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963A -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963A
KR20220136963A KR1020220119619A KR20220119619A KR20220136963A KR 20220136963 A KR20220136963 A KR 20220136963A KR 1020220119619 A KR1020220119619 A KR 1020220119619A KR 20220119619 A KR20220119619 A KR 20220119619A KR 20220136963 A KR20220136963 A KR 2022013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ustomer
authentication
terminal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999B1 (ko
Inventor
황희준
김성수
이명훈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스비
Priority to KR102022011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9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신분증이 필요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고객이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으며, 보안성 또한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름과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상기 셀피 사진을 인증 기관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IDENTIFICATION KYC SOLUTION HAVING EXCELLENT SECURITY}
본 발명은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분증이 필요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고객이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으며, 보안성 또한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증권사, 보험사, 핀테크 관련 업체 등의 금융 관련 업체에서는 금융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의 신원 확인을 위해 대면 방식의 본인인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면 방식의 본인인증 방식은 고객이 금융 관련 업체에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해당 금융 관련 업체의 영업 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면 방식의 본인인증 방식은 금융 관련 업체의 고객 확인 업무 부담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바이러스 등의 감염 질병이 유행하는 경우 감염 질병을 확산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 때문에 고객이 금융 관련 업체에 방문을 꺼리게 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 비대면 방식의 본인인증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 및 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① 실명확인증표 사본 또는 신분증 사본 촬영, ② 고객과 영상 통화를 통해 신분증표와 사진 대조, ③ 접근 매체 전달시 확인(현금카드, 보안카드, OTP 전달), ④ 기존 고객 계좌 활용(1원 인증), ⑤ 타기관 인증서(예: 공인인증서) 기타 이에 준하는 방법의 5가지 중 2가지 이상의 인증을 통해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금융 관련 업체 측에서 고객과 영상 통화를 해야 하거나, 고객에게 현금카드이나 보안카드 또는 OTP 전달을 해야 하거나, 고객이 자신의 계좌에 입금 내역을 확인하고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1원 인증을 해야 하거나, 타기관 인증서를 준비해야 하는 등 고객이 계좌 개설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가 복잡하다. 또한, 1원 인증 방식을 활용할 경우 금융 관련 업체에서 1원 인증을 위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식은 신원 확인을 위해 필요한 정보 이상의 불필요한 개인 정보 노출을 꺼리는 고객이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메모지 등으로 가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신분증을 이용한 비대면 본인인증 방식은 신분증 정보가 유출되거나 신분증 분실 우려가 있으며, 신분증을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 본인인증을 하지 못하게 된다.
종래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식은 대면 방식에 비해 신원 확인의 검증 정확도가 낮은 문제도 있다. 종래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식은 고객이 제출한 사진의 실시간성 확보가 어렵고, 고객이 신분증을 위,변조하여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경우 대면 방식에 비해 이를 적발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신분증 또는 신분증 사진을 위·변조하고 대포 통장을 활용하여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1원 인증을 한 후 대포폰으로 인증을 완료하여 신규 계좌를 개설하거나 대출을 승인받는 등의 사기 행위도 증가하고 있다. 본인인증의 검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고객에게 보안성이 높은 인증방식을 요구할 경우 고객이 불편함과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신분증이 필요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고객이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으며, 보안성 또한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셀피 사진을 촬영하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간편하게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파일이나 동영상이 아닌 앱상에서 찍은 사진으로 인증이 가능하며, 사진 실시간성 확보를 통해 사진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분증 없이도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신분증/OTP 카드 등의 유출 우려가 없으며, 사기 인물의 신분증 위·변조에 의한 사기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브니스 검증을 통해 타인의 사진이나 동영상, 얼굴 모형 등을 이용하여 사기 인물이 허위로 본인인증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인인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비대면 계좌 개설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고 영상 통화 인증 수단을 대체하여 24시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여 고객 편의를 증대할 수 있고, 1원 인증에 사용되는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름과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상기 셀피 사진을 인증 기관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동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에 상기 안면 인증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인증 기관 단말기에 의해,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 요청에 대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 결과를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받는 단계는: 고객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고객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셀피 사진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고객의 셀피 동영상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에 의해, 상기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동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고객 정보 입력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셀피 사진 입력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름과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상기 셀피 사진을 인증 기관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안면 인증 요청부;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증 