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213B1 -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213B1
KR101403213B1 KR1020120071998A KR20120071998A KR101403213B1 KR 101403213 B1 KR101403213 B1 KR 101403213B1 KR 1020120071998 A KR1020120071998 A KR 1020120071998A KR 20120071998 A KR20120071998 A KR 20120071998A KR 101403213 B1 KR101403213 B1 KR 10140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shaft
pile
grout
boo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436A (ko
Inventor
정용섭
문병재
박정규
이왕연
장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2007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2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은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부를 폐합하도록 엔드플레이트가 구성된 부트관을 타입할 지반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표면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된 슬라이더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더가 구성된 단부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되어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해머축을 슬라이더의 주입공과 해머축의 주입공을 일치시켜 그라우트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 상태로 부트관에 인입시키는 단계; 해머축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속적으로 주입공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면서, 해머축을 항타하여 해머축과 함께 부트관을 기반층까지 타입하여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해머축을 제거하는 단계;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미리 프리캐스트 PC파일, 강관파일 등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이송자재를 최소로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파일의 길이를 미리 조정된 스트로크의 횟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하여 쉽게 수정할 수 있어, 필요한 길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파일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driven grout pile}
본 발명은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부트관을 파일이 설치될 위치에 위치시키고 해머축의 단부를 부트관내부에 위치시킨 후 해머를 이용하여 해머축을 타입함과 동시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마찰력을 줄이면서 충진하여 파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미리 프리캐스트 PC파일, 강관파일 등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이송자재를 최소로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성 말뚝의 시공은, 어스 오거(earth-auger) 등의 굴착장비로 지반을 먼저 천공하고 그 천공부에 기성 말뚝을 삽입한 다음 말뚝의 주변을 그라우트하여 소정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프리보링(preboring) 공법과, 항타기를 이용해 기성 말뚝을 지반의 최종 지지층까지 강제로 타입시키는 타입(打入) 공법이 있다.
상기한 프리보링 공법에 의한 말뚝의 시공은, 지반에 단단한 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거나 소음·진동 등의 공해로 인해 항타 작업이 곤란한 경우, 또는 선단 지지력이 중요한 경우 유효한 공법이다. 그러나, 프리보링 공법에 의한 말뚝 시공의 경우, 천공작업에 따른 공기 지연, 공사비 낭비 요소가 큰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말뚝의 주변을 그라우트하여 보강하고는 있으나 말뚝의 주변과 주변지반 사이의 마찰력 감소가 불가피하여 말뚝의 전체적인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성 말뚝의 시공은 가능한 한 상기한 타입 공법에 의하여 시공하는 것이, 공기가 빠르고, 공사비가 저렴하며, 시공 후 말뚝 주변의 마찰력이 크게 확보되는 등의 장점이 있어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타입공법에 의한 말뚝은 말뚝의 선단에 항타 작업 도중, 큰 항타력이 소요되므로 말뚝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목표한 최종 지지층까지 관입시키는 것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즉, 타입되는 말뚝의 선단 지지력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말뚝 선단부를 보다 견고한 최종 지지층까지 근입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말뚝의 선단부의 지반 저항에 따른 부하가 크게 걸리기 때문에, 지나치게 큰 타격에너지를 가하면 말뚝의 조직파괴가 초래되고, 반대로 작은 타격에너지를 가하면 견고한 최종 지지층까지의 말뚝 관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타입공법에 의한 말뚝은 지지력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었으며, 상부구조물의 설계하중을 차질없이 완벽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필요이상 많은 수의 말뚝들이 소요되므로 말뚝의 자재비와 시공비가 높아지는 것이 불가피했고 공기도 길어져 전체 공사비가 증가되는 보다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11-0101299호 "내진 및 수평저항 성능을 보강하는 친환경 매입형 타설말뚝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천공구에 액상 초고점성 및 유동성 그라우트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구에 말뚝을 근입하는 단계와, 상기 말뚝의 두부에 가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장치를 통하여 가압하여 상기 투입된 그라우트재를 천공구 주변 지반의 공극으로 주입시켜서 그라우트재 구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장치를 철거 후 상기 말뚝과 상기 천공구 사이의 공간에 그라우트재를 추가로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수평저항 성능을 보강하는 친환경 매입형 현장타설말뚝 시공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천공구를 미리 형성하여야 하고, 또한, 말뚝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송해서 천공구에 매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송자재 및 장비가 과다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없고, 천공구를 별도로 형성하고 말뚝을 미리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2011-0101299호 "내진 및 수평저항 성능을 보강하는 친환경 매입형 타설말뚝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에서 부트관을 파일이 설치될 위치에 위치시키고 해머축의 단부를 부트관 내부에 위치시킨 후 해머를 이용하여 해머축을 타입함과 동시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컬럼을 제작하고 내부를 충진하여 파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미리 프리캐스트 PC파일, 강관파일 등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이송자재를 최소로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부를 