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699B1 -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699B1
KR101410699B1 KR1020120096045A KR20120096045A KR101410699B1 KR 101410699 B1 KR101410699 B1 KR 101410699B1 KR 1020120096045 A KR1020120096045 A KR 1020120096045A KR 20120096045 A KR20120096045 A KR 20120096045A KR 101410699 B1 KR101410699 B1 KR 10141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ecurity
tamper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841A (ko
Inventor
이장원
고재인
박찬웅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Priority to KR102012009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6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5Security details, e.g. tampering prevention o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 및 조립해제 가능한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하는 케이싱; 데이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보안이 필요한 보안유닛이 마련되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회로기판; 케이싱과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의 조립시 가압되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탬퍼 방지 전도부; 및 탬퍼 방지 전도부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케이싱의 강제 개방시, 중요 데이터가 저장된 보안 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게 되어, 중요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은,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의 케이싱의 강제 개방을 시도하는 경우, 주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보안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접근이 차단되도록 마련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결제 단말기, 각종의 컴퓨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제 단말기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제 단말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유닛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중앙처리유닛과 메모리에는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는 중요정보가 처리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단말기는 카드 결제, 개인 인증, 개인 신상 정보 및 회사 기밀에 관해 저장되어 있는 보안과 관련된 중요 데이터의 대외 유출 방지가 아주 중요하다.
즉, 보안 관련 인증이 되지 않은 사용자가 케이싱을 개방하여 중요 데이터가 저장된 모바일 단말기에 접근하여 중요 데이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경우, 보안과 관련된 심각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결제 단말기는 중요 데이터가 저장된 케이싱을 개방하는 경우, 중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탬퍼 방지 부재(Anti-Tampering Protection)가 장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모바일 단말기는 케이싱을 개방한 경우에만 중요 데이터에 대한 접근차단이 가능했고, 케이싱의 개방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 특허 제7,497,378호(등록일 2009.03.03) (베리폰 : Verifone, Inc.)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이 모두 개방된 경우뿐만 아니라 개방 시도시 등 중요 데이터의 외부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경우 보안 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여 중요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 및 조립해제 가능한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보안이 필요한 보안유닛이 마련되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싱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조립시 가압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탬퍼 방지 전도부; 및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의 저항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와 회로기판 사이의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어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해제 상태가 되는 경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부로부터의 상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각각 연결되는 보안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보안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안벽체에는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하부보안벽체 및 상기 하부보안벽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부보안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보안벽체와 상기 하부보안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하부보안벽체 및 상기 하부보안벽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부보안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 각각은 상기 상부회로기판, 상기 하부회로기판, 상기 상부보안벽체 및 상기 하부보안벽체 중 적어도 2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탬퍼 방지 부재는 전도성 및 탄성을 갖는 전도성 고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안유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안유닛의 보호를 위해서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보안유닛의 둘레를 모두 감싸는 폐쇄형 또는 상기 보안유닛의 둘레를 감싸되 일부분이 개방되는 개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소켓의 보호를 위해서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연결소켓의 둘레를 모두 감싸는 폐쇄형 또는 상기 연결소켓의 둘레를 감싸되 일부분이 개방되는 개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이 모두 개방된 경우뿐만 아니라 개방 시도시 등 중요 데이터의 외부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경우 보안 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여 중요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회로기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중 탬퍼 방지 전도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결제 단말기, 각종의 컴퓨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념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제 단말기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탬퍼(tamper)는 외력에 의해 케이싱을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회로기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중 탬퍼 방지 전도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는 케이싱(200)과, 회로기판(300)과,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싱(200)은 일측에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마련되는 데이터 입력부(2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싱(200)은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을 구비하여 상호 조립과 조립해제가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부(230)는 물리적인 입력키가 형성되어 회로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고,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은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24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케이싱(220)에는 나사 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싱(210)에는 나사 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하부케이싱(220)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240)는 하부케이싱(220)으로부터 상부케이싱(210)을 관통하여 상부케이싱(210)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하부케이싱(220)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싱(210)에 나사 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로기판(300)은 케이싱(200) 내부에 배치되며, 데이터 입력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출력부를 통해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회로기판(300)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유닛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보안유닛(60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보안유닛(600) 중 중앙처리유닛은 외부로의 유출방지가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보안유닛(600) 중 저장매체에는 외부로의 유출방지가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300)은 하부회로기판(320)과 상부회로기판(3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하부회로기판(320)은 하부케이싱(2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회로기판(310)은 상부케이싱(210)의 하부이면서 하부회로기판(32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300)이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을 포함하는 경우, 상부회로기판(310)에는 입력키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회로기판(320)에는 중앙처리장치, 각종의 저장매체 또는 통신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부회로기판(310) 또는 하부회로기판(320) 중 하나에 연결되어 케이싱(200)을 통해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 모두에 연결되어 케이싱(200)을 통해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가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케이싱(200)과 회로기판(300)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될 수 있다.
