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957B1 -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957B1
KR100932957B1 KR1020090059770A KR20090059770A KR100932957B1 KR 100932957 B1 KR100932957 B1 KR 100932957B1 KR 1020090059770 A KR1020090059770 A KR 1020090059770A KR 20090059770 A KR20090059770 A KR 20090059770A KR 100932957 B1 KR100932957 B1 KR 10093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eiling
frame
harpoon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04B9/3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for flexible tensioned memb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걸림부와 지지부가 형성되어 천장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천장면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후크부가 형성된 하푼; 및,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에 상기 비연신성 시트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푼의 몸체부에 고정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Sheet establish construction for ceiling closing}
본 발명은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연신성의 시트를 이용해 천장을 마감함에 있어서 비연신성 시트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천장을 마감하는 것이 가능한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치 시트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 즉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sheet)를 열풍기로써 가열하여 잡아 늘린 후, 건축물의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내장재이다.
이러한 스트레치 시트는 아직 국내에는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지만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방수성, 항습성 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어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는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스트레치 시트에 관련한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시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스트레치 시트로써 천장을 이루는 시공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우선, 건축물의 천장면에 연접된 각 벽면 상단에 설계에 의해 정해진 길이로 재단된 프레임을 각각 설치한다.[도 1의 (a)참조]
다음, 천장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게 재단되고 각 가장자리에 하푼(harpoon)이 부착된 시트에 열풍기로써 열을 가한 후, 시공용 주걱을 사용하여 시트 어느 한 코너의 하푼을 프레임에 결합시킨 다음, 결합된 코너와 대향되는 코너를 향하여 연화된 시크를 잡아 늘리면서 대향되는 코너의 하푼과 프레임을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시킨다.[도 1의 (b) 참조]
그 다음, 결합이 이루어진 각 코너에서부터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좌측으로 시공용 주걱을 이동하며 프레임과 하푼을 결합시킴으로써 상호 결합이 완료되면 시트가 팽팽하게 펼쳐지면서 천장을 이루게 된다.[도 1의(c)참조]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스트레치 시트는 타공정과 관계없이 독립 시공할 수 있는 기능성과 거주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수 있는 심미성을 갖추었기 때문에 병원, 스포츠 센터, 빌라 등 다양하게 시공될 수 있다.
첨부도면중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내벽면에 스크류 등에 의해 설치되고 일측에 끼움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끼움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시트가 부착된 하푼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는 팽팽하게 펼처진 시트가 프레임의 끝단과 접촉하여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가 씌워진다.
그러나 천장에서의 누수나 조명수단의 교체등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에서와 같이 프레임으로 삽착된 하푼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프레임의 끼움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하푼이 외측에서 분리작업이 곤란한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월하게 분리되지 않아 작업에 불편함이 따르게 되며, 일반인이 보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상기와 같은 연신성의 스트레치 시트 대신 비연신성의 미러시트를 적용하여 거울면에 의한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미러시트의 경우 평평하고 매끄러운 거울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반면, 연신이 되지 않는 비연신성 시트이므로 설치대상물에 설치된 프레임의 간격에 대하여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도록 절단한 뒤, 각 단부에 하푼을 고정시킨 뒤 프레임에 조립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프레임의 설치간격에 오차가 발생되거나 미러시트의 절단에 오차가 발생되어 미러시트의 길이가 남는 경우 미러시트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아 거울면에 반사되는 이미지가 뒤틀려지게 되고, 미러시트의 길이가 모자라게 되는 경우에는 비연신성인 미러시트의 단부에 고정된 하푼이 프레임에 제대로 조립되지 않게 되므로 맞춤절단된 고가의 미러시트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연신성의 시트를 이용해 천장을 마감함에 있어서 비연신성 시트가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말끔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비연신성 시트의 절단에 있어서 신축부재의 신축범위 내에서 절단길이에 오차가 발생되어도 정상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푼의 구속력이 해제되면 신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푼이 프레임으로부터 자동으로 이탈하는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걸림부와 지지부가 형성되어 천장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천장면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후크부가 