폐합하도록 엔드플레이트가 구성된 부트관을 타입할 지반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표면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된 슬라이더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더가 구성된 단부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되어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해머축을 슬라이더의 주입공과 해머축의 주입공을 일치시켜 그라우트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 상태로 부트관에 인입시키는 단계; 해머축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속적으로 주입공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면서, 해머축을 항타하여 해머축과 함께 부트관을 기반층까지 타입하여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해머축을 제거하는 단계;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하단부에 외주연으로 돌출된 간격유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해머축의 제거 후에 컬럼의 상단부에 튜브관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해머축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해머축이 제거된 소일시멘트 파일에 철근망 및 중앙근을 배근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에 엔드플레이트가 구성된 부트관의 상부에 강관을 가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 강관이 결합된 부트관을 타입할 지반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일정깊이로 매입하는 단계; 표면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된 슬라이더가 외측 하단부에 구성되며 하단부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된 해머축을 단부가 강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라우트를 주입하면서 해머축을 항타하여 부트관과 강관을 분리시켜 부트관을 기반층까지 타입하여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해머축을 제거하는 단계;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해머축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해머축이 제거된 후 소일시멘트 파일에 중앙근을 배근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에 엔드플레이트가 구성된 부트관의 상부에 강관을 결합하는 단계; 강관이 결합된 부트관을 매입할 지반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일정깊이로 타입하는 단계; 표면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된 슬라이더가 외측 하단부에 구성되며 하단부에 다수개의 주입공이 통공된 해머축을 단부가 강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해머축을 항타하여 부트관과 강관이 기반층까지 매입되도록 하는 단계; 해머축을 제거하고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그라우팅 파일 공법은 현장에서 부트관을 파일이 설치될 위치에 위치시키고 해머축의 단부를 부트관 내부에 위치시킨 후 해머를 이용하여 해머축을 매입함과 동시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컬럼을 제작하고 내부를 충진하여 파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미리 프리캐스트 PC파일, 강관파일 등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이송자재를 최소로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의 길이를 미리 조정된 스트로크의 횟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하여 쉽게 수정할 수 있어, 필요한 길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파일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1실시예의 시공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2실시예의 시공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3실시예의 시공순서도,
도 4는 종래의 내진 및 수평저항 성능을 보강하는 친환경 매입형 현장타설말뚝 시공 방법에 따른 시공 상태 단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1실시예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1실시예는 하단부에 엔드플레이트(11)가 결합된 관형상의 부트관(10)에 해머축(30)을 인입시킨 후, 그라우트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해머축(30)을 해머로 항타하여 해머축(30)의 단부가 위치한 부트관(10)을 기반층까지 타입(打入)하여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후 해머축(30)을 제거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부트관(10)을 말뚝이 형성될 지반에 위치시키고, 부트관(10)의 내부에 해머축(30)을 인입시킨다.
부트관(10)은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부를 폐합하도록 엔드플레이트(11)가 구성된 형상이다.
부트관(10)의 길이는 강관을 짧은 조각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내부에 해머축(30)이 위치되고 해머축(30)의 주입구(31)가 위치하기 때문에, 엔드플레이트(11)를 구성하여 주입된 그라우트의 일정량을 담아두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해머축(30)이 타입되는 동안 선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해머축(30)은 단부에 다수개의 주입공(31)이 통공되며 해머축(30)의 내부로 주입된 그라우트가 주입공(3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해머축(30)의 하단부의 주입공(31)이 구성된 부분에는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표면에 다수개의 주입공(22)이 통공된 슬라이더(20)가 외측에 구성되며, 슬라이더(20)를 해머축(30)에 고정되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슬라이더(20)의 주입공(22)과 해머축(30)의 주입공(31)을 일치시켜 그라우트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거나, 슬라이더(20)의 주입공(22)과 해머축(30)의 주입공(31)을 불일치시켜 그라우트가 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0)는 하단부에 외주연으로 돌출된 간격유지편(21)이 형성되도록하여, 부트관(10)의 내주연과 해머축(30)의 외주연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타입시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그라우트 주입시에는 일정한 그라우트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간격유지편(21)은 슬라이더(20)의 최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사선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해머축(30)은 해머와 연결되어 해머가 직접 해머축(30)을 항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머는 다양한 기성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b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축(30)을 부트관(10)에 인입시킨 이후에는 해머축(30)의 내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그라우트를 충전하여 지속적으로 주입공(31)을 통하여 그라우트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해머축(30)을 항타하여 부트관(10)을 타입한다.
