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126A -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126A
KR20170052126A KR1020150154176A KR20150154176A KR20170052126A KR 20170052126 A KR20170052126 A KR 20170052126A KR 1020150154176 A KR1020150154176 A KR 1020150154176A KR 20150154176 A KR20150154176 A KR 20150154176A KR 20170052126 A KR20170052126 A KR 2017005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customer
information
fac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철
인흥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티스
Priority to KR102015015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126A/ko
Publication of KR2017005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06K9/00255
    • G06K9/0028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8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the card verification value [CVV] associated with the car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의 스마트폰 및 진위확인 기관에 구비된 진위확인 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은, 고객의 금융정보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어 전송되는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진위확인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대한 진위 확인을 하여 상기 고객에 대한 1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단계와, 1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스마트폰과 상담사의 단말기 간 통화 연결이 확인되는 제3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과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얼굴 사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고객에 대한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4 단계와, 상기 2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스마트폰으로부터 금융정보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Method for Non-faced Multi-authenticating for Creating Financial Information}
본 발명은 모바일(예컨대,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금융정보를 생성(예컨대, 금융계좌 개설 등)하기 위해, 비대면 상의 고객에 대한 인증을 다중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계좌는 고객이 직접 창구에 방문하여 실명인증을 거친 후에 개설할 수 있었으나, 최근 모바일 기술 및 다양한 인증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비대면 실명거래가 추진됨에 따라, 모바일 상에서 비대면으로 금융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 시점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8205호(2014년03월28일 공개)는 원격 계좌 개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원격 계좌 개설용 앱과 금융사 서버들 간에 각 금융사별 본인확인용 전자서류 및 원격 계좌 개설 신청용 전자서류를 중개하여 사용자가 금융사를 방문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해 원격에서 간편하게 계좌를 개설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3951호(2010년05월24일 공개)는 영상통화를 이용한 신규 거래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은행 콜센터에 영상 통화 단말을 구비하여, 고객과 콜센터 직원 간에 영상통화를 통해 대면 인증을 대체하는 화상 인증을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창구 방문 없이 금융상품 가입 내지 계좌 개설과 같은 신규 거래를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모두 신분증을 이용하는 단순한 인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보안이 특별히 요구되는 금융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보안성 있는 인증 방식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상에서 비대면으로 금융계좌 개설 등의 금융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인증방식을 도입하여, 마치 대면으로 금융계좌를 개설하는 것보다 보안성 및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의 스마트폰 및 진위확인 기관에 구비된 진위확인 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은, 고객의 금융정보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어 전송되는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진위확인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대한 진위 확인을 하여 상기 고객에 대한 1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단계와, 1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스마트폰과 상담사의 단말기 간 통화 연결이 확인되는 제3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과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얼굴 사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고객에 대한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4 단계와, 상기 2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스마트폰으로부터 금융정보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 인증 또는 2차 인증은, 신용카드 인증, 휴대폰 번호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ARS 인증, 고객 서명 인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가 인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은, 1차 인증 또는 2차 인증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고객의 신용도 정보, 거래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확인되는 단계와,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얼굴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과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얼굴 사진을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육안 확인 결과에 따라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인증 절차를 통해 모바일 이용한 비대면에서의 금융계좌 개설 등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고객이 직접 창구에 방문한 대면 거래에 비해 시간적, 공간적으로 이로울 뿐만 아니라 편리한 업무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고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금융정보 생성(예컨대, 금융계좌 개설 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을 처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은,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통신하고, 진위확인 기관에 구비된 진위확인 서버(175)와 통신하며, 고객의 금융정보 생성 요청에 따라 다양한 비대면 인증을 통해 상기 고객이 요청한 금융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와 통신하며,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객이 소지하는 스마트폰(165)과, 금융정보 생성을 요청한 고객을 인증하는 과정에서 통화 채널 연결이 되어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부터 고객의 얼굴 사진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상담사의 단말기(170)와,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촬영되어 전송되는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의 원본 정보와 비교하는 진위확인 기관에 구비되는 진위확인 서버(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객의 스마트폰(165)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금융기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거나, 또는 금융기관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고객은 스마트폰(165)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금융계좌 개설 등의 금융정보 생성을 상기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상담사의 단말기(170)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상기 고객이 금융정보 생성을 상기 서버(100)로 요청한 이후, 실명확인증표를 이용한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통화 채널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 채널은 상기 고객이 스마트폰(165)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담사의 단말기(170)와의 통화를 요청하거나, 상담사의 단말기(170)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65)으로 통화가 요청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담사는 단말기(17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얼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은 스마트폰(165)으로 