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080B1 - 시트 고정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시트 고정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080B1
KR101402080B1 KR1020120039770A KR20120039770A KR101402080B1 KR 101402080 B1 KR101402080 B1 KR 101402080B1 KR 1020120039770 A KR1020120039770 A KR 1020120039770A KR 20120039770 A KR20120039770 A KR 20120039770A KR 101402080 B1 KR101402080 B1 KR 10140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frame
cover she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507A (ko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노
Priority to EP13728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60410A4/en
Priority to PCT/KR2013/000612 priority patent/WO2013111991A1/ko
Priority to US13/823,910 priority patent/US9874025B2/en
Publication of KR20130086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E04F13/005Stretched foil- or web-like elements attached with edge gri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04B9/3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for flexible tensioned memb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2009/049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with fabrics tensioned o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은 설치대상물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설치대상면을 마감하기 위한 커버시트의 단부를 고정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에 밀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커버시트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고정후크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타단부에서 고정후크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며, 설치대상면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후크와 지지편 사이의 고정편을 관통하여 설치대상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편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커버시트가 고정되는 고정후크와 커버시트가 지지되는 지지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편에 고정력이 작용하여 고정력과 지지력이 고정편의 양측으로 분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 고정용 프레임 {SHEET FIXING FRAME}
본 발명은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이나 벽면과 같은 설치대상면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커버시트의 단부를 고정하여 설치대상면이 커버시트에 의해 마감되도록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버시트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 즉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열풍기로 가열하여 잡아 늘린 후, 건축물의 천장면 또는 벽면과 같은 설치대상면에 설치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내장재이다.
이러한 커버시트는 국내에는 아직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지만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방수성, 항습성 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어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버시트의 시공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축물의 천장면에 연접된 각 벽면 상단에 설계에 의해 정해진 길이로 재단된 고정프레임을 각각 설치한다.
다음, 천장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게 재단되고 각 가장자리에 하푼에지가 부착된 커버시트에 열풍기로 열을 가한 후, 시공용 주걱을 사용하여 어느 한 부분의 하푼에지를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킨 다음, 결합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을 향해 연화된 커버시트를 잡아늘리면서 대향되는 부분의 하푼에지를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결합이 이루어진 각 부분에서부터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으로 시공용 주걱을 이동하며 프레임과 하푼을 결합시킴으로써 상호 결합이 완료되면 시트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대상면을 마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스트레치 시트는 타공정과 관계없이 독립 시공할 수 있는 기능성과 거주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심미성을 갖추었기 때문에 병원, 스포츠 센터, 빌라 등 다양하게 시공될 수 있다.
커버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은 설치대상면의 테두리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시트의 단부에 마련되는 하푼에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고정프레임이 벽면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드릴과 같은 공구가 측면에 위치해야 하므로, 좁은 공간 내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을 요입공간과 같은 좁은영역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장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이 사용되었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커버시트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이 건축물의 천장면에 스크류(20) 등에 의해 설치되고 고정후크(12)와 지지편(13)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커버시트(20)의 하푼에지(21)가 결합된다.