상기와 같이 부트관(10)을 타입하여 해머축(30)과 함께 부트관(10)을 기반층까지 타입한다.
이와 같이 그라우트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은, 해머축(30)의 타입시에 공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해머축(30)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해머축(30)이 계속적으로 액체 그라우트의 환상의 기둥을 통하여 매입되기 때문에, 마찰 저항은 부트관(10)의 단부에 국한되게 되며, 상기의 해머축(30)은 부트관(10)과 함께 기반층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해머축(30)의 외부에만 그라우트가 공급되게 되고, 해머축(30)에 의하여 그라우트 기둥이 형성되도록 유지시켜준다.
이후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축(30)을 제거한다.
해머축(30)을 제거하면, 부트관(10)은 기반층에 위치하게 되고, 해머축(30)만 제거되어 소일시멘트 파일이 형성되게 된다.
해머축(30)의 제거시에는 그라우트를 먼저 주입하고 샤프트의 지름을 유지하도록 선단부에서부터 가압하면서 해머축을 제거하고, 해머축(3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윤활제를 공급하면서 제거하여도 된다.
이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한 후,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여 완성한다.
해머축(30)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해머축(30)이 제거되어 형성된 소일시멘트 파일에 철근망(60) 및 중앙근(70)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일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해머축(30)의 제거 후에 소일시멘트 파일의 상단부에 튜브관(T)을 추가로 구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파일을 형성하여 파일의 두부정리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파일 형성 후에 튜브관(T)을 잘라내어 정리함으로써, 아주 소량의 낭비 또는 절단이 일어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2실시예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하단부에 엔드플레이트(11)가 결합되어 관형상의 부트관(10)의 상부에 부트관(10)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슬리브관(10a)을 가용접하여 결합시킨 후, 슬리브관(10a)이 결합된 부트관(10)을 상부에서 항타하여 일정깊이까지 매입하고, 슬리브관(10a)의 내부에 해머축(30)을 인입시킨 후, 해머축(30)의 단부에서 그라우트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해머축(30)을 해머로 항타하여 슬리브관(10a)을 분리시킨 후, 지속적으로 부트관(10)을 기반층까지 타입(打入)하고, 이후 해머축(30)을 제거하여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와는 슬리브관(10a)이 가용접되었다가 부트관(10)과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와 같이 슬리브관(10a)을 이용하는 것은, 정착된 지반에서는 주변마찰력이 심하여 타입이 어렵기 때문에, 타입을 용이하게 하고, 모멘트가 집중되는 파일의 상부에 슬리브관(10a)을 구성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파일의 상부만 충전강관형태로 형성하여 부재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모멘트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슬리브관(10a)을 지반의 상부에 노출시켜 제 1실시예에서의 튜브관과 동일한 역할을 하도록 하여 두부정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우선,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에 엔드플레이트(11)가 구성된 부트관(10)의 상부에 슬리브관(10a)을 가용접하여 결합한다.
부트관(10)은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부를 폐합하도록 엔드플레이트(11)가 구성된 형상이다.
부트관(10)의 길이는 강관을 짧은 조각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내부에 해머축(30)이 위치되고 해머축(30)의 주입구(31)가 위치하기 때문에, 엔드플레이트(11)를 구성하여 주입된 그라우트의 일정량을 담아두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해머축(30)이 타입되는 동안 선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부트관(10)의 상부에는 슬리브관(10a)을 가용접(tack welding, 假鎔接)하도록 한다. 부트관(10)과 슬리브관(10a)을 가용접하는 것은 추후에 슬리브관(10a)에서 부트관(10)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슬리브관(10a)이 결합된 부트관(10)을 말뚝이 형성될 지반에 위치시키고, 일정깊이로 타입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관(10a)이 완전히 매입되지 않고, 지반에 다소 노출된 상태로 형성하며, 정해진 깊이만큼 타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해머축(30)의 단부가 슬리브관(10a)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인입시키고, 해머축(30)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속적으로 주입공(31)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면서 해머축(30)을 항타하여 부트관(10)과 슬리브관(10a)을 분리시킨다.