형성된 하푼; 및,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에 상기 비연신성 시트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푼의 몸체부에 고정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재는 하푼의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상기 프레임은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 다수 형성되는 돌출턱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턱부는 수용공간의 삽입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끝단부의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시트와 접촉하는 모서리부분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면에 다수 형성되는 돌출턱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부는 끝단부가 서로 인접배치되도록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끝단부의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시트와 접촉하는 모서리부분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연신성의 시트를 이용해 천장을 마감함에 있어서 비연신성 시트가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말끔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비연신성 시트의 절단에 있어서 신축부재의 신축범위 내에서 절단길이에 오차가 발생되어도 정상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하푼의 구속력이 해제되면 신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푼이 프레임으로부터 자동으로 이탈하는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스트레치 시트로써 천장을 이루는 시공법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프레임, 111:베이스, 112:걸림부, 112a:돌출턱부, 113:지지부,
113a:곡면부, 113b:리브, 120:비연신성 시트, 130:하푼, 131:몸체부,
132:후크부, 133:가압돌기, 140:신축부재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는 설치대상물에 고정설치되는 두개 이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비연신성 시트(120)와, 상기 프레임에 삽착되는 하푼(130) 및,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푼(130)과 비연신성 시트(120)의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伸縮)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는 신축부재에(140) 의해 천장의 적어도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110)의 사이에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연신되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12)와, 상기 걸림부(112)의 하단부내측으로 형성되는 돌출턱부(112a)와, 상기 걸림부(112)로부터 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112)와의 사이에 수용공간(a)을 마련하며 하단부가 상기 걸림부(112)보다 길게 연장되는 지지부(113)와, 상기 지지부(113)의 하단부에서 수용공간(a)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곡면부(113a)와, 상기 곡면부(113a)의 대향측을 향해 돌출되는 리브(113b)로 구성된다.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는 상기 천장의 적어도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시트, 거울면, 비연신성 투명 보호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평평하고 매끄러운 거울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비연신성의 미러시트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든다. 여기서, 상기 거울면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동(Cu), 황동(Cu-Zn), 티타늄(Ti), 크롬(Cr), 니켈(Ni),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 재료가 단독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합금의 형태로 이루어져 투명 보호필름에 증착 또는 도금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울면이 형성된 미러시트가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비연신성 시트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푼(130)은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상단에서 절곡형성되어 몸체부(131)와 소정각도를 이루는 후크부(132)와, 상기 후크부(132)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삽착시 걸림(112)부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압돌기(133)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부재(140)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하푼(130)의 몸체부(1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신축부재(140)는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 및 하푼(130)의 몸체부(131)와 접착제, 열압착 또는 고주파합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푼(130)의 몸체부(131)와는 하푼(130)을 구성하는 재료와 신축부재(140)를 구성하는 재료를 하나의 압출성형틀에 주입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천장 또는 벽면 등 설치대상물의 적어도 양측에 프레임(110)의 베이스(111)가 밀착되도록 고정설치하고, 비연신성 시트(120)의 단부에 신축부재(140)를 통해 고정되는 하푼(130)을 상기 프레임(110)의 걸림부(112)와 지지부(113)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a) 입구측에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의 양단부는 양측에 설치된 프레임(110)의 지지부(113) 하단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의 단부에 고주파 합착 등에 의해 고정된 신축부재(140)는 연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L1'의 길이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용 주걱 등의 공구(미도시)를 이용해 상기 하푼(13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프레임(110)의 걸림부(112)와 지지부(113)의 사이에 마련된 수용공간(a)으로 삽입시키면 삽입중 상기 걸림부(112)의 돌출턱부(112a)와 지지부(113)의 사이공간을 통과하면서 하푼(130)의 후크부(132)가 탄력적으로 접힌상태를 유지하다가 