이때, 종래에는 고정후크(12)와 지지편(13)의 사이의 공간에는 스크류(20)가 삽입될 만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이 스크류(20)에 의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편(11)의 일측에 연장편(14)을 형성하고, 이러한 연장편(14)에 스크류(20)를 관통시켜 설치대상면(A) 또는 각프레임(F)에 체결함으로써 고정프레임(10)이 설치대상면(A)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고정프레임(10)을 고정하기 위해 연장편(1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장편(14)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광원의 빛이 통과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므로, 광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0)을 고정하기 위해 연장편(14)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요입공간과 같이 설치 폭이 좁은 경우 커버시트(20)를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버시트(20)를 지지하는 지지편(13)과, 커버시트(20)의 하푼에지(21)를 고정하는 고정후크(12)가 설치대상면(A)에 고정되는 연장편(14)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력이 작용하는 연장편(14)을 중심으로 편심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지지편(13)에 가해지는 하중과 고정후크(12)에 가해지는 하중이 고정편(11)과 지지편(14)의 사이영역에 집중되면서 고정프레임(10)이 변형되어 품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5258호,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2008.3.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광확산 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하도록 함으로써, 측면부의 커버시트에서도 조명광을 제공하므로, 추가 광량의 확보와 함께, 하푼에지가 삽입된 부분이 어두운 라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종래의 면광원과 차별되는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체결부재가 고정프레임의 고정후크와 지지편의 사이에 마련된 고정편을 관통하여 설치대상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고정프레임의 설치를 위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좁은 요입공간에도 고정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커버시트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의 설치를 위한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광원으로부터 커버시트를 향하는 통로가 확장되어 종래에 비해 많은 광량을 확보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지지편과 고정후크의 사이에 위치한 고정편에 체결부재에 의한 지지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지지편에 가해지는 커버시트의 지지하중과, 고정후크에 가해지는 커버시트의 인장력이 고정편의 양측에 각각 분산 지지되도록 하여 일 영역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지지부재를 고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지지부의 양측 모서리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설치방향에 따라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시트의 테두리 모양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단부가 연결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푼에지가 삽입된 공간의 개구영역을 마감부재로 마감하여 하푼에지의 손잡이부분과, 하푼에지와 커버시트의 연결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대상물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설치대상면을 마감하기 위한 커버시트의 단부를 고정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에 밀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커버시트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고정후크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타단부에서 고정후크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며, 설치대상면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후크와 지지편 사이의 고정편을 관통하여 설치대상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편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커버시트가 고정되는 고정후크와 커버시트가 지지되는 지지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편에 고정력이 작용하여 고정력과 지지력이 고정편의 양측으로 분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후크와 지지편 사이의 내부공간은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고정편을 관통하여 설치대상면에 체결된 다음, 지지편에 결합하는 지지부재에 의해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시트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편과 고정후크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하푼에지가 형성되며, 상기 하푼에지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고정후크에 고정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두 개 이상 마련되며, 각 단부가 연결되어 설치대상면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단부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한 쌍의 고정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고정후크와 지지편의 사이의 내부공간에 고정편으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브릿지의 단부의 삽입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브릿지는 고정프레임의 코너 연결부분에 배치되며, 양측 고정프레임의 사이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중앙부분이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동일한 재질 및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인접 배치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지지편에 조립되어 고정프레임의 연결부분에서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대는 고정프레임의 코너 연결부분에 배치되며, 양측 고정프레임의 사이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중앙부분이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부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 모서리가 선택적으로 커버시트를 지지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지지편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편과 지지부재의 결합부의 결합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제1돌기와 제1요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 대상면에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시트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광확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편과 지지편을 관통하는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고정편과 고정후크와 지지편이 고정후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푼에지의 삽입측 개구영역을 마감하도록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에는 개구영역에 배치되는 마감편과, 마감편의 내측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후크에 상기 삽입편이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편과 삽입홈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2요홈과 제2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고정편과 고정후크와 지지편이 고정후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광확산 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하도록 함으로써, 측면부의 커버시트에서도 조명광을 제공하므로, 추가 광량의 확보와 함께, 하푼에지가 삽입된 부분이 어두운 라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종래의 면광원과 차별되는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또한, 체결부재가 고정프레임의 고정후크와 지지편의 사이에 마련된 고정편을 관통하여 설치대상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고정프레임의 설치를 위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좁은 요입공간에도 고정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커버시트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또한, 고정프레임의 설치를 