제공된 템플릿을 통해 얼굴 사진을 촬영하여 상기 서버(100) 및/또는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를 통해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실명확인증표 상의 얼굴사진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165)에서 촬영된 얼굴사진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담사는 단말기(170)로 제공된 상기 실명확인증표 상의 얼굴사진 정보와 상기 스마트폰(165)에서 촬영된 얼굴사진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일치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상기 단말기(170)에 입력하여 상기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정부 등의 진위확인 기관에 구비되는 진위확인 서버(175)는 단말을 통해 입력된 실명확인증표(예컨대, 주민등록증)의 앞, 뒷면에 있는 번호·사진·지문 등의 특징과 전산 센터 데이터베이스(DB)의 원본을 실시간으로 조회해 진위 여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0)는 금융정보 생성 요청 확인부(105), 실명확인증표 수신부(110),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 통화연결 확인부(120), 얼굴사진 수신부(125), 비교 인증부(130), 상담사 인증결과 확인부(140), 금융정보 생성부(145), 고객정보 확인부(150), 추가인증 처리부(155) 등의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이 구현되는 과정에서 수신, 입력, 생성,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금융정보 생성 요청 확인부(105)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에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후, 고객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금융정보 생성을 요청하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실명확인증표 수신부(110)는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부터 금융정보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165)으로 실명확인증표를 인식하여 전송하라는 메시지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가 인식되어 전송되면, 상기 실명확인증표 수신부(110)는 상기 전송되는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상기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로 전달한다.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는 상기 실명확인증표 수신부(110)로부터 실명확인증표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전달된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진위확인 기관의 진위확인 서버(175)로 제공하여, 상기 실명확인증표에 대한 진위여부를 요청할 수 있다.
진위확인 서버(175)는 실명확인증표의 앞, 뒷면에 있는 번호·사진·지문의 특징에 대한 정보를 전산 센터 데이터베이스(DB)의 원본과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상기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로 제공할 수 있다.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는 상기 진위확인 서버(175)로부터 진위 여부 확인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실명화인증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통화연결 확인부(120)는 상기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를 통해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상담사의 단말기(170) 간 통화 채널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상담사의 단말기(170) 간 통화 채널 연결은, 고객으로부터 금융정보 생성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제공받음은 물론, 상기 실명확인증표를 이용한 고객 인증과는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채널 연결은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부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통화 채널 연결 요청이 전달되거나, 또는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통화 채널 연결 요청이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통화연결 확인부(120)를 통해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상담사의 단말기(170) 간 통화 채널이 연결되면, 얼굴사진 수신부(125)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인증을 위한 얼굴사진을 요청할 수 있다.
얼굴사진 수신부(125)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얼굴 사진 촬영을 위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촬영된 얼굴 사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 인증부(130)는 상기 얼굴사진 수신부(125)가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얼굴 사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인증부(130)는 각 얼굴 사진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 후, 추출한 특징점을 매칭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담사 인증결과 확인부(140)는 상기 비교 인증부(130)에 의한 얼굴 사진 일치 여부 판단 이외에,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얼굴 사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 정보를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제공하고, 상기 상담사로 하여금 육안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17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담사는 상기 단말기(170) 상에 출력된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얼굴 사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 정보를 비교 확인한 결과를 상기 단말기(170)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상담사 인증결과 확인부(140)는 상기 단말기(170)를 통해 입력된 상담사의 인증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고객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명확인증표를 통한 인증, 얼굴 사진의 특징점 비교를 통한 인증, 상담사의 육안에 의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금융정보 생성부(145)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제공되는 금융정보 생성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이 요청한 금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융정보 생성은, 금융계좌 개설, 금융상품 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정보 확인부(150)는 상기와 같이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를 통한 인증, 비교 인증부(130)를 통한 인증, 상담사 인증결과 확인부(140)를 통한 인증 외에, 필요에 따라 추가 인증이 요구되는 경우, 추가 인증이 요구되는 고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정보 확인부(150)는 고객의 신용정보(신용도, 신용등금), 거래 내역(신규, 연체, 잔고 등)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고객이 상기와 같이 인증 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 인증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 확인부(150)는 고객의 신용정보(신용도, 신용등금), 거래 내역(신규, 연체, 잔고 등)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 고객에게 여러 인증 절차 중, 일부 인증 절차를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객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를 통한 인증, 비교 인증부(130)를 통한 인증, 상담사 인증결과 확인부(140)를 통한 인증에 대한 절차 전후에 고객정보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고객정보 확인부(150)를 상기 고객이 상기 실명확인증표 인증부(115)를 통한 인증, 비교 인증부(130)를 통한 인증, 상담사 인증결과 확인부(140)를 통한 인증 외에 추가 인증에 대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추가 인증 절차를 금융정보 생성 과정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가 인증은, 신용카드 인증, 휴대폰 번호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ARS 인증, 고객 서명 인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 상에서, 고객의 금융정보 생성 요청에 따라 고객의 실명확인증표를 이용한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를 이용한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과정은, 고객의 스마트폰(165)에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여기서,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금융기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거나, 또는 금융기관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고객의 스마트폰(165)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금융계좌 개설 요청 등의 금융정보 생성 요청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도면1의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 상의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전송되는 금융정보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205).