해머축(30)은 단부에 다수개의 주입공(31)이 통공되며 해머축(30)의 내부로 주입된 그라우트가 주입공(3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해머축(30)의 하단부의 주입공(31)이 구성된 부분에는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표면에 다수개의 주입공(22)이 통공된 슬라이더(20)가 외측에 구성되며, 슬라이더(20)를 해머축(30)에 고정되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슬라이더(20)의 주입공(22)과 해머축(30)의 주입공(31)을 일치시켜 그라우트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거나, 슬라이더(20)의 주입공(22)과 해머축(30)의 주입공(31)을 불일치시켜 그라우트가 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슬리브관(10a)은 부트관(10)과 가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관(10a) 즉, 가용접된 결합면의 상부에 해머축(30)의 단부를 위치시키고, 그라우트를 일정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부트관(10) 내부를 채운다음 해머축(30)을 해머로 항타하면, 슬리브관(10a)과 부트관(10) 내부에 차 있는 그라우트와 항타하는 압력에 의하여 부트관(10)이 슬리브관(10a)에서 분리되게 된다.
이후에는 제 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해머축(30)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속적으로 주입공(31)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면서 부트관(10)을 기반층까지 타입하여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한다.
이후 해머축(30)을 제거하는데, 해머축(30)을 제거하면, 부트관(10)은 기반층에 위치하게 되고, 해머축(30)만 제거된다.
해머축(30)의 제거시에는 그라우트를 먼저 주입하고 샤프트의 지름을 유지하도록 선단부에서부터 가압하면서 해머축을 제거하고, 해머축(3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윤활제를 공급하면서 제거하여도 된다.
이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일시멘트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여 완성한다.
또한, 해머축(30)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해머축(30)이 제거된 소일시멘트 파일에 철근망 및 중앙근(70)을 배근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철근망은 슬리브관(10a)을 사용하여 충전강관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슬리브관(10a)과 부트관(10)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면 철근망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3실시예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의 제 3실시예는 하단부에 엔드플레이트(11)가 결합되어 관형상의 부트관(10)의 상부에 부트관(10)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강관(10b)을 결합시킨 후, 강관(10b)이 결합된 부트관(10)을 상부에서 항타하여 일정깊이까지 매입하고, 부트관(10)의 내부에 해머축(30)을 인입시킨 후, 해머축(30)을 해머로 항타하여 부트관(10)을 기반층까지 타입(打入)하여 강관(10b)이 인입되도록 하고, 이후 해머축(30)을 제거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에 엔드플레이트(11)가 구성된 부트관(10)의 상부에 강관(10b)을 결합한다.
부트관(10)은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부를 폐합하도록 엔드플레이트(11)가 구성된 형상이다.
부트관(10)의 길이는 강관을 짧은 조각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내부에 해머축(30)이 위치되고 해머축(30)의 주입구(31)가 위치하기 때문에, 엔드플레이트(11)를 구성하여 주입된 그라우트의 일정량을 담아두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해머축(30)이 타입되는 동안 선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강관(10b)은 부트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강관(10b)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콘크리트충전말뚝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b)이 결합된 부트관(10)을 타입할 지반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일정깊이로 타입한다. 일정깊이로 타입시에는 해머축(30)을 직접 강관(10b)의 내부에 넣어서 부트관(10)의 엔드플레이트(11)를 항타하도록 하여도 되고, 강관(10b)의 상단부를 항타하여 타입하여도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깊이로 인입된 이후에는 해머축(30)을 단부가 부트관(10)에 위치시키고, 해머축(30)을 항타하여 부트관(10)과 강관(10b)이 기반층까지 매입되도록 한다.
강관(10b)의 길이는 타입되는 깊이에 따라 달라지며, 타입시 강관(10b)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결합하여 타입할 수도 있다.
이후, 해머축(30)을 제거하는데, 해머축(30)을 제거하면, 부트관(10)은 기반층에 위치하게 되고, 강관(10b)은 지반에 매입되어 형성되게 된다.