위한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광원으로부터 커버시트를 향하는 통로가 확장되어 종래에 비해 많은 광량을 확보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또한, 지지편과 고정후크의 사이에 위치한 고정편에 체결부재에 의한 지지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지지편에 가해지는 커버시트의 지지하중과, 고정후크에 가해지는 커버시트의 인장력이 고정편의 양측에 각각 분산 지지되도록 하여 일 영역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또한, 지지부재를 고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지지부의 양측 모서리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설치방향에 따라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시트의 테두리 모양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단부가 연결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또한, 하푼에지가 삽입된 공간의 개구영역을 마감부재로 마감하여 하푼에지의 손잡이부분과, 하푼에지와 커버시트의 연결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커버시트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부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설치 과정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발췌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은, 광원(L)이 배치된 설치대상면(A)을 마감하는 커버시트(20)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설치대상면(A)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커버시트(20)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고정프레임(110)을 설치대상면(A)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결합하여 커버시트(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시트(20)는 광원(L)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투과하기 위해 투광성 및 연신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시트(20)의 각 테두리 단부에는 고정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푼에지(21)가 접착제 또는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설치대상면(A)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치대상면(A)의 개구측과 대향하는 전면부에 밀착되는 고정편(111)과, 상기 고정편(111)의 일단부에서 고정편(1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시트(20)가 결합되는 고정후크(112)와, 상기 고정편(111)의 타단부에서 상기 고정후크(112)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지지편(113)이 형성되어 대략 하부가 개방된 사각 단면을 이루면서 고정편(111)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고정후크(112)와 지지편(113)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114)에 의해 제1공간(a1)과 제2공간(a2)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113)에는 후술할 지지부재(130)의 제1돌기(132a)와 맞물리는 제1요홈(113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설치대상면(A)의 개구측과 대향하는 전면부는, 개구측을 통해 보여지는 설치대상면(A)의 전면부가 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설치대상면(A)으로부터 커버시트(20)의 마감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대상면(A)의 전면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각프레임(F)의 전면부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재(120)는 선단부가 고정편(111)을 관통하여 설치대상면(A)에 고정되고, 후단부에는 머리부(121)가 형성되는 것으로, 스크류와 같은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결합부(131)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커버시트(20)를 지지하는 지지부(133)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부(131)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지지편(113)이 삽입되는 결합홈(132)이 형성되어 결합부(131)와 지지편(113)의 결합시 결합부(131)의 선단부가 고정프레임(110)의 가이드(114)에 접촉하면서 지지부재(130)의 조립위치가 안내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33)의 하단부 일측 모서리에는 모서리부(133a)가 형성되고, 타측 모서리에는 곡면부(133b)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32)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편(113)의 제1요홈(113a)과 맞물리는 제1돌기(132a)가 형성되며, 고정프레임의 내부공간과 대향하는 결합부(13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공간(a1)과 제2공간(a2) 사이를 가로질러 하푼에지(21)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구획벽(13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30)는 고정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지지부(133)의 곡면부(133b)와 모서리부(133a)가 커버시트(20)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조명 모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에 모서리부(133a)가 형성되고 타측에 곡면부(133b)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러한 지지부(133)의 모서리 형태나 지지부(133)의 길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재(130)는 지지부재(130)에 지지되는 커버시트(20)의 측면부분을 향해 설치대상면(A)의 광원(L)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확산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광을 확산하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커버시트(2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상기와 같은 단면구조를 갖는 선형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져 설치대상면(A)의 테두리에 각각 설치되고, 설치대상면(A)의 테두리가 사각인 경우, 고정프레임(110)의 각 단부를 45도로 절단하고,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단부를 서로 맞닿도록 배치하는데,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단부는 연결브릿지(140)에 의해 연결상태가 유지되며, 지지부재(130)와 동일한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지지대(150)에 의해 모서리부분의 커버시트(20)가 지지된다.
상기 연결브릿지(140)는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중앙부분이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사이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제1공간(a1)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단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지지대(150)는 지지부재(130)와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단면으로 이루어져 결합홈(152)과 제1돌기(152a)가 형성된 결합부(151)와, 곡면부(153b)와 모서리부(153a)가 형성된 지지부(153)가 형성되며, 중앙부분은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사이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대(150)는 양단부의 결합부(151)를 서로 분리하는 절개홈(158)이 중앙의 절곡부위에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설치대상면(A)이 요입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요입공간의 측면에 고정프레임(110)을 설치하기 위한 각프레임(F)이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20)에 의해 고정프레임(110)이 각프레임(F)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10)의 지지편(113)에는 지지부재(130)가 조립된다. 이어서, 커버시트(20)의 단부에 마련된 하푼에지(21)를 지지부재(130)와 고정후크(112) 사이로 삽입하면, 하푼에지(21)의 선단부는 지지부재(130)에 밀착되고, 후단부는 고정후크(112)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시트(20)의 단부에 형성된 하푼에지(21)를 이용해 커버시트(20)가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로, 고정프레임(110)측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설치대상면(A)을 커버시트(20)로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치대상면(A)에 마련된 광원(L)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은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시트(20)를 투과하여 조명광으로 제공된다.
