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73B1 -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 Google Patents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873B1
KR101347873B1 KR1020120024964A KR20120024964A KR101347873B1 KR 101347873 B1 KR101347873 B1 KR 101347873B1 KR 1020120024964 A KR1020120024964 A KR 1020120024964A KR 20120024964 A KR20120024964 A KR 20120024964A KR 101347873 B1 KR101347873 B1 KR 10134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upport layer
bearing capacity
shoe plate
phc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929A (ko
Inventor
백규호
Original Assignee
백규호
주식회사 파일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규호, 주식회사 파일웍스 filed Critical 백규호
Priority to KR1020120024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8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C 말뚝에 고정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에 응력보강부를 보강하여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의 하중이 PHC 말뚝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PHC 말뚝의 슈판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켜 복합말뚝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천공홀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되어 지지층과의 마찰력 증대는 물론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관내토에 의해 폐색되어 PHC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Complex pile for improving end bearing capacity of bored precast pile}
본 발명은 복합말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HC 말뚝의 선단에 고정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을 보강하여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 말뚝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PHC 말뚝의 슈판에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분산시켜 복합말뚝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천공홀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되어 지지층과의 마찰력 증대는 물론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의 관내토에 의한 폐색으로 인해 PHC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말뚝 기초 시공방법은, 공장에서 제작된 말뚝을 현장으로 운반해서 사용하는 PHC 말뚝 공법과 현장에서 말뚝을 직접 제작해서 시공하는 현장 타설 말뚝 공법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PHC 말뚝 공법은 PHC 말뚝을 지반에 직접 항타하여 설치하는 항타 PHC 말뚝 공법과 스크류 오거(screw auger) 등의 굴착장비를 이용해서 굴착한 천공홀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고, 상기 천공홀에 PHC 말뚝을 삽입한 후, 해머로 PHC 말뚝의 두부에 경타를 가하고 양생하는 매입 PHC 말뚝 공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각 시공현장의 상황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상기 항타 PHC 말뚝 공법은 PHC 말뚝을 직접 타격하는 방식과 선 굴착 후 직타하는 방식으로 나뉘는데, PHC 말뚝의 타격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느슨한 지반에서는 주변 지반이 단단하게 다져져 지지력이 커진다는 장점은 있으나, 강한 타격으로 인해 시공 중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커서 도심지와 축사가 인접한 농촌지역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 PHC 말뚝의 시공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매입 PHC 말뚝 공법을 사용하는데, 상기 매입 PHC 말뚝 공법은 항타 PHC 말뚝 공법에 비해 저소음, 저진동 상태에서 PHC 말뚝의 시공이 가능한 반면, 스크류 오거 등의 굴착장비로 천공홀을 굴착하는 동안 천공홀 바닥에 슬라임이 잔류할 뿐만 아니라 천공홀 하부의 지반도 응력이완으로 인해 원지반보다 강도가 약해져 PHC 말뚝의 선단지지력이 작아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매입 PHC 말뚝 공법이 지지력 대비 시공비 측면에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매입 PHC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매입 PHC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본 건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20960호로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및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의 매입공법을 출원한 바 있다.
선 출원된 특허는, PHC 말뚝의 슈판에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고정된 복합말뚝을 시멘트 밀크가 주입된 천공홀에 삽입한 후, 항타 및 경타에 의해 복합말뚝의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을 천공홀 바닥의 슬라임을 관통해서 그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시켜 복합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상기 복합말뚝의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항타 및 경타에 의해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될 때,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고정된 PHC 말뚝의 슈판 일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PHC 말뚝의 슈판 및 콘크리트가 손상됨으로써 복합말뚝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에 작용하는 하중이 PHC 말뚝의 슈판 일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보다 넓은 면적에 분산되도록 하여 복합말뚝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단의 보강슈판에 보강PC강선을 결합하여 긴장시킨 후,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초고강도 콘크리트층으로 구비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초고강도 콘크리트층을 별도의 금속판으로 보강함으로써, 복합말뚝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강관으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을 제조할 때보다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은,
슈판에 결합되는 PC강선이 긴장되면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콘크리트층이 구비되는 PHC 말뚝과;
상기 PHC 말뚝의 슈판에 고정되어 천공홀 바닥의 슬라임을 관통해서 그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과;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과 PHC 말뚝의 슈판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의 하중에 의해 PHC 말뚝의 슈판에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에 구비된 응력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은,
슈판에 결합되는 PC강선이 긴장되면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콘크리트층이 구비되는 PHC 말뚝과;
상기 PHC 말뚝의 슈판에 고정되어 천공홀 바닥의 슬라임을 관통해서 그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 및,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은,
양단의 보강슈판에 결합되어 긴장되는 보강PC강선과;