즉, 케이싱(200)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의 조립시,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40)에 의해 가압되어 회로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케이싱(200)과 회로기판(300) 사이에 배치된 후,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이 결합되며,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상부케이싱(210)으로부터 하부케이싱(220)까지 관통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240)에 의해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이 체결되는 경우, 케이싱(200)이 탬퍼 방지 전도부(400)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며,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의 가압에 의해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회로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탬퍼 방지 부재(410)는 전도성과 탄성을 가지며, 압축정도의 변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300) 사이에서의 저항값이 변화될 수 있는 전도성 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의 가압정도가 약해지면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회로기판(300) 사이의 가압정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회로기판(300)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에 체결된 나사 또는 볼트를 체결해제하기 위해 회전시키게 되면, 케이싱(200)이 탬퍼 방지 전도부(400)를 가압하는 정도에 변화가 생기며, 탬퍼 방지 전도부(400)의 압축량의 변화에 의해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회로기판(300)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외력이 작용하여 탬퍼 방지 전도부(400)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등,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500)는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회로기판(300) 사이의 저항값을 미리 설정해두며, 외력의 작용에 의해 저항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에서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삭제 등,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외력이 작용하여 케이싱(200)을 개방하려는 경우,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회로기판(300) 사이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며, 이 경우, 제어부(500)에서는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또는, 외력이 작용하여 케이싱(200)이 개방된 경우, 즉,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회로기판(300) 사이의 전기적으로 연결이 끊어진 경우,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회로기판(300) 사이의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며, 제어부(500)는 이러한 경우에도 역시 외부에서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삭제 등,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유닛(600)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각종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케이싱(200)을 개방하려는 경우 또는 케이싱(200)이 개방된 경우, 케이싱(200) 내부에 장착된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 중인 연산처리의 데이터 또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모든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지만, 보안과 관련된 자료 또는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미리 결정하여 세팅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데이터만 삭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회로기판(300)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제어부(500)가 별도로 배치되어 회로기판(3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안벽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벽체(700)는 회로기판(300)에 연결되고 보안유닛(600)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안벽체(700)는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에 각각 연결되며, 탬퍼 방지 전도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100)는 케이싱(200)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해 접근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측부를 통해서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해 접근하는 경우에도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보안벽체(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측부를 통해 외력이 작용하여,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보안벽체(700)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보안벽체(700)에는 수용개구(7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보안벽체(700)에 형성된 수용개구(730)에 수용된 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용개구(730)는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탬퍼 방지 전도부(4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안벽체(700)는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보안벽체(720)는 하부회로기판(32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부보안벽체(710)는 하부보안벽체(7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회로기판(310)에 연결된다.
그리고,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에 각각 연결되되,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일측이 상부회로기판(3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회로기판(320)에 연결되어,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 모두에 연결된다.
여기서,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 모두를 관통하여 상부회로기판(310)으로부터 하부회로기판(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반드시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100)는 탬퍼 방지 전도부(400)와,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서,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즉, 상부, 하부 또는 측부를 통한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보안벽체(700)가 하부보안벽체(720)와 상부보안벽체(710)를 포함하는 경우,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41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싱(200)의 다양한 부분을 통해 시도되는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 사이의 다양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410) 각각은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과,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 중 적어도 2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제1 탬퍼 방지 부재(410a)는 상부회로기판(310)으로부터 상부보안벽체(710)를 관통하여 하부보안벽체(720)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탬퍼 방지 부재(410a)는 상부회로기판(310)과,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보안벽체(72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보안벽체(71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탬퍼 방지 부재(410b)는 상부회로기판(310)으로부터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를 관통하여 하부회로기판(320)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탬퍼 방지 부재(410b)는 상부회로기판(310)과,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와, 하부회로기판(320)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부회로기판(310) 및 하부회로기판(320)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부회로기판(310) 및 하부회로기판(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보안벽체(710) 또는 하부보안벽체(7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410a, 410b, 410c, 410d, 410e)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조합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며, 다양한 부분을 통한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410a, 410b, 410c, 410d, 410e)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전기적 조합을 하여 다양한 경로를 통해 행해지는 케이싱의 개방 또는 개방 시도로부터 중요 데이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 마련되는 보안유닛(600)의 보호를 위해서, 보안벽체(700)는 보안유닛(600)을 폐쇄형 또는 개방형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폐쇄형의 경우, 보안벽체(700)가 보안유닛(600)의 둘레를 모두 감싸도록 마련되고, 개방형의 경우, 보안벽체(700)가 보안벽체(700)의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보안유닛(6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벽체(700)는 보안유닛(600)을 폐쇄형(A)으로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앙처리장치와 저장매체는 중요 데이터가 처리되고 저장되는 곳으로서, 보안벽체(700)가 보안유닛(600)을 둘러싸는 것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안유닛(600)에 전달되는 물리적인 충격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의 연결소켓(800)의 보호를 위해서 보안벽체(700)는 연결소켓(800) 역시 폐쇄형 또는 개방형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소켓(800)에서도 보안유닛(600)에서와 마찬가지로 폐쇄형의 경우, 보안벽체(700)가 연결소켓(800)의 둘레를 모두 감싸도록 마련되고, 개방형의 경우, 보안벽체(700)가 보안벽체(700)의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연결소켓(8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벽체(700)는 연결소켓(800)을 개방형(B)으로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탬퍼 방지 전도부(400)의 저항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탬퍼 방지 전도부(400)의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어 탬퍼 방지 전도부(400)가 회로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해제 상태가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100)는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100)에 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 사이에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이 배치되고, 탬퍼 방지 부재(410)는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케이싱(210)과 하부케이싱(22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40)에 의해 탬퍼 방지 부재(410)가 가압된다.
