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344A - 유리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344A
KR20110069344A KR1020090126047A KR20090126047A KR20110069344A KR 20110069344 A KR20110069344 A KR 20110069344A KR 1020090126047 A KR1020090126047 A KR 1020090126047A KR 20090126047 A KR20090126047 A KR 20090126047A KR 20110069344 A KR20110069344 A KR 20110069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vable
glass door
fix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551B1 (ko
Inventor
최영이
Original Assignee
최영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이 filed Critical 최영이
Priority to KR102009012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5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고 탄성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유리문의 서로 맞닿는 유리의 모서리에 한쪽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고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대와, 이동대와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대에 고정대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V", "U", "W"형상 및 "V" 및 "U" 형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부와 원호형상으로 고정대쪽으로 연장되고 끝부분은 원형상으로 굽어져 곡면이 고정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재와, 고정대의 양쪽 옆면에 조립되고 걸림돌기가 걸리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한쌍의 마감덮개를 포함하는 유리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유리문, 도어, 안전, 걸림, 스프링, 탄성, 이동, 보호, 덮개, 돌기

Description

유리문 안전장치 {Safety Device of Glass Door}
본 발명은 유리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끈한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이 용이한 마감덮개를 설치하고 새로운 구조의 스프링부재를 사용하는 유리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출입을 위한 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문의 형식에는 미닫이문, 여닫이문, 회전문 등이 있다. 특히 공공건물, 백화점, 호텔, 교회, 사무실 등 많은 사람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건물에는 강화유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여닫이 형식의 유리문이 주로 설치되고 있으며, 이 유리문에는 사용자(특히 어린이)의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사이에 끼어 부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유리문 안전장치는 대부분 유리의 일부를 잘라내어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삽입될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고무나 실리콘, 연질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한 패킹으로 마감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419호, 제20-0287636호, 제20-0192016호, 제20-0183498호 등에 공개되어 있다.
종래 유리문 안전장치의 경우에는 패킹의 재질이 열이나 자외선에 취약하고, 칼이나 못 등의 날카로운 물건에 용이하게 찢어지며,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곳에서는 마모 등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패킹의 교체작업이 자주 행해져야 하며, 적시에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냉난방의 효율이 저하되고 미관을 크게 해치는 결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 유리문 안전장치의 경우에는 제조나 시공, 운반 과정 중에서 패킹이 손상을 입을 우려도 있고, 시공시에 프레임과 패킹 사이에 실리콘으로 마감을 행할 때 제품의 특성상 단차가 존재하여 미려한 시공이 어려우며, 교체시에도 실리콘을 제거하고 다시 시공해야 하는 폐단이 있어 전문가가 교체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안전바를 출몰가능하게 스프링부재로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의 유리문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리문 안전장치의 예로 특허 제10-0712936호, 제10-0894305호, 제10-0918256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406638호 등이 있다.
종래 마감덮개를 이용한 유리문 안전장치들은 마감덮개를 고정대에 부착시킬 때 고정대와 마감덮개 사이에 접착제를 다량 사용하였기 때문에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스프링부재를 제공하고, 접착제 없이도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는 마감덮개를 사용하는 유리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리문 안전장치는 유리문의 서로 맞닿는 유리의 모서리에 한쪽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대에 고정대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대의 양쪽 옆면에 조립되는 한쌍의 마감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와 이동대, 마감덮개는 각각 금속이나 경질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선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이동대에 삽입되고 대략 "V", "U", "W"형상 및 "V" 및 "U" 형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원호형상으로 고정대쪽으로 연장되고 끝부분은 원형상으로 굽어져 곡면이 고정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의 이동대 반대쪽 면의 모서리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덮개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에 의하면, 마감덮개를 설치하므로 고정대의 파손 및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에 의하면, 마감덮개에 다양한 문양을 인쇄하거나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매끈하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에 의하면, 마감덮개를 고정대에 걸림돌기와 돌출부에 의하여 결합이 유지되도록 구성하므로, 마감덮개와 고정대 사이에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마감덮개의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조립된 후에는 마감덮개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므로, 종래에 마감덮개와 고정대를 유해한 화학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법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며, 조립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에 의하면, "V", "U", "W"형상 및 "V" 및 "U" 형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부에 의하여 스프링부재의 이동대에의 삽입이 매우 간단하며, 일단 삽입된 스프링부재는 견고하게 유지되고, 제2탄성부의 끝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고정대에 접하게 되므로 볼트 등을 이용한 스프링 부재 고정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이동대의 이동시에 부드러운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대(10)와, 