수용공간(a)으로 삽입된 이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펼쳐지면서 하푼(130)의 후크부(132)가 걸림부(112)의 돌출턱부(112a)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하푼(130)의 몸체부(131)는 지지부(113)의 상단부 내측에 밀착되므로 하측방향에서 하푼(130)을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프레임(110)의 수용공간(a)내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푼(130)의 임의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13)의 말단에서 삽착공간(a)측에 형성된 곡면부(113a)에 비연신성 시트(120)가 접촉되고, 곡면부(113a)의 대향측으로 연장형성된 리브(113b)에 의해 비연신성 시트(120)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므로 비연신성 시트(120)가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프레임(110)에 하푼(130)이 삽착되는 과정에서 하푼(130)의 몸체부(131)와 비연신성 시트(120)의 단부를 연결하는 신축부재(140)가 원래 상태인 'L1'의 길이로부터 연신된 상태인 'L2'의 길이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110)에 구속된 하푼(130)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신축부재(140)는 타단측의 비연신성 시트(120)를 잡아당기면서 인장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가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양측 프레임(110)사이에 설치되어 천장을 마감하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연신성의 시트(120)를 이용해 천장을 마감함에 있어서 비연신성 시트(120)가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말끔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비연신성 시트(120)의 재단(마름질)에 있어서 신축부재(140)의 신축범위 내에서 오차가 발생되어도 정상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비연신성 시트(120)의 재단 오차에 의해 고가의 재료를 낭비하거나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10)에 하푼(130)이 조립설치된 상태로부터 비연신성 시트(120)의 마감 내부에 위치한 조명수단의 교체 또는 비연신성 시트(120)의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를 시공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작업자가 시공용 주걱등의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하푼(130)의 후크부(132) 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프레임(110)의 걸림부(112) 하측으로 노출된 가압돌기(133)를 하푼(130)의 몸체부(131)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후크부(132)가 걸림부(112)의 돌출턱부(112a)로부터 이탈하게 되면서 구속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하푼(130)의 몸체부(131)와 비연신성 시트(120)의 사이를 연결하며 'L2'의 길이로 연신되어 있던 신축부재(140)가 원래상태인 'L1'의 길이로 수축하게 되면서 하푼(130)이 프레임(110)의 수용공간(a)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하푼(130)의 구속력이 해제되면 하푼(130)이 신축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110)으로부터 자동으로 이탈하게 되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는 프레임(110), 비연신성 시트(120), 하푼(130) 및 신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레임(110)에 다수의 돌출턱부(112a)가 형성되어 하푼(130)의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며, 이러한 프레임(11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프레임(110)은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12)와, 상기 걸림부(112)의 내측면에 다수 형성되는 돌출턱부(112a)와, 상기 걸림부(112)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112)와의 사이에 수용공간(a)을 형성하는 지지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돌출턱부(112a)는 수용공간(a)의 삽입측에 경사면(112b)이 형성되어 하푼(130)의 삽입이 안내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13)는 끝단부의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시트와 접촉하는 모서리부분에는 곡면부(113c)가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제2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대상물의 적어도 양측에 프레임(110)의 베이스(111)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비연신성 시트(120)의 단부에 고정된 하푼(130)을 상기 프레임(110)의 걸림부(112)와 지지부(113)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a)으로 삽입하면, 하푼(130)의 후크부(132)가 걸림부(112)의 돌출턱부(112a)를 통과하면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돌출턱부(112a)를 통과한 뒤 탄성복원되면서 돌출턱부(112a)의 상단부측에 걸려 삽입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비연신성 시트(120)의 적어도 양측을 설치대상물의 프레임(110)에 각각 고정하는 것에 의해 비연신성 시트(120)가 설치대상물에 설치되는데, 상기 프레임(110)의 돌출턱부(112a)가 걸림부(112)의 내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의 재단길이가 기준길이보다 짧거나 긴 경우에도 비연신성 시트(120)를 팽팽한 상태로 프레임(110)측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연신성 시트(120)의 길이에 맞게 후크(132)가 걸림부(112)의 돌출턱부(112a)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푼(130)을 추가로 밀어올리면 상기 하푼(130)이 프레임(110)의 수용공간(a)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인접한 다른 돌출턱부(112a)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하푼(130)과 비연신성 시트(120)의 사이에 마련된 신축부재(140)가 늘어나면서 비연신성 시트(120)의 단부에 탄성력을 부가함으로써 비연신성 시트(120)가 탄력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연신성 시트(120)를 시공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하푼(130)의 가압돌기(133)를 하푼(130)의 몸체부(131)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하푼의 후크부(132)가 걸림부(112)의 돌출턱부(112a)로부터 이탈하면서 구속이 해제된다.