결과 수신부; 및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동영상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셀피 동영상 입력부; 상기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브니스 검증부; 및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에 상기 안면 인증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받도록 구성되는 안면 인증 요청 입력부;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 요청에 대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증 결과 결정부; 및 상기 인증 결과를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증 결과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면 인증 요청 입력부는: 고객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고객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셀피 사진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는: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상기 고객의 셀피 동영상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도록 구성되는 셀피 동영상 수신부; 및 상기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브니스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는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고객 정보 입력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셀피 사진 입력부;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증 결과 결정부;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는: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동영상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셀피 동영상 입력부; 및 상기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브니스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는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분증이 필요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고객이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으며, 보안성 또한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이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셀피 사진을 촬영하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간편하게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진 파일이나 동영상이 아닌 앱상에서 찍은 사진으로 인증이 가능하며, 사진 실시간성 확보를 통해 사진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분증 없이도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신분증/OTP 카드 등의 유출 우려가 없으며, 사기 인물의 신분증 위·변조에 의한 사기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라이브니스 검증을 통해 타인의 사진이나 동영상, 얼굴 모형 등을 이용하여 사기 인물이 허위로 본인인증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인인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의 비대면 계좌 개설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고 영상 통화 인증 수단을 대체하여 24시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여 고객 편의를 증대할 수 있고, 1원 인증에 사용되는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 및 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기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기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계 S11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단계 S12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단계 S17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단계 S2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예컨대,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부, ~모듈'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부, ~모듈'은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사용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그리고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만을 입력받아 본인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고객이 신분증 없이도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비대면 본인인증을 할 수 있으며, 고객 편의성 증대와 함께 본인인증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분증 없이 본인인증이 가능하여 신분증 위·변조에 의한 사기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우수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신분증/OTP(one time password) 카드 등의 정보 유출 우려가 없다. 특히, 라이브니스 검증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기 인물이 타인의 사진이나 동영상, 얼굴 모형 등을 이용하여 허위로 본인인증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인인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어, 핀테크 업체의 앱 서비스 이용, 블록체인 거래소의 전자지갑 개설, 은행의 온라인 뱅킹 계좌 개설, 증권사의 증권 거래 앱 계좌 개설, 보험사에 관한 온라인 보험 신청 등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비대면 본인인증 고객확인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비대면 본인인증 고객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은 고객 단말기에 다운로드되는 인증 앱을 통해 API 형태 서비스로 제공되거나, 고객사 앱에 통합된 인증 모듈을 기반으로 고객사 내부 솔루션 형태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서비스 구현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10)은 고객 단말기(100),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 인증 기관 단말기(300), 및 신분증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비대면 본인인증을 받아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과 관련된 단말기일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이름,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셀피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등의 이미지 획득 모듈,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셀피 사진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입력 화면, 셀피 사진 촬영 화면, 비대면 본인인증 결과 화면 등과 같은 비대면 본인인증 서비스를 위한 화면들을 출력하는 표시부 등을 구비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랩탑,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객 단말기(100)는 비대면 본인인증을 위해 고객에 의해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에 입력된 이름,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00)는 비대면 본인인증을 위해 고객에 의해 고객의 얼굴에 대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셀피 사진을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수신, 전송)받은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셀피 사진을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전송하여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인증 