이동대(20)와,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재(30)와, 한쌍의 마감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10)는 유리문의 서로 맞닿는 유리(2)의 모서리에 한쪽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판(12)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12)을 중앙부분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 지지하는 연결판(14)이 대략 "H"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10)는 대략 "H"형상의 단면을 이루면서, 상기 연결판(14)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유리(2)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유리삽입홈(15)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이동대(20)가 출몰가능(미끄럼이동)하게 삽입되는 이동삽입홈(1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10)의 유리삽입홈(15)을 형성하는 한쌍의 측면판(12) 한쪽 끝부분에는 끝면 모서리로부터 유리(2)쪽(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유리(2)의 모서리가 삽입된 상태를 지지하는 유리지지턱(1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10)의 이동삽입홈(16)이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12)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이동대(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18)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10)의 이동삽입홈(16)이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12)의 다른쪽 끝부분은 이동대(20)가 내부로 완전히 몰입(삽입)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곡면을 유지하여 유리문에 끼인 사람의 신체 일부나 물건에 가하는 압박이 최소화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10)의 이동대(20)가 삽입되는 다른쪽 끝부분에는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공기층이 존재하는 단열공간(19)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대(20)는 상기 고정대(10)의 이동대삽입홈(16)에 미끄럼이동(출몰)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이동대(20)는 대략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의 한쪽(고정대(10)쪽) 끝부분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고정대(10)의 이탈방지돌기(18)에 걸리는 결합유지돌기(28)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대(20)의 연결되는 상면에는 모헤어나 패킹(70) 등이 설치되는 모헤어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20)의 고정대(10)쪽 끝부분에는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스프링부재(30)가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채널(26)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채널(26)은 한쌍의 돌기가 스프링부재(3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인 채널(channel)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30)는 상기 이동대(20)와 고정대(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대(20)에 고정대(10)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20)의 스프링채널(26)에 삽입되고 대략 "V"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부(32)와, 상기 제1탄성부(32)의 한쪽 끝부분에서 원호형상으로 고정대(10)쪽으로 연장되고 끝부분은 원형상으로 굽어져 곡면이 고정대(10)의 연결판(14)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탄성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탄성부(34)의 끝부분에는 상기 고정대(10)의 연결판(14)에 접하는 경우 긁힘이나 손상을 주지않고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곡면의 접촉부(38)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부재(3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설치작업이 제1탄성부(32)를 상기 이동대(20)의 스프링채널(26)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완료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대략 "V"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탄성부(32)의 좁은 부분을 스프링채널(26)의 한쪽 끝에 삽입한 상태에서 계속하여 밀어넣게 되면 제1탄성부(32)가 벌어지면서 스프링채널(26) 사이에 견고하게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1탄성부는 "V" 형상, "U" 형상, "W" 형상 및 "V"와 "U" 형상의 다양한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V"와 "U" 형상이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되는 구조이거나 "V" 형상이 세 번 이상 반복되는 구조, "U" 형상이 두 번 이상 반복되는 구조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응용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상기에서 스프링부재(30)의 제1탄성부(32)는 상기 이동대(20)의 스프링채 널(2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작용하고, 제2탄성부(34)는 상기 이동대(20)를 고정대(10) 반대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프링부재(30)의 제1탄성부(32)는 스프링채널(26)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제2탄성부(34)는 자유상태로 고정대(10)의 연결판(14)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대(20)에 외력이 작용하여 고정대(10)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탄성부(34)가 눕혀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이동대(20)가 고정대(10)의 이동삽입홈(15)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이동대(20)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탄성부(34)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면서 이동대(20)가 고정대(10)의 이동삽입홈(15)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스프링부재(30)의 제2탄성부(34) 끝부분에 곡면의 접촉부(38)를 형성하므로, 제2탄성부(34)가 변형 또는 복원될 때에 고정대(10)의 연결판(14)에 접한 상태로 미끄럼이동하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긁히는 소리 등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한쌍의 마감덮개(40)는 상기 고정대(10)의 양쪽 옆면에 조립 설치된다. 즉 상기 한쌍의 마감덮개(40)는 상기 고정대(10)의 측면판(12)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10)의 이동대(20) 반대쪽 면의 모서리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림돌기(42)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덮개(4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걸림돌기(42)에 걸려 지지되는 돌출부(48)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42)는 상기 고정대(10)의 유리지지턱(17) 바깥쪽면에 돌출하 여 상기 돌출부(48)와 억지끼움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42)는 하나 이상을 형성한다.
