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853B1 -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853B1
KR101314853B1 KR1020110087823A KR20110087823A KR101314853B1 KR 101314853 B1 KR101314853 B1 KR 101314853B1 KR 1020110087823 A KR1020110087823 A KR 1020110087823A KR 20110087823 A KR20110087823 A KR 20110087823A KR 101314853 B1 KR101314853 B1 KR 10131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key
transparent keypad
transparent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394A (ko
Inventor
정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Priority to KR102011008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2009/189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with a tactile symbol or indication, e.g. for blind peo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Actuators transpa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명 키패드 모듈의 키를 투명캡으로 제조하여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요철 정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의 손에 촉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도 숫자 및 기호를 판단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키패드의 버튼을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키패드 모듈 자체에 『┗』또는『┛』형상으로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키패드의 조립 공정 및 생산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버튼의 누름감도 향상시킬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투명 키패드 모듈을 성형함으로써, 키패드 상에 점자를 용이하게 구현하게 함과 동시에 시각 장애인들이 숫자 및 기능키를 읽기 쉽도록 조정가능하여 일반인과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상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상하 누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제1 누름부 및 제2 누름부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제1 키 연결부 및 제2 키 연결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패드; 상기 투명 키패드의 배면에 상기 점자 숫자키와 점자 기능키가 인식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MODULE FOR TRANSPERANT KEY PAD AND APPARATUS FOR PIN­PAD THEREOF}
본 출원은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키패드 모듈의 키를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여 시각 장애인의 촉감 및 일반인의 시각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일정 높이의 요철로 구현된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패드(PIN-PAD)는 타인의 불법적인 접속 및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허가된 사용자만이 기기를 정상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별로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금융처리기능을 수행하기 전,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사전에 등록된 비밀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 후, 일치되는 경우에 한하여 다음 단계의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서, 핀패드의 숫자 및 기호 등이 키패드 표면상에 인쇄되는 경우, 일정 정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숫자 및 기호 등이 지워져 사용상 불편함이 많았고, 유지보수비용과 관리비용이 많이 소모되었으며, 키패드 입력상의 감촉도 저하되었다.
이에 따라, 출원번호 제10-2009-0093146호에서는 투명소재의 배면에 유색으로 인쇄형성된 문자인쇄층과, 상기 문자인쇄층의 배면에 보강인쇄층을 둠으로써, 키패드에 인쇄된 숫자 및 기호 등이 지워지지 않도록 하였다.
시각 장애인들은 육안을 통한 문자의 입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손가락 끝의 촉각을 이용하여 점자(點字)를 해독하여 문자를 판독하게 되는데, 개인정보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핀패드에서 개인정보유출의 우려가 있어 타인이 대신하여 입력할 수 없으므로, 점자를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출원번호 특1997-0024854, 출원번호 10-2006-0050645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도 키패드의 버튼 표면에 양각으로 새겨진 점자를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입력버튼이 있으며, 이를 적용하면 핀패드에서 시각 장애인이 직접 입력가능하여 개인정보유출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투명소재 배면에 문자를 인쇄하는 경우, 버튼의 누름으로 인해 글자가 지워지는 경우가 있고, 점자를 성형할 시 요철 강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시각장애인들이 손의 촉감을 느낄 수 없거나,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글자가 깨져 육안으로 숫자 및 기호를 판단할 수 없고, 키패드의 버튼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형성되어 키패드의 조립공정 및 생산비가 증가하였으며, 일반 버튼식으로 점자를 키패드에 성형할 경우 점자를 키패드 상에 구현하기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투명 키패드 모듈을 이용하여 투명소재 배면에 숫자 및 부호가 인쇄된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버튼의 누름으로 인한 글자의 지워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투명 키패드 모듈의 키를 투명캡으로 제조하여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요철 정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의 손에 촉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도 숫자 및 기호를 판단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키패드의 버튼을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키패드 모듈 자체에 『┗』또는『┛』형상으로 일체로 연결시킴으로써 키패드의 조립 공정 및 생산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버튼의 누름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플라스틱 재질로 투명 키패드 모듈을 성형함으로써, 키패드 상에 점자를 용이하게 구현하게 함과 동시에 시각 장애인들이 숫자 및 기능키를 읽기 쉽도록 조정가능하여 일반인과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상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상하 누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제1 누름부 및 제2 누름부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제1 키 연결부 및 제2 키 연결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패드; 상기 투명 키패드의 배면에 상기 점자 숫자키와 점자 기능키가 