특히, 고정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커버시트(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가 광을 확산시키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함으로써, 지지부재(130)와 하푼에지(21) 사이의 측면부의 커버시트(20)를 통해서도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가 광량의 확보와 함께, 하푼에지(21)가 삽입된 부분(이하 '줄눈'이라고 함)이 어두운 라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종래의 면광원 조명과 차별되는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지지부재(130)는 고정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도면과 같이 지지부(133)의 하단부 일측 모서리에는 곡면부(133b)를 형성하고, 타측 모서리에는 모서리부(133a)를 형성한 다음, 결합부(131)의 조립방향에 따라 모서리부(133a)와 곡면부(133b)가 선택적으로 커버시트(20)를 지지하거나, 지지부재(130)의 지지부(133)의 길이나 커버시트(20)를 지지하는 하단부 모서리의 형태가 서로 다른 다수의 지지부재(130)를 선택적으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커버시트(20)의 지지형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113)과 지지부재(130)의 결합면에는 제1요홈(113a)과 제1돌기(132a)가 각각 형성되어 지지편(113)과 지지부재(130)의 결합과정에서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지지부재(130)가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체결부재(120)가 고정프레임(110)의 고정후크(112)와 지지편(113)의 사이에 마련된 고정편(111)을 관통하여 각프레임(F)에 체결되면서 고정프레임(110)을 설치대상면(A)에 고정하는 것이므로, 종래에 비하여 고정프레임(110)의 설치를 위한 면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10)의 폭에 대응하는 각프레임(F)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각프레임(F)이나 고정프레임(110)에 의해 광원(L)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가려지는 면적을 최소화하므로 설치대상면(A)의 커버시트(20)를 향하는 조명영역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편(113)과 고정후크(112)의 사이에 위치한 고정편(111)에서 고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지지편(113)에 가해지는 커버시트(20)의 지지하중과, 고정후크(112)에 가해지는 커버시트(20)의 인장하중이 고정편(111)의 양측으로 각각 분산 지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지지편(113)과 고정후크(112)에 작용하는 하중이 일 영역에 집중되어 고정프레임(1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편(111)의 고정력이 지지편(113)과 고정후크(112)의 사이에서 작용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고정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110)의 설치면적이 최소화되므로, 폭이 좁은 요입공간에도 커버시트(20)를 이용하여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110)의 고정후크(112)와 지지편(113)의 사이에 마련되는 내부공간을 확장 형성하여 내부공간의 개구부를 통해 체결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편(113)에 지지부재(1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130)의 구획벽(138)에 의해 제1공간(a1)과 제2공간(a2)의 경계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하푼에지(21)가 삽입되는 제2공간(a2)의 폭이 다시 축소되도록 하여 하푼에지(21)의 결합을 위한 최적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30)의 구획벽(138)이 제1공간(a1)과 제2공간(a2)의 경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하여 내부공간 내에서 하푼에지(21)의 삽입깊이를 제2공간(a2)으로 제한함으로써 하푼에지(21)의 삽입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대상면(A)이 요입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요입공간의 측면에 고정프레임(110)을 설치하기 위한 각프레임(F)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프레임(F)은 고정프레임(110)의 고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요입공간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 고정프레임(110)을 설치대상면(A)의 전면부에 직접 고정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같이 고정프레임(110)은 고정후크(112)와 지지편(113)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120)의 선단부가 고정편(111)을 관통하여 각프레임(F)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고정프레임(110)이 각프레임(F)의 전면부에 고정되고, 체결부재(120)의 후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21)는 고정편(111)과 가이드(114)의 사이에서 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제1공간(a1)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8과 같이 고정프레임(110)의 지지편(113)에 지지부재(130)의 결합부(131)에 위치한 결합홈(132)을 끼워 조립한다. 