상기 마감덮개(40)는 상기 고정대(10)의 이동대(20)쪽 측면판(12) 모서리를 감싸도록 갈고리형상의 단면으로 체결부(44)가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고정대(10)의 유리지지턱(17)과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대략 "ㄴ"형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4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8)는 상기 결합부(46)의 일부를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도록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고, 돌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마감덮개(4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44)를 상기 고정대(10)의 측면판(12) 모서리를 감싸도록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46)를 상기 고정대(10)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마감덮개(40)의 고정대(10)와의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48)가 상기 걸림돌기(42) 중의 하나를 타넘어 가고, 상기 돌출부(48)는 상기 2개의 걸림돌기(4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마감덮개(40)가 고정대(10)와의 결합상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감덮개(40)가 고정대(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감덮개(40)를 설치하게 되면, 마감덮개(40)의 표면에 다양한 인쇄나 코팅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소비자의 개별 취향에 맞는 다양화된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정대(10)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 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장기간 사용시에 상기 마감덮개(40)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항상 새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대(10)와 이동대(20), 마감덮개(40)는 각각 금속이나 경질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선스프링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대(10)와 이동대(20), 마감덮개(4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및 이들의 합금, 스테인레스스틸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합성수지를 형성하고 그 표면을 금속으로 도금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고정대(10)와 이동대(20)를 알루미늄 등의 이용하여 압출성형하고, 상기 마감덮개(40)를 스테인레스스틸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면,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대(10)의 측면을 강도가 강한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지는 마감덮개(40)가 보호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크게 증대되고, 파손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문을 열거나 닫으면서 문 사이에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끼게 되면, 상기 이동대(20)가 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을 이기고 유리(2)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문 사이에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문 사이에 끼었던 손이나 지팡이, 우산 등이 제거되면 다시 이동대(20)가 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여닫이식 유리문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미닫이식 유리문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문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리문뿐만 아니라, 철제문이나 철제 테두리가 설치된 문, 창문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여닫이식 유리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여닫이식 유리문을 나타내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3)

  1. 유리문의 서로 맞닿는 유리의 모서리에 한쪽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대에 고정대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고정대의 양쪽 옆면에 조립되는 한쌍의 마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이동대에 삽입되고 "V", "U", "W"형상 및 "V" 및 "U" 형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의 한쪽 끝부분에서 원호형상으로 고정대쪽으로 연장되고 끝부분은 원형상으로 굽어져 곡면이 고정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지는 유리문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을 중앙부분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 지지하는 연결판이 "H"형상의 단면을 이루면서, 상기 연결판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유리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유리삽입홈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이동대가 출몰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유리삽입홈을 형성하는 한쌍의 측면판 한쪽 끝부분에는 끝면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유리의 모서리가 삽입된 상태를 지지하는 유 리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이동대삽입홈이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이동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 양쪽 측면의 고정대쪽 끝부분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고정대의 이탈방지돌기에 걸리는 결합유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의 고정대쪽 끝부분에는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스프링부재의 제1탄성부가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연결판에 접하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제2탄성부 끝부분에는 곡면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유리문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덮개는 상기 고정대의 이동대쪽 측면판 모서리를 감싸도록 갈고리형상의 단면으로 체결부가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고정대의 유리지지턱과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ㄴ"형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이동대 반대쪽 면의 유리지지턱 바깥쪽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덮개의 결합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돌출부를 형성하는 유리문 안전장치.