상기 보강PC강선에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형성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 말뚝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PHC 말뚝의 슈판 일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복합말뚝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천공홀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되므로 지지층과의 마찰력 증대는 물론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이 관내토에 의해 폐색되어 PHC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단의 보강슈판에 보강PC강선을 결합하여 긴장시킨 후,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초고강도 콘크리트층으로 구비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초고강도 콘크리트층에 별도의 금속판을 보강함으로써, 복합말뚝의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관으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을 제조할 때보다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말뚝의 매입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말뚝의 매입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100)은, 슈판(111)에 결합되는 PC강선(112)이 긴장되면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콘크리트층(113)이 구비되는 PHC 말뚝(110)이 구성되고, 상기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고정되어 천공홀(11) 바닥의 슬라임(12)을 관통해서 그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14)에 관입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과 PHC 말뚝(110)의 슈판(111)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하중에 의해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구비된 응력보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응력보강부(130)는,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방사상으로 요입되는 응력보강리브(13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상기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일단부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상기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일단부가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아크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은, 강관, 강화플라스틱관 및 초고강도 콘크리트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은, 지반에 천공된 천공홀(11) 직경의 0.5~3배의 길이로 형성되고, PHC 말뚝(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복합말뚝(100)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PHC 말뚝(110)을 형성하는 하부거푸집의 양단에 한 쌍의 슈판(111)을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슈판(111)의 결합홀(111b)에 PC강선(112)을 결합하고, 상기 하부거푸집에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거푸집에 상부거푸집을 안착시켜 고정한다.
상기 하,상부거푸집이 고정되면, 상기 슈판(111)을 인장장치(미도시)로 잡아당겨 PC강선(112)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하,상부거푸집을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에 의해 콘크리트가 PC강선(112)을 매몰시키도록 콘크리트층(113)을 양생시켜 PHC 말뚝(110)을 성형한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증기양생하여 PHC 말뚝(110)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작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PHC 말뚝(110)이 형성되면, 상기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고정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을 형성하는데,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은, 복합말뚝(100)이 삽입되도록 지반에 천공된 천공홀(11) 직경의 0.5~3배의 길이로 형성되면서 PHC 말뚝(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강관이나 강화플라스틱관 및 초고강도 콘크리트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응력보강부(130)를 형성하는데, 상기 응력보강부(130)는,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방사상으로 요입되는 응력보강리브(131)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일단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아크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을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고정시키는데, 상기 슈판(111)에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형성되는 응력보강부(130)의 응력보강리브(131)가 고정되며, 상기 응력보강리브(131)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에 요입되어 형성되므로 슈판(111)에 고정되는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상기 슈판(111)과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응력보강리브(131)를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시킴으로써, 복합말뚝(10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100')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판(111)에 결합되는 PC강선(112)이 긴장되면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콘크리트층(113)이 구비되는 PHC 말뚝(110)이 구성되고, 상기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고정되어 천공홀(11) 바닥의 슬라임(12)을 관통해서 그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14)에 관입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은, 양단의 보강슈판(121)에 결합되어 긴장되는 보강PC강선(122)이 구성되고, 상기 보강PC강선(122)에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형성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층(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고강도 콘크리트층(123)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되는 응력보강리브(123')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은, 지반에 천공된 천공홀(11) 직경의 0.5~3배의 길이로 형성되고, PHC 말뚝(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복합말뚝(100')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PHC 말뚝(110)을 형성하는 하부거푸집의 양단에 한 쌍의 슈판(111)을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슈판(111)의 결합홀(111b)에 PC강선(112)을 결합하고, 상기 하부거푸집에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거푸집에 상부거푸집을 안착시켜 고정한다.
상기 하,상부거푸집이 고정되면, 상기 슈판(111)을 인장장치(미도시)로 잡아당겨 PC강선(112)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하,상부거푸집을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에 의해 콘크리트가 PC강선(112)을 매몰시키도록 콘크리트층(113)을 양생시켜 PHC 말뚝(110)을 성형한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증기양생하여 PHC 말뚝(110)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PHC 말뚝(110) 단부에 고정될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을 형성하기 위한 삽입관 하부거푸집의 양단에 한 쌍의 보강슈판(121)을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강슈판(121)의 결합홀(121b)에 보강PC강선(122)을 결합하고, 상기 삽입관 하부거푸집에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삽입관 하부거푸집에 삽입관 상부거푸집을 안착시켜 고정한다.