이때, 지지편(113)의 제1요홈(113a)에 결합홈(132) 내의 제1돌기(132a)가 맞물리면서 조립과 동시에 지지편(113)으로부터 지지부재(13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지부재(130)의 설치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133)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모서리부(133a)와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곡면부(133b)가 선택적으로 커버시트(20)를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9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의 고정후크(112)와 지지편(113)의 사이의 내부공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후크(112)와 지지부재(130) 사이의 제2공간(a2)으로 커버시트(20)의 단부에 고정된 하푼에지(21)를 삽입하면, 도 10과 같이 하푼에지(21)의 선단부는 지지부재(13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후단부는 고정후크(112)의 내측단에 고정되며, 고정된 상태에서는 하푼에지(21)의 후단부에 커버시트(20)의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하푼에지(21)가 고정후크(112)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하푼에지(21)가 삽입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의 내부공간이 지지부재(130)의 구획벽(138)에 의해 체결부재(120)의 머리부(121)가 배치되는 제1공간(a1)과 하푼에지(21)가 수용되는 제2공간(a2)으로 구획되면서 하푼에지(21)의 삽입깊이가 제한되므로 하푼에지(21)의 삽입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연결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각 단부는 45도로 절단되어 서로 맞닿아 코너 부분을 연결하게 되며, 연결브릿지(140)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단부(141)가 양측 고정프레임(110)의 고정편(111)과 가이드(114) 사이의 제1공간(a1)으로 각각 삽입되면서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브릿지(140)의 삽입단부(141)의 폭과 너비는 고정프레임(110)의 제1공간(a1)의 폭과 너비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연결브릿지(140)를 이용해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양측 고정프레임(110)의 연결부분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코너 연결부분에는 지지부재(130)와 동일한 재질 및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지지대(150)에 의해 모서리부분의 커버시트(20)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110)의 날카로운 코너 부분에 의해 커버시트(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연결지지대(150)는 지지부재(130)와 동일한 재질 및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분이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의 사이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연결지지대(150)의 결합부(151)에 형성된 결합홈(152)이 고정프레임(110)의 지지편(113)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연결지지대(150)의 바깥쪽 모서리부분에는 커버시트(2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결지지대(150)와 고정프레임(110)의 결합구조 및 작용은 상술한 지지부재(130)와 고정프레임(110)의 결합구조 및 작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치대상면의 모서리 부분은 시공 현장의 환경상 정확하게 수직을 이루도록 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설치대상면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사이각 역시 정확하게 수직을 유지하기 어렵다. 그런데, 상기 연결지지대(150)의 양측 결합부(151)의 사이, 즉 중앙부분의 절곡지점에는 양단부의 결합부(151)를 서로 분리하는 절개홈(158)이 형성되어, 양단부의 결합부(151)가 연결지지대(150)의 재질이 허용하는 탄성영역 내에서 변형가능하므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사이각이 정확하게 수직을 이루지 않더라도 고정프레임의 연결부위에 연결지지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프레임(110)의 단부가 45도로 절단되고, 연결브릿지(140)와 연결지지대(150)의 중간부분이 각각 90도로 절곡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각도는 고정프레임(110)이 구성하는 틀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중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1과 같이 설치대상면(A)의 너비가 넓어 한장의 커버시트(20)를 이용하여 마감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정프레임(110a)의 양측에 하푼에지(21)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제2공간(a2)이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고정프레임(110a)의 고정후크(112)와 지지편(113)이 고정후크(112)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형성하면서 하나의 고정프레임(110)에 두 개의 제2공간(a2)을 구성하여 커버시트(20)와 커버시트(20)의 연결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고정프레임(110a)에 두 개의 제2공간(a2)을 형성하여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커버시트(20)의 하푼에지(21)가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 커버시트(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줄눈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b)은 고정프레임(110b)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편(111)과 지지편(113)을 관통하는 슬릿(115)이 다수 형성된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슬릿(115)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10b)에 슬릿(115)이 다수 형성되는 경우, 도 13과 같이 