여기서, 상부회로기판(310)에 연결되는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회로기판(320)에 연결되는 하부보안벽체(720)가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에 형성된 수용개구(730)에 삽입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탬퍼 방지 전도부(400)는 상부회로기판(310)과, 하부회로기판(320)과, 상부보안벽체(710)와, 하부보안벽체(720) 중 적어도 2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케이싱(200)의 개방 또는 개방 시도 등의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또는 접근 시도가 발생된 경우, 미리 결정된 중요 데이터를 삭제하여 보안유닛(600)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의해, 중요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200 : 케이싱
210 : 상부케이싱 220 : 하부케이싱
230 : 데이터 입력부 240 : 체결부재
300 : 회로기판 310 : 상부회로기판
320 : 하부회로기판 400 : 탬퍼 방지 전도부
410 : 탬퍼 방지 부재 500 : 제어부
600 : 보안유닛 700 : 보안벽체
710 : 상부보안벽체 720 : 하부보안벽체
730 : 수용개구 800 : 연결소켓

Claims (14)

  1.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 및 조립해제 가능한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보안이 필요한 보안유닛이 마련되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싱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조립시 가압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탬퍼 방지 전도부;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제어부; 및
    측부로부터의 상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보안유닛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보안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보안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의 저항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의 저항값이 무한대가 되어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해제 상태가 되는 경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회로기판 및 상기 하부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벽체에는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회로기판과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하부보안벽체; 및 상기 하부보안벽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부보안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기 상부보안벽체와 상기 하부보안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하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하부보안벽체; 및 상기 하부보안벽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부보안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탬퍼 방지 전도부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탬퍼 방지 부재 각각은 상기 상부회로기판, 상기 하부회로기판, 상기 상부보안벽체 및 상기 하부보안벽체 중 적어도 2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 방지 부재는 전도성 및 탄성을 갖는 전도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유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유닛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유닛의 보호를 위해서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보안유닛의 둘레를 모두 감싸는 폐쇄형 또는 상기 보안유닛의 둘레를 감싸되 일부분이 개방되는 개방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연결소켓의 보호를 위해서 상기 보안벽체는 상기 연결소켓의 둘레를 모두 감싸는 폐쇄형 또는 상기 연결소켓의 둘레를 감싸되 일부분이 개방되는 개방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1020120096045A 2012-08-31 2012-08-31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10141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045A KR101410699B1 (ko) 2012-08-31 2012-08-31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045A KR101410699B1 (ko) 2012-08-31 2012-08-31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841A KR20140028841A (ko) 2014-03-10
KR101410699B1 true KR101410699B1 (ko) 2014-06-24

Family

ID=5064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045A KR101410699B1 (ko) 2012-08-31 2012-08-31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27A1 (ko) * 2016-03-07 2017-09-14 주식회사 블루버드 보안 키패드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US10891401B2 (en) 2016-03-07 2021-01-12 Bluebird Inc. Mobile terminal having security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33A (ko) * 2004-11-12 2006-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33A (ko) * 2004-11-12 2006-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841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8901B2 (en) Tamper resistant pin entry apparatus
CA2799932C (en) Computer motherboard having peripheral security functions
US97601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5396617A (en) Module for extending the functions of an electronic data processing machine
CN106781116B (zh) 一种智能pos终端核心区防护结构
US10489614B2 (en) Tamper detecting cases
KR101410699B1 (ko)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KR101402827B1 (ko)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CN113496047B (zh) 一种带防拆卸保护的电子密码卡
CN104537761A (zh) 一种具有多层安全保护机制的密码键盘
US9858445B2 (en)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ecurity function
KR200374284Y1 (ko) 핀패드 모듈의 보호장치
US20050044408A1 (en) Low pin count docking architecture for a trusted platform
US10175771B2 (en) Secured compact keyboard
CN207817841U (zh) 一种键盘罩防撬自动提醒机构
CN201017414Y (zh) 服务器机箱防侵入报警装置
CN100505419C (zh) 信息安全设备上的电路板间安全连接方法
KR200322183Y1 (ko) 핀패드모듈의 3중보호장치
JP2004362366A (ja) 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218830396U (zh) 基于结构监测识别的防拆式摄像头模组
CN108154049B (zh) 具有资料保护功能的电子设备
US10402596B2 (en) Security element for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the same
US20200065465A1 (en) Computer and data protection system
CN203930835U (zh) 一种软件加密装置
KR20010035783A (ko) 전자보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