상기 삽입관 하,상부거푸집이 고정되면, 상기 보강슈판(121)을 인장장치(미도시)로 잡아당겨 보강PC강선(122)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삽입관 하,상부거푸집을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에 의해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보강PC강선(122)을 매몰시키도록 초고강도 콘크리트층(123)을 양생시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을 성형한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증기양생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층(123)이 형성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을 성형한다.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은, 지반에 천공된 천공홀(11) 직경의 0.5~3배의 길이로 형성되면서 PHC 말뚝(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보강슈판(121)을 PHC 말뚝(110)의 슈판(11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의 보강슈판(121)과 PHC 말뚝(110)의 슈판(111)을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복합말뚝(100')을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고강도 콘크리트층(123)의 외주면을 별도의 금속판(124)으로 감싸 초고강도 콘크리트층(123)을 보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초고강도 콘크리트층(123)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되는 응력보강리브(123')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복합말뚝(100)(100')을 사용해서 매입말뚝을 시공하려면, 도 7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10)을 굴착장비로 굴착하여 천공홀(11)을 천공하는데, 상기 천공홀(11)은 상기 복합말뚝(100)(100')의 외경보다 1.1~1.2배의 크기로 형성하거나 점성이 없는 지반(10)일 경우는 케이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천공홀(11)의 바닥면에는 슬라임(12)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임(12)의 두께는 천공홀(11)의 깊이가 깊고, 지반(10)의 강도가 작을수록 더 두꺼워지며, 스크류 오거(미도시)와 같은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지반(10)에 천공홀(11)을 형성할 때, 천공홀(11) 하부의 강도가 약해지는 영역도 지지층의 종류에 따라 달라져서 풍화토에서는 천공홀(11) 바닥부터 천공홀(11) 직경의 약 3배까지 강도가 약해지고, 연암에서는 천공홀(11) 바닥부터 천공홀(11) 직경의 약 0.5배까지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상기 복합말뚝(100)(100')의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은 지반의 종류에 따라 천공홀(11) 직경의 0.5~3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의 길이가 너무 짧을 경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보다 단면적이 커서 관입 저항이 큰 PHC 말뚝(110)이 천공홀(11)에 잔류하는 슬라임(12)과, 슬라임(12)이 잔류하는 천공홀(11) 하부의 강도가 약해진 지지층(13)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경타의 에너지 수준 및 경타 횟수가 불필요하게 많아질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의 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이 천공홀(11)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14)에 관입될 때, 단면적이 큰 PHC 말뚝(110)이 천공홀(11) 바닥에 밀착되지 않고, 천공홀(11)에 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선단지지력이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지반에 따라 적절한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홀(11) 이나 케이싱 내부로 시멘트 밀크(30)를 충전한 후, 상기 천공홀(11)이나 케이싱에 복합말뚝(100)(100')을 삽입하여 경타하면, 상기 복합말뚝(100)(100')의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이 천공홀(11) 및 케이싱 내부에 잔류하는 슬라임(12)과 천공홀(11) 하부의 강도가 약해진 지지층(13)을 통과하여 천공홀(11)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14)에 용이하게 관입된다.