고정프레임(110b)이 지지편(113) 쪽으로 구부러지는 경우에는 슬릿(115)의 폭이 좁아지고, 고정후크(112) 쪽으로 구부러지는 경우에는 슬릿(115)의 폭이 확장되면서, 고정프레임(110b)이 고정후크(112)의 판면을 따라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대상면(A)에 고정프레임(110b)을 곡선으로 설치한 다음, 여기에 커버시트(2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10b)의 지지편(113)에 조립되는 지지부재(130)는 소정의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곡선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b)의 지지편(113)에 대응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커버시트(20)는 이러한 지지부재(130)에 의해 지지되므로 매끄러운 곡선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도면 중 도 15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따른 시트 고정용 프레임은, 도 15와 같이 하푼에지(21)가 삽입된 제2공간(a2)의 개구영역에 배치되는 마감편(161)과, 마감편(161)의 내측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편(162)이 형성된 마감부재(160)를 추가로 구비하고, 고정프레임(110c)의 고정후크(112)에 상기 삽입편(162)이 결합되는 삽입홈(116)을 형성하고, 삽입편(162)과 삽입홈(116)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2요홈(116a)과 제2돌기(162a)가 각각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프레임(110c)과 마감부재(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10c)의 삽입홈(116)에 마감부재(160)의 삽입편(162)이 삽입되면서 마감부재(160)와 고정프레임(110c)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마감부재(160)의 마감편(161)이 하푼에지(21)가 수용된 개구영역을 마감하면, 하푼에지(21)나, 하푼에지(21)와 커버시트(20)의 연결부분이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제품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60)의 삽입편(162)과 고정프레임(110c)의 삽입홈(116)이 결합하여 조립되는 것과 동시에 삽입편(162)의 제2돌기(162a)가 삽입홈(116)의 제2요홈(116a)과 맞물리게 되므로, 결합상태에서 마감부재(16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감부재(160)의 삽입편(162)이 고정프레임(110c)의 삽입홈(116)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푼에지(21)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의해 고정후크(112)가 삽입편(162)을 향해 가압하므로, 마감부재(160)가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16과 같이 고정프레임(110d)의 양측에 하푼에지(21)가 삽입되는 제2공간(a2)이 형성된 경우에도, 고정후크(112)에 삽입홈(116)을 형성하고 마감부재(160)의 삽입편(162)이 삽입홈(116)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마감부재(160)의 마감편(161)이 하푼에지(21)가 수용된 개구영역을 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커버시트(20)가 광원(L)이 설치된 설치대상면(A)을 마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정프레임(110)을 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설치대상면(A)의 테두리에 설치하고, 여기에 거울면이나 인쇄면이 형성된 불투명 커버시트(2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A:설치대상면, L:광원, 20:커버시트, 21:하푼에지, 110:고정프레임,
111:고정편, 112:고정후크, 113:지지편, 113a:제1요홈, 114:가이드,
115:슬릿, 116:삽입홈, 116a:제2요홈, 120:체결부재, 121:머리부,
130:지지부재, 131:결합부, 132:결합홈, 132a:제1돌기, 133:지지부,
133a:모서리부, 133b:곡면부, 138:구획벽, 140:연결브릿지,
141:삽입단부, 150:연결지지대, 151:결합부, 152:결합홈, 153:지지부,
158:절개홈, 160:마감부재, 161:마감편, 162:삽입편, 162a:제2돌기,
a1:제1공간, a2:제2공간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설치대상물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설치대상면을 마감하기 위한 커버시트(20)의 단부를 고정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에 있어서,
    설치대상면에 밀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커버시트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고정후크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타단부에서 고정후크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고정후크와 지지편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면서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설치대상면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선단부가 상기 고정후크와 지지편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편을 관통하여 설치대상면에 체결되고, 후단의 머리부는 제1공간에 배치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편에 삽입되는 결합부와, 고정후크와 대향하는 결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사이영역을 가로지르는 구획벽과, 결합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어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커버시트가 고정되는 고정후크와 커버시트가 지지되는 지지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편이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어 커버시트의 