인식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누름부는 상기 투명 키패드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좌측 하단과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누름부는 상기 점자 기능키의 우측 하단과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키패드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점자는 요(凹) 또는 철(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점자의 깊이 또는 높이는 0.4mm 내지 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누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누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키패드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세로축을 따라 양측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키패드의 외주연을 따라 상, 하측에, 세로축을 중심으로 양측 및 가로축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상하 누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제1 누름부 및 제2 누름부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제1 키 연결부 및 제2 키 연결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패드 및 상기 투명 키패드의 배면에 상기 점자 숫자키와 점자 기능키가 인식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서명 입력을 입력받거나 또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싸인 패드 모듈; 고객의 안면을 촬영하도록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은 투명 키패드 모듈을 이용하여 투명소재 배면에 숫자 및 부호가 인쇄된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버튼의 누름으로 인한 글자의 지워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은 투명 키패드 모듈의 키를 투명캡으로 제조하여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요철 정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의 손에 촉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도 숫자 및 기호를 판단가능하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은 키패드의 버튼을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키패드 모듈 자체에 『┗』또는『┛』형상으로 일체로 연결시킴으로써 키패드의 조립 공정 및 생산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버튼의 누름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은 플라스틱 재질로 투명 키패드 모듈을 성형함으로써, 키패드 상에 점자를 용이하게 구현하게 함과 동시에 시각 장애인들이 숫자 및 기능키를 읽기 쉽도록 조정가능하여 일반인과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상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키패드 모듈을 포함하는 핀패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투명 키패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투명 키패드 모듈 중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투명 키패드 중 점자 숫자키를 도시한 측면도.
도 4b는 투명 키패드 중 점자 기능키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투명 키패드 모듈을 투명 키패드 및 필름으로 분리한 사시도.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키패드 모듈을 포함하는 핀패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 모듈을 포함하는 핀패드 장치(1)는 투명 키패드 모듈(100)과, 싸인 패드 모듈(200)과, 카메라 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투명 키패드 모듈(100)은 담당자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핀패드 장치(1)가 활성화되면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비밀번호는 담당자 단말기 및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ment)서버로 송신되어 본인인증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싸인 패드 모듈(200)은 서명 정보를 전자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담당자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싸인 패드 모듈(200)에 서명 입력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싸인 패드 모듈(200)은 고객에 의해 입력되는 서명을 받아 담당자 단말기 및 CRM 서버로 송신되어 본인인증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카메라 모듈(300)은 고객의 안면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지며, 카메라 모듈(300)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 및 형성되고, 담당자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 모듈(300)에서 고객의 안면을 촬영하여 담당자 단말기 및 CRM 서버로 송신됨으로써 본인인증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한 핀패드 장치(1)의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10-2011-0082723 에 기술되어 있다.
도 2는 투명 키패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 모듈(100)은 투명 키패드(110)와 상기 투명 키패드 모듈(100)의 배면에 위치한 필름(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키패드(110)는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투명 키패드 모듈(100) 자체에 부착되어 버튼식으로 누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플라스틱 기타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름(190)은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배면에 부착되어 숫자 및 기능키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인쇄된다.
도 3은 투명 키패드 모듈 중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110)는 점자 숫자키(120)와, 점자 기능키(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는 시각 장애인이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을 수 있게 한 특수한 부호글자로 요철로 형성되며, 요(凹) 또는 철(凸) 형상으로 형성가능한데, 지면에 볼록 튀어나오게 점을 찍어 손가락 끝의 촉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철(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자 숫자키(120)는 1부터 0까지의 숫자를 시각 장애인이 촉감으로 느낄 수 있되, 일반인이 상기 필름(190)을 인식하기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일정 정도의 넓이 및 높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점자 기능키(130)는 취소 버튼과 정정 버튼, 확인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취소 버튼에는 『×』의 표시가 되어있고, 정정 버튼에는『│』의 표시가 되어 있으며, 확인 버튼에는『○』의 표시가 되어 있어, 점자 체계에 익숙한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돕도록 각 점자 기능키(130)를 기호화되어 형성된다.
