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422Y1 -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422Y1
KR200412422Y1 KR2020060001117U KR20060001117U KR200412422Y1 KR 200412422 Y1 KR200412422 Y1 KR 200412422Y1 KR 2020060001117 U KR2020060001117 U KR 2020060001117U KR 20060001117 U KR20060001117 U KR 20060001117U KR 200412422 Y1 KR200412422 Y1 KR 200412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 registration
customer
fingerprint
registration card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위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위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위너테크
Priority to KR202006000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은행 등의 금융창구에서 계좌개설 ,변경 시 실명 확인을 위해 주민등록증 등의 실명확인 증표의 사본을 보관하기 위해 복사를 한다. 또 계좌의 거래 승인을 위해 비밀번호를 등록하거나 거래신청서의 기재 사항을 전산 등록을 한다. 본 고안은 실명 확인 즉 본인 확인 과정에서 주민등록증을 스캔하여 실명확인 증표로 디지털이미지를 저장하고 , 주민등록증 이미지 내에 있는 정보(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 발급일자, 사진, 지문)를 추출하여 고객DB에 등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등록증 소지자의 서명과 주민등록증 소지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고객DB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주민등록번호를 키 값으로 행정전산망 DB에 등록되어 있는 지문정보와 생체지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인확인용 데이터를 고객DB에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고객DB를 통하여 추후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주민등록증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주민등록증 양면 스캔부, 주민등록증 소지자의 생체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는 지문인식부, 주민등록증 소지자의 서명을 입력할 수 있는 전자서명부, 주민등록증 소지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핀패드(PINPAD)부, 고객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웹카메라, 입력된 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로 구성되어 있다.
신분증양면스캐너, 본인확인, 실명확인, PINPAD, 전자서명기, 지문인식기

Description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Multi Functional apparatus for customers of teller}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민등록증 스캐너와 디지털서명기, 핀패드, 지문인식기, 웹카메라로 구성된 다기능 본인 확인 등록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본인 확인 등록 장치 시스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본인 확인 등록 장치의 본인확인 절차 및 본인확인용(실명확인 증표)데이터 및 고객DB에 고객정보를 등록하는 동작흐름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본인 확인 등록 장치를 이용하여 계좌변경 신청자에 대한 본인확인과정과 계좌 변경 결과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주민등록증 양면스캐너
20, 120: 지문인식기
30, 130 :PINPAD
40, 140: 디지털서명기
50, 150 : 웹카메라
S100 : 행정전산망의 주민 DB로 구축한 인증용DB
S200 : 고객 DB
S300 : 본인확인 시스템 흐름도
S80 : 주민등록증을 스캔하여 추출한 정보(주민등록번호, 이름, 주민등록증 발급일자, 주민증 지문이미지, 주소, 주민증의 사진) , 생체지문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다. 그 밖의 필요에 따라 서명정보, 비밀번호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
S90 : 계좌의 고객정보를 추가로 등록하는 과정.
금융실명제도에 의해서 금융계좌 개설시 실명확인을 위해 금융창구의 계원은 계좌개설 신청서를 접수하고 신분증(주민등록증 등의 실명확인 증표)을 제시 받아 실명확인 후 신분증을 복사하여 계좌개설 신청서와 함께 보관을 한다. 또 금융기관에서는 계좌 개설 신청서에 기재된 고객 정보(계좌번호, 고객번호, 이름,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를 전산등록하고 계좌에 따른 비밀번호를 고객이 입력하게 하여 고객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실명확인 과정에서 제시된 신분증만으로 실명확인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신분증의 사진이 오래된 경우, 헤어스타일, 안경의 착용, 조명환경의 차이로 인해 실제 얼굴과 사진의 육안대조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고 주민등록증 위 변조에 의하여 차명계좌가 개설되어 범죄에 악용되기도 한다.
또한 실명확인 시 실명확인을 하였다는 신분증(실명확인 증표)의 사본을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계원이 고객을 접하면서 이석하여 복사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계좌의 개설시 온라인 금융거래를 위하여 계좌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PINPAD가 있는데, 이는 비밀번호를 계좌개설 신청서에 기록하면 계원에게라도 노출될 우려가 있어 고객이 직접 전산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실명확인용의 신분증은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출되어 계원이 가지고 창구가 아닌 다른 곳에서 신분증을 복사하고 되돌려준다. 이러한 상황은 계원이 실명확인증표로 이용하기 위해 사본을 복사하는 일이지만 꼭 1매만을 복사한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즉 실명확인 증표의 보관은 실제로 복사할 수 없도록 보안체계가 구축된 전산시스템에 디지털이미지로만 등록되는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만 신분증의 주인동의 없이는 재차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개설된 계좌에 대한 변경 신청 시에도 계좌의 실명과의 대조 과정에서 또 다시 신분증 사본을 보관한다.
