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827B1 -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 Google Patents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827B1
KR101402827B1 KR20130109024A KR20130109024A KR101402827B1 KR 101402827 B1 KR101402827 B1 KR 101402827B1 KR 20130109024 A KR20130109024 A KR 20130109024A KR 20130109024 A KR20130109024 A KR 20130109024A KR 101402827 B1 KR101402827 B1 KR 10140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main board
flexible circuit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Priority to KR2013010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827B1/ko
Priority to PCT/KR2014/006481 priority patent/WO2015037822A1/ko
Priority to US14/917,575 priority patent/US99779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패드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키패드 모듈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회로가 배치되는 메인 기판, 메인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메인기판의 상부를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성회로 기판, 메인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말단부가 절곡하여 적어도 메인 기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 메인 기판에 배치된 회로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이중의 커버,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어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층에는 적어도 한 부분의 절개로 인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의 검출을 위한 서로 다른 간격과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서브 기판, 메인 기판, 제1 및 제2 연성회로 기판, 및 서브 기판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핀, 및 메인 기판,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 및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이 감지되면,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정보차단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해나 절단 등에 의해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 검출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함으로써, 메모리에 남아있는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Pin pad and securit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체나 파손 등이 감지된 경우 내부에 저장된 정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패드(Pin-Pad)는 고객의 통장개설 신청서, 전표 등에 기재된 비밀번호가 금융회사 직원의 업무처리 또는 전표 폐기 과정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객이 거래 용지 등에 비밀번호를 쓰는 대신 손으로 직접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주로 금융회사 영엄점에 설치되어 있는 비밀번호 입력장치로 사용되어 고객이 직접 비밀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고객 외 타인이 입력번호를 확인할 수 없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핀패드는 은행자동화기기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암호화에 처리한다. 최근에는 카드 결제 현장에도 핀패드 를 도입하여, 카드 결제시마다 사용자가 핀패드를 이용하여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카드 분실시 부정 매출 등을 방지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핀패드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장치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부정한 목적을 가진 자가 핀패드를 임의로 분해하거나 파손하여 해킹을 시도함으로써, 핀패드의 내부 메모리에 남아있는 비밀번호 등 각종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불법적인 해킹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패드의 분해나 절단 등이 감지된 경우,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해나 절단 등이 감지된 경우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핀패드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상기 키패드 모듈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회로가 배치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메인기판의 상부를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성회로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말단부가 절곡하여 적어도 상기 메인 기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 상기 메인 기판에 배치된 회로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이중의 커버,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층에는 적어도 한 부분의 절개로 인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의 검출을 위한 서로 다른 간격과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서브 기판, 상기 메인 기판,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 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핀, 및 상기 메인 기판,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이 감지되면,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정보차단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의 전면에는 제1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서 상기 제1 패턴보다 작은 간격 및 두께의 제2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말단부는 적어도 두번 디귿자 형태로 절곡하여 상기 메인 기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핀패드의 보안방법은,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와, 상기 키패드 모듈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회로가 배치되는 메인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말단부가 절곡하여 적어도 상기 메인 기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전면에는 제1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서 상기 제1 회로 패턴보다 작은 간격 및 두께의 제2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연성회로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기판 및 연성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이 감지되면,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해나 절단 등에 의해 연성회로기판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연결핀이 분리되어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 검출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함으로써, 메모리에 남아있는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킹 등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정보가 유출되어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픈 핀패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제1 연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서 메인 기판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도 1에서 제2 연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의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정보차단 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 보안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핀패드(100)는 키패드(keypad)(105), 키패드 러버(keypad rubber)(110), 키패드 가이드(keypad guide)(115), 제1 연성회로기판(120), 돔 시트(dome sheet)(125), 메인 기판(130), 연결핀(135), 내부 커버(140), 제2 연성회로기판(145), 외부 커버(150), 및 서브 기판(155)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105)는 숫자나 기호 등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한다. 키패드(105)의 저면에는 가압 돌기를 갖는 키패드 러버(110)가 배치된다. 키패드 러버(110)의 저면에는 키패드 가이드(115)가 배치된다. 키패드 가이드(115)는 키패드 러버(110)에 구비된 가압 돌기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키패드 러버(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키패드 러버(110)는 키패드 가이드(115)에 형성된 홀 및 제1 연성회로기판(120)을 통해 돔 시트(125)를 가압할 수 있다. 둠 시트(125)에는 다수의 메탈 돔이 설치되어 있으며, 메탈 돔은 메인 기판(130)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메인 기판(130)에는 스위칭을 위한 다수의 접점을 구비하며,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미도시) 및 전기적 회로의 단선 등을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이 배치된다. 서브 기판(155)은 메인 기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가적인 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연결핀(135)은 제1 연성회로기판(120), 메인 기판(130), 제2 연성회로기판(145), 서브 기판(155) 등을 결합시키며, 전기적으로도 연결한다.