점자 기능키(130)도 취소 버튼, 정정 버튼, 확인 버튼 등을 시각 장애인이 촉감으로 느낄 수 있되, 일반인이 상기 필름(190)을 인식하기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일정 넓이 및 높이를 가진다.
도 4a는 본 출원에 따른 투명 키패드 중 점자 숫자키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본 출원에 따른 투명 키패드 중 점자 기능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는 6 개의 점을 가지가지로 모아 맞추어 숫자를 나타내도록 형성되었고, 이는 시각 장애인들이 촉감으로 점자를 느낄 수 있되, 일반인들이 상기 필름(190)을 인식가능하도록 1T(0.4mm 내지 0.8mm)의 깊이 또는 높이를 가지도록 요(凹) 또는 철(凸) 형상으로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5a는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110)는 제1 누름부(141)와 제2 누름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누름부(141)는 상기 투명 키패드(110)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점자 숫자키(120)의 누름이 가능하도록 버튼의 4면 중 3면은 투명 키패드(110)와 연결되지 않고, 버튼의 왼쪽 일측면의 하단 일부만 투명 키패드(110)와 연결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누름부(141)는 14개의 버튼 중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의 8개 버튼, 즉 1, 2, 4, 5, 7, 8, 0. ▲ 의 필름(190)이 부착된 버튼만이 왼쪽 일측면 하단 일부만이 투명 키패드(110)와 연결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누름부(142)는 상기 투명 키패드(110)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의 누름이 가능하도록 버튼의 4면 중 3면은 투명 키패드(110)와 연결되지 않고, 버튼의 오른쪽 일측면의 하단 일부만 투명 키패드(110)와 연결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누름부(14)는 14개의 버튼 중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의 8개 버튼, 즉 3, 6, 9, 취소, 정정, 확인, 영/숫, ▼ 의 필름(190)이 부착된 버튼은 오른쪽 일측면 하단 일부만이 투명 키패드(110)와 연결되도록『┛』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는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110)는 상기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가 눌림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가 상기 투명 키패드(1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1 키 연결부(151)와 제2 키 연결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키 연결부(151)는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세로축 중심에 투명 키패드(110)와 상기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골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키 연결부(151)는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중심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의 세로축마다 형성되어 있지 않고 중심에만 위치하고, 각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는 상기 제1 누름부(141) 및 제2 누름부(142)에 의해 지지 및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반면, 상기 제2 키 연결부(152)는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가로축마다 투명 키패드(110)와 상기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골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로축의 중심에는 1개의 제1 키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가로축에는 총 3개의 제2 키 연결부(15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점자 숫자키(120) 및 점자 기능키(130)의 누름 및 지지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투명 키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투명 키패드(110)는 제1 홈부(161)와 제2 홈부(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홈부(161)는 핀패드 장치(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키 연결부(151)와 제2 키 연결부(152)가 교차되는 첫 번째, 세 번째 지점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나사로 상기 투명 키패드 모듈(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투명 키패드(110)의 상하좌우의 이격을 막기 위하여,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 홈부(161)가 형성된다.
제2 홈부(162)는 상기 제1 홈부(161) 만으로는 좌우의 이격을 막을 수 없으므로, 좌우의 이격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홈부(161)가 위치하지 않은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외주연을 따라 6개가 반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제2 홈부(162)는 나사로 고정시의 플라스틱 깨짐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반원의 반지름만큼의 투명 키패드(110)의 외주연 넓이를 절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홈부(162)는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외주연을 따라, 상단 및 하단 일측면에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좌측의 중심 부분, 우측의 중심 부분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좌측 및 우측의 중심 부분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은 투명 키패드 모듈을 투명 키패드 및 필름으로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 모듈(100)은 투명 키패드(110)와 필름(1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키패드(110)는 버튼과 본체 자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필름(190)만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필름(190)은 영구적으로 지워지지 않도록 인쇄 부분이 상기 투명 키패드(110)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점자 숫자키(120)와 점자 기능키(130)의 색상을 달리하여, 숫자와 기능키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점자 숫자키(120)의 2부터 9까지에 영문을 기재하여 영문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2에는 ABC, 3에는 DEF, 4에는 GHI, 5에는 JKL, 6에는 MNO, 7에는 PQRS, 8에는 TUV, 9에는 WXYZ 가 상단에 기재되어 영어가 혼용된 비밀번호를 입력가능하도록 인쇄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핀패드 장치 100: 투명 키패드 모듈
110: 투명 키패드 120: 점자 숫자키
130: 점자 기능키 141: 제1 누름부
142: 제2 누름부 151: 제1 키 연결부
152: 제2 키 연결부 161: 제1 홈부
162: 제2 홈부 190: 필름
200: 싸인 패드 모듈 300: 카메라 모듈