또한, 비연신성 시트(120)가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113)의 끝단부 일측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부(113)의 끝단부 모서리에 곡면부(113a)가 형성되어 양측 프레임(110)이 수평하게 설치되지 않더라도 비연신성 시트(120)가 양측 프레임(110) 사이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지지부(113)에 의해 비연신성 시트(120)가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첨부도면 중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실시예의 프레임(110')은 설치대상물의 간격이 넓은 경우와 같이 중간부분에 비연신성 시트(120)를 고정하는 프레임(110')을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프레임(110')의 양측에 비연신성 시트(120)를 각각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프레임(110)이 양측으로 맞대어 배치된 형태와 같은 것으로서,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12)와, 상기 걸림부(112)의 양측면에 다수 형성되는 돌출턱부(112a)와, 상기 걸림부(112)와의 사이에 수용공간(a)이 형성되도록 상기 걸림부(112)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지지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3)는 하단부가 서로 인접배치되도록 경사방향으로 절곡되며, 끝단부 모서리에는 비연신성 시트(120)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곡면부(113a)가 형성된다.
첨부도면 중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변형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대상물의 간격이 넓은 경우와 같이 양측 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 비연신성 시트(120)를 고정하는 고정하기 위해 추가로 프레임(110')을 설치하고, 프레임(110')의 양측에서 각각 비연신성 시트(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걸림부(112)의 양측에 각각 이격배치되는 지지부(113)에 의해 걸림부(112)의 양측으로 하푼(130)이 삽입되는 수용공간(a)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110')의 양측으로부터 비연신성 시트(120)의 하푼이 각각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서 하푼(130)의 후크부(132)가 걸림부(1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턱부(112a)에 걸려 삽입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푼(130)이 돌출턱부(112a)에 걸려 비연신성 시트(120)가 프레임(110')측에 설치되면, 비연신성 시트(120)의 단부가 양측 프레임(110',110)의 지지부(113)에 각각 지지되면서 펼쳐진 상태로 설치대상면을 마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3)의 끝단부가 곡면부(113a)로 이루어져 비연신성 시트(120)가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걸림부(112)의 양측 지지부(113)의 하단부가 서로 인접배치되도록 경사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양측으로부터 고정되는 비연신성 시트(120)간의 사이간격이 좁게 이루어지므로 양측 비연신성 시트(120)간의 연결부위가 은폐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하푼(130)이 프레임(110')의 수용공간(a)으로 삽입되어 걸림턱부(112a)에 걸리는 작용과 신축부재(140)의 연신에 의한 작용효과 및 하푼(130)의 구속해제를 위한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8)

  1.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걸림부와 지지부가 형성되어 천장에 설치되는 프레임;
    천장면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절곡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후크부가 형성된 하푼; 및,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에 상기 비연신성 시트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푼의 몸체부에 고정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하푼의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 다수 형성되는 돌출턱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부는 수용공간의 삽입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끝단부의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시트와 접촉하는 모서리부분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면에 다수 형성되는 돌출턱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부는 끝단부가 서로 인접배치되도록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끝단부의 적어도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시트와 접촉하는 모서리부분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KR1020090059770A 2008-12-15 2009-07-01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KR100932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42 2008-12-15
KR20080126942 2008-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957B1 true KR100932957B1 (ko) 2009-12-21

Family

ID=4168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770A KR100932957B1 (ko) 2008-12-15 2009-07-01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2957B1 (ko)