키패드(105), 키패드 러버(110), 키패드 가이드(115), 돔 시트(125), 메인 기판(135) 등이 키패드 모듈을 구성하며, 내부 케이스(140)와 외부 케이스(150)는 키패드 모듈을 수용한다. 이때, 제1 연성회로기판(120) 및 제2 연성회로기판(145)는 키패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키패드 모듈의 적어도 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를 내부 케이스(140)와 외부 케이스(150) 2중으로 구성하며, 내부 케이스(140)는 제1 연성회로기판(120) 및 제2 연성회로기판(145)에 의해 적어도 일면이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외부 케이스(150)가 파손되더라도, 내부 케이스(140)와 제1 연성회로기판(120) 및 제2 연성회로기판(145)에 의해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120, 145)의 일부가 파손되어 회로가 분리되거나, 연결핀(135)을 통한 연결된 회로의 단선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제1 연성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성회로기판(120)에는 전자부품이 고정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성회로기판(120)은 메인 기판(135), 제2 연성회로기판(145), 및 서브 기판(155)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다. 제1 연성회로기판(120)에는 연결핀(135)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도금된 스루홀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회로기판(120)에서 중심부(121)는 키패드 가이드(115)와 둠 시트(125) 사이에 배치되며, 중심부(1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주변부는 핀패드(100)의 조립시 키패드 모듈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연성회로기판(120)의 전면에는, 도 3의 (a)의 A 부분으로 확대 표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패턴이 퍼즐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후면에는, 도 3의 (b)의 B 부분으로 확대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0.2mm 간격의 촘촘한 패턴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턴 형성으로, X-ray나 기타 투과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패턴이 서로 겹쳐 보이므로 투사가 불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서 메인 기판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의 (a)가 메인 기판(130)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메인 기판(130)의 저면도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기판(130)에는 스위칭을 위한 다수의 접점이 배치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전자부품 및 연결 단자 등이 배치되어 있다. 메인 기판(130)에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와 제어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제2 연성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연성회로기판(145)에도 전자부품이 고정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연성회로기판(120), 메인 기판(130), 서브 기판(155)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다.
제2 연성회로기판(145)에서 중심부(146)는 내부 케이스(140)와 서브 기판(155) 사이에 배치되며, 중심부(145)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주변부는 핀패드(100)의 조립시 키패드 모듈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 연성회로기판(145)의 경우에도, 전술한 제1 연성회로기판(1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다른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투사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120, 145)은 키패드 모듈의 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패턴을 고려하면, 총 4겹의 패턴이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것이므로, 외부로부터의 침입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의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에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연성회로기판(145)의 중심부(146)는 내부 케이스(140)와 서브 기판(155) 사이에 배치되며, 주변부는 디귿자 형태로 접혀져, 키패드 모듈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1 연성회로기판(120)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핀패드(100)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회로와 접속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제1 또는 제2 연성회로기판(120, 145)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단선된다. 또한, 연결핀(135)은 측면이 계단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연성회로기판(120), 제2 연성회로기판(145), 메인 기판(130), 서브 기판(155) 등과 같이 여러 곳에 접점을 형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기판끼리만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연성회로기판(120), 제2 연성회로기판(145), 메인 기판(130), 서브 기판(155)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는 경우, 연결핀(135)으로 연결된 회로의 단선이 검출된다. 연결핀(135)은 여러 기판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 검출되는 경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함으로써,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에 적용 가능한 정보차단 회로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정보차단 회로부는 메인 기판(130), 제1 연성회로기판(120), 제2 연성회로기판(145), 서브 기판(155)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이 감지되면,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회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A(Signal A)와 신호 B(Signal B)의 Mesh 패턴은 두 패턴을 가능한 한 근접시킨 평행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Mesh 패턴은 메인 기판(130), 제1 연성회로기판(120), 제2 연성회로기판(145), 서브 기판(155) 등에 형성될 수 있다.