KR1020090126047A 2009-12-17 2009-12-17 유리문 안전장치 KR101162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47A KR101162551B1 (ko) 2009-12-17 2009-12-17 유리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47A KR101162551B1 (ko) 2009-12-17 2009-12-17 유리문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344A true KR20110069344A (ko) 2011-06-23
KR101162551B1 KR101162551B1 (ko) 2012-07-09

Family

ID=4440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047A KR101162551B1 (ko) 2009-12-17 2009-12-17 유리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55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9803A (zh) * 2016-04-14 2017-10-27 多玛凯拔德国有限公司 玻璃门夹配件
KR101882621B1 (ko) 2017-09-04 2018-07-26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2096202B1 (ko) 2019-02-14 2020-04-01 김명호 유리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KR20200086004A (ko) 2019-01-08 2020-07-16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의 안착 지지기구
KR20200089510A (ko) 2019-01-17 2020-07-27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의 고정기구
KR102447753B1 (ko) * 2022-05-23 2022-09-27 곽민석 기능 보완과 도장이 편리한 기능성 새시의 제조방법
KR102460994B1 (ko) * 2022-05-23 2022-10-28 곽민석 편리한 도장과 기능 보완을 겸비한 기능성 새시
KR102600836B1 (ko) 2022-05-06 2023-11-10 주식회사 삼부테크 잠금장치가 내장된 일체형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325B1 (ko) * 2013-10-02 2014-07-09 정정호 안전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88Y1 (ko) 2003-10-10 2004-02-11 류양기 강화유리문용 손 보호대
KR200354016Y1 (ko) 2004-02-20 2004-06-23 임식규 강화유리도어용 프레임의 안전바 이탈방지장치
KR101028010B1 (ko) 2011-01-06 2011-04-13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유리문 프레임 안전보호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9803A (zh) * 2016-04-14 2017-10-27 多玛凯拔德国有限公司 玻璃门夹配件
KR101882621B1 (ko) 2017-09-04 2018-07-26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200086004A (ko) 2019-01-08 2020-07-16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의 안착 지지기구
KR20200089510A (ko) 2019-01-17 2020-07-27 김명호 유리문용 잠금장치의 고정기구
KR102096202B1 (ko) 2019-02-14 2020-04-01 김명호 유리문용 양방향 잠금장치
KR102600836B1 (ko) 2022-05-06 2023-11-10 주식회사 삼부테크 잠금장치가 내장된 일체형 손잡이
KR102447753B1 (ko) * 2022-05-23 2022-09-27 곽민석 기능 보완과 도장이 편리한 기능성 새시의 제조방법
KR102460994B1 (ko) * 2022-05-23 2022-10-28 곽민석 편리한 도장과 기능 보완을 겸비한 기능성 새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551B1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51B1 (ko) 유리문 안전장치
US4178718A (en) Door assembly for a tub and shower enclosure
US8850747B2 (en) Door with closing profile and integrated ventilation
WO2013172861A1 (en) D-profile door pull
KR20110134041A (ko) 컬러 그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
JP2007009612A (ja) パネル取付構造
KR100918256B1 (ko) 유리문 안전장치
JP2016108832A (ja) 建具
US20070284059A1 (en) Vertical blind structure with an easy change of curtain cloth
KR20100002217U (ko) 블라인드의 고정브라켓
EP2118424B1 (en) Door with closing profile and integrated ventilation
US20080149282A1 (en) Window screen frame member
KR101465845B1 (ko) 도어 보호대 구조체
CN108561042B (zh) 一种厨房用推拉式塑钢门窗
KR200405300Y1 (ko) 신축캡을 갖는 봉 커튼용 지지봉
US20190269269A1 (en) Curtain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CN219412303U (zh) 一种塑钢窗增强密封防尘结构
AU2013309610B2 (en) Window stay, window systems and mounting methods
CN212614323U (zh) 一种淋浴房玻璃门角度调节装置
KR20090005127U (ko) 유리문 안전장치용 브래킷
US20060070707A1 (en) Longitudinal frame member and spline
CN220869034U (zh) 一种自由装配式推拉门拉手结构
JP3143674U (ja) 鴨居用レール材
CN216714182U (zh) 一种同步窗掩结构
KR102152518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