WO (1) WO201007127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32B1 (ko) 2010-01-18 2012-07-12 (주)씰링테크 스트레치 시트 고정프레임
KR101371645B1 (ko) 2012-06-19 2014-03-10 김태희 건축물용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 구조물
KR20170047389A (ko) * 2014-09-03 2017-05-04 노말루 3차원 구조물을 위한 발광 튜브형 월 플레이트 및 이러한 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물
CN108505667A (zh) * 2017-02-27 2018-09-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直型吊顶模块
EP3543417A1 (en) 2018-03-23 2019-09-25 Kvadrat Soft Cells A/S Fabric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nd tensioning fabr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6100B1 (fr) * 2008-01-09 2010-03-19 Normalu Systeme de fixation de parois ou plafonds tendus au moyen de lisse de taille redui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1924B2 (ja) * 1989-09-06 1998-04-2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内外装構造
KR20080019794A (ko) * 2006-08-29 2008-03-05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442A (ja) * 1999-07-09 2001-01-23 Ibiden Co Ltd 内装施工構造
KR100621643B1 (ko) * 2006-01-23 2006-09-07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건축물 내부 천장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1924B2 (ja) * 1989-09-06 1998-04-2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内外装構造
KR20080019794A (ko) * 2006-08-29 2008-03-05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32B1 (ko) 2010-01-18 2012-07-12 (주)씰링테크 스트레치 시트 고정프레임
KR101371645B1 (ko) 2012-06-19 2014-03-10 김태희 건축물용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 구조물
KR20170047389A (ko) * 2014-09-03 2017-05-04 노말루 3차원 구조물을 위한 발광 튜브형 월 플레이트 및 이러한 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물
KR102494932B1 (ko) 2014-09-03 2023-02-02 노말루 3차원 구조물을 위한 발광 튜브형 월 플레이트 및 이러한 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물
CN108505667A (zh) * 2017-02-27 2018-09-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直型吊顶模块
CN108505667B (zh) * 2017-02-27 2020-03-31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直型吊顶模块
EP3543417A1 (en) 2018-03-23 2019-09-25 Kvadrat Soft Cells A/S Fabric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nd tensioning fabric
WO2019180233A1 (en) 2018-03-23 2019-09-26 Kvadrat Soft Cells A/S Fabric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nd extending fabric
KR20200135818A (ko) * 2018-03-23 2020-12-03 크바드라트 소프트 셀스 에이/에스 직물 장착 시스템과 직물 장착 및 연장 방법
US11466463B2 (en) 2018-03-23 2022-10-11 Kvadrat Soft Cells A/S Fabric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nd extending fabric
KR102658683B1 (ko) * 2018-03-23 2024-04-22 크바드라트 소프트 셀스 에이/에스 직물 장착 시스템과 직물 장착 및 연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1271A1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957B1 (ko) 천장 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KR100815258B1 (ko)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USD574072S1 (en) Room air purifier
USD597825S1 (en) Curtain fastening device
USD560605S1 (en) Solar panel frame
CN108713161A (zh) 折叠式投影屏幕
US8595966B2 (en) Sign assembly
KR20190046764A (ko) 휴대 단말용 커버
USD588366S1 (en) Mesh-chair cloth
USD589263S1 (en) Mesh-chair cloth
KR20110069344A (ko) 유리문 안전장치
USD553758S1 (en) Building panel joint frame
JP2010144434A (ja) 切断加工が出来る蝶板。
USD599034S1 (en) Contoured solar panel frame member
KR101402080B1 (ko) 시트 고정용 프레임
KR101086354B1 (ko)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
USD560162S1 (en) Wind generator channeled frame
JP2011202477A (ja) 軒天井見切り縁とその取付構造
JP5626746B2 (ja) 内装パネル
USD504575S1 (en) Frame
USD580849S1 (en) Flexible tube for solar panels
RU26720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яжения листа
USD548427S1 (en) Sock donning assist device
JP4155950B2 (ja) 横引き網戸
USD560160S1 (en) Wind generator rectangula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