풀업 저항 R1 및 R4와, 풀다운 저항 R2 및 R3에 적정한 값을 정하여 신호 A는 logic low(0), 신호 B는 logic high(1)가 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저항 R1 = 저항 R2 = 100K, 저항 R3 = 저항 R4 = 1M 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 신호(Detect signal)는 신호 A와 신호 B의 Excusive OR 이므로, logic high(1)가 된다. MCU는 GPIO 값이 high(1)인 경우가 정상상태, 즉 침입받지 않은 상태이며, 이 값이 변화하면 보안정보 삭제 동작을 한다.
패턴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신호l A의 값이 low에서 high로 변화하고, 신호 A와 B의 값이 모두 high(1)가 되어, 검출 신호는 logic low가 된다.
또한, 금속 탐침에 의해 두 패턴이 단락되는 경우, 신호 A와 신호 B의 전압이 동일하게 되어 두 신호의 XOR 값인 검출 신호는 logic low(0)가 된다.
검출 신호가 logic low가 되는 경우, GPIO의 값이 1에서 0으로 바뀌므로 MCU는 침입을 검출하게 된다. MCU에서 1개의 GPIO 핀만을 사용하므로 MCU pin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패턴 끊어짐 뿐 아니라 패턴간 단락도 검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패드의 보안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핀패드(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고(S300), 초기화 과정의 수행 후, 키패드(105)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등을 암호화하여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305).
이러한 작업의 수행 중,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120, 145)의 일부가 파손되어 전기적 단선을 검출하거나(S310), 연결핀(135)의 분리에 의해 전기적 단선이 검출되는 경우(S320),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한다(S320). 이에 따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전기적 단선이 검출되지 않고, 파워도 오프되지 않으면 S305 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32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핀패드(100)의 분해나 해체에 의해 제1 또는 제2 연성회로기판(120, 145)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연결핀(135)의 분리에 의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 검출되는 경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파기하여, 저장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5 : 키패드 110: 키패드 러버
115 : 키패드 가이드 120: 제1 연성회로기판
125 : 돔 시트 130 : 메인 기판
140 : 내측 커버 145 : 제2 연성회로기판(145)
150 : 외부 커버 155 : 서브 기판

Claims (5)

  1.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상기 키패드 모듈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회로가 배치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메인기판의 상부를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성회로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말단부가 절곡하여 적어도 상기 메인 기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을 커버하여, 상기 메인 기판에 배치된 회로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의 절곡 배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메인 기판에 배치된 회로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이중의 커버;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층에는 적어도 한 부분의 절개로 인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의 검출을 위한 서로 다른 간격과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서브 기판;
    상기 메인 기판,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 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핀; 및
    상기 메인 기판,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이 감지되면,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정보차단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의 전면에는 제1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서 상기 제1 패턴보다 작은 간격 및 두께의 제2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말단부는 적어도 두번 디귿자 형태로 절곡하여 상기 메인 기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차단 회로부는,
    제1 풀업 저항과 제1 풀다운 저항이 연결된 제1 회로 선로;
    제2 풀업 저항과 제2 풀 다운 저항이 연결된 제2 회로 선로;
    입력 단자의 일단에는 상기 제1 회로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회로 선로가 연결되는 XOR 게이트; 및
    상기 XOR 게이트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적 회로의 단선이나 단락을 감지하여,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양단부 측면에 형성된 계단형의 단차면을 이용하여상기 메인 기판,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 기판 및 상기 서브 기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정보차단 회로부는, 상기 연결핀에 의한 전기적 연결의 분리가 감지되면,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여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4. 삭제
  5. 삭제
KR20130109024A 2013-09-11 2013-09-11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KR10140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024A KR101402827B1 (ko) 2013-09-11 2013-09-11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PCT/KR2014/006481 WO2015037822A1 (ko) 2013-09-11 2014-07-17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US14/917,575 US9977923B2 (en) 2013-09-11 2014-07-17 Pin-pad and securit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024A KR101402827B1 (ko) 2013-09-11 2013-09-11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827B1 true KR101402827B1 (ko) 2014-06-03