그러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폰(165)으로 고객이 소지한 실명확인증표에 대한 촬영 인식을 요청하고(210), 상기 스마트폰(165)을 이용하여 실명확인증표를 촬영 인식되고 상기 스마트폰(165)에서 인식된 실명확인증표 정보가 상기 서버(100)로 전송된다(215).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진위확인 기관의 진위확인 서버(175)로 제공하여 진위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220).
상기 진위확인 서버(175)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실명확인증표 정보(실명확인증표의 앞, 뒷면에 있는 번호·사진·지문의 특징에 대한 정보)를 전산 센터 데이터베이스(DB)의 원본과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상기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진위확인 서버(175)로부터 상기 실명확인증표에 대한 진위확인 결과를 수신하여(225), 상기 수신된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실명화인증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신된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통해 인증이 성공하지 않는다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제공할 수 있다(245).
반면, 인증이 성공한다면, 상기 서버(100)는 고객의 신용정보(신용도, 신용등급)나, 거래 내역(신규, 연체, 잔고 등)을 확인하여, 상기 고객이 추가 인증이 더 필요한 고객인지 확인할 수 있다(230).
여기서 상기 추가 인증은, 신용카드 인증, 휴대폰 번호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ARS 인증, 고객 서명 인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객이 추가 인증이 더 필요한 고객이라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추가 인증이 더 필요함을 알리고, 추가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235).
추가 인증에 실패한다면, 상기 서버(100)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제공할 수 있다(245).
추가 인증에 성공한다면, 상기 서버(100)는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상담사의 단말기(170) 간 통화 채녈 연결을 대기한다(240).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이어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 상에서, 고객의 금융정보 생성 요청에 따라 다중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실명확인증표를 이용한 인증 후에, 고객의 얼굴 사진을 이용한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을 이용한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고객이 스마트폰(165)을 이용하여 금융정보 생성을 요청한 후, 고객의 실명확인증표를 이용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대한 것으로,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상담사의 단말기(170) 간 통화 채널이 연결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여기서, 상기 통화 채널 연결은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부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통화 채널 연결 요청이 전달되거나, 또는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통화 채널 연결 요청이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고객의 스마트폰(165)과 상담사의 단말기(170) 간 통화 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고객의 얼굴사진 촬영을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템플릿이 제공될 수 있다(305).
이후, 고객의 스마트폰(165)에서 촬영된 얼굴사진이 서버(100)로 전송되면(310), 상기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전송된 고객의 얼굴 사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15).
만약,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전송된 고객의 얼굴 사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 및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전송된 고객의 얼굴 사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전송된 고객의 얼굴 사진과,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을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전송하여 상담사에게 비교 요청을 할 수 있다(320).
상담사는 상기 단말기(170) 상에 출력된 상기 스마트폰(165)으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얼굴 사진 정보와, 상기 고객의 실명확인증표 정보로부터 획득한 얼굴 사진 정보를 비교 확인한 결과를 상기 단말기(170)를 통해 입력하여 상기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170)로부터 비교 결과가 수신되면(325), 상기 서버(100)는 비교 결과를 통해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데, 만약 상담사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 및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350).
반면, 상담사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고객의 신용정보(신용도, 신용등급)나, 거래 내역(신규, 연체, 잔고 등)을 확인하여, 상기 고객이 추가 인증이 더 필요한 고객인지 확인할 수 있다(330). 여기서 상기 추가 인증은, 신용카드 인증, 휴대폰 번호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ARS 인증, 고객 서명 인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객이 추가 인증이 더 필요한 고객이라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 추가 인증이 더 필요함을 알리고, 추가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335).
추가 인증에 실패한다면, 상기 서버(100)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 및 상담사의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350).
추가 인증에 성공한다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165)으로부터 금융정보 생성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340),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고객이 요청한 금융정보를 생성하게 된다(345).