장력에 의해 고정후크에 인가되는 힘과 지지편에 인가되는 힘이 고정편의 양측으로 분산 지지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공간의 폭과 깊이는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되고, 커버시트 단부에 마련되는 하푼에지가 삽입되는 제2공간은 지지부재의 구획벽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연결부분이 차단되어 하푼에지에 대응하는 깊이로 축소되는 것과 동시에, 지지부재의 결합부에 의해 하푼에지에 대응하는 폭으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편과 지지부재의 결합부의 결합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제1돌기와 제1요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두 개 이상 마련되며, 각 단부가 연결되어 설치대상면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7. 제 6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제1공간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한 쌍의 고정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는 고정프레임의 코너 연결부분에 배치되며, 양측 고정프레임의 사이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중앙부분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동일한 재질 및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인접 배치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의 지지편에 조립되어 고정프레임의 연결부분에서 커버시트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대는 고정프레임의 코너 연결부분에 배치되며, 중앙이 양측 고정프레임의 사이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대는 양단부의 지지부재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서로 분리하는 절개홈이 중앙의 절곡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3. 제 4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대상면에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시트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광확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5. 제 4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편과 지지편을 관통하는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6. 제 4항 내지 제 7항과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푼에지의 삽입측 개구영역을 마감하도록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에는 개구영역에 배치되는 마감편과, 마감편의 내측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후크에 상기 삽입편이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과 삽입홈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2요홈과 제2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용 프레임.
KR1020120039770A 2012-01-25 2012-04-17 시트 고정용 프레임 KR10140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728667.0A EP2660410A4 (en) 2012-01-25 2013-01-25 SHEET FIXING FRAME
PCT/KR2013/000612 WO2013111991A1 (ko) 2012-01-25 2013-01-25 시트 고정용 프레임
US13/823,910 US9874025B2 (en) 2012-01-25 2013-01-25 Sheet fixing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147 2012-01-25
KR20120007147 2012-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507A KR20130086507A (ko) 2013-08-02
KR101402080B1 true KR101402080B1 (ko) 2014-06-02

Family

ID=4921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770A KR101402080B1 (ko) 2012-01-25 2012-04-17 시트 고정용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74025B2 (ko)
EP (1) EP2660410A4 (ko)
KR (1) KR101402080B1 (ko)
WO (1) WO2013111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7740B1 (ja) * 2015-07-30 2016-08-10 株式会社リディアワークス シートの展張装置
FR3062864A1 (fr) 2017-02-13 2018-08-17 Cme Dwc Procede de montage d'un revetement souple tendu sur un cadre de fixation et cadre de fix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USD873443S1 (en) * 2017-08-11 2020-01-21 Craig Lanuza Expander for fastening track for fabric wall coverings
KR102211815B1 (ko) * 2018-04-09 2021-02-04 정회욱 실내 벽체에 대한 마감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실내 벽체 마감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6954A2 (fr) * 1983-09-30 1985-04-10 AARKA Société à responsabilité limitée dite: Procédé pour l'utilisation de feuilles de stratifié pour la constitution de parois internes d'habitations, de décors, d'éléments d'ameublement et similaires
JP3054815U (ja) * 1998-06-10 1998-12-18 株式会社エクセル東海 出隅部材