기관에서 사용하는 인증 기관(예를 들어, 행정안전부)과 관련된 단말기, 또는 정부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공인한 금융 인증 기관과 관련된 단말기일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인증 기관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랩탑,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셀피 동영상을 수신하여 라이브니스(Liveness) 검증을 수행하고, 라이브니스 검증을 성공한 경우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만약 라이브니스 검증을 성공하지 못한 경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하지 않고, 라이브니스 검증에 실패하였다는 메시지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의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셀피 사진을 이용하여 고객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인증 결과를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분증 DB(400)는 고객들의 신분증, 신분증에 해당하는 신분증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주소 등), 및 신분증 사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신분증 DB(400)와 연동하여 고객의 본인인증을 위한 안면 매칭 등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이하,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라 함)와 관련된 신분증 DB(400)의 신분증 정보(이하, '고객 신분증 정보'라 함)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이름(이하, '고객 이름'이라 함) 간의 일치 여부, 및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DB(400)의 신분증 사진(이하, '고객 신분증 사진'이라 함)과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셀피 사진(이하, '고객 셀피 사진'이라 함)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고객에 대한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고객 신분증 정보가 고객 이름과 일치하고, 고객 신분증 사진과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얼굴 일치도가 기준 일치도 이상인 경우(안면 매칭에 성공한 경우), 고객 본인인증에 성공하였다는 인증 결과를 결정하여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고객 신분증 정보가 신분증 DB(400)에 없거나, 고객 신분증 정보가 고객 이름과 일치하지 않거나, 고객 신분증 사진과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얼굴 일치도가 기준 일치도 미만인 경우(안면 매칭에 실패한 경우), 고객 본인인증에 실패하였다는 인증 결과를 결정하여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따라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인증에 성공하였다는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고객 단말기(100)로 본인인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고객 단말기(100)로 본인인증에 실패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인증 결과를 수신시, 본인인증을 위해 신분증 사진 촬영, 계좌 인증(1원 인증), 및/또는 보안 카드(예를 들어, OTP 등) 등의 추가적인 인증 옵션을 수행할 것을 고객에게 안내하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하나 이상의 인증 옵션을 추가로 수행해야만 금융 서비스 등을 제공받기 위한 본인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고객 정보 입력부(210), 셀피 사진 입력부(220), 셀피 동영상 입력부(230), 라이브니스 검증부(240),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250), 안면 인증 요청부(260), 인증 결과 수신부(270), 및 인증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입력부(21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받을 수 있다. 고객 정보 입력부(210)는 고객 단말기(100)에 입력 화면을 표시하여, 고객에 의해 입력 화면에서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객은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음성 입력 등)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에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한 후 입력 완료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셀피 사진 입력부(22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을 수 있다. 고객에 의해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가 입력되면, 셀피 사진 입력부(220)는 고객 단말기(100)에 셀피 사진 촬영 화면을 표시하고, 고객 단말기(100)의 카메라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고객이 카메라로 촬영 화면 내의 셀피 사진 영역 내에 얼굴이 위치한 상태에서 촬영을 선택하면, 셀피 사진 입력부(22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고객 셀피 사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셀피 사진 입력부(220)는 셀피 사진 영역 내에 얼굴이 위치하지 않은 상태(예를 들어, 얼굴 중 일부가 셀피 사진 영역을 벗어난 경우), 혹은 셀피 사진 영역 내에 얼굴이 기준 크기 미만인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에 셀피 사진의 재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셀피 동영상 입력부(230)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위해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고객 셀피 동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셀피 동영상 입력부(230)는 고객 셀피 사진 촬영 전이나, 후 또는 셀피 사진 촬영과 동시에 고객 단말기(100)의 동영상 촬영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셀피 동영상 입력부(230)는 고객이 촬영한 고객 셀피 동영상을 입력받아 라이브니스 검증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셀피 동영상 입력부(230)는 설정 시간 동안 고객 셀피 동영상을 촬영하여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피 동영상 입력부(230)는 셀피 동영상 영역 내에 얼굴이 위치하지 않은 상태(예를 들어, 얼굴 중 일부가 해당 영역을 벗어난 경우), 혹은 영역 내에 얼굴이 기준 크기 미만인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00)에 셀피 동영상의 재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라이브니스 검증부(240)는 고객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고객 셀피 사진이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이브니스 검증부(240)는 고객 셀피 사진이 실제 고객이 촬영한 사진인지 혹은 사기 인물에 의한 허위 사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라이브니스 검증부(240)는 고객 셀피 동영상에서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탐지하고, 고객의 얼굴 움직임이 탐지되면 고객 셀피 사진이 미리 준비된 사진이나 동영상, 얼굴 모형 등이 아니라, 실제 고객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250)는 라이브니스 검증부(240)에 의한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안면 인증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250)는 라이브니스 검증부(240)에 의해 라이브니스 검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안면 인증을 요청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250)는 라이브니스 검증부(240)에서 라이브니스 검증에 실패한 경우,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안면 인증을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라이브니스 검증에 성공한 경우, 안면 인증 요청부(26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고객 셀피 사진을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전송하여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결과 