100 : 서버 105 : 금융정보 생성 요청부
110 : 실명확인증표 수신부 115 : 실명확인증표 인증부
120 : 통화연결 확인부 125 : 얼굴사진 수신부
130 : 비교 인증부 140 : 상담사 인증결과 확인부
145 : 금융정보 생성부 150 : 고객정보 확인부
155 : 추가인증 처리부 160 : 저장매체
165 : 스마트폰 170 : 단말기
175 : 진위확인 서버(175)

Claims (5)

  1. 고객의 스마트폰 및 진위확인 기관에 구비된 진위확인 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금융정보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어 전송되는 실명확인증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진위확인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대한 진위 확인을 하여 상기 고객에 대한 1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단계;
    1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스마트폰과 상담사의 단말기 간 통화 연결이 확인되는 제3 단계;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과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얼굴 사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고객에 대한 2차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스마트폰으로부터 금융정보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 또는 2차 인증은,
    신용카드 인증, 휴대폰 번호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ARS 인증, 고객 서명 인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가 인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1차 인증 또는 2차 인증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고객의 신용도 정보, 거래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확인되는 단계;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얼굴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고객의 얼굴 사진과 상기 실명확인증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얼굴 사진을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상담사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육안 확인 결과에 따라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KR1020150154176A 2015-11-04 2015-11-04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KR20170052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76A KR20170052126A (ko) 2015-11-04 2015-11-04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176A KR20170052126A (ko) 2015-11-04 2015-11-04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89A Division KR20180040536A (ko) 2018-03-19 2018-03-19 비대면 다중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126A true KR20170052126A (ko) 2017-05-12

Family

ID=5874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176A KR20170052126A (ko) 2015-11-04 2015-11-04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12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89B1 (ko) * 2018-03-26 2019-08-08 한국카카오은행 주식회사 은행 업무 처리 에이전트, 은행 업무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좌 개설 방법
WO2019190132A1 (ko) * 2018-03-26 2019-10-03 한국카카오은행 주식회사 은행 업무 처리 방법 및 은행 업무 처리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00092259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브리지텍 비대면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1191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영상통화인증 수행 방법
KR20220018230A (ko)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경망을 이용한 영상통화 기반의 인증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89B1 (ko) * 2018-03-26 2019-08-08 한국카카오은행 주식회사 은행 업무 처리 에이전트, 은행 업무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좌 개설 방법
WO2019190132A1 (ko) * 2018-03-26 2019-10-03 한국카카오은행 주식회사 은행 업무 처리 방법 및 은행 업무 처리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20210027308A1 (en) * 2018-03-26 2021-01-28 Kakaobank Corp. Banking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pplication For Banking Processing Stored Therein
KR20200092259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브리지텍 비대면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1191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영상통화인증 수행 방법
KR20220018230A (ko)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경망을 이용한 영상통화 기반의 인증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5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ed biometric enrollment
EP3933737A1 (en) Server 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120110341A1 (en) Mobile Device Transaction Us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CN106600294B (zh) 用于金融领域快速识别企业身份的方法及系统
KR20170052126A (ko) 금융정보 생성을 위한 비대면 다중 인증 방법
CN105550928B (zh) 一种商业银行网络远程开户的系统及其方法
JP7250788B2 (ja) リレー攻撃を防ぐ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931050A (zh) 一种银行卡信息认证方法、客户端及银行系统
US10489565B2 (en) Compromise alert and reissuance
KR102594999B1 (ko) 보안성이 우수한 비대면 본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89060A1 (en) Biometric sensor on portable device
US11663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a person's identity
US11044250B2 (en) Biometric one touch system
KR101334744B1 (ko) 무인대출 처리방법
KR102180719B1 (ko) 비대면 계좌 개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
KR102154602B1 (ko) 온라인 대면확인 방법
KR101788265B1 (ko) 자필서명 인증 기술을 이용한 비대면 금융 서비스 시스템
KR20150115049A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금융자동화 기기의 보안 강화 방법 및 시스템
CN113170021A (zh) 用于至少一个用户与自动类型和人工类型的至少一个操作员之间的远程交互的方法和系统
KR20170052903A (ko) 원격 대면 인증과 비대면 인증의 융합 인증 방법
JP2018073206A (ja) サービス利用認証用声紋データ登録システム、サービス利用認証用声紋データ登録サーバー、サービス利用申込登録システム、サービス利用認証用声紋データ登録方法、サービス利用申込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18803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EP3217593A1 (en) Two-factor authentication method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a transaction point or system
US202000679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digital univocal identification
CN115035583A (zh) 非自然人实体操作者实人核身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