉각수가 공급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의 관형상 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리 조인트(230)는 고속이나 저속 회전에서의 모든 압력이 있는 유체나 대기압 이하의 유체를 누설하지 않고 고정 배관으로부터 각종 기계 장치 회전 부분에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관이음장치로 좌측에 수냉장치(3)와 결합되는 부분이 직각으로 꺾여있는 구조의 3개의 로터리 조인트(230)로 이루어져 우측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잉크롤러부(220)와 수냉장치(3)의 내부의 관을 접속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구동모터에 연결된 복수개의 기어 맞물림을 통해 로터리 조인트에 형성된 기어(231)가 회전되며 동력을 전달받으면 접속된 잉크롤러부(220)가 따라 회전되며 수냉장치(3)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누수없이 잉크롤러의 내부관에 공급되어 급·배수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수냉장치(3)는 기기의 동작으로 생기는 발열과 회전되며 발생하는 마찰열 등으로 인한 잉크롤러의 상승된 표면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장치로, 냉각수를 잉크롤러부(220)의 내부 관으로 이동시켜주어 회전하고 있는 잉크롤러부(220)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급되는 잉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잉크롤러부(220) 일측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잉크롤러부(220)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수냉장치(3)에서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하여 내부의 열을 식혀주고,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수냉장치(3)의 작동을 중지시켜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막는다.
여기서 냉각수는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고, 장치의 운전온도범위에서 회로내를 유연하게 유동할 수 있는 적절한 점도가 유지되어야 하고, 비열이 높아 온도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야 한다.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240)는 잉크롤러부(22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좌측의 축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우측의 축이 잉크롤러(222)와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서 롤러의 좌측부분이 공회전되거나 마찰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인쇄장치(300)는 좌측프레임(120)과 우측프레임(130) 사이에 양쪽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우측프레임의 우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기어와 맞물려 회전과 함께 피인쇄물을 가압하며 이동시켜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인쇄실린더(310), 고무 블랑켓(320), 압통(330)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물의 이동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에서 봤을 때 인쇄실린더(3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고무 블랑켓(3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인쇄실린더(310)와 압통(330)과 맞물리고, 압통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고무 블랑켓(320)과 압통(330) 사이로 인쇄물이 통과하면서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인쇄실린더(310)는 잉크롤러부(210)의 하단 끝에 형성된 잉크롤러(223)와 고무 블랑켓(320)의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접촉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표면에 소부판(311)이 감겨진 형태로 장착되어 소부판의 지지대역할을 하며 회전되어 잉크롤러부(210)에서 골고루 펴진 잉크를 전달받아 소부판(311)의 화선부에 잉크화상을 묻히고, 묻어난 잉크화상을 고무블랑켓(320)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부판(311)은 인쇄를 위한 필름을 출력해서 제작한 판으로, 알루미늄의 재질로 두께가 약 0.2mm정도로 얇기 때문에 유연하여 휘기 쉬우므로 원통형의 인쇄실린더(310)의 표면에 감아 장착되는 것으로, 인쇄하고자 하는 도안을 디자인하고 별도의 기계를 이용해 필름으로 출력하고 인쇄를 찍기 위해 내쇄력이 강한 판에 옮겨준 후 필름을 올려놓고 빛에 빠르게 반응하는 산화제를 도포한 후, 위에 필름을 얹고 빛을 비춰 빛에 노출되는 부분이 빠르게 부식되며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면과 인쇄면 외의 공백공간인 비인쇄면으로 나누어지면 판 전용 현상기를 통해 필요없는 부분을 씻겨내고 불필요한 부분을 수정하는 소부작업을 거쳐 형성된다.