수신부(27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의해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고객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고객 신분증 사진과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인증 결과를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인증부(28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따라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의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부(280)는 고객 단말기(100)에 본인인증 성공을 알릴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의해 인증이 실패한 경우 인증부(280)는 고객 단말기(100)에 인증 실패를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280)는 고객의 추가적인 인증 옵션(신분증 사진 촬영, OTP 정보 입력, 기존 계좌 1원 인증, 영상 통화 등)에 따라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기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안면 인증 요청 입력부(310), 인증 결과 결정부(320), 및 인증 결과 전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인증 요청 입력부(310)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받을 수 있다. 안면 인증 요청 입력부(310)는 고객 단말기(100)에 의해 입력된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고객 셀피 사진을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고객의 안면 인증 요청에 대해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신분증 DB(400)의 고객 신분증 정보와 고객 신분증 사진을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고객 셀피 사진과 신분증 사진의 얼굴 이미지들을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대조하여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AI 안면인식(Face Recognition)을 통해 신분증 사진과 고객의 실시간 촬영 셀피 사진을 비교하여 고객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인공 지능 모델에 의해 고객 셀피 사진과 신분증 사진의 얼굴 이미지들에서 각각 특징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얼굴 이미지들에서 추출된 대응되는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신분증 사진과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얼굴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신분증 사진과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얼굴 일치도를 기반으로 고객의 안면 매칭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예를 들어, 인공 지능에 의해 산출된 얼굴 일치도를 설정된 기준 일치도와 비교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결과 전송부(330)는 인증 결과 결정부(320)에 의해 신분증 정보 일치 여부와, 안면 매칭 여부에 따라 결정된 고객의 인증 결과를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분증이 필요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고객이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이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셀피 사진을 촬영하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간편하게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진 파일이나 동영상이 아닌 앱상에서 찍은 사진으로 인증이 가능하며, 셀피 사진의 실시간성 확보를 통해 사진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분증 없이도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신분증/OTP 카드 등의 유출 우려가 없으며, 사기 인물의 신분증 위·변조에 의한 사기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라이브니스 검증을 통해 타인의 사진이나 동영상, 얼굴 모형 등을 이용하여 사기 인물이 허위로 본인인증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인인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의 비대면 계좌 개설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고 영상 통화 인증 수단을 대체하여 24시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여 고객 편의를 증대할 수 있으며, 1원 인증에 사용되는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기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 대신 인증 기관 단말기(300)가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셀피 동영상 수신부(340)와 라이브니스 검증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셀피 동영상 수신부(340)는 고객 단말기(100)에 의해 입력된 고객의 셀피 동영상을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라이브니스 검증부(350)는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셀피 사진이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셀피 동영상 수신부(340)와 라이브니스 검증부(350)는 도 4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의 셀피 동영상 입력부(230), 및 라이브니스 검증부(240)의 기능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인증 기관 단말기(300)가 아닌,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가 라이브니스 검증과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인증 결과 결정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290)는 고객의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부(280)는 인증 결과 결정부(290)의 인증 결과에 따라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29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고객 이름 간의 일치 여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 라이브니스 검증부(240)에 의한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하면, 고객이 입력한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가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S110).
도 9는 도 8의 단계 S11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의 앱을 실행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표시부 화면에 고객이 비대면 인증을 위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 문구가 표시된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입력 화면에는 이름 입력 영역(20)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입력 영역(30)이 마련된다. 고객은 비대면 본인인증을 위해,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름 입력 영역(20)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입력 영역(30)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할 수 있다.
고객이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의 입력을 완료하면 고객 단말기(100)에서 셀피 사진 촬영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셀피 사진을 촬영하면, 셀피 사진은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S120).
도 10은 도 8의 단계 S12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도 4,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객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한 후 다음 항목(40)을 선택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에 얼굴 촬영을 위한 셀피 촬영 영역(50)이 표시된다.