계좌개설 신청서는 접수되고 기재된 고객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E-Mail주소 등)는 전산에 입력하여 고객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보면 보안상의 허점과 실명확인에 대한 허점이 드러나 있는 실정이며 수기로 기록된 정보를 다시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게 되면 인감증명서와 인감도장을 가지고 가야 된다. 이는 대출건에 대한 부인방지용으로 대출관련 서류에 도장을 찍기 위함이다. 대출을 받는 당사자 뿐 아니라 보증인에 대해서도 같은 마찬가지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부인방지용으로 정확한 본인확인과 디지털 전자서명, 생체지문, 웹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번거로운 인감증명서의 발급과 인감도장의 지참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실명확인증표의 사본의 보관을 위한 복사, 비밀번호의 등록, 서명 이미지의 취득, 지문이미지의 취득, 고객 사진 정보의 취득을 위한 다기능의 장비로 제반의 일들은 해결할 수 있도록 주민등록증 양면스캐너, PINPAD, 디지털서명기, 지문인식기, 웹카메라가 결합하여 계원의 컴퓨터와 연결되어 금융창구의 고객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데이터를 쉽게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기기를 하나의 기기처럼 결합할 수 있는 통신기술과 주민등록증 이미지에서을 주민등록증에 수록된 정보(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 발급일자, 사진부분, 지문부분)를 인식하는 인식기술이 필요하다. 이렇게 인식된 데이터는 금융기관 전산 시스템에 데이터의 입력이 자동화되고 정확한 본인확인으로 계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신분증을 이용한 다기능 본인확인등록장치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민등록증을 이용한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장치의 외관도이다. 도1의 외관도에서 (10)은 주민등록증의 양면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 투입구이며 (20)은 지문인식기, (30)은 개좌 개설시 비밀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PINPAD, (40)은 개인의 싸인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전자서명기, (50)은 창구에서 고객의 얼굴사진을 찍을 수 있는 웹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장치들은 하나의 전자회로 기판에 연결되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서 컴퓨터로 입력된다.
도2는 본 고안의 장치의 컴퓨터에 연결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의 (200)은 계원의 컴퓨터에 해당되고 (100)은 본 고안의 장치이다.
도3은 다기능 본인확인등록장치가 어떻게 본인임을 확인하고 본인 확인결과의 데이터가 고객DB에 저장되는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3의 (S100)은 인증서버로써 정부에서 구축한 주민DB와 연계되어 구축된 인증용DB이다. (S100)은 주민DB에서 지문의 특징점과 주민등록증의 발급일자, 주민등록증을 제작할 때의 사진, 주소 등의 인증을 위한 개인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S200)은 금융기관에서 구축한 고객별, 또는 계좌별로 구축된 고객관리용의 DB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기능본인확인등록장치가 금용기관에서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인확인과정인(S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금융계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람의 주민등록증을 도2의(110)에 투입하면 본 고안의 장비는 주민등록증의 양면이미지를 스캔한다. 스캔된 이미지는 도2의(200) 컴퓨터로 전송되면 컴퓨터에서는 (S20)과정에서 주민등록증의 앞면의 이미지에서 주민등록번호, 발급일자, 이름, 주소를 인식하고 뒷면의 이미지에서 지문을 인식한다. 그리고 (S30)과정에서는 계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람의 생체지문을 입력받아 도2의(200) 컴퓨터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받은 주민등록증의 지문과 생체지문의 특징점을 비교하여 일치가 될 경우 인식된 주민등록번호를 키값으로 인터넷을 통해 인증서버(S100)에서 검색한다. 검색된 된 개인에 대한 인증용 데이터(지문, 주민등록증 발급일자, 성명, 주소)를 인터넷으로 전송받아 (S30)에서 입력받은 생체지문과 (S100)에서 입력받은 지문을 비교하여 일치된 경우 주민등록증상의 사람은 계좌를 개설신청한 사람과 일치된 본인임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S300)과정에서 추출된 주민등록증 이미지는 계좌에 대한 실명확인증표의 사본으로 , 주민번호, 성명, 주소, 생체지문정보는 (S200)고객DB 자동 저장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도2의(140) 전자서명기를 통해 싸인이미지를 입력받고, 고객의 사진정보는 주민등록증의 앞면이미지를 인식하여 등록하거나 고객의 동의가 있다면 도2의(150)웹카메라를 통해 찍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계좌의 비밀번호는 도2의(130)인 PINPAD를 통해 입력받거나 계좌 개설 신청서에 비밀번호 대용의 지문을 사용한다고 선택하였다면 지문인식기 도2의(120)을 통해서 등록하되 도3(S30)과정에서 입력한 생체지문과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등록할 수 도 있다. 이렇게 비밀번호 대용의 생체지문의 정보는 현금지급기의 지문인식기를 통해 금융거래의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고객이 작성한 계좌개설신청서는 접수되어 계좌를 개설하게 된다. 금융기관에서는 계좌개설 신청서에 기록된 고객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의 데이터를 별도 고객DB에 입력 관리한다.