KR200393007Y1 (ko) * 2005-05-30 2005-08-17 고충훈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
KR200450381Y1 (ko) * 2008-07-09 2010-09-29 박혜일 시트 스트레치 커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880A (en) * 1978-06-16 1980-02-26 Gene Ballin Combination mounting frame and film for a window
US4593452A (en) * 1985-02-26 1986-06-10 Amp Incorporated Robotic harness maker
US4640064A (en) * 1985-03-18 1987-02-03 Donn Incorporated Suspension ceiling system combining snap-up pans and lay-in panels
US4920714A (en) * 1986-03-20 1990-05-01 Sease R Gregg Assembly of molding strips adapted to mount flexible coverings on support surfaces
US4907637A (en) * 1986-10-10 1990-03-13 Decoustics Limited Fabric mounting system
FR2630476B1 (fr) * 1988-04-22 1990-08-24 Scherrer Fernand Faux-plafond constitue par une nappe tendue accrochee, le long de ses bords, a un support fixe aux murs d'une piece d'un batiment
DE19751167C1 (de) * 1997-11-19 1999-06-24 Bosch Gmbh Robert Profilstab
KR100442172B1 (ko) * 2001-09-17 2004-07-30 고충훈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
FR2843141B1 (fr) * 2002-07-30 2006-02-10 Mphi Dispositif de fixation de tentures ou toiles de revetement de plafonds ou muraux, en particulier pour plafonds tendus
US20040244318A1 (en) * 2003-06-06 2004-12-09 Furr Mark A. Overhead display system
US7225852B2 (en) * 2003-12-18 2007-06-05 Haworth, Inc. Covered pad for wall panel and manufacturing process
US7096633B1 (en) * 2004-03-31 2006-08-29 John Bowen Method of hanging a false cloth ceiling
KR100815258B1 (ko) 2006-08-29 2008-03-19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US20090103314A1 (en) * 2007-10-18 2009-04-23 Illuminet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corative fluorexcent light fixtures
JP5104193B2 (ja) * 2007-10-18 2012-12-19 日東紡績株式会社 照明器具及び照明装置
FR2926100B1 (fr) * 2008-01-09 2010-03-19 Normalu Systeme de fixation de parois ou plafonds tendus au moyen de lisse de taille reduite
KR101187685B1 (ko) * 2010-01-18 2012-10-04 (주)씰링테크 구조물 내장용 마감 시스템
KR200455015Y1 (ko) * 2010-05-19 2011-08-10 (주)씰링테크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6954A2 (fr) * 1983-09-30 1985-04-10 AARKA Société à responsabilité limitée dite: Procédé pour l'utilisation de feuilles de stratifié pour la constitution de parois internes d'habitations, de décors, d'éléments d'ameublement et similaires
JP3054815U (ja) * 1998-06-10 1998-12-18 株式会社エクセル東海 出隅部材
KR200393007Y1 (ko) * 2005-05-30 2005-08-17 고충훈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
KR200450381Y1 (ko) * 2008-07-09 2010-09-29 박혜일 시트 스트레치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4025B2 (en) 2018-01-23
US20170198480A1 (en) 2017-07-13
EP2660410A1 (en) 2013-11-06
EP2660410A4 (en) 2016-01-27
KR20130086507A (ko) 2013-08-02
WO2013111991A1 (ko)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080B1 (ko) 시트 고정용 프레임
CN112204204A (zh) 适于安装在房间的顶部或墙壁处的建筑面板及这种建筑面板的制造方法
JP2021518497A (ja) ファブリック設置システム、及びファブリックを設置して延ばす方法
KR100932957B1 (ko)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KR101187685B1 (ko) 구조물 내장용 마감 시스템
JP2008005799A (ja) ビニルハウス用扉
JP4861077B2 (ja) ビニルハウス
JP5994138B2 (ja) 防煙垂れ壁用枠材および防煙垂れ壁
KR101883399B1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KR20130021316A (ko)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천장 마감방법
JP6448989B2 (ja) 防煙垂れ幕
JP2526486Y2 (ja) パーティションのパネル構造
JP5967740B1 (ja) シートの展張装置
JP4778366B2 (ja) 合成樹脂製の通風ルーバー
JP7496108B2 (ja) シート保持部材及びシート保持装置
JP6574877B1 (ja) シート固定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パネル
KR101490464B1 (ko) 조립식 액자
JP2005082977A (ja) 光膜天井取付構造
JP2024069725A (ja) シート保持部材
KR200373398Y1 (ko) 블라인드용 브래킷의 설치구조
KR20230119780A (ko) 조립식 파티션
JP5699071B2 (ja) 天井シート材の取付構造
JP5589048B2 (ja) フレーム金具、フレーム、及び防煙垂壁
KR200430921Y1 (ko) 직물 커튼지 연결구조
JP4372664B2 (ja) 空気調和機の吊下げ据付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