고객이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하면, 셀피 사진의 획득을 위해 고객 단말기(100)의 카메라가 자동으로 실행되며, 이를 통해 고객이 자신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하여 셀피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고객이 자신의 얼굴을 셀피 촬영 영역(50) 내에 위치하도록 고객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한 상태에서 촬영 항목(60)을 선택하면, 본인인증을 위한 고객의 실시간 셀피 사진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셀피 동영상을 촬영하면, 실시간 촬영된 셀피 동영상이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S130).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고객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고객 셀피 사진이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140).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고객 셀피 사진이 실제 고객이 촬영한 사진인지 허위 사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의 라이브니스 검증부(240)는 고객 셀피 동영상에서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탐지하고, 고객의 얼굴 움직임이 탐지되면 고객 셀피 사진이 미리 준비된 사진이나 동영상, 모형 등이 아니라, 실제 고객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라이브니스 검증부(240)는 고객 셀피 동영상에서 고객의 얼굴 움직임이 탐지되지 않으면, 고객 셀피 사진이 실제 고객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것이 아니라, 사기 인물이 타인의 사진이나 동영상, 얼굴 모형 등을 미리 준비하여 허위로 본인인증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의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250)는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안면 인증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50).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250)는 라이브니스 검증이 성공한 경우,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안면 인증을 요청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라이브니스 검증에 실패한 경우,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25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안면 인증을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라이브니스 검증에 성공한 경우, 안면 인증 요청부(26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이름과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 및 고객 셀피 사진을 인증 기관 단말기(300)에 전송하여 고객의 안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160).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받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받은 고객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받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받은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S170).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고객 셀피 사진과 신분증 사진의 얼굴 이미지들을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대조하여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AI 안면인식(Face Recognition)을 통해 신분증 사진과 고객의 실시간 촬영 셀피 사진을 비교하여 고객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단계 S17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인공 지능 모델에 의해 고객 셀피 사진(70)과 신분증 사진(80)의 얼굴 이미지들(72, 82)에서 각각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대응되는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신분증 사진(80)과 고객 셀피 사진(70) 간의 얼굴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신분증 사진(80)과 고객 셀피 사진(70) 간의 얼굴 일치도를 기반으로 안면 매칭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예를 들어, 인공 지능에 의해 산출된 얼굴 일치도를 설정된 기준 일치도와 비교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의 단계 S2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는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고객 이름 간의 일치 여부, 및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인증 결과를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180).
인증부(28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따라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90). 최종적으로 본인인증 결과는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 대신 인증 기관 단말기(300)가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3의 단계 S210, S220, S230은 도 8의 단계 S110, S120, S13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의 셀피 동영상 수신부(340)는 고객 단말기(100)에 의해 입력된 고객의 셀피 동영상을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S240).
인증 기관 단말기(300)의 라이브니스 검증부(350)는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셀피 사진이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250). 인증 결과 결정부(320)는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S260).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은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가 라이브니스 검증과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4의 단계 S310, S320, S330, S340은 도 8의 단계 S110, S120, S130, S14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200)의 인증 결과 결정부(290)는 고객의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S350).
인증부(280)는 인증 결과 결정부(290)의 인증 결과에 따라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60). 인증 결과 결정부(29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이름 간의 일치 여부,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와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고객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 라이브니스 검증부(240)의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인증 결과 결정부(290)는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고객의 신분증 사진을 전송받지 않고, 고객의 신분증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들을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신분증 사진을 직접 전송받지 않고 신분증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들을 전송받기 때문에 신분증 사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증 결과 결정부(290)는 실시간 촬영된 고객 셀피 사진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제1 특징점들과, 신분증 사진으로부터 추출되거나 인증 기관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제2 특징점들의 매칭율을 기반으로 얼굴 일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고객이 이름/주민등록번호(또는 생년월일)를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셀피 사진을 촬영하는 간단한 행위만으로 간편하게 비대면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진 파일이나 동영상이 아닌 앱상에서 찍은 사진으로 인증이 가능하며, 사진 실시간성 확보를 통해 사진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분증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신분증/OTP 카드 등의 유출 우려가 없으며, 사기 인물의 신분증 위·변조에 의한 사기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라이브니스 검증을 통해 타인의 사진이나 동영상, 얼굴 모형 등을 이용하여 사기 인물이 허위로 본인인증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인인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비대면 계좌 개설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고 영상 통화 인증 수단을 대체하여 24시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여 고객 편의를 증대할 수 있고, 1원 인증에 사용되는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100: 고객 단말기
200: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
210: 고객 정보 입력부
220: 셀피 사진 입력부
230: 셀피 동영상 입력부
240: 라이브니스 검증부
250: 안면 인증 요청 결정부
260: 안면 인증 요청부
270: 인증 결과 수신부