Family

ID=5113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024A KR101402827B1 (ko) 2013-09-11 2013-09-11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77923B2 (ko)
KR (1) KR101402827B1 (ko)
WO (1) WO20150378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758B1 (ko) * 2015-04-03 2015-08-03 (주)제이텍씨엔씨 Ic카드의 보안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ic카드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104B1 (ko) 2015-08-13 2022-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커버 부재 제조방법
KR102119765B1 (ko) * 2018-11-02 2020-06-0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개조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제어기
CN110096898B (zh) * 2019-04-17 2021-11-12 苏州达家迎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R3115897B1 (fr) * 2020-11-04 2023-06-09 Banks And Acquirers Int Holding Module de sécurité, terminal de paiement électronique, procédé de détection correspond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284Y1 (ko) 2004-11-12 2005-01-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KR20080105500A (ko) * 2007-05-31 2008-12-04 비씨아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핀패드모듈의 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4713B1 (en) * 1999-06-06 2001-02-06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Scalable architecture for high density CPLDS having two-level hierarchy of routing resources
US6391220B1 (en) * 1999-08-18 2002-05-21 Fujitsu Limited, Inc. Methods for fabricating flexible circuit structures
JP2004252656A (ja) 2003-02-19 2004-09-09 Denso Corp 電子モジュールの不正使用防止装置
KR20060046933A (ko) 2004-11-12 2006-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US20070016963A1 (en) * 2005-07-14 2007-01-18 Xac Automation Corp. PIN entry terminal having security system
JP5119525B2 (ja) * 2007-01-16 2013-01-16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728791B2 (ja) * 2009-03-05 2015-06-0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KR101153873B1 (ko) 2010-06-08 2012-06-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불법 탈착 자기감지가 가능한 핀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핀패드 보안 방법
JP5796289B2 (ja) 2010-11-26 2015-10-21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セル、電池パック及び電力消費機器
KR101314853B1 (ko) 2011-08-31 2013-10-04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KR101522905B1 (ko) 2011-12-30 2015-05-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홀센서가 구비된 자기탈착감지 epp 일체형 핀패드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의 epp 일체형 핀패드 탈착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284Y1 (ko) 2004-11-12 2005-01-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KR20080105500A (ko) * 2007-05-31 2008-12-04 비씨아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핀패드모듈의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758B1 (ko) * 2015-04-03 2015-08-03 (주)제이텍씨엔씨 Ic카드의 보안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ic카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822A1 (ko) 2015-03-19
US20160224807A1 (en) 2016-08-04
US9977923B2 (en)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827B1 (ko)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US6710269B2 (en) Foil keyboard with security system
US97601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80105500A (ko) 핀패드모듈의 보호장치
TW200933830A (en) Secure connector grid array package
JP5455250B2 (ja) 情報処理装置
US20140146485A1 (en) Technique for intrusion detection
US20130298252A1 (en) System for mechanical and electronic protection of safe equipment
JP6296397B2 (ja) 取引端末装置
US10175771B2 (en) Secured compact keyboard
KR200374284Y1 (ko)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EP3286742B1 (en) Point of sale terminal having enhanced security
JP5703453B1 (ja) 情報処理装置
KR101410699B1 (ko)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20110017501A (ko) 해킹 방지 기능이 있는 카드 리더기
CN113163596B (zh) 一种电路板结构及电子设备
JP6883747B1 (ja) 情報処理装置
JP7238689B2 (ja) 情報処理装置
US20160253526A1 (en) Secure data entry device
KR102153973B1 (ko)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200290675Y1 (ko) 핀패드모듈의 이중보호장치
KR20180014600A (ko) 템퍼 방지용 ic카드 소켓
JP6268500B2 (ja) 取引端末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モジュール
KR10091039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접촉 감지용 패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