상기 복합말뚝(100)(100')의 경타 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이 PHC 말뚝(110)의 슈판(111)과 접촉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의 하중으로 인해 슈판(111)의 일부분에 집중해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PHC 말뚝(110)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은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 내부에 위치한 관내토와 마찰력이 발현됨과 아울러 유효 마찰 면적이 증가하여 관내토에 의한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의 폐색효과가 커지고,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14)으로 인해 지반 지지력이 커짐에 따라 복합말뚝(100)(100')의 선단지지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합말뚝(100)(100')의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120)(120')이 천공홀(11)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14)에 관입되면, 시멘트 밀크(30)가 복합말뚝(100)(100')의 외주면과 천공홀(11) 및 케이싱 내주면 사이로 이동되어 경화됨으로써 복합말뚝(100)(10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복합말뚝 110: PHC 말뚝
120,120':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
121: 보강슈판 122: 보강PC강선
123: 초고강도 콘크리트층 124: 금속판
130: 응력보강부 131: 응력보강리브

Claims (12)

  1. 슈판에 결합되는 PC강선이 긴장되면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콘크리트층이 구비되는 PHC 말뚝과;
    상기 PHC 말뚝의 슈판에 고정되어 천공홀 바닥의 슬라임을 관통해서 그 하부의 강도가 단단한 지지층에 관입되는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과;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과 PHC 말뚝의 슈판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의 하중에 의해 PHC 말뚝의 슈판에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에 길이방향으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요입되는 응력보강리브가 구비된 응력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력보강리브는, 아크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은, 지반에 천공된 천공홀 직경의 0.5~3배의 길이로 형성되고, PHC 말뚝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관입용 삽입관은, 강관, 강화플라스틱관 및 초고강도 콘크리트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24964A 2012-03-12 2012-03-12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KR10134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64A KR101347873B1 (ko) 2012-03-12 2012-03-12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64A KR101347873B1 (ko) 2012-03-12 2012-03-12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29A KR20130103929A (ko) 2013-09-25
KR101347873B1 true KR101347873B1 (ko) 2014-01-09

Family

ID=4945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964A KR101347873B1 (ko) 2012-03-12 2012-03-12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992A (ko) * 2014-04-03 2015-10-15 시지엔지니어링(주) 충격완화용 삽입관을 갖는 매입 말뚝
KR20230168118A (ko) 2022-06-03 2023-12-12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말뚝상단과 하단을 확장 보강한 프리캐스트 복합말뚝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6803A (zh) * 2015-08-31 2016-01-20 福建建华管桩有限公司 混凝土预制方桩桩帽
CN115233668A (zh) * 2022-08-16 2022-10-25 浙江大学 通过内锤击实现桩尖入岩的预制管桩后注浆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867A (ja) * 1997-01-17 1998-07-28 Daido Concrete Kogyo Kk コンクリ−ト杭の沈設工法
KR200263963Y1 (ko) 2001-11-19 2002-02-19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부마찰력을 감소시킨 강관파일
JP2004084275A (ja) 2002-08-27 2004-03-18 Mitani Sekisan Co Ltd 既製杭用の先端金具、先端金具付き既製杭、既製杭を使用した基礎杭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867A (ja) * 1997-01-17 1998-07-28 Daido Concrete Kogyo Kk コンクリ−ト杭の沈設工法
KR200263963Y1 (ko) 2001-11-19 2002-02-19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부마찰력을 감소시킨 강관파일
JP2004084275A (ja) 2002-08-27 2004-03-18 Mitani Sekisan Co Ltd 既製杭用の先端金具、先端金具付き既製杭、既製杭を使用した基礎杭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992A (ko) * 2014-04-03 2015-10-15 시지엔지니어링(주) 충격완화용 삽입관을 갖는 매입 말뚝
KR101639719B1 (ko) * 2014-04-03 2016-07-18 시지엔지니어링(주) 충격완화용 삽입관을 갖는 매입 말뚝
KR20230168118A (ko) 2022-06-03 2023-12-12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말뚝상단과 하단을 확장 보강한 프리캐스트 복합말뚝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29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510B1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복합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말뚝 매입공법
KR101011322B1 (ko) 근입용 관입강관을 갖는 선단보강장치를 구비한 매입말뚝용 중공형 개단말뚝
KR20160025260A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복합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0031647A (ja) 杭の中掘工法、基礎杭構造
KR101394235B1 (ko) 대심도 연약지반용 복합 파일 시공 방법
KR101347873B1 (ko)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복합말뚝
KR20110041391A (ko) 기초 공사용 지지력 보강 파일 구조체 형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파일 구조체
KR101253678B1 (ko) 말뚝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41260B1 (ko) 기존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보강 공법
KR101466068B1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복합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말뚝 매입공법
KR101403213B1 (ko) 그라우트 타입 말뚝의 시공방법
KR100913346B1 (ko) 지반보강용 말뚝과 팽이말뚝부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1081566B1 (ko) 면진 장치를 이용하는 기초 공사용 강관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102480A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phc 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 매입 공법
CN108678042A (zh) 用于地基加固的微型钢管桩及利用其进行地基加固的方法
KR101438013B1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복합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3119775A (ja) 基礎杭構造
KR101314080B1 (ko) 몰드 케이스 및 트레미관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KR101623377B1 (ko) 파일용 두부 보강체
CN108086307A (zh) 钢管混凝土挖孔灌注复合微型桩
KR101021302B1 (ko) 기초 공사용 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10884B1 (ko) 다단 콘 기초
JP2651893B2 (ja) 基礎杭構造
KR20080039020A (ko) 피, 에이치, 씨 파일
KR101398687B1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