도4는 계좌변경 신청 시에 대한 이용방법을 설명한다. 본인확인(실명확인)과정 도2의 (S300)에서 구축된 고객DB는 추후 계좌 변경 신청시에도 이용되는데 이때는 반드시 주민등록증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만약 주민등록증을 제시할 경우는 (S300)과정을 통해 실명확인을 할 수 있지만 주민등록증을 소지하지 않았다면 신청자의 생체지문을 입력받고 주민등록번호 또는 계좌번호를 통해 고객DB를 검색하여 이미 등록된 지문과 비교는 방법 또는 계원의 단말기에 고객의 등록된 사진이 디스플레이 되어 육안대조를 통해서 계좌변경신청자에 대한 본인확인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기능 본인확인등록장치를 금융기관의 창구에서 이용하게 되면 실명확인증표 이미지의 전산등록, 실명확인증표 이미지에서 추출된 주민등록번호를 키값으로 인증용DB를 검색하여 입력된 생체 지문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인인증(실명확인)을 함으로써 정확한 실명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름, 주민등록증 발급일자, 주소, 사진, 주민증지문의 데이터는 별도의 입력 없이 주민등록증의 이미지에서 추출하여 자동 입력 되게 함으로써 고객의 정보 입력 업무를 자동화 간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비밀번호 등록, 서명이미지 , 생체지문을 대출업무에 적용함으로써 부인방지용의 인감증명서 및 인감도장을 지참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들을 간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계좌 개설 시에 등록된 고객정보를 통하여 주민등록증만 본인이 소지하게 되면 지문, 서명, 비밀번호를 통하여 통장이나 현금카드 없이도 온라인상 금융거래승인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4)

  1. 신분증 스캐너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PINPAD, 생체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싸인을 등록할 수 있는 전자서명기, 고객의 사진을 찍을 수 있은 웹카메라가 결합된 장치
  2. 신분증 스캐너와 , 생체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싸인을 등록할 수 있는 전자서명기, 고객의 사진을 찍을 수 있은 웹카메라가 결합된 장치
  3. 신분증 스캐너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PINPAD, 생체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싸인을 등록할 수 있는 전자서명기가 결합된 장치
  4. 신분증 스캐너와 생체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 싸인과 비밀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장치, 및 웹카메라가 결합된 장치
KR2020060001117U 2006-01-13 2006-01-13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KR200412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17U KR200412422Y1 (ko) 2006-01-13 2006-01-13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17U KR200412422Y1 (ko) 2006-01-13 2006-01-13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422Y1 true KR200412422Y1 (ko) 2006-03-27

Family

ID=4176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117U KR200412422Y1 (ko) 2006-01-13 2006-01-13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4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91B1 (ko) * 2011-08-19 2013-08-06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핀패드를 활용한 고객 관리 방법
KR101314853B1 (ko) * 2011-08-31 2013-10-04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KR101534405B1 (ko) * 2013-10-29 2015-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91B1 (ko) * 2011-08-19 2013-08-06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핀패드를 활용한 고객 관리 방법
KR101314853B1 (ko) * 2011-08-31 2013-10-04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투명 키패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핀패드 장치
KR101534405B1 (ko) * 2013-10-29 2015-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1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verifying a user of a kiosk using an external verification system
EP3417392B1 (en) Method, system, device and software programme product for the remote authorization of a user of digital services
KR20200024870A (ko) 무선 주파수 식별 가능한 신분 서류 및 제스처 요청-응답 프로토콜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
JP6779397B1 (ja) 本人確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890774B2 (ja) 金融取引システム
JP6513866B1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U2016203523A1 (en)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ccount Opening
JP2020064483A (ja) 本人確認支援装置および本人確認支援方法
KR20220061919A (ko) 안면인식 기반 전자서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20136963A (ko)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12422Y1 (ko)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JP2005063342A (ja) カード使用者確認システム、カード使用者確認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Priya et al. A novel algorithm for secure Internet Banking with finger print recognition
JP2022117025A (ja) 本人確認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システム
JP7163573B2 (ja) 登録システム
JP2021131857A (ja) 顔認証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顔認証システム
KR20070109378A (ko) 공인전자문서보관소 기반 페이퍼리스 전자계약 방법
US20200065896A1 (en) System for processing of financial loan to user in exchange of metal asset
JP2007328616A (ja) 契約システム
JP6723056B2 (ja) 個人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TWM573866U (zh) Dual verification system for financial counter transactions
JP7486635B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I774977B (zh) 線上身份確認方法與線上金融服務系統
JP2007047973A (ja) サービス申込受付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申込受付方法
Ahamed et al. A review report on the fingerprint-based biometric system in ATM ban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