이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여 완성하면, 콘크리트 충전강관 형태의 파일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PC파일, H파일, 파이프 파일 또는 오거캐스트 파일 등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프리캐스트 PC파일, 강관파일 등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이송자재를 최소로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부트관
10a : 슬리브관
10b : 강관
11 : 엔드플레이트
20 : 슬라이더
21 : 간격유지편
22 : 주입공
30 : 해머축
31 : 주입공
60 : 철근망
70 : 중앙근
T : 튜브관

Claims (7)

  1.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부를 폐합하도록 엔드플레이트(11)가 구성된 부트관(10)을 타입할 지반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중앙부가 통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표면에 다수개의 주입공(22)이 통공된 슬라이더(20)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더(20)가 구성된 단부에 다수개의 주입공(31)이 통공되어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해머축(30)을 슬라이더(20)의 주입공(22)과 해머축(30)의 주입공(31)을 일치시켜 그라우트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 상태로 부트관(10)에 인입시키는 단계;
    해머축(30)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속적으로 주입공(31)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면서, 해머축(30)을 항타하여 해머축(30)과 함께 부트관(10)을 기반층까지 타입하여 소일시멘트 파일을 형성하는 단계;
    해머축(30)을 제거하는 단계;
    파일의 두부를 절단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는 하단부에 외주연으로 돌출된 간격유지편(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해머축(30)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해머축(30)이 제거된 후 소일시멘트 파일에 철근망(60) 및 중앙근(70)을 배근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71998A 2012-07-02 2012-07-02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KR10140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998A KR101403213B1 (ko) 2012-07-02 2012-07-02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998A KR101403213B1 (ko) 2012-07-02 2012-07-02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36A KR20140004436A (ko) 2014-01-13
KR101403213B1 true KR101403213B1 (ko) 2014-06-02

Family

ID=5014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998A KR101403213B1 (ko) 2012-07-02 2012-07-02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3381A (zh) * 2014-08-29 2014-11-19 云南大学 一种止水帷幕桩和止水帷幕及其构造方法
CN105386436B (zh) * 2015-12-08 2018-02-09 南京林业大学 一种微生物固土约束散体材料桩复合地基及施工方法
CN106480876A (zh) * 2016-09-23 2017-03-08 中交第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斜孔钢管嵌岩灌注桩施工工法
CN107366284B (zh) * 2017-07-13 2022-11-08 中冶集团武汉勘察研究院有限公司 降低回落土厚度的湿陷性黄土挤密桩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1042142B (zh) * 2019-12-29 2021-09-28 福建建中建设科技有限责任公司 桩端后注浆施工及注浆失效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067A (ja) * 1996-03-11 1997-09-16 ▲高▼松建設株式会社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JPH09324422A (ja) * 1996-06-04 1997-12-16 Ohbayashi Corp 場所打ち複合杭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20040115007A1 (en) * 2002-12-17 2004-06-17 Dewitt Wayne Method for casting a partially reinforced concrete pile in the ground
JP2010001608A (ja) * 2008-06-18 2010-01-07 Shimizu Corp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工法における杭頭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067A (ja) * 1996-03-11 1997-09-16 ▲高▼松建設株式会社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JPH09324422A (ja) * 1996-06-04 1997-12-16 Ohbayashi Corp 場所打ち複合杭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20040115007A1 (en) * 2002-12-17 2004-06-17 Dewitt Wayne Method for casting a partially reinforced concrete pile in the ground
JP2010001608A (ja) * 2008-06-18 2010-01-07 Shimizu Corp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工法における杭頭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36A (ko)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286B1 (en) Spiral steel pipe pile
KR101403213B1 (ko)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KR20160025180A (ko)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JP5777166B2 (ja) 小口径コンクリート場所打ち杭による地盤補強工法
KR20110041391A (ko) 기초 공사용 지지력 보강 파일 구조체 형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파일 구조체
KR101812463B1 (ko) 선단 확장 강관을 이용한 회전 압입식 파일 시공방법
JP2003119775A (ja) 基礎杭構造
KR101347873B1 (ko)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JP6215858B2 (ja) マイクロパイル工法およびマイクロパイル工法で用いられる補強材用スペーサ
KR101727206B1 (ko) Phc 파일 길이 조정용 스마트 선단캡 및 이를 이용한 파일길이 조정방법
KR101627410B1 (ko) 스크류 앵커 파일 및 그 제조방법
JP2010163843A (ja) 地盤改良工法
CN215669558U (zh) 基坑支护体系的前置式斜桩
JP2011163073A (ja) 補強杭の圧入工法
CN102220760B (zh) 深度倒t型桩的浇铸方法
JP3173063U (ja) 流動性固化材注入用杭
JP2019015087A (ja) 地盤補強工法及び地盤補強用ケーシング
JP2008025148A (ja) 鋼管、ソイルセメント大型複合杭
JP2007308951A (ja) 逆打ち工法における外周柱構築方法
JP3921657B2 (ja) 地山補強用大径ロックボルトアンカーの施工方法
JP5777167B2 (ja) 小口径コンクリート場所打ち杭による地盤補強工法
KR101794112B1 (ko) 선단 확장 강관을 이용한 회전 압입식 파일 시공장치
JP3681746B1 (ja) 鉄製矢板およびその挿入方法
KR100481149B1 (ko) 콘크리트주입박관말뚝(Concrete Filled Thin Tube Pile, CFTTP) 공법
KR101695720B1 (ko) 기초선단장치 결합형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