Claims (2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상하 누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제1 누름부 및 제2 누름부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제1 키 연결부 및 제2 키 연결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패드; 및
    상기 투명 키패드의 배면에 상기 점자 숫자키와 점자 기능키가 인식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누름부는 상기 투명 키패드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좌측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누름부는 상기 점자 기능키의 우측 하단과 일체로 연결된 투명 키패드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점자는 요(凹) 또는 철(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점자의 깊이 또는 높이는 0.4mm 내지 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세로축을 따라 양측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의 외주연을 따라 상, 하측에, 세로축을 중심으로 양측 및 가로축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상하 누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제1 누름부 및 제2 누름부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제1 키 연결부 및 제2 키 연결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패드;
    상기 투명 키패드의 배면에 상기 점자 숫자키와 점자 기능키가 인식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키패드 모듈;
    서명 입력을 입력받거나 또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싸인 패드 모듈; 및
    고객의 안면을 촬영하도록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누름부는 상기 투명 키패드와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좌측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누름부는 상기 점자 기능키의 우측 하단과 일체로 연결된 핀패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점자는 요(凹) 또는 철(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장치.
  16.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숫자키 및 점자 기능키의 점자의 깊이 또는 높이는 0.4mm 내지 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세로축을 따라 양측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장치.
  20. 제11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의 외주연을 따라 상, 하측에, 세로축을 중심으로 양측 및 가로축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패드 장치.
KR1020110087823A 2011-08-31 2011-08-31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KR10131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23A KR101314853B1 (ko) 2011-08-31 2011-08-31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823A KR101314853B1 (ko) 2011-08-31 2011-08-31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394A KR20130024394A (ko) 2013-03-08
KR101314853B1 true KR101314853B1 (ko) 2013-10-04

Family

ID=4817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823A KR101314853B1 (ko) 2011-08-31 2011-08-31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27B1 (ko) 2013-09-11 2014-06-03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핀패드 및 그 보안방법
KR200475492Y1 (ko) * 2013-09-26 2014-12-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사인 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326A (ko) * 1997-07-09 1999-02-05 윤종용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전화기의 키패드
KR200412422Y1 (ko) * 2006-01-13 2006-03-27 주식회사위너테크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KR100786029B1 (ko) * 2003-08-28 2007-12-1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조명 구조를 갖는 키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326A (ko) * 1997-07-09 1999-02-05 윤종용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전화기의 키패드
KR100786029B1 (ko) * 2003-08-28 2007-12-1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조명 구조를 갖는 키패드
KR200412422Y1 (ko) * 2006-01-13 2006-03-27 주식회사위너테크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394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4037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ser authentication
KR102171048B1 (ko) 키 형성 기법
CN104035626A (zh) 指纹识别方法、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屏及终端设备
TWI607470B (zh) 覆蓋膜及電子裝置
CN106774647A (zh) 移动终端
KR20100014857A (ko) 전자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부착 보호패널
KR20070012570A (ko) 지문센서내장 휴대 단말장치
WO2019116233A1 (en) Power source for biometric enrollment with status indicators
KR20180052598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1314853B1 (ko)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CN105808015A (zh) 防窥用户交互装置及方法
US117271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 on a capacitive area sensor
US20120319956A1 (en) Eavesdropping resistant touchscreen system
US10795462B2 (en) Device for entry on a touch-sensitive surfac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6886293A (zh) 一种触控键盘
JP2014130554A (ja) 情報機器、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
CN203930750U (zh)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屏及终端设备
KR101166660B1 (ko) 프린터를 이용한 점자출력물 제작방법
US10990973B2 (en) Device for entry on a touch-sensitive surface and corresponding method
JP5511466B2 (ja) 入力装置
KR102032196B1 (ko) 점자 인식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워치
JP5479820B2 (ja) 入力装置
KR100821092B1 (ko) 키 패드 전용 커버와 결합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단말기에서 커버의 적용 방법
JP2009129320A (ja) キーボードカバーおよびキーボード
JP7149441B2 (ja) スタ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