또한, 소부판(311)은 잉크와 반발하는 성질을 띄어 인쇄가 필요하지 않은 곳에 형성되어 잉크가 묻어나지 않아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리콘 고무층(311-a)과, 친유성의 성질을 띄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형성되어 잉크가 묻혀져 인쇄가 이루어지는 화선부(311-b)로 구성되는 것으로 판면의 문자와 화상이 인쇄물과 같아 틀린 부분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층(311-a)은 잉크와 반발하는 성질을 띄어 인쇄화상이 없는 비선화부에 잉크를 반발시켜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습수장치가 구비된 옵셋인쇄기의 비화선부와 같이 습수를 사용하여 잉크가 반발되는 구성과 같은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리콘 고무층(311-a)은 별도의 습수장치가 필요없어 옵셋인쇄기의 장치를 간소화하고 유동적으로 변하는 습수의 양을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줄이고, 습수에 포함되는 IPA(Isopropyl Alcohol)와 같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폐액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 후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습수를 사용하지 않아 잉크가 번지지 않고 인쇄의 작은 점 하나하나가 선명하게 재현되어 고농도, 고정밀의 인쇄품질을 인쇄의 시작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고무 블랑켓(320)은 인쇄실린더(310)와 압통(330) 사이에 서로 맞닿는 위치에 누워진 고무재질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압통(330)과 함께 피인쇄물을 가압하며 통과시킬 때 인쇄물이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되어 번지지 않고 인쇄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인쇄실린더(310)와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인쇄실린더의 표면에 감겨진 소부판(311)에 묻은 잉크화상을 전달받아 피인쇄물에 인쇄시키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여기서 옵셋인쇄기(1)는 간접적으로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 소부판(311)을 통해 고무 블랑켓(320)에 전사된 잉크화상은 육안으로 봤을 때 원래 인쇄하고자하는 모양과 반전되어 있어야 피인쇄물에 화상을 전달했을 때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 전달되고, 고무 블링켓(320)에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되면 불량한 인쇄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표면을 항상 청결하게 하고, 소모품이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불균일해지면 교체하여 표면이 고른 상태를 유지해야 좋은 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고, 고무 블랑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거친 면의 종이에도 선명하게 인쇄되고, 내쇄력이 직접인쇄보다 강하여 많은 양의 인쇄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압통(330)은 고무 블링켓(320)의 하단에 형성되어 고무 블링켓(320)과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사이로 피인쇄물을 가압하며 통과시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피인쇄물의 하단을 받치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같은 필름이더라도 잉크가 안정감 있게 피인쇄물에 깊숙이 침투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쇄교정시의 색과 인쇄된 후의 색이 다르게 보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인쇄물의 판형과 서체, 크기, 사진, 그림 등과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교정작업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인쇄할 필름원고를 제작한 후 약품으로 표면처리를 한 인쇄판 위에 놓고 강한 빛을 쬐는 소부과정을 거친 후 비화선부에 실리콘 고무층을 접착하여 소부판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완성된 소부판을 인쇄실린더의 표면에 감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옵셋인쇄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양쪽으로 고정된 급지장치를 시작으로 2개로 형성된 가이드롤러의 사이를 지나게 하고, 고무블랑켓과 압통의 사이를 가압되어 통과하게 하고, 후면에 형성되어 양쪽으로 고정된 배지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피인쇄물을 옵셋인쇄기에 장착시킨다.
다음으로, 잉크주입부에서 인쇄실린더에 접촉되는 롤러까지 형성된 3개의 잉크롤러를 통해 고르게 분산된 잉크를 소부판에 전달시킨다.
여기서 소부판에서 실리콘 고무층에는 잉크가 묻지 않고 결과적으로 인쇄해야될 내용이 있는 화선부에만 잉크가 묻혀진다.
또한, 온도센서로 기기의 작동 및 마찰로 인해 상승되는 잉크롤러의 열을 감지하여 수냉장치를 작동시키고, 수냉장치와 잉크롤러를 접속시켜주는 로터리 조인트를 통해 잉크롤러 내부 관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잉크롤러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다음으로 소부판의 화선부에 묻혀진 잉크는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기 위한 고무 블랑켓에 반대형상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고무 블랑켓과 압통이 회전하며 사이에 공급된 피인쇄물이 통과하며 원하는 형상으로 인쇄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옵셋인쇄기에서 출력된 출력물의 잉크가 잘못 묻거나 색이 잘못나오거나 문자체의 오타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는 감리과정을 통해 불량인쇄물을 선별한다.