280: 인증부
290: 인증 결과 결정부
300: 인증 기관 단말기
310: 안면 인증 요청 입력부
320: 인증 결과 결정부
330: 인증 결과 전송부
340: 셀피 동영상 수신부
350: 라이브니스 검증부
400: 신분증 DB

Claims (5)

  1.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이름과 함께, 주민등록번호 또는 생년월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민등록번호 또는 상기 생년월일과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상기 주민등록번호 또는 상기 생년월일과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 및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실시간 촬영된 상기 셀피 사진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제1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신분증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제2 특징점들을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셀피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특징점들과,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2 특징점들 간의 매칭율을 기반으로 얼굴 일치도를 산출하여 상기 안면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징점들을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신분증 사진을 전송받지 않고,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신분증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2 특징점들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동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대면 본인인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셀피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을 분석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비대면 본인인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이름과 함께 주민등록번호 또는 생년월일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고객 정보 입력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얼굴이 실시간 촬영된 셀피 사진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셀피 사진 입력부;
    상기 셀피 사진이 상기 고객이 실제 본인의 얼굴을 실시간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브니스 검증부;
    상기 고객의 안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증 결과 결정부;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는:
    상기 주민등록번호 또는 상기 생년월일과 관련된 신분증 정보와 상기 이름 간의 일치 여부, 상기 주민등록번호 또는 상기 생년월일과 관련된 신분증 사진과 상기 셀피 사진 간의 안면 매칭 여부, 및 상기 라이브니스 검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증 결과 결정부는:
    실시간 촬영된 상기 셀피 사진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제1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의 신분증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제2 특징점들을 전송받고; 그리고
    상기 셀피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특징점들과, 상기 인증 기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2 특징점들 간의 매칭율을 기반으로 얼굴 일치도를 산출하여 상기 안면 매칭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KR1020220119619A 2020-11-27 2022-09-21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9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619A KR102594999B1 (ko) 2020-11-27 2022-09-21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19A KR102447899B1 (ko) 2020-11-27 2020-11-27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20119619A KR102594999B1 (ko) 2020-11-27 2022-09-21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19A Division KR102447899B1 (ko) 2020-11-27 2020-11-27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963A true KR20220136963A (ko) 2022-10-11
KR102594999B1 KR102594999B1 (ko) 2023-10-27

Family

ID=817557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19A KR102447899B1 (ko) 2020-11-27 2020-11-27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20119619A KR102594999B1 (ko) 2020-11-27 2022-09-21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19A KR102447899B1 (ko) 2020-11-27 2020-11-27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47899B1 (ko)
WO (1) WO2022114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876B1 (ko) * 2022-07-05 2023-03-10 바이엇 주식회사 Ai 기반의 안면인식 알고리즘을 활용한 핀테크 서비스 상의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502685B1 (ko) * 2022-09-06 2023-02-23 페이스피에이팍 유한회사 안면 인식 및 라이브니스를 이용하여 비대면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158B1 (ko) * 2015-10-29 2018-04-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30066A (ko) * 2019-05-10 2020-11-18 김경아 안면인식장치 및 안면인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052A (ko) * 2010-06-10 2011-12-16 강성채 인터넷 전문은행 화상 대면 실명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602B1 (ko) * 2019-06-03 2020-09-10 김현 온라인 대면확인 방법
KR102139548B1 (ko) * 2020-04-16 2020-07-30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안면인식 기술 기반 분산화된 신원증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158B1 (ko) * 2015-10-29 2018-04-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30066A (ko) * 2019-05-10 2020-11-18 김경아 안면인식장치 및 안면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290A1 (ko) 2022-06-02
KR102594999B1 (ko) 2023-10-27
KR102447899B1 (ko) 2022-11-02
KR20220074147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99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ng at an ATM using a mobile device
JP6648110B2 (ja) クライアントをデバイスに対して認証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05153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800754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ng at an ATM Using a Mobile Device
US118246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biometric image templates to devices for use in user authentication
KR102594999B1 (ko)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89565B2 (en) Compromise alert and reissuance
EP3642776A1 (en) Facial biometrics card emulation for in-store payment authorization
US11044250B2 (en) Biometric one touch system
KR20170052126A (ko)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US20210217024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solidating Identity Services
KR101813950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13881A (ko) 무인대출 처리방법
WO2016083987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obtaining proof of authorisation of a transaction
KR101794108B1 (ko)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742064B1 (ko)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TWI793479B (zh) 一種資料處理方法、裝置與系統
TWM603166U (zh) 具非接觸式認證的金融交易裝置與系統
KR102594998B1 (ko) 비대면 본인인증 고객확인 장치 및 그 방법
Ahamed et al. A review report on the fingerprint-based biometric system in ATM banking
KR101720273B1 (ko)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767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encryption keys for processing a secured transaction on a blockchain
TW202201309A (zh) 具非接觸式認證的金融交易裝置、方法與系統
KR20180040536A (ko)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