1 : 옵셋인쇄기 2 : 피인쇄물
100 : 옵셋인쇄하우징 200 : 잉크공급장치
300 : 인쇄장치

Claims (6)

  1. 옵셋인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옵셋인쇄기(1)는 옵셋인쇄기(1)를 지지하고 보호하도록 하단지지프레임(110), 좌측프레임(120), 우측프레임(130)로 이루어진 옵셋인쇄하우징(100)과;,
    인쇄장치(3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인쇄실린더(310)에 감겨져 고정된 소부판(311)에 잉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잉크공급장치(200)와;,
    좌측프레임(120)과 우측프레임(130) 사이에 양쪽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피인쇄물을 인쇄시키도록 인쇄실린더(310), 고무 블랑켓(320), 압통(330)으로 이루어진 인쇄장치(300);로 구성되는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장치(200)는
    다수개의 실린더로 구성되어 저장된 잉크의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여 필요한 만큼 잉크롤러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잉크조절부(210)와,
    상단에 형성된 잉크롤러(221)를 시작으로 맞닿은 롤러끼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소부판에 맞닿는 잉크롤러(223)까지 순차적으로 주입된 잉크가 일정량으로 고르게 퍼져 인쇄장치(300)의 표면에 감겨있는 소부판(321) 전체에 골고루 전달하는 잉크롤러부(220)와,
    수냉장치(3)와 결합되는 부분이 직각으로 꺾여있는 구조 3개로 이루어져 우측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잉크롤러부(220)와 수냉장치(3)의 내부의 관을 접속시켜주는 로터리 조인트(230)와,
    잉크롤러부(22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좌측의 축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우측의 축이 잉크롤러(222)와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서 롤러의 좌측부분이 공회전되거나 마찰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유니버셜 조인트(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07799A 2011-10-21 2011-10-21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KR10140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99A KR101403546B1 (ko) 2011-10-21 2011-10-21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99A KR101403546B1 (ko) 2011-10-21 2011-10-21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39A KR20130043739A (ko) 2013-05-02
KR101403546B1 true KR101403546B1 (ko) 2014-06-03

Family

ID=4865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99A KR101403546B1 (ko) 2011-10-21 2011-10-21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2161A (zh) * 2017-09-29 2019-04-05 张家港海德思产业用纺织品有限公司 一种可制作样品的打样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673A (ja) * 1994-01-05 1995-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印刷機のインキローラ
KR960010514B1 (ko) * 1986-03-03 1996-08-02 니혼샤신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박막형성장치
JP2000246873A (ja) 1999-03-02 2000-09-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ンキ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14B1 (ko) * 1986-03-03 1996-08-02 니혼샤신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박막형성장치
JPH07195673A (ja) * 1994-01-05 1995-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印刷機のインキローラ
JP2000246873A (ja) 1999-03-02 2000-09-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インキ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39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6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roll-to-roll rotary pressing process
US32851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ographic printing with doctor roll ink control
JP2007090882A (ja) 印刷機の温度を調節する方法
KR101403546B1 (ko)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소부판을 장착한 인쇄실린더를 사용하여 인쇄가 가능한 무습수 옵셋인쇄기
JP7035292B2 (ja) 高粘度着色インクの計量のためのアニロックスパターンおよびドクターブレード
AU2003255075A1 (en) The apparatus for paperless transfer printing and the process thereof
CN108928110A (zh) 一种压纹印刷设备及其压纹处理方法
CN205439539U (zh) 一种双版印刷机
JP6569902B2 (ja)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H029635A (ja) フレキソ輪転機
CN208789244U (zh) 一种压纹印刷设备
US20190358981A1 (en) Reverse laser writing and transfer process for digital offset prints
JP6721234B2 (ja) 印刷機の湿水装置
JP2006051683A (ja) オフセットロールを用いた印刷機による印刷方法と印刷機
US5413041A (en) High-speed web-fed flexographic printer
JP5058070B2 (ja) 枚葉オフセット印刷機の給水装置
CN216183657U (zh) 一种便于更换的印刷机印刷装置
CN219695622U (zh) 一种印刷机显影装置
DE602004032503D1 (de) Farbvorrichtung für eine Rotationsdruckmaschine
CN211591705U (zh) 一种柔版印刷装置
JP2973822B2 (ja) グラビア印刷における部分色調修正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01637A (ja) 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印刷機
JP2021109388A (ja) インキローラ、及びインキローラを備えた調温装置
JP5855991B2 (ja) 段ボール用孔版印刷方法
WO2009134321A1 (en) Variable cut off printing press having flexible plate and blan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